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E D R , A S I H C RSS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을(를) 전체 찾아보기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


역링크만 찾기
검색 결과 문맥 보기
대소문자 구별
  • 박근혜 . . . . 554회 일치
         |국가 = 대한민국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시]]
         |거주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자택)</br>[[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수감지)
         |국적 = [[대한민국]]
         |혐의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관련 뇌물수수·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강요·기밀누설 등<br>----<br>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수수(뇌물수수·국고손실)<br>----<br>공직선거법 위반(공천개입)
         |죄값 = 2심 징역 25년·벌금 200억 원, 검찰 단독 항소·상고로 상고심 진행중(최순실 및 블랙리스트 관련)<br>----<br>1심 징역 6년, 검찰 단독 항소로 항소심 진행중. (국고손실 유죄. 뇌물수수 무죄.)<br>----<br>징역 2년 확정<ref>https://news.joins.com/article/23164465</ref>(공직선거법 위반,공천개입)
         '''박근혜'''(朴槿惠<ref>{{헌정회|2530}}</ref>, [[1952년]] [[2월 2일]] ~ )는 [[대한민국]]의 제18대 [[대한민국대통령|대통령]]이다.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자, 최초로 탄핵된 대통령이다.<ref group="주">1925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탄핵된 [[이승만]] 대통령까지 포함할 경우 역사상 두 번째로 탄핵된 대통령이다.</ref>
         제5·6·7·8·9대 대통령 [[박정희]]의 차녀<ref group="주">박정희의 전처소생 [[박재옥]]이 있으므로 박근혜는 차녀가 된다.</ref>이자 [[육영수]]의 장녀로 [[대구]]에서 태어나 1963년 박정희가 대통령에 취임한 이래 [[청와대]]에서 자랐다. 1970년에 [[서강대학교]]에 입학하여 1974년에 졸업했고, [[프랑스]] 그르노블 대학으로 유학길에 올랐다가 1974년 [[육영수 저격 사건|모친 사후]] 귀국하여 1979년 [[10.26 사건]] 이전까지 사실상 대통령 배우자 직무를 대행하였다. 아버지가 서거한 후에는 청와대에서 나와 [[육영재단]]과 [[정수장학회]]의 이사장을 지냈다.
         [[1998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1998년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된 박근혜는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제19대]]까지 5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는 [[한나라당]]의 대표최고위원을 역임하였으며, 2007년 한나라당의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제17대 대선]] 후보 경선에 출마하였지만 [[이명박]]에게 석패하였다. 이후 [[이명박 정부]] 기간 동안 한나라당 내 비주류계를 이끌었다.
         2011년 12월부터는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을 지내며 당 혁신 작업을 지휘하였고 2012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제19대 총선]]을 승리로 이끌었다. 이후 새누리당의 대통령 선거 후보로 선출되어 2012년 12월 19일 실시된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제18대 대선]]에서 득표율 51.6%로 48.0%를 득표한 [[민주통합당]]의 [[문재인]] 후보를 누르고 당선,<ref>[18대 대통령 박근혜] 박근혜 득표율 51.6%, 조선일보 2012.12.21</ref> 2013년 2월 25일 대한민국제18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였다. 이로써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자 1987년 [[대한민국 헌법]] 개정 이후 최초 과반 득표 대통령, 최초 이공계 출신 대통령, 최초 독신 대통령, 최초 부녀 대통령으로 기록되었다.<ref>[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743473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신기록들] 아시아투데이 (2012년 12월 20일)</ref>
         재임 직후부터 [[국정원 댓글 사건|국정원 대선 개입 사건]]이라는 위기를 맞으며 국정을 본 박근혜는 임기 중 [[세월호 침몰 사고|세월호 참사]], [[메르스 사태]] 등 국가적 재난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국민의 불안감을 증폭시켰고, [[창조경제]]를 위시한 추진한 정책 다수가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을 뿐더러, 미숙한 국정운영과 불통 논란 등으로 숱한 비판을 받았다. 그러다 2016년 말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져 민간인의 국정 개입 사실이 낱낱이 폭로되면서 2016년 12월 3일 [[대한민국 국회]]에 [[박근혜 대통령 탄핵|《대통령(박근혜) 탄핵소추안》]]이 발의<ref name="impeachment" />되어 12월 9일 대한민국 헌정사상 두 번째로 국회에서 탄핵소추안이 가결, 대통령 직무가 정지되었다.<ref>{{뉴스 인용|저자=주영재·허남설|제목=[속보]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찬성 234·반대 56·무효 7·기권 2|url=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12091610001|뉴스=[[경향신문]]|날짜=2016.12.09 16:10:00}}</ref>
         2017년 3월 10일 [[대한민국 헌법재판소|헌법재판소]]에서 만장일치로 [[박근혜 대통령 탄핵|탄핵 소추안을 인용]]하면서 박근혜는 대통령직에서 파면, 헌정 사상 최초로 탄핵된 대통령이라는 불명예를 안았다.<ref>{{웹 인용|url=https://www.ccourt.go.kr/cckhome/kor/event/adjuList.do|제목=선고목록 및 결정문 - 헌법재판소|확인날짜=2018-12-13}}</ref><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0&oid=056&aid=0010429073|제목=[영상] “대통령 박근혜를 파면한다”|언어=한국어|확인날짜=2017-03-10}}</ref> 탄핵 후에는 곧바로 3월 21일 검찰에 소환되어 대한민국의 전직 대통령 중 [[전두환]], [[노태우]], [[노무현]]에 이어 네 번째로 검찰 수사를 받았고,<ref>{{뉴스 인용 |title=[박근혜 검찰 출석] 최순실 ‘곰탕’·이재용 ‘자장면’…박근혜는? 미리 준비한 ‘도시락’ |url=http://news.donga.com/3/all/20170321/83428508/2 |work=동아일보 |date=2017-03-21 |accessdate=2017-05-18}}</ref> 3월 31일에는 [[구속영장]]이 발부되어 [[서울구치소]]에 수감되면서 전두환, 노태우에 이어 세 번째로 구속된 전직 대통령이 되었다.<ref>{{뉴스 인용 |title='최순실 국정농단 공범' 박근혜 구속…"혐의소명·증거인멸"(종합) |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3/30/0200000000AKR20170330171251004.HTML |work=연합뉴스 |date=2017-03-31}}</ref> 구속된 상태에서 수사와 재판을 진행하던 중에 2017년 10월 16일 6개월인 1심 구속기간이 만료되었으나 검사가 앞선 구속영장에 적시하지 않은 뇌물 공소사실에 대하여 다시 구속영장이 발부되어 구속기간이 최대 6개월 연장되었다. 이에 대하여 박 전 대통령 측은 반발하였고 모든 변호인단이 사임하였다.<ref>[http://biz.heraldcorp.com/culture/view.php?ud=201710171022138598395_1
         재판 보이콧’ 박근혜 “나라 바로 세우는 게 중요” 판흔들기?]</ref> 한편 2017년 11월 3일 [[자유한국당]]은 박근혜 전 대통령을 제명했으며 역대 대통령 중 최초로 강제출당된 대통령이 되었다.<ref>{{뉴스 인용|저자1=안정원|제목=한국당, '1호 당원' 박근혜 출당조치…'20년 관계' 청산|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ec&sid1=100&sid2=269&oid=001&aid=0009659037|날짜=2017-11-03|확인날짜=2017-11-03|뉴스=[[연합뉴스]]}}</ref>
         박근혜는 대기업 관련 범죄·[[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등 혐의 18개 와 [[대한민국 국가정보원|국정원]] 특활비 · 공천개입 등 혐의 3개에 대해 각각 재판을 받고 있다. 전자는 2심, 후자는 1심 판결이 나온 상태이다. 2018년 4월 6일 18개 혐의에 대한 1심에서는 혐의 16개에서 일부유죄 및 유죄가 인정되어 징역 24년 및 벌금 180억 원을 선고받았으며,<ref name=":0" /> 2018년 8월 24일 2심에서 징역 25년 및 벌금 200억 원으로 형량이 늘어났다.<ref name=":2" /> 2018년 7월 20일 혐의 3개에 대한 1심에서는 2개가 인정되어 징역 8년 및 추징금 33억 원을 선고받은 상태이다.<ref name=":1">{{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7/20/0200000000AKR20180720096900004.HTML|제목=박근혜 '국정원 특활비·공천개입' 1심 징역 8년…33억 추징(2보)|성=송진원|이름=|날짜=2018-07-20|뉴스=연합뉴스|출판사=|언어=ko-KR}}</ref> 2개 재판을 합치면 혐의가 총 21개, 형벌은 총 33년형과 벌금 200억 원과 추징금 33억 원이다.
         아버지 [[박정희]]는 [[1917년]] [[경상북도]] [[선산군]] 구미면 상모리(현재의 경상북도 [[구미시]] 상모동)에서 소작농 [[박성빈]]과 부인 [[백남의]]의 5남 2녀 중 막내로 태어났다. 구미공립보통학교(현재의 [[구미초등학교]]), 대구사범학교(현재의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를 거쳐 [[만주군관학교]] 예과와 [[일본육군사관학교]] 본과를 졸업하고 [[만주국]]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중위 때 해방을 맞아서 귀국, 국방경비사관학교(현재의 [[육군사관학교 (대한민국)|육군사관학교]]) 제2기로 임관하여 재직 중이였다.
         [[프랑스]] 유학 중이던 [[1974년]] [[8월 15일]] [[광복절]] 기념 행사에서 어머니 육영수가 재일 한국인 [[문세광]]의 [[육영수 저격 사건|저격으로 살해당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급거 귀국하였다. 육영수 사후 아버지 박정희는 재혼하지 않았기 때문에 [[대한민국대통령 배우자]] 역할을 대행하여야 하였다. [[1975년]]부터 박정희가 추진한 [[새마을 운동]]에 참여하였다. 이때 [[최태민]]이 그의 새마을 사업에 참여한 것이 후일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이후 박근혜는 의전상의 [[대한민국 대통령의 배우자|대통령 배우자]] 권한대행으로서 아버지 [[박정희]]의 공식 행사와 해외 순방 등을 수행하였고 [[육영수 저격 사건]] 이듬해에 만들어진 [[육영수여사추모기념사업회]] 이사가 되었다.
         이 때 박근혜의 여동생과 남동생인 [[박서영]]과 [[박지만]]은 최태민이 언니인 박근혜를 속이고 있으니 구하여 달라며, 당시 대통령이던 [[노태우]]에게 A4용지 12장 분량의 편지를 보냈다.<ref>{{뉴스 인용|제목=[단독 입수] 박근령 육영재단 이사장이 1990년 노태우 대통령에게 보낸 '탄원서'|url=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426709|출판사=오마이뉴스|날짜=2007-08-06}}</ref>
         [[1980년]] 구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인사들과 [[유신정우회]] 인사들이 [[한국국민당 (1981년)|한국국민당]]을 창당하였고, [[1987년]]에는 [[김종필]]을 중심으로 [[신민주공화당]]이 출범하였으나 박근혜는 참여하지 않았다.
         박근혜는 [[1997년]] [[12월 2일]] 사촌 오빠 [[박재홍 (1941년)|박재홍]]의 소개로 [[한나라당]]의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제15대 대통령 선거]] 후보였던 [[이회창]]과 만났다. 이후 [[1997년]] [[12월 10일]]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제15대 대통령 선거]] 이회창 지지를 선언하며 한나라당에 입당하였다. 이후 이회창의 권유로 [[1998년]] [[4월 2일]] 한나라당의 후보로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당선되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이라는 점과 미혼 여성 정치인이라는 점 등으로 많은 주목을 받았다. 출신 성분은 아버지인 박정희 전 대통령을 지지하는 보수 진영 및 영남, 어머니인 [[육영수]]의 고향인 충청 지역의 지지를 얻는 데 유리하게 작용하였다.
  • 김재규 . . . . 91회 일치
          * 상위 문서: [[대한민국 국군/인물]], [[불교/인물]]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5ba6><#005ba6><-5><:> {{{+1 [[대한민국|{{{#ffc224 ''' 대한민국 ''' }}}]] [[국가정보원/원장|{{{#ffc224 ''' 중앙정보부장 ''' }}}]] }}} ||
         ||<#580E0E><-5><:> [[대한민국 제4공화국|{{{#FFFFFF ''' 제4공화국 (1972 ~ 1981) ''' }}}]] ||
         ||<:> '''군복무''' ||<:> [[일본군 해군]] 예과연습생 [br] [[대한민국 육군]] [[제6보병사단]] [br] [[대한민국 육군]] [[국군기무사령부|보안사령부]] [br] [[대한민국 육군]] [[제3군단]]||
         ||<:> '''최종 계급''' ||<:> [[대한민국 육군]] [[중장]] ||
         ||<:> '''약력''' ||<:> [[1957년]] [[육군대학]] 부총장 [br][[대한민국 육군]] [[제6보병사단]][[사단장|장]][br][[대한민국 육군]] [[국군기무사령부|보안사령]][[기무사령관|관]][br][[대한민국 육군]] [[제3군단]][[군단장|장]][br][[1973년]] 제9대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br][[1974년]] 건설부 [[장관]][br][[1976년]] [[중앙정보부]]장 ||
         ||<:> '''수상''' || ~~[[대한민국 훈장|충무무공훈장]]~~[* 삭선이 그어진 것은 서훈이 취소되었기 때문. [[2006년]] [[3월 21일]] 정부는 서훈을 취소할 수 있게 개정된 상훈법 규정에 따라 [[전두환]], [[노태우]] 전 대통령을 포함한 공직자 및 기업인 174명에 대한 서훈을 취소했으며, 10·26사태의 주범인 김재규 또한 그 대상에 포함되어 8개 훈·포장을 박탈당하였다. [[https://news.joins.com/article/2238076|기사]] ] [br]~~[[대한민국 훈장|보국훈장]] 천수장~~[br]~~[[대한민국 훈장|보국훈장]] 삼일장~~[br]~~[[대한민국 훈장|보국훈장]] 국선장~~[br]~~[[대한민국 훈장|보국훈장]] 광복장~~[br]~~[[대한민국 훈장|보국훈장]] 통일장~~[br]~~[[대한민국 훈장|청조근정훈장]]~~[br][[사우디아라비아]] 킹 압둘 아지즈 훈장[* 당시 건설부장관으로서 몸소 중동에 방문해 (한국 기업을 통한) 중동 개발에 적극적으로 협조한 공을 인정받아 획득했다.] ||
         김재규(金載圭, [[1926년]] [[3월 6일]] ~ [[1980년]] [[5월 24일]])는 [[대한민국]]의 [[군인]]·[[정치가]]이다. 호는 덕산(德山)이고, 본관은 [[김녕 김씨]]. [[경상북도]] [[구미시]] 출신. [[유신정권]] 당시 [[중앙정보부]]장을 재임했으며, [[10.26 사건]] 당시 대통령 [[박정희]]를 암살하고, 사건 다음날 새벽 [[육군본부]]에서 검거되어 이후 내란목적살인 및 내란미수에 대하여 유죄판결을 받고 사형을 언도받아 교수형에 처해졌다. 김재규의 육성이나 말투를 들어보고 싶으면 [[http://www.youtube.com/watch?v=5YItsPrAcq8|본 육성녹음을 참고]]. 이것은 1979년 12월 8일의 보통군법회의 최후진술 녹음 중 하나다.
         [[박정희]]는 군사쿠데타를 우려해서 [[육군참모총장]],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장관에는 그저 그런 무난한 인물만 앉혔고, 정말 유능하고 후배들의 존경을 받는 육군 장군은 [[사단장]], [[군단장]] 수준에서 전역시켰다고 한다.[* 이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데, [[김종오]], [[박병권]], [[민기식]], [[김용배]], [[김계원]], [[이세호]], [[임충식]] 등은 '''그저 그런 무난한''' 인물들이 아니다. 다만, 12.12 군사반란 때 당시 국방부 장관이던 [[노재현]]이 보여준 추태가 워낙 커서 앞의 인물들까지 도매금으로 같이 까이는 경우가 많다.] 김재규도 이런 케이스로, 월남전의 영웅인 [[채명신]] 장군 또한 [[대장(계급)|대장]]을 못 달고 중장에서 전역해야 했다. 이후 [[유신정우회]] 국회의원, [[중앙정보부]] 차장, 건설부 장관을 거쳐 1976년 12월에 제8대 중앙정보부장으로 임명되었다.
         [[5.16 군사정변]] 당시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총무과장([[준장]])으로 있었는데 다른 국방부 장성들과 마찬가지로 쿠데타에는 가담하지 않았고 혁명군사령부에 연행되어 조사를 받았다. 조사에도 불구하고 부정 사실이 발견되지 않아 석방되었고, 석방 후 현역 장군으로서 호남비료 사장에 파견 임명되었다.[* 이 당시 국군 장성들이 하던 비리들이 어마어마했기 때문에 김재규가 비리가 없었다는 것은 그가 참군인이었다는 것의 반증이다.]
         1973년 초 3군단장으로 전역 후 제9대 국회에서 [[유신정우회]] 1기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이 되었다. 그러다가 그 해 12월 [[이후락]]의 뒤를 이어 [[신직수]]가 중앙정보부장이 될 때 중앙정보부 차장이 되었다. 이 때 김재규는 신직수를 매우 껄끄러워했는데 자신이 제5보병사단 참모장일 때 육군 [[군법무관|법무]][[소령]] 신직수가 그 밑에서 법무참모를 지냈기 때문이다. 1974년 9월 개각 때 건설부 장관이 되었다. 건설부 장관 부임 당시 8000만 달러 밖에 안되던 해외건설 계약고를 30억 달러까지 끌어올리는 공을 세워 근정훈장을 받았다. 1976년 12월 신직수의 뒤를 이어 중앙정보부장이 되었다.
         >구국여성봉사단이라는 단체는 총재에 최태민, 명예총재에 [[박근혜]] 양이었는 바, '''이 단체가 얼마나 많은 부정을 저질러왔고 따라서 국민, 특히 여성단체들의 원성의 대상'''이 되어왔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아니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큰 영애가 관여하고 있다는 한 가지 이유 때문에 아무도 문제 삼는 사람이 없었고 심지어 민정수석 박승규 비서관조차 말도 못 꺼내고 중정부장인 본인에게 호소할 정도'''였습니다. 본인은 백광현 당시 안정국장을 시켜 상세한 조사를 하게 한 뒤 그 결과를 대통령에게 보고하였던 것이나 박 대통령은 근혜 양의 말과 다른 이 보고를 믿지 않고 직접 친국까지 시행하였고, 그 결과 '''[[최태민]]의 부정행위를 정확하게 파악하였으면서도 근혜 양을 그 단체에서 손떼게 하기는커녕 오히려 근혜 양을 총재로 하고, 최태민을 명예총재로 올려놓아''' 결과적으로 개악을 시킨 일이 있었습니다.
         김재규는 중앙정보부를 통해 [[최태민]]의 조사를 지시했고, [[10.26 사태]]가 발생하기 3일 전 [[최태민]]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여 박정희 전 대통령에게 보고했었다. 이 보고서엔 최태민과 [[박근혜]] 간의 부적절한 관계와 최태민의 문란하고 부적절한 사생활이 기록되어 있었다. 이 보고서를 처음 입수한 언론에서 공개한 시점이 2012년 말, 즉 [[18대 대통령 선거]] [[http://www.goba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82|직전]]이였기 때문에 당시엔 [[찌라시]] 취급을 받으며 묻혀졌지만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지며 [[최태민]]과 [[박근혜]]의 관계에 주목하는 사람이 늘어남에 따라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거기다가 김재규의 말이 아예 사실이라면, 박정희는 김재규를 불러 최태민을 대질시켜놓고 친국을 벌였다는 말이 된다. 당시 김재규는 독재정권의 중앙정보부장으로 의전상 부총리였다. 대통령의 왼팔이 '''일개 사이비 종교인을 고자질하는 상황이 되었으니''' 엄청나게 체면을 구긴 일이다. 2017년 기준으로 보자면 [[검찰총장]]이 사이비 교주 하나 기소했다고 대통령에게 친국을 당하는 것보다 더 심한 꼴이다. 거기다가 김재규가 최태민이 저지른 온갖 부정의 입증을 성공했음에도 불구하고 박정희는 오히려 최태민(정확히는 박근혜)을 신뢰하는 꼴을 보였다. 이는 김재규 입장에서 자신이 끝까지 모신 박정희가 중앙정보부 부장인 자신보다 어디서 굴러와 영애를 홀린 사이비 종교인을 더 신뢰한 것으로 보일 수밖에 없으니 있던 충성심도 바닥이 날 수밖에 없다.
         즉, [[10.26 사태]]를 결심한 동기 중 하나가 [[박정희]] 전 대통령이 [[최태민]] - [[박근혜]]와의 부적절한 관계를 알고도 이를 바로잡지 않으려고 했기 때문이라고 [[/항소이유 보충서|항소이유보충서]]로 남겼다. 김재규는 최태민과 박근혜의 관계가 지속될 경우 벌어질 잠재적 위험성을 알고 이를 [[/항소이유 보충서|항소이유보충서]]로 남기며 최후의 순간까지 경고 했지만, 그의 우려와 경고는 37년 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라는 대한민국 헌정 사상 최악의 정치 스캔들이 터지면서 결국 현실이 되어버리고 말았다. --10월 26일날 최씨 일가도 같이 쏴버렸어야 했다.--
         지금도 그렇지만 예전에는 [[인맥]]의 영향력이 더 컸다. [[박정희]]와 고향 후배이며 육사 동기라는 2중의 인맥인 김재규는 그야말로 심복이었다. 하지만 김재규는 [[1979년]] [[10월 26일]], [[종로구]] 궁정동 안가에서 [[박정희]] 대통령과 [[청와대]] [[대통령경호실]]장 [[차지철]]을 [[발터 PPK]] [[권총]]으로 저격하여 [[암살]]했다.[* 라고 알려져 있으나, 실제 박정희 암살에 성공한 총기는 [[M36 치프 스페셜]]이다.] 이것이 이른바 [[10.26 사건]]이다.
         [[대통령경호실장]] 차지철이 경호원들과 함께 현장에 동행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대통령의 최측근인 중앙정보부장이 대통령을 저격할 줄 생각 못한 경호팀은 무력했고 그들 모두 중앙정보부 요원들에 의해 제압당한다. 경호실 요원 중 유일하게 생존한 사람이 당시 경호계장이던 [[박상범]]이고, 그는 나중에 [[김영삼]] 정부에서, 민간인 출신으로는 최초로 대통령 경호실장을 맡게 된다.
         특히 박정희를 암살한 장본인이 차지철이었다고 얼마든지 조작이 가능했을 것이다. 평소 차지철은 대통령 경호라는 미명으로 온갖 월권행위와 [[경거망동]]을 서슴치 않았고, 부통령이라 불릴 정도로 막강한 위력을 자랑하고 있었다. 당시 [[쿠데타]]가 일어난다면 주동자 1순위는 단연 차지철이라는 얘기가 공공연히 떠돌 정도였다. 실제로 사건이 터진 후 청와대로 들어와 김계원 [[비서실장]]에게 대통령 유고 소식을 들은 김치열 당시 법무장관은 "그 새끼가 까불더니 결국 일을 저질렀군!!" 하고 호통을 쳤는데, 그 새끼는 물론 차지철을 지칭한 것이었다.
          * ① 대통령의 그늘 밑에서만 권력을 휘두를 뿐 대통령 사망 후에는 특별한 권한이 없는 중앙정보부장으로서는 비상계엄 상황에서 특권을 휘두르는 군부의 협조가 절실하므로 이를 얻기 위해 육군본부로 갔을 거라는 설. 특히 당시 육군참모총장이었던 [[정승화]]는 김재규와 원만한 관계였으므로, 그에게 자신의 [[박정희]] 저격을 알리고도 그의 협조를 받아낼 수 있으리라 오판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그러나 군부는 기본적으로 박정희 정권을 강력히 지지하는 세력이었고 박정희 암살자에게 협조하여 그의 정권 획득을 도울 장성이 있었을지는 의문이다. 게다가 김재규는 당시 군에 자기 인맥이라고 볼 수 있는 장군을 거의 만들지 못하고 있었다.
         당시 대법관들 사이에서는 소수의견으로 대통령 [[박정희]]를 살해한 내란목적이 아니라 자연인 박정희를 살해한 단순살인에 불과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특히 형사3부 판사인 양병호와 서윤홍은 '''[[내란]] 목적이라기에는 암살후 김재규의 움직임이 너무나 어설펐기 때문에 내란을 목적하고 박정희를 죽인 게 아니고 그저 우발적으로 죽였다고 본 것'''이며 최종판결 당시 민윤기 등 6명의 판사들이 내란죄 불성립 의견을 냈다. 이로 인해 소수 의견을 낸 판사 6명은 신군부의 보복으로 전부 법복을 벗어야 했으며 특히 양병호는 보안사에 끌려가 온갖 고문을 당하였다. 훗날 양병호는 김재규가 자유민주주의 회복을 위해 박정희를 사살한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이 당시 판결문은 비공개 처리되어 묻혀버렸으나[* 80도306 판결 참조. 내란죄에 있어서 목적에 대한 인식의 정도는 미필적 인식, 즉 자신의 행위가 범죄발생의 가능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있는 상태만 되도 행위자가 그러한 목적이 있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로인해 구성요건이 충족된다. 즉 김재규는 박정희를 죽일 때 국헌문란을 일으키고자 하는 목적은 없었으나, 대통령의 사망이 국헌문란을 가져올 것을 미필적이나마 인식하고 있었고 그것으로도 국헌문란에 대한 목적의 인식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는 소리다.], 훗날 공개되면서 당시 몇몇 재판관들의 용기있는 소수의견들이 밝혀졌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2011034|한홍구, 사법부 - 회한과 오욕의 역사 참조]].
  • 정호용 . . . . 91회 일치
         |국가 = {{국기그림|대한민국|1949}} [[대한민국 제5공화국|대한민국]]
         |직책 = [[대한민국의 국방부 장관|국방부 장관]]
         |대통령 = [[전두환]]
         |직책2 = [[대한민국 내무부 |내무부 장관]]
         |대통령2 = [[전두환]]
         |직책3 = 제25대 [[대한민국의 육군참모총장|육군참모총장]]
         |국가4 = {{국기그림|대한민국|1949}} [[대한민국 제6공화국|대한민국]]
         |직책4 =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제13]]·[[대한민국 제14대 국회|14대]]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출생지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대구부 (현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별명 = 호 목우(牧牛)<ref>[http://www.rokps.or.kr/profile_result_ok.asp?num=1713 정호용 - 대한민국 헌정회]{{깨진 링크|url=http://www.rokps.or.kr/profile_result_ok.asp?num=1713 }}</ref>
         |군복무 = [[대한민국 국군]]
         |소속군대 = {{국기그림|대한민국|육군}} [[대한민국 육군|육군]]
         |계급 = {{대한민국 국군 계급장|대장|육군}}
         |지휘 = [[제50보병사단 (대한민국)|제50보병사단]]<br>[[대한민국 육군 특수전사령부|육군특수전사령부]]<br>[[제3야전군 (대한민국)|제3야전군]]
         |근무 = [[제9보병사단 (대한민국)|제9보병사단]]
         '''정호용'''(鄭鎬溶, [[1932년]] [[9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이다.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자원 입대한 이후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육군사관학교]]에 진학했고 1955년에 육군사관학교를 졸업(11기)하였다. [[전두환]], [[노태우]]의 육사 동기로 [[12.12 군사 반란]]과 [[5·17 쿠데타|5.17 비상계엄 확대조치]],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진압에 가담했다. 12·12 군사 반란 이후 [[대한민국 육군 특수전사령부|특전사]] 사령관, [[제3야전군]] 사령관, [[대한민국 육군#역대 참모총장|제25대 육군 참모총장]]을 역임하였으며, 육군 대장으로 예편하였다. 예편 이후에는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국보위]] 상임위원회 위원, [[민주정의당]] 대구경북지구당 위원장,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장관과 [[대한민국 행정안전부|내무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대한민국 제5공화국|제5공화국]]에서 군부 인맥의 서열 3순위였으나, [[대한민국 제6공화국|제6공화국]] 무렵 노태우와의 경쟁 끝에 몰락하였다.---노태우와 정호용은 경쟁한적이 없습니다. 정호용은 김윤환과 더불어 노태우의 최측근으로 6공의 실세중의 실세였습니다.
         이후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1992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민주자유당]] 후보자였던 [[김영삼]]의 지지 유세를 하였습니 그러나 1995년에는 김영삼 정부의 '역사 바로세우기' 일환으로 12.12 군사 반란, [[광주 민주화 운동]] 진압 관련자로서 1997년 4월 12·12 군사반란 및 5·18 광주 민주화운동 관련 재판에서 반란·내란 중요임무 종사로 대법원에서 징역 7년 형을 선고 받았으나 사면됐다. 본관은 [[연일 정씨|연일]](延日)으로 호는 목우(牧牛)이며 [[대구광역시|대구]] 출신.
         하나회가 다시 전두환 파벌과 [[윤필용]] 파벌로 나뉠 때 그는 [[전두환]] 파벌에 가담하였다. 그 뒤 군 복무 중 [[서울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하여 1963년에 [[공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 뒤 육군본부 인사장교를 거쳐 중령으로 재직 중 1965년 [[대한민국 육군대학|육군대학]]에 입교하여 1967년에 수료하였다. 같은 해 1967년에는 육군본부 진급계장을 거쳐 수직이동하여 육본 진급과장으로 승진했다.
         그 뒤 월남전에 참전하여 [[대한민국 9보병사단|육군 제9보병사단]] 예하대대의 대대장으로 [[베트남]]에 파견, 활동하고 귀국하였으며 1971년에는 육군 대령으로 승진하여 연대장 보직을 두루 역임한 뒤 1974년 특전사 제7공수특전여단이 창설되면서 초대 제7공수특전여단장으로 부임하였고, 1977년 [[대한민국 육군 특수전사령부|특수전사령부]](특전사) 참모장을 거쳐 소장으로 진급, 1978년 대구 주둔의 육군 제50보병사단장이 됐다. 그러나 하나회의 리더 윤필용의 발언 파문(일명 [[윤필용 사건]])으로 한때 예편 위기에 직면하기도 했다. 한편 그와 같은 무렵 의무병과에 동명이인인 '정호용'(鄭浩鎔)이라는 장성도 있었다.
  • 이갑성 . . . . 67회 일치
         '''이갑성'''(李甲成, <small>일본식 이름: 이와모토 마사이치(岩本正一) </small>, [[1889년]] [[10월 23일]] ~ [[1981년]] [[3월 25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가]], 사회운동가이다.
         그의 [[본관]]은 [[경주 이씨|경주]]이고 [[대구광역시]] 출신이다. 아호는 연당(硏堂).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독립선언서에 서명하였으며, [[1931년]] [[신간회 사건]]으로 [[조선총독부]]의 탄압을 피해 [[상하이 시|상하이]]로 망명, 독립운동을 펼치다가 귀국하였다. [[1940년]] [[흥업구락부 사건]]으로 7개월간 복역하다가 [[윤치호]]의 신원보증으로 풀려났다. [[1945년]] 독립촉성국민회의 조직에 참여하여 회장이 되고 [[1947년]]에는 [[남조선 과도입법위원회]] 의원을 지냈으며 단정 수립론을 지지하였다. [[1950년]] [[제2대 민의원]] 의원에 당선되었다. 그뒤 [[1952년]] [[이승만]]의 친위조직이 된 [[대한인 국민회]] 회장을 지냈고, 그해 [[자유당 (대한민국)|자유당]]에 입당, [[1952년]] [[10월]] [[한국 전쟁]] 중 전시내각(戰時內閣)의 [[대한민국의 국무총리|임시 국무총리]](國務總理)를 역임했다. [[1953년]] 자유당의 최고위원, 정무부장을 역임하였다. 4.19 혁명 후 야인으로 생활하다 [[1963년]] [[2월]] [[민주공화당]] 창당 발기위원이 되었다. [[1965년]] [[광복회]] 회장을 지냈다.
         [[1915년]] 세브란스의전 부속병원 사무원이 되고, 그뒤 의전 부속병원 제약부 주임이 되었다. [[미국 대통령]] [[우드로우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에 감격, 이를 계기로 독립만세운동의 계획이 진행되자, [[1918년]] 말부터 [[박희도 (1889년)|박희도]](朴熙道) 등 [[기독교]]계 인사들과 함께 독립운동을 계획한다.
         이 때문에 [[1993년]] [[대한민국 국가보훈처]]에서 훈장 서훈자 중 친일 혐의가 있는 자의 명단을 발표할 때, 과거 독립유공자 심사위원까지 맡았던 이갑성의 이름이 포함되었다.<ref>{{저널 인용
         이때 [[김규식]](金奎植) 등의 좌우합작에 협력하던 중 그뒤 단정 수립론과 남북협상론이 나오자 [[이승만]]의 단정 수립론을 지지하였다. [[1948년]] [[3월]] [[미 군정]]청 군정장관 딘 소장으로부터 [[5·10 총선거]]를 관리하기 위한 중앙선거위원회 위원의 한 사람에 임명되었다. [[1948년]] [[5월]]에는 [[이승만]]의 친위조직화된 [[대한인국민회]] 소속으로 대구에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이후 [[대한인국민회]]를 지도, 운영하였다.
         [[이승만]]의 단정 수립에 참여하였으며 [[1950년]] [[5월]]에는 국민회 소속으로 대구에서 제2대 [[민의원]](民議院) 의원 선거에 출마, 당선되었다. [[6.25 전쟁]] 직후 [[6월 28일]] [[서울]]이 점령당하자 자가용편으로 [[대전]]으로 피신, 무임소 장관으로 국무회의에 참석하였다.
         [[1951년]] [[5월 16일]] [[이시영]] [[부통령]]의 사퇴로, [[부산 피난지]]에서 열린 [[제2대 국회]]에서 실시한 제2대 부통령선거에서 여당격인 [[대한국민당 (1948년)|대한국민당]] 소속 [[부통령]] 후보로 입후보하였으나 낙선했다. 재적 국회의원 210명 중 재석의원 151명에 의해 선출된 부통령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1949년)|민주국민당]] 소속 [[김성수 (1891년)|김성수]]와 경합했는데, 1차 투표와 2차 투표에서 당선표수 미달, 3차 투표에서 73표를 얻어 낙선, 78표를 얻은 [[김성수 (1891년)|김성수]]가 부통령으로 선출됐다.
         [[한국 전쟁]] 중이던 [[1952년]] [[10월]] 이승만(李承晩)대통령으로부터 전시내각(戰時內閣)의 [[대한민국의 국무총리|국무총리]](國務總理)에 임명되기도 했다.<ref>[https://search.i815.or.kr/Indeman/Indeman.jsp?tid=ma&c1=%ED%9B%88%EA%B2%A9 ::: 독립기념관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 봇이 따온 제목 -->]</ref> [[11월]]에는 정식 [[국무총리]]로 국회에 인준하였으나 부결되었다.<ref>대통령비서실, 《한국정치 이대로는 안 된다》 (역사비평사, 2008) 74페이지</ref>
         [[1952년]] [[대한인 국민회]] 회장 겸 최고위원에 추대되었으며, [[자유당 (대한민국)|자유당]]과 흡수, 합병 형식으로 [[자유당 (대한민국)|자유당]]에 입당하였다.
         [[1953년]] 집권당이던 [[자유당 (대한민국)|자유당]]의 최고위원과 당 정무부장이 되었고, 정·부통령 선거에 [[부통령]] 후보로도 출마하였다. [[1953년]] [[3.1 운동]] 관련 단체인 민족대표 33인유족회의 회장이 되고, 국산부흥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족청계가 숙청된 뒤 [[이승만]]의 특별 부탁으로, 혼란에 휩싸인 자유당을 재건하기 위한 8인 재건위원회 위원의 한 사람이 되어 [[자유당 (대한민국)|자유당]] 정무부장(政務部長)으로 활동하였다. 그러나 [[이기붕]] 계열과 주도권을 두고 암투를 벌이던 중 [[이기붕]]계열에 의해 숙청되어 당의 실세에서 밀려나게 된다.
         [[1956년]] 정, 부통령 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하기 위해 [[자유당 (대한민국)|자유당]]을 일시 탈당하고 부통령 후보로 출마하였다. 이때 대통령 후보로는 [[이승만]]을 지지한다 하고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1960년]]의 정부통령 선거에도 부통령으로 입후보하였으나 군소부호로 낙선하였다.
         [[1960년]] [[4월]] [[이승만]]이 하야하자 야인으로 물러났다가, [[윤치영]], [[임영신]], [[임병직]] 등과 함께 우익 단체를 지도하였다. [[1961년]] [[5.16 군사 정변]]이 일어나자 혁명을 지지 하였고, [[1962년]] [[건국훈장|건국공로훈장 대통령장]]을 받았다.
         [[1963년]] [[1월]]부터 민정 이양 시기에는 [[김종필]], [[윤일선]], [[정구영]] 등이 주도한 [[민주공화당 (대한민국)|공화당]] 창당 작업에 발기위원으로 참여했다. [[1963년]] [[건국대학교]]에서 [[명예]][[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5년]] [[1월 15일]] 한일회담 고문에 위촉되었으나 사양하였고 그해 [[광복회]] 회장에 취임, 독립유공자들의 발굴과 복지증진을 위하여 노력하였고, 1965년 [[이준열사기념사업회]] 총재에도 선출되었다. 그 해, [[황신덕]] 등이 조직한 [[삼일동지회]](三一同志會)의 고문으로도 위촉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헌을 기려 [[1962년]] [[건국공로훈장]] 복장([[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수여하였다.
         * 대한민국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1기(1956년)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대한민국 제1대 국회의원 선거|제1대 총선]]||[[대구시의 국회의원|국회의원(경북 대구시 병)]]||1대||[[대한인국민회]]||-||-||-||낙선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제2대 총선]]||[[대구시의 국회의원|국회의원(경북 대구시 병)]]||2대||[[무소속]]||{{막대|무|2|3|1|4}} 23.14%||8,263표||1위||[[파일:국회의원당선.png|25px|대구시 국회의원 당선]]
         |[[대한민국 제2대 부통령 보궐선거|제2대 부통령 보궐선거]]||[[대한민국 부통령|부통령]]||2대||[[대한국민당 (1948년)|대한국민당]]||{{막대|자|4|8|7}} 48.7%||73표||2위||낙선
  • 임대윤 . . . . 63회 일치
         |경력 = [[민주당 (대한민국, 1991)|민주당]] 대구동구(갑)지구당 위원장<br/>[[민주당 (대한민국, 1991)|민주당]] 총재비서실 차장<br/>대구·경북지방자치연구소 이사<br/>제일리서치 이사장<br/>제22·23대 [[대구 동구청장|대구광역시 동구청장]]<br/>[[대한민국 대통령비서실|대통령비서실]] 사회조정 1비서관<br/>[[더불어민주당]] 대구광역시당 위원장<br/>[[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임대윤'''(林大潤, [[1957년]] [[7월 3일]] ~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민선 2·3기 대구 동구청장을 지냈고, 2017년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을 역임하였다. 2018년 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대구광역시장 후보로 선출되었으나 2위로 낙선하였다.<ref>김일우,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841508.html 민주당 대구시장 후보에 임대윤], 한겨레신문</ref>
         * 1990.01 ~ 1990.03 [[민주당 (대한민국, 1990)|민주당]] 창당기획실 실장
         * 1990.10 ~ 1992.03 [[민주당 (대한민국, 1990)|민주당]] 정책연구실 실장
         * 1992.03 ~ 1998.01 [[민주당 (대한민국, 1991)|민주당]] 대구광역시 동구 갑 지구당 위원장
         * 1995 [[통합민주당 (대한민국, 1995)|민주당]] 당기위원
         * 1996.04 [[통합민주당 (대한민국, 1995)|민주당]] 대구시지부 대변인
         * [[대한민국 대통령비서실|대통령비서실]] 사회조정1비서관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기록 시작|KR|개인}}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4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대구 동구의 국회의원|대구 동구 갑]] | 민주당1991 | 11,763 표| 12.78 | 3위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낙선]] | }}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5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대구 동구의 국회의원|대구 동구 갑]] | 민주당1995 | 5,977 표| 7.98 | 5위 |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낙선]] | }}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2회 지방 선거|지방 선거]] | 22대 | [[지방 관청|구청장]] | [[대구 동구청장|대구 동구]] | 한나라당 | 63,014 표| 56.32 | 1위 | 당선_대구 | [[대한민국 제2회 지방 선거|초선]], 민선 2기 }}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3회 지방 선거|지방 선거]] | 23대 | [[지방 관청|구청장]] | [[대구 동구청장|대구 동구]] | 한나라당 | 74,443 표| 71.82 | 1위 | 당선_대구 | [[대한민국 제3회 지방 선거|초선]], 민선 3기 }}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7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대구 동구의 국회의원|대구 동구 을]] | 무소속 | 17,209 표| 20.95 | 3위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광역시#동구 을|낙선]] | }}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9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대구 동구의 국회의원|대구 동구 갑]] | 민주통합당 | 14,142 표| 23.67 | 2위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광역시#동구 갑|낙선]] | }}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7회 지방 선거|지방 선거]] | 34대 | [[지방 관청|시장]] | [[대구광역시장|대구광역시]] | 더불어민주당 |458,112 표| 39.75 | 2위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구광역시|낙선]] | 민선 7기 }}
         {{선거기록 끝}}
         [[분류:195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울진 임씨]][[분류: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동문]][[분류:대구초등학교 (대구) 동문]][[분류:대륜고등학교 동문]][[분류:영남대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민주당 (대한민국, 1991년) 당원]][[분류:민주당 (대한민국, 1995년) 당원]][[분류:한나라당의 정치인]][[분류:민주당 (대한민국, 2011년) 당원]][[분류:더불어민주당의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이기택 . . . . 62회 일치
         ||<#6e7edd> '''의원 대수''' ||<#c5cae8>[[제7대 국회의원 선거|7]], [[제8대 국회의원 선거|8]], [[제9대 국회의원 선거|9]], [[제10대 국회의원 선거|10]], [[제12대 국회의원 선거|12]], [[제13대 국회|13]], [[제14대 국회의원 선거|14]] ||
         [[대한민국]]의 [[정치인]]. [[제7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때까지 제11대를 제외하고 내리 일곱 번 당선되었으며, 1993부터 1995년까지 제1야당의 수장이었다.
         [[개성고등학교|부산상업고등학교]], [[고려대학교]] 상과대학을 졸업하였다. 1960년 고려대 상과대학 학생위원장 시절 자유당의 부정선거에 항의하는 ‘4.18 고대 의거’를 주도하였다. [[4.19 혁명]]을 일으킨 여러 학생운동가들 가운데 가장 유명한 인물이었다. 그때 함께 학생시위를 주도한 인물로 부산상고 동기동창인 [[신상우]]가 있다.
         === 정계 입문 - [[대한민국 제3공화국|제3공화국]] 시대 ===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고려대 은사인 [[유진오]]의 추천으로 [[신민당(1967년)|신민당]] [[전국구]]로 당선되어 정치를 시작하였다. 이후 신민당 소속으로 [[부산광역시|부산직할시]] [[동래구]]에서 제8대(1971년), 제9대(1973년), 제10대(1978년)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박정희]]의 [[3선 개헌]]에 반대하며 ~~비장한 표정이 인상적인~~김영삼 전 대통령(가운데)과 함께 거리로 나섰다. 오른쪽은 [[김상현(1935)|김상현]] 당시 신민당 의원.
         === [[대한민국 제5공화국|제5공화국]] 시대 ===
         1980년 [[5.17 내란]]으로 신군부에 의해 정치활동이 규제되었다가 1984년 해금되면서 [[신한민주당]]에 입당하였다. 그러나 동래구 지역구에는 이미 민주한국당을 탈당하여 신한민주당에 입당한 자신의 비서 출신 [[박관용]]이 있었다. 이에 지역구를 [[해운대구]]-[[남구(부산)|남구]]로 옮기고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김영삼, [[김대중]]과 거리를 두고 1987년 5월의 [[통일민주당]] 창당에 바로 따라가지 않다가 [[제13대 대통령 선거]]가 임박해서 통일민주당에 입당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계보 중 [[평화민주당]]에 입당한 사람들이 꽤 있어서 계보가 사실상 해체되었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 부산 해운대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89년 [[서석재]]의 뒤를 이어 통일민주당 원내총무에 선출되었다. 당시 5공비리 특별조사위원회가 설치되었을 때 위원장을 맡아 원만한 청문회 진행으로 국민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겼다.[* [[노무현]]이 5공비리 청문회로 스타덤에 올랐을 때 조연으로 활약(?)하였다.]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부산 해운대구로 출마할까 말까 오랜시간 고민하다가 못 이기는 척(?) 전국구 상위순번을 배정받아 당선되었다. 반면에 [[노무현]]과 [[김정길(1945)|김정길]]은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과감하게 부산에 출마해서 [[지역감정]]의 역풍 속에서도 처절하게 싸우다가 장렬하게 패배하면서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때부터 부산에서 노무현은 4번, 김정길은 총 7번을 떨어졌으나, 김정길은 장관이 되었고 노무현은 결국 대통령이 되었다.] "초재선의원들이 지역구에서 지역감정과 맞서면서 죽을둥 살둥 싸우는데, 정작 격전지에 출마해서 바람을 불러일으켜야 할 당대표는 유유자적 전국구 상위 순번으로 편하게 금뱃지를 달았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즉 지역구 당선가능성을 보고 간을 보다가 지역감정으로 안 될 거 같으니 전국구로 도망간 거 아니냐는 비아냥이다. 실제 당대표이자 영남권에서 가장 정치경력도 길고 지명도가 높은 이기택이 지역구 출마를 주저하면서 민주당의 영남권 선거전략이 제대로 꼬인 건 사실이다. 결국 노무현, 김정길과 몇몇 정치지망생들이 각개전투에 나서는 모양새가 되면서 모조리 낙선하였다. ~~뭘하던 당시 부산에서 김영삼을 넘기는 힘들었겠지만...~~]
         [[제14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대중이 대통령 후보로 출마하자, 김대중을 도와 목이 쉴 정도로 열심히 전국 유세를 하고 다녔다. 김대중이 패배하고 정계은퇴를 선언한 자리에서는 김대중 뒤에 서서 눈물을 흘렸으며, 그 후 김대중의 뒤를 이어 민주당 대표가 되었다. --드디어 야권의 제[[1인자]]로 부상한 셈--
         민주당 대표가 된 후 [[국가보안법]] 폐지, 6공 비리 청산,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대한민국-미국-북한의 3자 회담 등을 주장하며, 90여 명의 민주당 의원들을 장악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정치력의 부족으로 당시 대통령인 김영삼에게 일방적으로 밀리는 모습만 보였으며, 당내에서는 [[권노갑]] 등 [[동교동계]]와 대립을 거듭하는 등 정국을 전혀 주도하지 못했다. 특히 1994년 한반도에 전쟁위기가 몰아닥치자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대한민국-미국-북한의 3자 회담을 주장했으나 북한 쪽에서 무시하면서, 체면만 구기고 말았다.[* 이때 김대중은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의 대북특사 파견을 주장했는데, 이게 실제로 성사되면서 주가를 높혔다.] 그 후 1995년 6월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동교동계와 충돌을 감수하면서까지 공천한 [[장경우]] 경기도지사 후보가 민자당 [[이인제]] 후보에게 패배하면서 당내 리더십을 완전히 상실하고 말았다.[* 동교동계는-- 사실상 김대중 --이종찬 전 의원을 주장했고, 이 공천과정에서 동교동계와 이기택 양자간에 감정적인 골이 생겼다. 게다가 김대중이 전격적으로 지원유세에 나서자, 모든 언론과 유권자들은 김대중만 주시했고 이기택은 순식간에 존재감을 상실했다. 거기에 김대중은 다른 후보는 전부 지원유세를 다니면서도 장경우 후보 유세장에는 한번도 나타나지 않았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당 고문으로서 [[해운대구]]-[[기장군]] 갑 지역구에 출마했다가 [[신한국당]] [[김운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그가 이끌던 통합민주당은 수도권에서 중도층의 지지를 일부 흡수하긴 했지만[[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25082|#]], 기존의 30석에서 15석(지역구 9석 + 전국구 6석)으로 의석이 반토막나면서 원내교섭단체 구성에 실패하였고, 같은 야권의 경쟁상대인 새정치국민회의에 비해 너무나도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서울특별시 지역에서는 양천구의 서경석 목사를 비롯한 쟁쟁한 후보들을 내보냈음에도 불구하고 강동구 갑의 [[이부영]]을 제외한 모든 인물들이 낙선을 면치 못했고, 거의 전지역 3위의 성적을 거두었다. 그리고 기대했던 부산광역시에서는 전원 낙선이었다. 그나마 경기도와 강원도에서 몇 개의 의석을 건지긴 했으나, 김영삼의 [[신한국당]]이 과반수 확보를 위해 황규선(이천시), [[이규택]](여주군), [[최욱철]](강릉시 갑) 등의 당선자 빼가기에 나서면서 폭망 확정.] 물론 김대중의 국민회의도 이때 상당히 부진했으나, 무엇보다 [[김종필]]의 [[자민련]]이 50석으로 크게 약진한 것과 크게 비교되었다.
         1997년에는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포항)|북구]] [[재보궐선거]]에서 죽어가는 당의 명운과 함께 자신의 마지막 정치적 생명을 걸고 출마하였다. 그러나 [[무소속]]으로 출마한 [[박태준]]에 밀려 낙선. 사실 태어나기는 포항에서 태어났지만 대부분의 정치적 기반을 부산에서 잡은 이상 당선되기는 어려웠다고 봐야 할 것이다.[* 게다가 상대가 포항의 경제를 쥐고 있는 [[포항제철]]의 창립자이니 이건 처음부터 안되는 싸움이었다.]
         이후 많은 사람들이 그에게 정계은퇴를 권유하였으나, 놀랍게도 통합민주당을 [[신한국당]]과 합당시키는 결단을 내렸다. 김영삼의 밑에 있다가, 김대중과 손을 잡았는데, 그 뒤에는 이회창의 밑으로 들어간 것이다.[* 이때 조순, 이철과 제정구는 이기택과 함께 한나라당으로 갔다. 그러나 노무현, 김정길, 김원기는 이기택과 절연하고 김대중의 새정치국민회의로 합류하였다.] 이기택으로서는 DJ, YS, JP 3김을 중심으로한 정치에 염증이 느끼고 있었고, [[1996년]] 김대중의 정계 복귀 뒤에 김대중과 갈등이 크게 겪게 되었고 그 과정 속에서 통합민주당이 와해당하다시피 했기 때문에, 3김 정치 청산을 내세운 이회창과 손을 잡은 것은 당연한 수순이었다. 그렇게 해서 [[한나라당]]을 창당했으나, 결국 1997년 12월 김대중이 대통령에 당선되는 모습을 지켜봐야 했다. ~~여당해보나 했더니 또 야당됐네~~
         2000년에는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이회창]] 총재의 독선에 반발하여 [[김윤환]], [[이수성(정치인)|이수성]], [[신상우]], [[조순(1928)|조순]] 등과 함께 탈당하여 [[민주국민당(2000년)|민주국민당]]을 창당하고 부산광역시 [[연제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권태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기택뿐만 아니라 김윤환, 신상우, 조순, [[김상현(1935)|김상현]], [[김동주(정치인)|김동주]] 등이 모두 낙선하였으며, 지역구에서 홀로 당선된 [[한승수]]를 제외한 거의 모든 민국당 인사들이 결국 낙선의 충격을 이겨내지 못하고 정계 은퇴를 하게 되었다. --그중 가장 [[안습]]인 인물이 재야에 있다가 뜬금없이 김윤환 등과 손을 잡은 장기표. 어쨌든 이때 이기택은 [[망했어요]].-- ~~아무 실익도 없이 통합민주당만 갖다바친 꼴~~ ~~통합민주당을 그냥 지키고만 있었어도 이런 꼴은 보지 않았을 것을~~
         이후 신상우와 함께 [[새천년민주당]]에 입당하여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노무현]] 후보를 지지하였다.
         그러나 다시 노무현과 거리를 두고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 [[고려대]] 상대 후배이고, 고향(포항) 후배이기도 하다]를 지지하였다. 이후 그에 대한 보답으로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이 되었다. 그러나 정작 이기택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33&aid=0000016237|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폐지론자]]였다는 점에서 이 행적은 비판받았다.
         그러나 나이에 비해 직위가 너무 빨리 올라간 탓인지 바닥 민심을 훑는 감각이나 정치적 타이밍을 포착하는 동물적 감각 등이 너무 일찍 사그러들었다는 말을 들었다. 야당 대표 시절에는 국회의원 선거와 지방선거 공천을 하면서 명분이나 당선가능성보다는 계보나 인맥 위주의 공천을 하여 생각보다 작은 그릇을 보여주었다.
  • 이만섭 . . . . 60회 일치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서울)|신촌동]] [[세브란스병원]]<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2/14/0200000000AKR20151214171000001.HTML?input=1195m '한국정치 산 증인' 이만섭 전 국회의장 별세...향년 83세]</ref>
         '''이만섭'''(李萬燮, [[1932년]] [[2월 25일]] ~ [[2015년]] [[12월 14일]])은 [[대한민국]]의 [[언론인]] 출신 [[정치가]]이다. 호(號)는 청강(靑江)이다.
         그 해 11월에는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소속으로 제6대 국회의원에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하였고,<ref name="경향_6311">共和黨,過半數線넘어, 《경향신문》, 1963.11.27</ref> 그 후 제7·10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ref name="동아_67">當選確定者, 《동아일보》, 1967.6.9</ref><ref name="경향_78">10代總選당선154人의얼굴들, 《경향신문》, 1978.12.13</ref> [[1968년]]에 개최된 국제의원연맹 제5차 총회에 한국 대표로 참석하였다. 국회에 사사건건 간섭하던 [[대한민국 중앙정보부|중앙정보부]]장 [[김형욱]]과 갈등을 겪었고 [[대한민국 제4공화국|제4공화국]] 후반 [[대한민국 중앙정보부|중앙정보부]]장으로 권력을 휘두른 [[이후락]]과 [[김형욱]]을 연이어 탄핵하였고 [[박정희]]가 그의 의견을 수용하여 이들을 낙마시키기도 했다. [[1979년]] 제10대 총선에서 [[대구 중구의 국회의원|대구시 중구]]·[[대구 서구의 국회의원|서구]]·[[대구 북구의 국회의원|북구]]에서 당선되었고 그해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의 당무위원이 되었다.
         [[1980년]]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이 [[신군부]]에 의해 강제로 해산당하자 과거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출신과 [[유신정우회]] 출신 인사들을 주축으로 한 [[한국국민당 (1981년)|한국국민당]]의 창당에 참여하였다. 제11·12대 국회의원에 연속으로 당선되었고 [[1985년]]에 [[한국국민당 (1981년)|한국국민당]]의 총재를 지냈다.
         하지만 [[한국국민당 (1981년)|한국국민당]]은 [[1987년]] [[10월]]부터 소속 의원들이 대거 탈당하여 [[신민주공화당]]에 입당하며 점차 와해되기 시작했고 다음 해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제13대 총선]]에서 본인을 비롯하여 모두 낙마하였다. 이후 [[3당합당]]으로 탄생한 [[민주자유당]]에 합류하였고 이후 제14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국회의장을 지내기도 하였으며, 그 후 [[민주자유당|민자당]]의 상임고문을 거쳐 [[신한국당]]의 제15대 국회의원으로 다시 당선되었다.
         [[신한국당]]의 총재서리로 임명되었고, [[1997년]]에 [[이인제]]를 지지하면서 [[신한국당]]을 탈당하고 [[국민신당 (대한민국)|국민신당]]의 총재가 되었으며, [[김대중]]의 [[새정치국민회의]]와 합당을 추진하고 [[새정치국민회의]] 총재권한대행을 지내기도 했다.
         그 뒤 [[새천년민주당]] 창당준비위원장을 지냈고, 창당 후 [[새천년민주당]] 소속으로 제16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다시 국회의장을 지냈다. 이 시기부터 국회법이 개정되어 국회의장은 당적을 가질 수 없게 되었으며 이만섭은 최초로 무당적 국회의장이 되었고 이는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04년]]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제17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고 정계를 은퇴하였다.
         8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이 중 4번은 [[비례대표제|전국구]]로 당선되었고, 3번은 2명의 국회의원을 선출하는 중대선거구 제도로 당선되었으며, 3번의 중대선거구 당선 중 2번은 2위로 당선되었다. 즉 8번의 국회의원 당선 중 대부분은 유권자의 직접적인 정치적 의사를 반영하지 않은 결과로, 전국구 및 중대선거구의 문제점을 지적할 때 이만섭의 사례가 인용되기도 하였다.<ref name="신동아_01_9">[http://www.donga.com/docs/magazine/new_donga/200109/politic04.html 비사·全國區 39년], 《신동아》, 2001.9.</ref>
         * [[2011년]] 제3회 대한민국 법률대상 입법부문 수상
         * [[대한민국]] [[국민훈장|국민훈장 무궁화장]]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제6대 총선]]||[[틀:제6대 비례대표 민주공화당|국회의원(전국구)]]||6대||[[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막대|갈|3|3|5}} 33.5%||3,112,985표||전국구 17번||[[파일:국회의원당선.png|25px|전국구 국회의원 당선]]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제7대 총선]]||[[대구 중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경북 대구시 중구)]]||7대||[[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막대|갈|5|0|6|2}} 50.62%||24,562표||1위||[[파일:국회의원당선.png|25px|대구 중구 국회의원 당선]]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제8대 총선]]||[[대구 중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경북 대구시 중구)]]||8대||[[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막대|갈|4|1|5|2}} 41.52%||20,265표||2위||낙선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제10대 총선]]||[[대구 중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경북 대구시 중구]]·[[대구 서구의 국회의원|서구]]·[[대구 북구의 국회의원|북구)]]||10대||[[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막대|갈|2|4|8|3}} 24.83%||38,826표||2위||[[파일:국회의원당선.png|25px|대구 중구 국회의원 당선]]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제11대 총선]]||[[대구 중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경북 대구시 중구]]·[[대구 서구의 국회의원|서구)]]||11대||[[한국국민당 (1981년)|한국국민당]]||{{막대|자민|3|0|9|9}} 30.99%||74,176표||1위||[[파일:국회의원당선.png|25px|대구 중구 국회의원 당선]]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제12대 총선]]||[[대구 중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중구]]·[[대구 서구의 국회의원|서구)]]||12대||[[한국국민당 (1981년)|한국국민당]]||{{막대|자민|2|3|4|2}} 23.42%||78,305표||2위||[[파일:국회의원당선.png|25px|대구 중구 국회의원 당선]]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제13대 총선]]||[[대구 달서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달서구)]]||13대||[[한국국민당 (1981년)|한국국민당]]||{{막대|자민|3|3|0|4}} 33.04%||44,742표||2위||낙선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제14대 총선]]||[[틀:제14대 비례대표 민주자유당|국회의원(전국구)]]||14대||[[민주자유당]]||{{막대|청|3|8|5}} 38.5%||7,923,718표||전국구 6번||[[파일:국회의원당선.png|25px|전국구 국회의원 당선]]
  • 김관용 . . . . 55회 일치
         |국가 = 대한민국
         |대통령 =
         |국적 = 대한민국
         '''김관용'''(金寬容, [[1942년]] [[11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민선 4·5·6기 제29·30·31대 [[경상북도지사]]이다.
         * 1991년 3월: 대통령 민정비서실 행정관
         [[대한민국 제6회 지방 선거|제6회 지방 선거]]를 앞두고 [[새누리당]] 경상북도지사 예비후보였던 [[박승호 (1957년)|박승호]]는 2014년 3월 3일에 김관용의 석사 학위 논문과 또 다른 표절 대상 논문을 입수해 대조한 결과 본지가 보도한 29~48페이지까지 20페이지에 달하는 내용을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연구보고서 원문 그대로 실은 것뿐만 아니라 4페이지에서 25페이지도 표절했다고 밝혔다. 박 예비후보는 또 "김관용 예비후보의 같은 논문 48~58페이지에서도 1999년 10월 경기개발연구원 [[이기영 (학자)|이기영]], [[김응례]] 연구원의 '외국인 직접투자에 대한 지방정부([[경기도]])의 인센티브 연구'라는 연구보고서 38~49페이지를 그대로 옮겼다."고 덧붙였다. [[박승호 (1957년)|박승호]]는 "김관용 예비후보의 논문은 표절을 넘어 복제 수준이며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즉시 후보직을 사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f>[http://www.weekly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18036 박승호 "김관용, 논문 표절 또 있다"]《위클리오늘》</ref>
         이어 [[박승호 (1957년)|박승호]], [[권오을]] 예비후보는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관용의 장남에 대한 병역비리 의혹을 제기했다. 이들은 "장남의 병역비리가 드러난 김관용 지사는 사퇴해야 한다."며 "김관용 지사의 부인이 1997년 10월 무렵 J병원 행정부장과 내과의사에게 2500만원을 주고 허위진단서를 발급받아 장남의 병역을 면제시켰다."고 주장했다. 이어 "병원 행정부장은 배임수재 혐의로 징역 8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고 내과의사도 같은 혐의로 징역 10월에 집행유예 2년, 추징금 1250만원을 선고받았다."면서 "돈을 건넨 김관용 지사의 부인은 배임증재 혐의에 대한 공소시효 3년이 지나는 바람에 처벌받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 논란은 지난 2002년에 김관용이 [[구미시장]] 후보로 출마했을 때부터 시작되어 선거 때마다 이어지고 있다. 김관용 측은 이 의혹에 대해 "만약 병역법을 위반했다면 검찰과 병무청이 재검심청과 관련한 법집행을 했어야 하는데 그런 것이 없었다."고 주장했다. 또 "국립대병원인 [[경북대학교병원]]에서도 일반병원에서 진단받은 병명과 같은 아토피성 천식 판정을 받았고 검찰이 지정해 준 [[세브란스병원]]에서도 동일한 진단을 받았다."고 덧붙였다.<ref>[http://www.weekly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17543 與 공천위 "김관용 지사 아들 병역비리의혹 논의할 것"]《위클리오늘》</ref>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기록 시작|KR|개인}}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1회 지방 선거|지방 선거]] | 15대 | [[구미시장|시장]] | [[구미시|경북 구미시]] | 민주자유당 | 46,130 표 | 45.10 | 1위 | 당선_경북 | [[대한민국 제1회 지방 선거|초선]], 민선 1기 }}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2회 지방 선거|지방 선거]] | 16대 | [[구미시장|시장]] | [[구미시|경북 구미시]] | 한나라당 | 77,899 표 | 72.32 | 1위 | 당선_경북 | [[대한민국 제2회 지방 선거|재선]], 민선 2기 }}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3회 지방 선거|지방 선거]] | 17대 | [[구미시장|시장]] | [[구미시|경북 구미시]] | 한나라당 | 66,059 표 | 66.37 | 1위 | 당선_경북 | [[대한민국 제3회 지방 선거|3선]], 민선 3기 }}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4회 지방 선거|지방 선거]] | 29대 | [[지방 관청|지사]] | [[경상북도지사|경상북도]] | 한나라당 | 961,363 표 | 76.80 | 1위 | 당선_경북 | [[대한민국 제4회 지방 선거|초선]], 민선 4기}}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5회 지방 선거|지방 선거]] | 30대 | [[지방 관청|지사]] | [[경상북도지사|경상북도]] | 한나라당 | 913,812 표 | 75.36 | 1위 | 당선_경북 | [[대한민국 제5회 지방 선거 경상북도#광역자치단체장|재선]], 민선 5기}}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6회 지방 선거|지방 선거]] | 31대 | [[지방 관청|지사]] | [[경상북도지사|경상북도]] | 새누리당 | 986,989 표 | 77.73 | 1위 | 당선_경북 | [[대한민국 제6회 지방 선거 경상북도#광역자치단체장|3선]], 민선 6기 }}
         {{선거기록 끝}}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분류:1942년 태어남]][[분류:선산 김씨]][[분류:구미시 출신]][[분류:영남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교사]][[분류:대한민국의 공무원]][[분류:자유한국당 당원]][[분류:친박]][[분류: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후보]]
  • 이희근 (1929년) . . . . 53회 일치
          | 복무 = {{공군|대한민국}}
          | 최종 계급 = {{대한민국 국군 계급장|계급=대장|공군}}
          | 지휘 = 공군참모차장 <br/> [[대한민국의 공군참모총장|공군참모총장]]
          | 근무 = [[대한민국 공군본부|공군본부]]
          | 서훈 내역 = 대한민국 공비토벌기장 <br/> 대한민국 6.25종군기장 <br/> 대한민국 대통령수장 <br/> 대한민국 무성을지무공훈장 <br/> UN종군기장 <br > 대한민국 5등 근무공로훈장 <br/> 대한민국 3등 보국훈장 <br/> 베트남 2등 공군근무훈장 <br/> 대한민국 대통령 공로표창장 <br > 대한민국 보국훈장 국선장 <br/> 스페인 공군 대백십자훈장 <br/> 대한민국 충무무공훈장 <br/> 대한민국 보국훈장 통일장
          | 기타 이력 = [[대한민국 국방부]] 촉탁위원 <br/> 한국산업기지개발공사 사장 <br/> [[신민주공화당]] 국방외교안보행정특임보위원 <br/> [[자유민주연합]] 국방외교안보행정특임고문
         '''이희근'''(李喜根, [[1929년]] [[12월 13일]] ~ )은 대한민국의 공군 장성을 지낸 국영기업가 겸 정치가이다.
         * [[대한민국 공군사관학교]] 1기
         * [[대한민국 육군 보병학교|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졸업
         * [[대한민국 육군 포병학교|대한민국 육군포병학교]] 졸업
         * [[대한민국 공군 방공포병학교|대한민국 공군방공포병학교]] 졸업
         * [[대한민국 공군대학|대한민국 공군대학교]] 졸업
         * [[국방대학교|대한민국 국방대학원]] [[행정학]] [[석사]]
         * 1952년 공군 제10전투비행전단 제101전투비행대대 F-51전투편대 예하 전투기소대장(당시 [[대한민국 공군|공군]] [[중위]] 계급 신분).
         * 1953년 공군 제1전투훈련비행전단 제1훈련비행대대 예하 편대장 보임과 동시에 [[대한민국 공군|공군]] [[대위]] 진급.
         * 1955년 공군 제1전투훈련비행전단 제1훈련비행대대 예하 편대장 재직시에 [[대한민국 공군|공군]] [[소령]] 진급(1955년 6월).
         * 1956년 공군 제10전투비행전단 제104훈련비행대대장 보임과 동시에 [[대한민국 공군|공군]] [[중령]] 진급(1956년 11월).
         * 1962년 공군본부 작전참모부 검열과 과장 재직시에 [[대한민국 공군|공군]] [[대령]] 진급(1962년 3월).
         * 1962년 공군 제1초급훈련비행전대장 보임 3개월만에 [[대한민국 공군|공군]] [[1성 장군|준장]] 진급(1962년 7월).
         * 1970년 공군본부 감찰감 보임 2개월 후 공군본부 군수참모부 부장 보임과 동시에 [[대한민국 공군|공군]] [[2성 장군|소장]] 진급(1970년 7월).
  • 이철우(1955) . . . . 51회 일치
         [[분류:대한민국 국회의원]][[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1955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자치단체장]]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70000B><-5><bgcolor=#FFFFFF><:>[[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상징.png|width=30px]]]] {{{#70000B '''[[대한민국|{{{#70000B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70000B 국회의원}}}]] ([[경상북도|{{{#70000B 경북}}}]] [[김천시(선거구)|{{{#70000B 김천시}}}]])'''}}}||
         ||<height=40><bgcolor=#C9151E> {{{#FFFFFF ''' 국적 ''' }}} ||<(><bgcolor=#FCFEFE> [[대한민국]]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28]]]] ||
         ||<height=40><bgcolor=#C9151E> {{{#FFFFFF ''' 직업 ''' }}} ||<(><bgcolor=#FCFEFE> [[공무원|교육공무원]] {{{-1 (''미상'')}}}[br][[공무원|정보공무원]] {{{-1 ([[1985년]] ~ ''미상'')}}}[br][[대한민국 국회의원]] {{{-1 ([[2008년]] ~ [[2018년]])}}}[br][[경상북도지사]] {{{-1 ([[2018년]] ~)}}} ||
         ||<height=40><bgcolor=#C9151E> {{{#FFFFFF ''' 국회[br]경력 ''' }}} ||<(> '''3선''' ([[제18대 국회의원|18대]], [[제19대 국회의원|19대]], [[제20대 국회의원|20대]][* 경북지사 출마로 의원직 사퇴]) ||
         [[대한민국]]의 [[정치인]]. 민선 7기 제32대 [[경상북도지사]].
         [[자유한국당]] 소속이며 [[김천시(선거구)|김천시]] 지역구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현재는 민선 7기 제32대 [[경상북도지사]]를 지내고 있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북도 김천시 선거구에 [[한나라당]]의 공천을 받아 출마하여 당선됐다. [[친이]]와 [[친박]]계의 대립이 심했던 제18대 국회에서 계파모임에 가담하지 않아 중립 성향으로 분류되는 편이었다. 국가정보원 출신으로 초선에 정보위원회 간사를 맡았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소속으로 활동했고 한나라당 재해대책위원장과 국민공감위원장을 역임했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전국 최고득표율인 83.5%로 당선됐다. 국회직으로 정보위원회 간사를 맡았고 [[테러방지법]]을 대표발의 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와 안전행정위원회 소속으로 활동했고 새누리당 원내대변인, 원내수석부대표, 경상북도당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국회지방살리기포럼]]을 창립해 지방살리기 전도사로 나섰다. 전라남도와 경상북도 국회의원의 모임인 동서화합포럼 창립을 주도하고 [[박정희]], [[김대중]] 대통령 생가를 함께 방문해 동서화합 및 국민대통합 행보로 언론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화령중학교 교사 때의 제자이던 [[임이자]]도 해당 선거에서 새누리당 [[비례대표제|비례대표]]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2016년]] 6월 13일 [[대한민국 국회]] [[정보위원회]] 위원장에 선출되었다. 국회 헌법개정특별위원회 간사이자 자유한국당 헌법개정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2017년 4월 1일 [[자유한국당]] [[사무총장]]에 임명됐고, 제19대 대통령선거 자유한국당 선거대책위원회 총괄선대본부장을 맡았다. 그러나 대선 이튿날인 5월 10일 사무총장 직을 스스로 사퇴했다. 대선 패배의 책임을 지고 자진 사퇴한 유일한 당직자였다. 이후 2017년 7월 3일 전당대회에 출마하여 최다득표로 자유한국당 최고위원에 당선됐다.
         2017년 12월 17일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경상북도지사]] 출마를 선언함과 동시에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 사퇴 의사를 밝혔다.
         2018년 1월 31일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북도지사]] 경선 전에 의원직을 사퇴하겠다는 계획을 돌연 철회했는데, 당에서 국회의원직 사퇴를 강력히 만류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국회의원 사퇴로 인해 다른 광역단체장 출마를 희망하는 국회의원들의 줄사퇴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고, 경북지사 선거 경쟁 후보자들이 국회의원 사퇴에 대해서 반발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그래서 2020년 [[21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고, 자유한국당 김천당협위원장을 사퇴했다. 사실상 배수진을 친 셈이다. 4월 9일 경선에서 32%로 1위를 했다. 자유한국당의 경선은 결선투표를 도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바로 경북도지사 후보로 확정됐다. 당원 투표에서는 김광림 후보에 밀렸지만 여론조사에서 우위를 점하면서 1위가 됐다.
         [[2018년]] [[5월 24일]]에는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북도지사 후보로 등록하였으며 이후 경상북도지사로 당선되었다.
         2018년 8월 15일 첫 시행된 리얼미터 시도지사 직무수행 지지도에서 8위를 기록하였다. 하지만 지방선거 득표율 대비 직무수행 지지도 증감을 나타내는 주민지지 확대지수는 3위를 차지했다. [[http://www.idaegu.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6586|17개 시도지사 직무수행 지지도...권영진 시장 6위·이철우 지사 8위]]
         2018년 8월 29일, 뜬금 없이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 찾아 왔다. 회의가 열린 구미의 경제에서 초당적 협력에 관해서 언급하였다. --지역예산 배정문제를 언급한 것을 보아, 자유한국당 소속이지만 지역 국회의원이 못 미더웠나보다.-- ~~이점은 당연해 보인다 현재 정부 예산 편성안을 쥐고 있는 대통령이 어느 당인지 생각하면~~
         [[2014년]] [[4월 30일]]에는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서 당시 대통령이였던 박근혜 대통령이 안전을 많이 강조했는데도 불구하고 아직 공무원들한테 다 전달이 안 됐고, 또, [[미개|국민 의식이 그만큼 못 미쳐서 이렇게 된 것 같다]]고 발언을 하여 논란이 되었다.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40430500160&wlog_sub=svt_006|링크]]
         [[2017년]] [[6월 20일]] 제주도에서 열린 자유한국당 전당대회 타운홀미팅에서 문재인이 나라를 망치고 있다며 "얼마 못 갈 것"이라는 발언[* 당 최고위원에 당선되기 위해 지지층 결집용으로 격한 말을 던진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으로 파문이 일었다. 내년 지선과 총선에서 당이 승리를 결의한 것과 달리, 문재인의 현재 하는 행동이 박근혜처럼 탄핵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면서 비난을 한 것. 이에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측에서는 야당의 막말이 점점 도를 지나치고 있다며 정부 흔들기를 그만하라고 비판했다. [[http://m.news.naver.com/rankingRead.nhn?oid=001&aid=0009348444&sid1=100&date=20170620&ntype=RANKING|연합뉴스]] 본인은 이 사태를 단순히 문재인이 경각심을 가지기 위한 것으로 해명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81&aid=0002830754|한국당 이철우 '문 대통령 탄핵 암시 발언' 논란에 "경각심 차원의 말"]]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김윤환 . . . . 49회 일치
         || '''약력''' || [[조선일보]] 기자[br][[영남일보]] 기자[br][[대구일보]] 기자[br][[문화공보부]] [[차관]][br]제13대 [[대통령비서실장]][br]제1정무장관[* 1988년, 1990년, 1994~1995년 무려 3번이나 제1정무장관직을 역임하였다.][br][[민주정의당]] 원내총무[br][[민주자유당]] 대표 ||
         대한민국의 전 언론인, 정치인이다. 호는 허주(虛舟).
         [[경북고등학교]]와 [[경북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지역 언론사인 [[영남일보]]와 [[대구일보]]를 거쳐 [[조선일보]]에 입사해 일본특파원 및 편집국장 대리를 거쳤다. 이 시절에 오랫동안 주일 특파원으로 있으면서 [[일본]]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의 금권 정치, 계파-계보 정치, 막후 정치를 보고 배운다. 중간에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성주군]]-[[칠곡군]]-[[구미시|선산군]]-[[군위군]] 선거구에 출마([[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 [[신현확]] 후보와 [[신민당(1967년)|신민당]] [[김창환(정치인)|김창환]] 후보에 밀려 낙선)하는 등 정치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기사는 거의 쓰지 않았다고 한다. 결국 1978년 [[유신정우회]]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진출하였다.
         [[전두환]] 정권 후반기인 1985년 2월 [[노신영]] 국무총리 내각이 출범할 때 문화공보부(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으로 입각하였다. 문화공보부 차관으로 있던 1986년 여름, [[미국]]에서 열린 국제 공보관 회의에 참석하려 갔다가 외신 기자들로부터 "[[대한민국]]의 차기 대통령은 누가 유력하냐"라는 말에 사견임을 전제로 "[[노태우]] 민주정의당 대표가 유력하다"는 발언을 한 게 문제가 되어 귀국길에 [[국가안전기획부]]에 소환되어 조사를 받았는데[* 말 그대로 조사만 받았다. 고문을 했다거나 강압적인 수사를 한 게 아니라, 왜 그런 발언을 하게 된 것인지에 대해서만 집중적으로 질문했다고. 김윤환 본인은 기자들이 하도 귀찮게 물어서 그냥 대충 둘러댄 거라는 식의 답을 했고 당시 특별히 수상한 뒷일 같은 것도 없었던지라 금방 풀려났다.] 1년 뒤의 일을 예언한 셈이니 훗날 붙게 될 '킹메이커'라는 별명이 진짜인 셈.
         1986년 8월 개각 때 [[허문도]]의 뒤를 이어 [[대통령비서실]] 정무제1수석비서관에 임명되었다. 1987년 7월 [[김정렬(1917)|김정렬]] 내각이 출범하자 [[박영수(정치인)|박영수]]의 뒤를 이어 전두환 정권의 마지막 [[대통령비서실|대통령비서실장]]에 임명되었다.
         대통령 비서실장에서 퇴임한 뒤 민주정의당으로 복귀했고,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고향인 경상북도 [[구미시|선산군]]-[[군위군]] 지역구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여소야대의 13대 국회가 개원한 뒤 민주정의당 원내총무에 임명되었고, 평화민주당 원내총무 [[김원기(1937)|김원기]], [[통일민주당]] 원내총무 [[최형우(정치인)|최형우]], [[신민주공화당]] 원내총무 [[김용채]]와 함께 4당 체제를 이끌어가는 원내 사령탑으로 화려한 활약을 펼쳤다. [[3당 합당]] 이후에도 [[민주자유당]] 원내총무, 사무총장, 정무제1장관을 맡으며 정계의 중심에서 활약했고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같은 지역구에서 4선에 성공했다.
         [[제14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김윤환은 당대의 '''[[킹 메이커]]'''(King Maker)로서 정치적 영향력이 절정에 올랐다. [[김영삼]]에게 거부감을 갖고 있던 舊민정당(군사독재정권) 출신 민정계 인사들을 설득해서 강력한 [[김영삼]]의 지지세력, 일명 신민주계를 규합하여 결국 김영삼 대통령 만들기에 성공한다. 당시 김윤환은 민정계 인물들에게 '국민들이 군부 출신 민정당 인물들에게 강한 거부감을 갖고 있으니 일단 [[김영삼]]을 세워서 정권을 이어가고, 그 다음에 우리(TK+민정계)가 주도하는 보수 정권을 창출하면 된다.'는 시나리오를 제시했다고 한다. 이렇게 김윤환은 [[전두환]] 밑에서는 친구인 [[노태우]]를 후계자로 옹립해 대선에서 승리했고, [[노태우]] 밑에선 [[김영삼]]을 후계자로 지원해서 역시 대선에서 승리했다.
         그러나 김영삼의 대통령 당선 이후 김윤환은 정치권에 몰아친 사정의 태풍을 피해 해외에서 체류하다시피 했다. TK민정계의 동료였던 [[박준규(1925)|박준규]]와 [[박철언]] 등이 대거 정계에서 축출당하는 상황에서 김윤환은 대통령을 만들어낸 2인자임에도 오히려 몸을 사려야 했다. 그런 와중에 1995년 2월 [[김종필]]이 민자당을 떠나고 6월 지방선거에서 민자당이 참패하자 김영삼은 김윤환을 통해 당과 범여권을 안정시킬 필요를 느낀다. 이에 김윤환은 다시 민자당 사무총장으로 복귀했고 얼마 뒤에는 민자당 대표위원에 취임하여 명실상부하게 여당의 2인자가 되었다. 민자당이 신한국당으로 당명을 개정한 뒤에도 김윤환은 대표위원으로 유임되었고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승리로 이끌었다. 당시 신한국당의 국회의원 당선자 139명 중 그의 계보로 꼽힌 당선자는 무려 26명으로 전체의 5분의 1에 육박했다.
         이렇게 막강한 세력을 구축한 김윤환은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대통령 후보 경선에 출마했으나, 이내 자신이 후보가 될 가능성이 없음을 깨닫고 [[이회창]]을 차기 대통령으로 밀면서 다시 '킹 메이커'로서의 위세를 떨쳤다. 당내 민정계와 영남세력을 대거 규합해 이회창을 대선 후보로 옹립한 김윤환은 3회 연속으로 대통령을 좌지우지하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울 뻔했지만, 정작 이회창은 아들들의 병역 문제와 [[이인제]]의 이탈을 막지 못하면서 대선에서 [[김대중]]에게 패했다. 여당에서 야당으로 전락한 이때부터 김윤환의 정치적 생명은 서서히 쇠퇴하기 시작했고,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는 자신이 밀었던 이회창 총재에게조차 구시대 정치인으로 몰리면서 [[토사구팽|팽]]당해 공천을 못받고 한나라당에서 쫓겨난다.[* 이 당시 이회창의 참모가 [[윤여준]]이었는데, 그간 총선의 화두는 공천이었음을 상기시키며, 김윤환을 위시한 민정계, 구시대 인물들을 쳐내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했고, 이회창은 계속 망설이다가 결국 윤여준의 주장을 받아들인다. 윤여준의 전략대로 중진급 현역 의원과 정계 거물 수십여명을 날리고 정치 신인들을 대거 전면에 내세운 개혁 공천은 새 바람을 불러일으키면서, 예상을 뒤엎고 한나라당의 총선 승리를 이끌어냈다.] 이후 [[조순(1928)|조순]], [[이수성(정치인)|이수성]], [[박찬종]], [[이기택]] 등 3김 정치 + 이회창에게서 팽당한 정계의 옛 거물들을 끌어모아 [[민주국민당(2000년)]]을 차렸다. 재야의 장기표나 심지어 신군부 출신 [[허화평]]도 있었다! 이렇게 거물과 명망가만으로는 상당히 그럴싸했지만, 선거를 앞두고 급조한 정체성이 불문명한 정당으론 명백한 한계가 있었다. 결국 양당 구도에 밀려 지역구에선 [[춘천시]]의 [[한승수]] 前 경제부총리, 전국구에선 후보 1번이던 [[강숙자]] 등 총 2명 당선에 그치는 참패를 당했다. 본인 역시 자기 지역구인 구미시에서 한나라당 [[김성조]] 후보를 상대로 10% 차의 패배를 당했다.(41.7%:32.1%)
         16대 총선 낙선 후 김윤환은 민국당의 대표를 맡아 당을 추스리는 역할을 하게 되었지만.. 이때부터 그의 몸에는 2년 뒤 그를 죽음으로 몰아가는 암이 자라고 있었다고 한다. 게다가 이회창에게 토사구팽을 당한 분노는 사그라들지 않아 그의 건강을 심각하게 해쳤다. 당시 김윤환을 만났던 [[최병렬]]의 말에 따르면 함께 [[스테이크]]를 시켜놓고는 썰어놓지도 않은 채로 한 시간이 넘도록 이회창에 대한 분노를 쏟아냈다고 한다. 암이 자라지 않을래야 않을 수가;; 이후 여당인 [[새천년민주당]]의 약세와 [[자유민주연합]]의 패망으로 나름대로의 입지를 살려 3당 연합(혹은 DJP 재연합)에 낄 수 있었지만, 2001년 10월 [[임동원]] 통일부 장관 해임건의안 통과로 DJP 연합이 완전히 붕괴되자 유일한 지역구 의원 [[한승수]]도 탈당해버렸다.[* 한승수는 무소속 의원 신분으로 외교통상부 장관직을 유지하다가,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이 압승하자 7월 장관을 사퇴하고 한나라당에 입당하여 이회창 후보의 외교담당 특별자문이 되었다.] '''이 시기 "호남이 밀어 주는 영남 대통령론"으로 [[이회창]]을 패망시키는 정치공학적 구도를 구상했고 [[듣보잡|이 때까지만 해도 인지도가 낮아 가능성이 없다]]이라고 여겨졌던 [[노무현]]이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하지만 노무현과 김윤환이 협력하는 일은 없었고[* YS에게 팽당한 5공, 유신 세력을 포용한 김대중과는 달리, 노무현은 3당 합당 당시부터 보여주었던 자신의 원칙대로 옛 군부 정권 시절 인사들과의 타협을 거부하고, 대신 자신과 뜻을 함께했던 주변 사람들을 세웠다. 5공 시절부터 킹메이커로 이름을 날린, 그것도 TK의 좌장이나 다름없던 김윤환이 노무현과 연합할 가능성은 애초부터 없던 셈.] 김윤환 본인은 대선 직후 [[신장암]] 말기 판정을 받았다. [[http://www.viewsnnews.com/article/view.jsp?seq=2114|#]]
         대화와 협력을 명분으로 실제론 막후 밀실에서 정치자금과 권력을 배경으로 야합하는 [[일본]]식 정치의 대명사였다. 하지만 노무현이 실제 "호남이 밀어주는 영남 대통령"으로서[* 개혁 성향의 영남후보를 세워서 영남표를 잠식하고 수도권의 개혁 성향 야당표를 결집시켜야 한나라당의 호남 포위 구도를 깨뜨릴 수 있다는 내용이다. 실제 [[천하삼분지계]]가 [[제갈량]]만의 독창적 사고가 아니라 당시 주요 책사들의 공통적 인식이었던 것처럼 '호남이 밀어주는 영남 대통령'도 정치권에서 민주당이 승리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시나리오로 여겨지던 내용이다. [[노무현]]의 지지율이 2~3%에 불과할 때도 일단 민주당 후보 경선만 통과한다면 대선 승리 가능성으론 가장 높을 것이란 평가가 정치부 기자들 사이에선 지배적이었다.] 당선된 것이나, 홀로 여러 계파를 다룬 점 등 정치적 능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 뿐만 아니라 민주화 운동가로 활동하던 시절 김윤환이 속해 있던 민주정의당에 맞서 싸웠던 [[김근태]]는 국회의원이 되어 김윤환을 만난 다음 "그래도 김 선배 같은 사람이 있었기 때문에 장내에서 민주주의의 명맥이 이어질 수 있었다."는 평가를 했고, 언론계 인사들 역시 "허주는 순리를 바탕으로 정치를 물 흐르듯 한다."는 평을 아끼지 않았던 점을 보면 친화력만큼은 역대 정치인들 가운데 최고로 손꼽힐 수 있을 만큼 대단했던 사람이다. 그러나 죽기 직전에 낙선하고 정계에서 은퇴한 이회창이 사과의 뜻을 표했으나 공식적 화해 없이 세상을 떴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선여부 || 비고 ||
         || 1973 || [[제9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8선거구)[* 칠곡, 군위, 성주, 선산] || 무소속 || 18,521 (11.64%) || 낙선 (4위) || ||
         || 1978 ||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 '''[[유신정우회]]''' || - || '''당선''' || ||
         || 1981 ||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28번) || '''[[민주정의당]]''' || - || '''당선''' || ||
         || 1988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군위/선산) || '''[[민주정의당]]''' || '''50,692 (76.16%)''' || '''당선 (1위)''' ||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군위/선산) || '''[[민주자유당]]''' || '''36,607 (61.49%)''' || '''당선 (1위)''' ||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구미 을) || '''[[신한국당]]''' || '''37,306 (55.74%)''' || '''당선 (1위)''' || 2000.2.24 탈당[br](공천불복) ||
  • 정인숙 (1945년) . . . . 46회 일치
         '''정인숙'''(鄭仁淑, [[1945년]] [[2월 13일]] ~ [[1970년]] [[3월 17일]])은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이다. [[대한민국 제3공화국|제3공화국]] 당시 화제 인물로, 서울 시내 고급 요정에서 활동하던 접대부였다. [[대한민국의 국무총리|국무총리]] [[정일권]]의 내연녀로 [[정인숙 살해 사건]]의 피해자였다. 살해 당시 그의 친정 오빠이자 운전수인 [[정종욱]]을 유력용의자로 지목했으나, 유력 용의자는 다른 인물로 밝혀졌으나 배후는 미궁이다. 본명은 '''정금지'''(鄭金枝)이고, 다른 별명은 '''정혜미'''이며,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대구]] 출신이다.
         모델, 배우 지망생이었으나 고급 요정의 종업원이 되어 [[대한민국 제3공화국|제3공화국]] 당시의 정계 거물들을 상대했던 그녀는 [[대한민국의 국무총리|국무총리]] [[정일권]]의 아이를 임신했으나 이것이 불문에 붙여졌다. 이는 당시 유행가인 '사랑이 무엇이냐고 물으신다면'을 '아이의 아버지가 누구냐고 물으신다면'으로 개조되어 확산되었다.<ref>사랑이 무엇이냐 물으신다면, 눈물의 씨앗이라고 말하겠어요.→아이의 아버지가 누구냐고 물으신다면, 청와대 미스터 정이라고 말하겠어요.</ref> 아들의 아버지는 박정희 대통령이라느니, 정 전 총리라느니, 이후락 전 중정부장이라느니 하는 소문들도 무성<ref name="ilyo01">[http://www.ilyo.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889 <nowiki>[</nowiki>미스터리 추적<nowiki>]</nowiki> 정인숙과 그아들, 진실은 이것] 일요신문 2007년 04월 08일자</ref> 하기도 했다.
         정인숙은 [[1945년]] [[2월 13일]] [[대구직할시|대구]] 남산동에서 후일 해방 뒤 대구직할시 부시장을 지낸 [[정도환]]과 부인 전덕조의 딸로 태어났다. 아버지 정도환은 자수성가형 인물로, 행정공무원으로 [[자유당 (대한민국)|자유당]] 정권에서 대구부시장까지 올라갔다. 아들만 넷을 둔 정도환의 부인은 어떻게든 딸을 보고 싶어 절에 다니며 불공을 드렸다고 한다. 그의 형제는 7남매로 위로 오빠 다섯 명과, 쌍둥이 자매가 1명 있었다. 쌍둥이 딸이 태어나자 정도환은‘금이야 옥이야’길렀는데 이름도 금지(金枝)와 옥지(玉枝)로 했다. 두 쌍둥이는 귀여움을 독차지하였으나 옥지는 생후 1년 반 만에 병사하고, 살아남은 금지가 후일의 정인숙이다.
         고급 요정에 종사하며 큰 돈을 거머쥐면서 씀씀이도 늘어났는데, 선운각에서 처음 만난 사람은 대한민국 정치계 인물인 모 씨다. 모씨와 계속 만나다가 그를 통해 [[민주공화당 (대한민국)|공화당]]과 [[정부]]의 주요 인사들과도 만나게 됐다. 그때부터 그녀는 저명인사들의 노리개감으로 전락한다. 그 뒤 또다른 정부 고위 인사 모씨를 만났고, 그와는 관계는 석 달 남짓 계속된다. 그러다가 당시 그녀의 미모를 접한 정부의 각료 모 씨가 정부인사 모 씨와 한달간 그녀를 서로 차지하려고 갈등하였고, 그 뒤 정인숙은 선운각을 그만두고 비밀요정으로 옮긴다.
         이렇게 밤이면 이름 있는 사람들과 접하고 낮과 출근하지 않는 날에는 주로 필동 변두리의 집에서 어머니와 단 둘이 지냈고, 바로 위 오빠인 [[정종욱]]은 근처에 살며 자주 왕래하였다. 이곳에 살 때 그녀는 아들을 낳았다. 가끔씩 아버지 정도환이 방문하였으나 딸의 집에 자주 출입하던 정계 인물들을 못마땅하게 여기던 정도환은 주로 집을 비우거나 다른 곳에 가 있었다 한다. [[정일권]] [[국무총리]]가 몇 번 그녀의 집을 방문하는 것이 사람들의 눈에 목격되어 입담으로 전해지게 된다. 정관계 최고의 인사들과 어울리다 서너 번의 임신중절 수술을 받게 된다. 이때 [[박정희]] [[대통령]]과도 술자리를 가졌다.
         그녀가 아이의 아버지가 누군지 입을 열지 않는 가운데 소문이 확산되었다. 당시 정인숙이 낳은 아들의 아버지는 정일권 혹은 박정희라는 소문이 파다했다.<ref name="kyung0101">[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art_id=201003191712273&sec_id=560101 정인숙 미스테리···최대 권력 섹스스캔들] 스포츠경향 2010년 03월 19일자</ref> 정인숙은 정일권이 자신을 서운하게 할 때마다 자신이 정일권 총리의 아이를 낳았다는 사실을 떠벌리고 다녀 정일권을 난처하게 한다. 이 사실이 야당 인사들과 박정희 대통령의 귀에 들어가게 될까봐 정일권은 불안해했고, 서둘러 불법 여권 두 개를 만들어 정인숙을 해외로 내보내고 생활비를 풍족하게 줄테니 아이를 키우며 해외에서 조용하게 살라고 당부한다.
         신원조회는 당시 [[대한민국의 국가정보원장|중앙정보부장]]이던 [[김형욱]]의 비서<ref name="hp104"/> 실장인 [[문학림]]이 맡았고, 고위층만이 가질 수 있었던 회수여권은 정일권의 비서관 [[신성재]]가 주선하였다.<ref name="hp105">김환표 외, 《스캔들에 갇힌 영혼들:시사인물사전 16》 (인물과사상사, 2002) 105페이지</ref> 여권 발급 날짜는 [[1968년]] [[12월 30일]]이고, 이후 정인숙은 [[1969년]] [[3월]] 큰오빠를 만난다는 명분으로 [[일본]]에 다녀왔고, [[10월]]에는 [[워싱턴 D.C.]] 한인회장 [[노진환]]의 안내로 미국에서 3개월 동안 머물다가 [[1970년]] 1월 21일 귀국했다.<ref name="hp105"/>
         그녀의 출국 배경에 대해 일각에서는 정인숙이 자신의 아들을 자꾸 박정희의 소생인 것처럼 행세하고 다녔기 때문이라고 말했다.<ref>이정식, <정인숙 사건> 《권력과 여인》 (돋움, 2000) 273-274페이지</ref> 3대 [[대한민국의 국가정보원장|중앙정보부장]]을 지낸 [[김재춘]]에 의하면 정인숙의 아이는 박정희의 아들이 아니라고 한다.<ref name="hp104"/>
         {{인용문|정인숙이 아이를 낳은 뒤 자꾸만 고위층(당시 박정희 대통령)의 아들인 것처럼 행세했다. 정 여인은 어쩌면 박통 아이가 아니라는 것을 일찍부터 알고 있었을 것이라고 한다. 그런데도 자꾸만 청와대를 귀찮게 하자 경호실장 [[박종규]]가 골치가 아파졌다. 여권을 만들어 미국으로 내보냈으나 자꾸만 귀국하겠다고 해서 일본에도 머물게 했다. 그때 [[일본]]에서 박종규 실장과 가장 친한 사람이 정건영 씨였다. 마치이로 통하는 이 교포 사업가는 도쿄에서 손꼽히는 '암흑가의 신사'이기도 했다. 바로 이 정건영 씨에게 정인숙 모자를 돌보아달라고 했던 것이다. 그런데 정건영은 그 대가로 거액의 사업자금을 [[도쿄]]의 [[외환은행]]에서 빌려 쓸 수 있도록 실력자인 박종규 실장에게 부탁했다.<ref name="hp104"/><ref>김충식, 남산의 부장들 1 (동아일보사, 1992) 216쪽</ref>}}
         이 때문에 정인숙이 죽임을 당했다는 설도 있다. 대통령 선거가 일 년 앞으로 다가온 당시, 정인숙에게서 퍼져 나오는 소문이 박정희에게 해를 끼칠 우려가 있었기 때문에 박정희 정권이 그녀를 죽였다는 이야기다.<ref>이정식, <정인숙 사건> 《권력과 여인》 (돋움, 2000) 297페이지</ref>
         소문은 이미 [[대한민국 국회|국회]]와 [[청와대]]에도 확산되었고, 아이의 아버지가 누구냐고 물으신다면 이라는 풍자곡이 시중에 유행하였다. 난감한 처지에 빠진 정일권은 오빠 정종욱에게 최고의 대우를 약속하고, 동생 정인숙의 사생활을 잘 감시해줄 것을 부탁했다.
         1주일 후에 나온 검찰 수사 결과에 따르면, 범인은 오빠인 것으로 밝혀졌다. 정종욱은 정인숙의 운전기사 노릇을 하면서 정인숙의 문란한 행실을 지적했으나, 정인숙이 말을 믿지 않고 자신에게 심한 폭언을 가하자 가문의 명예를 위해 누이동생을 암살하고 [[강도]]를 당한 것처럼 위장하려 했다는 것이다.<ref>1970년 3월~: 여영무, 〈추적 정인숙 미스테리〉《신동아》(1983.9.) 166~167쪽</ref> 그러나 야당인 [[신민당]]에서는 정부 고위층의 개입 의혹을 제기하였다. [[정인숙 살해 사건]] 이후 의혹이 거세지자 박정희 대통령은 관련자를 색출하였으나, 정일권 총리의 해임 선에서 사건을 종결시켰다.
         그러나 수사 과정에서 정인숙의 자택에서 발견된 포켓용 수첩과 장부에 적힌 이름과 일시, 장소, 명단 때문에 희대의 정치스캔들은 더욱 확대되었다. 당시 경찰과 검찰 직원의 부주의로 언론에 드러난 정인숙의 수첩에는 박정희 대통령, 정일권 국무총리, [[김형욱]] [[대한민국의 국가정보원장|중앙정보부장]], 박종규 청와대 경호실장, 장관, 차관급 인사들, [[대한민국 국군]] 장성, 5대 재벌그룹 회장, [[국회의원]] 등 주요 인사 27명을 포함한 권력 실세들 수십여 명 이름과 연락처가 적혀 있었다.<ref>[[이제는 말할 수 있다]]'땅에 묻은 스캔들-정인숙 피살사건' 2000년 10월 8일 26회</ref>
         당시 한 청와대 인사는 영부인 육영수 여사가 어디서인지 변조된 가사 전문을 입수, 박 전 대통령에게 따졌다고 전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박 전 대통령은 “내 아내한테까지 오해를 받고 재떨이까지 날아왔지만 참았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비서실장이었던 김정렴씨는 ‘피살된 정인숙이 박 전 대통령의 여자였다’는 시중의 소문을 박 전 대통령에게 보고하지 않았다가 눈물이 쏙 빠지도록 혼났다고 한다.<ref name="ilsa01"/> 이 때문에 [[나훈아]]의 노래 [[눈물의 씨앗]]은 금지곡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박정희 대통령은 자신은 물론 평소 거느리는 주변 사람들의 여자문제에도 관대한 편이었다. 심지어 김형욱 중앙정보부장이 직원을 시켜 정적이었던 [[김대중]], [[김영삼]] 등의 사생활을 캐서 보고서로 제출하자 화를 내며 찢어버렸다. 그러나 자신과도 술자리 또는 잠자리를 같이 한 정인숙이 정일권과 관계를 맺어 자식까지 두었다는 사실에 크게 분노한다. 박정희 대통령은 이 사건 직후 “정 전 총리를 물러나게 하는 것이 어떻겠느냐”는 주위의 건의에 “남자가 여자 만나는 것은 예사”라며 사건을 무마했다는 후문이다.<ref name="ilsa01">[http://www.ilyosisa.co.kr/bbs/zboard.php?id=society&page=32&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238 <nowiki>[</nowiki>제584호<nowiki>]</nowiki> 다시 떠오른 ‘정인숙의 추억’의문의 피살 미스터리 전모] 일요시사 2007년 03월 20일자</ref> 그러나 [[신민당]]의 정치 공세는 계속되었다. 정일권은 박정희를 찾아가 무릎까지 꿇었다고 했고, 바로 해임을 시키면 세간의 루머만 커질 것을 우려한 박정희는 정일권을 불러 자진 사퇴를 권고한 뒤, 정종욱이 구속된 이후 잠잠해질 무렵 정일권을 해임하고 바로 미국으로 내보냈다. 정인숙 문제로 박정희에게 무릎을 꿇기까지 한 정일권은 하와이에서 쓸쓸한 말년을 보내게 된다.
         당시 정치 주요인사 수십여 명의 이름과 연락처가 언론을 통해 보도되면서 사회지도층의 부도덕성은 여론과 시민들의 질타의 대상이 되었다. 당시 세간에는 '육박전' 이란 화두가 나돌았다. 정인숙 문제 때문에 [[육영수]] 여사가 박정희 대통령에게 사실여부를 추궁했고, 이것이 부부 싸움으로 이어졌다. 박정희는 육영수에게 재떨이를 던졌는데 이것이 얼굴에 맞았고, 얼마 뒤 육영수의 눈에 푸른 멍이 든 것을 각료들과 청와대 출입 기자들이 목격했다. 이는 박정희 대통령 부부간에 대판 싸움이 벌어진 것을 회화화되어 육박전이라는 풍자용어가 확산되었다. 사건 확산과 자신이 동침한 여자와의 사이에 아이가 태어났다는 점 등 여러가지 문제로 박정희의 호출에 무릎을 꿇은 정일권은 자신은 정인숙과 사귀긴 했으나 죽이지는 않았다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인용문|어제 이호 법무가 올라 오길래 무슨 법무 행정의 주요 문젠가 했더니 느닷없이 웬 강변3로 여자 살인 사건이란 말야(웃음소리). 대통령이 여자 살인 사건을 갖고서 모처럼 안 하던 결심을 해 갖고서 전 각료들을 국회에 내보내 자진 보고케 하라고(웃음소리). 질문이나 하면 그때 가서 거짓말을 하든지 말든지(웃음소리). 무슨 놈의 오빠가 여동생의 난륜(亂倫)을 분개해 가지고 권총을 쏘았다고. 도대체 무슨 까닭으로 그 문제를 참 지나칠 정도로 상세히 보고하느냔 말야(웃음). 미인사건이라니까 여러분은 흥미가 있을지 모르겠지만, 그런 친절은 없어도 좋지 않느냐 이거요. 국회의원의 질문이 나올 텐데 대통령 지시로 나온 분께서 하필 그 정인숙이라는 괴미인 살인 사건을 장시간 보고하니까 새로운 의문이 생긴다 이겁니다.<ref>김충식, 남산의 부장들 1 (동아일보사, 1992) 199~200</ref>}}
         대사(大蛇), 큰 뱀으로 불렸던 유진산은 권모술수와 밀실정치에 뛰어났다. 당시 [[김계원]] [[대한민국의 국가정보원장|중앙정보부장]]은 유진산과 일부 야당 인사들에게 접근해 정인숙 사건을 쟁점화하지 말라고 신신당부했다고 한다. 그러나 유진산은 이를 쟁점화했고 뒤이어 다른 야당인사들도 대정부 질문을 통해 정인숙 사건을 쟁점화시켰다.<ref>김충식, 남산의 부장들 1 (동아일보사, 1992) 196~197</ref>
         조윤형 의원은 또 이 사건에 청부살인의 혐의가 없는가, 검찰이 [[3월 22일]] 밤까지 철야 신문하면서 복도에 바리케이드를 치고 [[변호사]]를 접근조차 못하게 해서 정씨를 범인으로 자백케 한 것은 아닌가, 정종욱이 병원에서 이 사건에 대해서는 다른 사람에게 얘기할 수 없고 모 인사를 불러달라고 한 것은 이상하지 않은가 하고 물었다.<ref name="kim101">김환표 외, 《스캔들에 갇힌 영혼들:시사인물사전 16》 (인물과사상사, 2002) 101페이지</ref><ref>여영무, <추척 정인숙 미스터리>, 신동아 1983년 9월호(동아일보사, 1983) 171</ref> [[조윤형]] 의원에 이어 [[신민당]]의 [[김상현]] 의원은 [[박정희]] [[대통령]]과 정인숙이 관계했을지도 모른다는 다음과 같은 발언을 하기도 했다.<ref name="kim101"/>
         {{인용문|정 여인에 관계된 사람이 26명이나 된다고 하고 총리가 관계되었다, 대통령이 관계되었다, 이렇게까지 얘기가 돌아다닙니다. ...(인용문)... 정 여인 사건은 계획된 각본에 의한 타살이요. 청부 살인 의혹이 있습니다.<ref>이정식, 권력과 여인(돋움, 2000) 267~268</ref>}}
  • 안종범 . . . . 42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대구시]]
         |국적 = 대한민국
         '''안종범'''(安鐘範, [[1959년]] [[7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를 지냈다. [[새누리당]] [[비례대표]]로 제19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2012년 대선 당시 박근혜 캠프에서 경제 분야 공약을 만들었다. 2014년 6월 [[박근혜 정부]] 제2대 [[대한민국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경제수석비서관]]에 지명되면서 의원직을 사직했다. 2016년 5월 [[박근혜 정부]] 제2대 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에 임용되어 일하다가 [[박근혜]]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대통령]]이 '[[최순실]] 비선 실세 파문'과 관련해 수석비서관들에게 일괄 사표 제출을 지시하면서 2016년 10월 30일 사임하였고 제3대 대한민국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 [[강석훈]]이 그 직을 임시 대행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81&aid=0002769333 靑 수석비서관들 일괄 사표제출…朴대통령 인적쇄신 가능할까]. 서울신문. 2016년 10월 30일.</ref> <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4&oid=023&aid=0003228904 민정수석·청와대 비서관… 도대체 뭐 하는 자린고?]. 조선일보. 2016년 11월 16일.</ref> <ref>이상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8&aid=0003774512 靑 정책조정수석, 강석훈 경제수석이 대행]. 머니투데이. 2016년 11월 16일.</ref>
         박근혜 대통령 등과 공모해 삼성 등 15개 전경련 회원사에 미르‧K스포츠재단에 774억원을 출연하도록 강요한 혐의(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등을 받았다. 박근혜 대통령의 지시를 받고 [[최순실]]의 국정농단 사태에 조력한 혐의로 2018년 2월 13일 1심에서 징역 6년, 벌금 1억원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국정농단 연루' 안종범, 1심에서 징역 6년·벌금 1억원|url=http://news.joins.com/article/22369620|날짜=2018-02-13|출판사=중앙일보}}</ref> 이후 2018년 8월 24일 2심에서는 징역 5년, 벌금 6000만원을 선고받아, 징역 1년, 벌금 4000만원이 줄어들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8/24/2018082401286.html|제목=[속보] 국정농단 2심 최순실 징역 20년, 안종범 5년…崔 벌금 늘고, 安은 감형|성=|이름=|날짜=2018-08-24|뉴스=|출판사=}}</ref>
         2018년 3월 29일 서울동부지방검찰청 형사6부는 안종범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불구속 기소하였다. 안종범은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에 재직 당시 세월호특별조사위원회 활동 방해를 위해 해양수산부 공무원들에게 ‘대통령 조사’ 안건 부결 기획안 마련 등을 지시한 혐의를 받았다.<ref>{{보고서 인용|저자=공보담당관 차장검사 문찬석|url=http://www.spo.go.kr/_custom/spo/_common/board/download.jsp?attach_no=193667|제목=세월호 특조위 활동 방해 사건 수사결과|출판사=서울동부지방검찰청|날짜=2018년 3월 29일}}</ref>
         * 2002 . 09 ~ 2002 . 12 : 한나라당 이회창 대통령후보 정책 특보
         * 2012 . 09 ~ 2012 . 12 : 새누리당 대통령 선거후보 경선캠프 정책메세지 본부장
         * 2013 . 01 ~ 2013 . 02 : 제18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고용복지분과위원회 위원
         * 2014 . 06 ~ 2016 . 05 :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
         * 2016 . 05 ~ 2016 . 10 : 대통령비서실 정책조정수석비서관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기록 시작|KR|개인}}
         {{선거기록/KR/개인|[[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총선]]|19대|국회의원|[[틀:제19대 비례대표 새누리당|비례대표 12번]]| 새누리당 | 9,130,651표| 42.8 |-|당선|[[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초선]]}}
         {{선거기록 끝}}
         |직책 = [[대한민국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대통령비서실 정책조정수석]]
         |직책 = [[대한민국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
         [[분류:195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순흥 안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계성고등학교 (대구) 동문]][[분류:성균관대학교 동문]][[분류:위스콘신 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경제학자]][[분류:성균관대학교 교수]][[분류:박근혜 정부]][[분류:대한민국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분류:자유한국당 당원]][[분류: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관련자]]
  • 오중기 . . . . 41회 일치
         >[[2017년]] [[더불어민주당]] 경북도당위원장 선거 연설 中
         대한민국의 정치인. 보수의 심장이라고 불리는 경상북도에서만 10여년째 고군분투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치인이다. [[문재인정부]] [[청와대]]에서 선임행정관으로 일하다 2018년 2월 경북도지사 선거 출마를 선언하며 사퇴했다.
         [[경상북도]] [[포항시]] 출신으로 [[대동고등학교(경북)|대동고등학교]], [[영남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했다. 1967년생으로 [age(1967-07-23)]세의 젊은 나이가 강점으로 꼽힌다. [[문재인]]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의 두 번의 대선 동안 경북선대위 상임선대위원장을 맡으면서 신뢰를 쌓아 2017년에는 대구경북 당직자 중에서 유일하게 청와대에 입성했다.
         [[참여정부]]가 무차별 공격을 받는 것을 보며 안타까움을 느꼈던 그는 [[노무현 대통령 탄핵 사태]]를 계기로 역사적 사명감을 느꼈다. 동서로 갈라진 지역주의 타파가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여겼다. [[김근태]] 전 의장의 권유로 고향인 경북 포항에서 정치에 투신한다.
         당내 선거와는 달리 본선에서는 계속해서 고배를 마셨다. 2012년 총선에서 야권단일화를 위해 불출마한 것을 제외하고, 2014년 경북도지사 선거와 2016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다시 낙선을 겪었다. 득표율이 낮아 선거비용을 100% 환급받은 적이 아직 없는데, 특히 2014년 경북도지사 선거에서는 15%에 겨우 0.07%포인트가 모자랐다.[* 선거 비용 100% 환급 기준은 15% 이상의 득표율이다.] --안습-- 2016년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그나마 가능성이 있는 [[새누리당]]출신 무소속 [[박승호(정치인)|박승호]] 후보에 표가 몰려 12.71% 득표에 그쳤다. 이후 2013년엔 [[제18대 대선]] 패배 이후 혼란스러웠던 [[민주통합당]]의 [[문희상]] 비상대책위원회 체제에서 비대위원으로 임명되었다. 2016년 경북도당위원장 선거에서는 현역 국회의원인 [[김현권]] 의원을 누르고 도당위원장 4선에 성공했다.
         2017년 1월, [[문재인]] 전 대표가 구미시청을 방문해 [[박사모]]의 습격을 받을 때 이를 온몸으로 방어하다가 아스팔트 바닥에 넘어지기까지 했는데, 이 장면이 유튜브 생중계로 찍혀 화제가 되기도 했다.[[https://youtu.be/eqhKXSYot1w|영상]] 2017년 [[제19대 대선]]에서 [[문재인]] 대통령후보의 경북상임선대위원장을 맡았다.
         2017년 8월, [[문재인 정부]]의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중 균형발전비서관실의 선임행정관으로 임명되었다.[* 사실 지역 도당위원장 정도를 선임행정관으로 임명하는건 격이 너무 약하다는 비판이 있었다.] 균형발전비서관이 일찌감치 사직해 공석인 상황에서 2018년 2월 1일 선포된 국가균형발전 비전 수립을 이끌었다. 직후 사직하여 2018년 2월 5일, 경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경상북도지사]] 선거에 재도전하기로 [[https://youtu.be/7R_kl03ESn8|선언]]했다.
         2018년 4월 3일 경상북도지사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단수공천이 확정되었으나[[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08523033|#]] 상대 후보인 [[이철우(1955)|이철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하지만 경북에 출마한 민주당 후보로써는 최선의 결과, 더 나아가서는 최고의 결과를 내었다. --선거비용을 보전받은 것은 덤-- 이 기록은 역대 민주당계 정당 소속 경북지사 후보가 받은 득표율 최고치를 갱신한 것으로, 직전 기록은 현 자유한국당 소속 의원인 [[박명재]]가 2006년 4대 지선 당시 열린우리당 당적으로 기록한 23.19%이다.
         선거이력의 안습한 상황과는 달리, 민주당 내에서는 나름 크고 작은 역할들을 맡아왔다. 험지에서 고생하는 만큼 당에서 역할을 맡기는 것으로 보인다.
          * 2012년: 제18대 대통령선거 문재인 후보 경상북도 선거대책위원회 상임위원장
          * 2017년: 제19대 대통령선거 문재인 후보 경상북도 선거대책위원회 상임위원장
         경북도당위원장 경선을 앞둔 2016년 8월 4일 오후 10시 30분께 대구 북구의 한 음식점에서 민주당 지역위원회 간부에게 지지를 부탁하고 5만원 상당 음식물과 현금 50만원을 제공한 혐의로 기소되어 정당법 위반으로 100만원의 벌금형을 선고 받았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2/16/0200000000AKR20170216180200053.HTML|관련기사]] 당세가 약한 경북지역 특성상 고생하는 지역위원회에 대한 격려 및 경비 지급 차원이었다고 해명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논란은 있을 수 있으나 당내 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사려깊지 못한 행위를 한 것은 사실이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tablealign=center><rowbgcolor=#1870B9>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포항 북) ||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 5,609 (5.79%) || 낙선 (3위) || ||
         || 2014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북도지사) || [[새정치민주연합]] || 189,603 (14.93%) || 낙선 (2위)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포항 북) || [[더불어민주당]] || 16,559 (12.71%) || 낙선 (3위) ||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북도지사) || [[더불어민주당]] || 482,564 (34.32%) || 낙선 (2위) || ||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 울릉군 . . . . 41회 일치
         ||<bgcolor=#01A9DB> {{{#FFFFFF '''국가'''}}} ||<bgcolor=#CEECF5> [[대한민국]] ||
         ||<bgcolor=#01A9DB> {{{#FFFFFF '''군수'''}}} ||<bgcolor=#CEECF5> [[김병수(1954)|김병수]]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초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bgcolor=#01A9DB> {{{#FFFFFF '''국회의원'''}}} [br] [[포항시 남구·울릉군|{{{#FFFFFF {{{-1 (남구·'''울릉군''')}}}}}}]] ||<bgcolor=#CEECF5> [[박명재]]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재선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경상북도]]의 군. [[대한민국]]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기초자치단체]]이자 경북 유일의 섬으로만 이뤄진 지자체다. 심지어 멀리 [[동해]] 한복판에 자리잡고 있다. 위치상으로는 오히려 강원도에 가까워 보이지만, 직선거리로 제일 가까운 곳은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이다(130.3km). 다만 울진은 1962년에 [[경상북도]]로 이관되기 전까지는 강원도 소속이었고 울릉도 자체도 1906년까지는 강원도 소속이었다. 그러다가 1906년 13도 분도 후에 뜬금없이 '''[[경상남도]]'''로 이관되었다가 1914년에서야 경상북도로 이관되었다.
         [[국회의원]] 선거구는 엉뚱하게 [[포항시]] [[남구(포항)|남구]]와 묶여있다. 그런데 정작 포항에서 울릉도로 들어가는 관문인 포항 구항은 북구에 있다.--신나는 [[월경지]]-- 이는 포항 남구보다 포항 북구 인구가 미묘하게(2~3만 명 정도) 많아서 그렇게 묶은 것으로 추정된다. 인구 비례를 생각하면 경상북도의 농촌 선거구에 옮기는게 맞겠지만, 선거운동하기가 힘들어지는 문제가 있다. 배편이 있는 울진군에 엮으면 될 것 같지만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선거구만으로도 벅차다. 네 군 모두 벽지 중의 벽지긴 한데 울진은 그나마 낫다. 다시 [[강원도]]로 옮길 수도 있을 것 같지만 지방자치가 본격화된 이후로 행정구역 옮기는 것 자체가 어려워졌기 때문에 쉽진 않다. 행정적으로 경상북도에 속한 이후로 말투도 경상북도 사투리가 발달했다. 거기다 원래 울릉도에 살던 강원도 사람들은 대다수 이미 사망하였거나 외지로 떠났고 현재 울릉군 주민들은 경북 출신들이 대다수. 경계가 애매한 지역들은 양쪽 사이에서 소속감이 애매한 사례가 비일비재한데, 면적도 좁은데다 고립된 섬이라는 특수성까지 감안하면 상대적으로 경북쪽 정서로 비슷해진 느낌이다.
         포항시-영일군 통합 전에는 영일군과 같은 선거구에 소속하였다. 꽤 오랫동안 이상득 의원이 의원직을 6번이나 했다가 불출마했는데, 후임 김형태 의원은 성추행 논란을 일으키며 그 당에서 쫓겨나더니 결국 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을 상실했다. 물론 재선 결과 [[새누리당]] 박명재 후보가 당선되었으며, 이후 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재선에 성공했다. 다만, 20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박명재 의원을 제외한 나머지 야당 후보[* 당시 [[민중연합당]] 후보가 출마했다.]와 무소속 후보는 '''울릉도를 한 번도 방문하지 않았기 때문에''' 아무리 새누리당 텃밭이라 하지만 다른 후보들의 무관심으로 박명재[* 행정고시를 합격한 관료 출신으로 노무현 정권기에 행정자치부 장관을 하다가 2013년 새누리당에서 국회의원 출마하였다.] 의원이 여유있게 몰표를 가져갔다.
         [[대한민국|본토]]에서 멀리 떨어진 섬이지만 규모가 너무 작아서 [[제주특별자치도]]처럼 광역자치단체는 되지 못했다. 전 군수인 최수일 군수가 본토와 멀리 떨어져 있고 여러 울릉도 만의 특수성이 있기에 "특별자치군"으로 만들겠다는 공약을 내기는 했다. 물론 실현되지 못했다.
         또한 항공편이 생긴다면 항공기에게 연료란 돈 폭탄이니 활주로가 완공되어 경비행기가 다닌다면 대구나 [[포항공항]]으로 갈 것이란 전망이 많다.[* 다만 1시간 내외의 단거리 항공노선은 이륙시 드는 연료비가 전체 연료비에 거의 40%에 육박할만큼 비중이 크기 때문에 포항, 대구보다는 김포노선이 추가될 가능성도 크다. 또한 착륙시 활주로 진입과정이 길기 때문에 실제로는 김포노선이든 대구, 포항노선이든 소요시간이라든지 요금 차이는 그다지 크지 않을(10~20분 차이)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김포 제주간 운항시간이 약 1시간 인데 광주나 여수에서도 제주까지 40분은 걸린다.] 게다가 울릉도 경제권이 이미 [[강원도]]가 아닌 [[경상북도]]로 통합되어 있는 데다가[* 울릉도는 천주교 교구도 [[천주교 대구대교구|대구대교구]] 소속이다. 교구 소속은 만약 행정구역이 개편되어 강원 쪽으로 옮겨지면 따라서 [[춘천교구]]나 [[원주교구]] 쪽으로 이동할 수도 있겠지만..], 주민 대다수가 [[경상북도]] 출신이기도 하고 행정구역이 1914년 이래 경상북도가 되었으니 그렇게 흘러가고 있다. 하지만 섬이라는 특성상 마냥 강한 소속감을 가지긴 쉽지 않다.[* 2013년 국회의원선거를 앞두고 김순견 새누리당 예비후보가 [[http://www.kyongbuk.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632438|울릉특별자치군 설치법률을 제정하겠다는 주장]]을 한 적도 있다. 2017년에는 강원도에서 [[http://m.mbceg.co.kr/post/44307?|고성특별자치군 주장도 등장]]했다.] 그래도 일단 행정구역 관할구역 설정상 경북지방경찰청 소속이다. [[대한민국 해양경찰청|해경]]의 경우를 보면, 경북 해역 담당인 [[포항해양경찰서]]가 아닌 동해해양경찰서의 관할 구역인데 이건 해경이 애초에 '도' 단위로 관할 구역을 끊을 만큼 조직이 커서 도마다 하나씩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 --물론 동해가 더 가깝기도 하고-- 다른 예로 [[충청남도]] 해안의 경우 평택해경과 태안해경이 분할 관리하며, 이 평택해경은 [[경기도]] 남부와 충청남도 북부 해안을 아울러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평택해경이 생기기 전에는 태안해경이 전부 담당했다. 부산의 경우 역시 부산해경이 있는데도 부산신항 일대는 창원해경이 담당한다. 점점 조직이 커지면서 점점 관할 구역을 나눠가지는 구조다.
         재미있는 점은 [[일제강점기]] 때 도동이 일본인 마을로 통했다면 저동은 조선인 마을로 통했다는 점. 실제로 도동에는 아직도 일본식 건축물이 약간 남아있다. 박정희 대통령이 처음으로 울릉도를 방문했을때[* 이후 2012년에 이명박 대통령이 울릉도와 독도를 방문하였다.], 묵고 갔다던 당시 울릉군수 관사도 일본식 건물이다.
         군 부대도 주둔 중인데, 1982년 도서 방어 임무가 [[대한민국 육군]]에서 [[대한민국 해군]]으로 이관되면서 해군 [[제1함대사령부]] 예하의 [[레이더 사이트|전탐감시부대]]인 [[제118조기경보전대]]가 들어와 있다. 이 부대에는 [[제1해병사단]]에서 전속된 해병대원들도 같이 근무한다. 상시 주둔하진 않으나, 독도나 울릉도 유사시 1함대와 1사단에서 함정 및 해병대 전력을 지원받을 수 있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를 참조.
         그 외 [[대한민국 공군]]의 319 관제대대와 [[777사령부|보안상 소속을 밝힐 수 없는 부대]] 등이 있다. 실제로 북면 북동쪽에 SEC연구소라는 곳이 있다.
         군은 아니지만, 경찰의 [[전투경찰]] 부대인 [[울릉경비대]]도 118전대와 함께 주둔하고 있다. 이들은 울릉경찰서가 아닌 경북지방경찰청 소속이며, 이 부대 소속 직원과 [[의무경찰]]들이 교대해가며 [[독도경비대]]에 투입된다. 현재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경비함을 위한 항만 시설이 건설 중이며, 완료시 해경 중형함정 1척+소형 경비정 몇척이 교대로 상시 입항해 있게 된다.
         || '''후보''' ||<:><bgcolor=#1870B9>{{{#FFFFFF 문재인}}}||<:><bgcolor=#C9151E>{{{#FFFFFF '''홍준표'''}}}||<:><bgcolor=#046240>{{{#FFFFFF 안철수}}}||<:><bgcolor=#00B1EB>유승민||<:><bgcolor=#FFCC00>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 '''선거''' ||<:>'''18대 대선'''||<:>'''20대 총선'''||<:>'''19대 대선'''||<:>'''증감율 (대선/대선)'''||<:>'''증감율 (총선/대선)'''||<:>'''18대 대선'''||<:>'''20대 총선'''||<:>'''19대 대선'''||<:>'''증감율 (대선/대선)'''||<:>'''증감율 (총선/대선)'''||
         [[자유한국당]]의 텃밭[* 사실 강원도도 군인 인구가 많고, 높은 인구비중을 차지하는 노인들이 그들과 접하기 쉬운 환경특성상 ~~안보팔이가 잘 먹혀서~~ 준텃밭에 해당한다. 다만, 도지사나 교육감 등 도 단위 선거에서는 영서와 영동간 갈등, 강릉,춘천,원주의 자존심싸움 등으로 변수가 만들어진다.]인 [[경북]] 및 다수의 영남지역의 특성상 이 곳에서도 예외없이 자유한국당의 텃밭에 포함되어 있다. 경북 본토도 그렇지만 이 지역도 경북 지역에 속하는 영향 때문에 국회의원 출신정당이 대부분 [[자유한국당]] 소속이다. 선거구가 [[포항]] 남구와 묶여서 포항 남, 울릉 선거구에 속하기 때문에 포항 남구 지역과 함께 자유한국당의 밭으로 불리고 있다. ~~어차피 국회의원 선거 때 후보 유세도 못 한다~~
         사실 후보 유세를 한 사례는 있긴 있다. 2013년 9월 쯤 새누리당 소속 박명재 당시 후보도 배를 타고 울릉도에 장정 3시간 30분에 걸쳐 도착해 선거유세를 했다고 한다. 그 후보 등이 배 안에서 피곤한 나머지 잠을 잔 적도 있다고 한다(...) 결국 그 선거유세가 먹혔는지 울릉군에서 89%의 득표율을 보였고 결국 당선되었다.
         한편, [[독도]]에는 선거 당일에는 별도의 투표소가 설치되지 않고, 주민인 [[김성도]]씨 부부와 독도경비대원들을 위한 [[거소투표]]용 임시 투표소가 매 선거마다 개설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선거에 참여하는 인원은 40명 안팎. 김성도씨 부부 말고는 대부분의 투표자들이 (타 시군구민일 가능성이 높은) 독도경비대원들이라, 울릉군에서 집계되는 위의 개표 결과와는 사실 별 상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6&aid=0001233450|기사(19대 대선)]]
         ||<|2> [[이상득]]/초선[br][[민주정의당]] ||<|2> 이상득/재선[br][[민주자유당]] ||<|2> 이상득/3선 [br] 신한국당 ||<|2> 이상득/4선 [br] 한나라당 ||<|2> 이상득/5선 [br] 한나라당 ||<|2> 이상득/6선 [br] 한나라당 || --[[김형태(정치인)|김형태]]/초선--[* 13.7.25 의원직 상실(선거법 위반)] [br] --새누리당-- ||<|2> [[박명재]]/재선 [br] 새누리당 ||
          * [[대한민국]] 영토 중 '''태평양'''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다.
         그래서인지 이곳 출신 인물이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위치에 오르면 지역신문은 물론이고 중앙일간지에서도 실어주기도 한다. 대표적인 인물로 [[윤부근]] [[삼성전자]] [[사장]](CE부문 [[대표이사]])[* 원래는 고2때까지 울릉수산고등학교를 다녔는데, 더 큰 꿈을 이루겠다는 생각으로 대구에 있는 [[대륜고등학교]]에 1학년으로 입학해 총 5년이나 고등학교를 다녔다고 한다.], 남한권 [[예비역]] [[준장]]([[대한민국 육군]] 인사행정처장), [[박현동]] 블라시오 [[아빠스]]([[천주교]] [[베네딕토회]] 왜관수도원장 겸 [[덕원자치수도원]]장 서리) 등이 있다.
  • 우찬양 . . . . 40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ed0000> '''{{{#ffff00 국적}}}''' || [[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30]] [[대한민국]] ||
         ||<#ed0000> '''{{{#ffff00 청소년대표}}}''' ||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0]] (2015~2017, 33경기) ||
         U-20 월드컵에서 대한민국이 치른 4경기 중 아르헨티나전을 제외하고 3경기에 출전하였고 포르투갈전에서는 [[이상헌]]의 득점을 돕는 활약을 보이기도 했지만, 전체적으로 팬들에게나 선수 본인에게나 만족스러울 대회는 아니었지 싶다.
         ||<#00703c> '''{{{#eee156 2015.01.04}}}''' ||<#00703c> '''{{{#eee156 2015 발렌틴 그라나트킨 U-18 친선대회}}}''' ||<#00703c> '''{{{#eee156 핀란드 1 : 1 대한민국}}}''' ||<#00703c> '''{{{#eee156 U-20 대표 데뷔전}}}''' ||
         ||<#00703c> '''{{{#eee156 2015.01.05}}}''' ||<#00703c> '''{{{#eee156 2015 발렌틴 그라나트킨 U-18 친선대회}}}''' ||<#00703c> '''{{{#eee156 대한민국 2 : 0 모스크바}}}''' ||<#00703c> '''{{{#eee156 -}}}''' ||
         ||<#00703c> '''{{{#eee156 2015.01.08}}}''' ||<#00703c> '''{{{#eee156 2015 발렌틴 그라나트킨 U-18 친선대회}}}''' ||<#00703c> '''{{{#eee156 아제르바이잔 0 : 3 대한민국}}}''' ||<#00703c> '''{{{#eee156 -}}}''' ||
         ||<#00703c> '''{{{#eee156 2015.01.09}}}''' ||<#00703c> '''{{{#eee156 2015 발렌틴 그라나트킨 U-18 친선대회}}}''' ||<#00703c> '''{{{#eee156 대한민국 1 : 0 상트페테르부르크}}}''' ||<#00703c> '''{{{#eee156 2위}}}''' ||
         ||<#00703c> '''{{{#eee156 2015.04.29}}}''' ||<#00703c> '''{{{#eee156 2015 수원 JS컵 U-18 국제청소년축구대회}}}''' ||<#00703c> '''{{{#eee156 대한민국 1 : 0 우루과이}}}''' ||<#00703c> '''{{{#eee156 -}}}''' ||
         ||<#00703c> '''{{{#eee156 2015.05.01}}}''' ||<#00703c> '''{{{#eee156 2015 수원 JS컵 U-18 국제청소년축구대회}}}''' ||<#00703c> '''{{{#eee156 대한민국 0 : 0 벨기에}}}''' ||<#00703c> '''{{{#eee156 -}}}''' ||
         ||<#00703c> '''{{{#eee156 2015.05.03}}}''' ||<#00703c> '''{{{#eee156 2015 수원 JS컵 U-18 국제청소년축구대회}}}''' ||<#00703c> '''{{{#eee156 대한민국 0 : 1 프랑스}}}''' ||<#00703c> '''{{{#eee156 -}}}''' ||
         ||<#00703c> '''{{{#eee156 2015.10.02}}}''' ||<#00703c> '''{{{#eee156 2016 AFC U-19 챔피언십 예선}}}''' ||<#00703c> '''{{{#eee156 대한민국 7 : 1 대만}}}''' ||<#00703c> '''{{{#eee156 -}}}''' ||
         ||<#00703c> '''{{{#eee156 2015.10.06}}}''' ||<#00703c> '''{{{#eee156 2016 AFC U-19 챔피언십 예선}}}''' ||<#00703c> '''{{{#eee156 태국 1 : 2 대한민국}}}''' ||<#00703c> '''{{{#eee156 -}}}''' ||
         ||<#00703c> '''{{{#eee156 2015.11.20}}}''' ||<#00703c> '''{{{#eee156 베트남 U-21 친선대회}}}''' ||<#00703c> '''{{{#eee156 홍안지아라이 0 : 1 대한민국}}}''' ||<#00703c> '''{{{#eee156 -}}}''' ||
         ||<#00703c> '''{{{#eee156 2015.11.27}}}''' ||<#00703c> '''{{{#eee156 베트남 U-21 친선대회}}}''' ||<#00703c> '''{{{#eee156 대한민국 3 : 0 싱가포르}}}''' ||<#00703c> '''{{{#eee156 -}}}''' ||
         ||<#00703c> '''{{{#eee156 2015.11.29}}}''' ||<#00703c> '''{{{#eee156 베트남 U-21 친선대회}}}''' ||<#00703c> '''{{{#eee156 홍안지아라이 2 : 0 대한민국}}}''' ||<#00703c> '''{{{#eee156 -}}}''' ||
         ||<#00703c> '''{{{#eee156 2016.05.18}}}''' ||<#00703c> '''{{{#eee156 2016 수원 JS컵 U-19 국제청소년축구대회}}}''' ||<#00703c> '''{{{#eee156 대한민국 1 : 1 브라질}}}''' ||<#00703c> '''{{{#eee156 -}}}''' ||
         ||<#00703c> '''{{{#eee156 2016.05.20}}}''' ||<#00703c> '''{{{#eee156 2016 수원 JS컵 U-19 국제청소년축구대회}}}''' ||<#00703c> '''{{{#eee156 대한민국 1 : 0 프랑스}}}''' ||<#00703c> '''{{{#eee156 -}}}''' ||
         ||<#00703c> '''{{{#eee156 2016.05.22}}}''' ||<#00703c> '''{{{#eee156 2016 수원 JS컵 U-19 국제청소년축구대회}}}''' ||<#00703c> '''{{{#eee156 대한민국 1 : 0 일본}}}''' ||<#00703c> '''{{{#eee156 우승}}}''' ||
         ||<#00703c> '''{{{#eee156 2016.09.18}}}''' ||<#00703c> '''{{{#eee156 2016 카타르 4개국 친선대회}}}''' ||<#00703c> '''{{{#eee156 세네갈 1 : 1 대한민국}}}''' ||<#00703c> '''{{{#eee156 -}}}''' ||
  • 남유진 . . . . 38회 일치
          * [[대한민국]]의 [[웹툰작가]] [[뚱땡이냐옹이]]의 본명. [[뚱땡이냐옹이]] 문서 참조.
          * [[대한민국]]의 여성 솔로 가수 [[Eyedi]]의 본명. [[Eyedi]] 문서 참조.
         [[대한민국]]의 [[공무원]]([[구미시|구미시장]])이었고, [[정치인]]이다.
         서울대학교 철학과 졸업 후 제22회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행정고시]]에 합격하여 총무처, 내무부(이상 현 [[행정자치부]]), [[산림청]] 등에서 근무하다가 [[노태우 정부]] 후기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행정관으로 근무하였다. [[김영삼 정부]] 초기에는 관선 경상북도 [[청송군]]수를 지냈다. 이후 다시 내무부, 행정자치부에서 근무하다가 2001년부터 2003년까지 [[김관용]] 구미시장[* 15 ~ 17대 [[경상북도지사]]를 지냈다.] 밑에서 구미시 부시장을 지냈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5.31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상북도]] 구미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때까지는 경제가 호황이었고 D램 시장이나 여러 디스플레이 시장이 호황이었기 때문에 이 때까지는 괜찮았다. 수출액도 2006~2007년 400억 달러에 육박하는, 구미 역사상 최고액을 기록하기도 했고 [[2008년 글로벌금융위기|2008년 금융 위기]]가 터지긴 했지만, 갑자기 전 세계적으로 불황이 덮쳤기 때문에 이는 전국 모든 도시의 일부 대기업들과 꽤 많은 중소기업들이 박살나는, [[1997년 외환위기|IMF]]와 비견되는 그런 상황이었기에 남유진 한 사람 만의 책임으로 몰기엔 무리가 있었다. 어쨌든 기업들은 피터지는 환경을 겪긴 했어도 나름 선방했던 시절이었다.
         그렇게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6.2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구미시장 재선에 도전하여 성공했다. '''그리고 이때부터 구미에 암운이 드리웠다.''' 이 즈음부터 대기업들이 하나둘 씩 구미를 떠나기 시작했고,[* 2005년 수도권 규제 완화로 인해 많은 기업들이 파주 같은 과세율이 낮은 지역으로 옮겨갔기 때문에 어느 정도 위기감은 인식했고, 그 당시 구미시장 김관용도 어느 정도 이 현상을 감지는 하고 있었다. 다만 두 시장 모두 제대로 대처하지는 못했다.] 2010~11년을 전후해서 구미 1공단이 급격히 몰락한데다 2012년 즈음에는 2, 3, 4공단도 완벽하게 터져버렸다. 구미시민들은 안 그래도 물가도 비싸고 생활 환경은 최악의 수준임을 더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이 불황 속에서 정말로 경제를 살려줄 수 있는 다른 후보가 혹여나 나설 수 있는지를 내심 기대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런 바람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결국에는 또 3선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게다가 그 당시 [[박근혜|대통령대통령인지라]]. 결국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6.4 지방선거]]에서도 [[새누리당]] 후보로 구미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3선 고지에 올랐다. 그러나 이때 시민단체인 구미참여연대에서 만든 성남시와 비교카드뉴스가 화제가 되기도 하는 등 민심 이반이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210856|*]]
         극렬 [[친박]] 성향의 정치인 중 하나로, '''[[박정희]] [[반인반신]] 발언의 당사자'''라고 하면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구미시가 [[박정희]] 전 대통령의 출생지이기는 하나, 그럼에도 시 예산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 기념 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나치게 커서 그게 논란이 됐다.[* 남유진 재임기간 중 구미시 1년 예산은 1조 가량 되는데 매년 수백억을 박정희 관련해서 낭비했고 임기 말에는 1400억짜리 박정희 타운까지 계획하고 있었다.] 물론 [[박근혜 탄핵 반대 집회]]에도 참석해서 비판을 받았다.[* 다만 [[박근혜 대통령 탄핵 심판]]의 인용([[파면]]) 판결에는 존중한다고 하였다.]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31115500010|남유진 구미시장 “박정희는 반신반인” 신격화 논란]] [[http://www.idaegu.com/?c=4&uid=357752|남유진 구미시장, 기초 지자체장 중 첫 탄핵반대 집회 참석 논란]]
         남유진 전 시장이 구미시 예산을 얼마나 형편없이 책정했냐면, 박정희 전 대통령 기념 사업에는 무려 1,000억 원에 달하는 돈을 그냥 일시불로 결제했으면서, [[http://v.media.daum.net/v/20161114175605934|*]]
         === 도지사 출마와 경선 패배,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그리고 선거 심판]]과 공직 퇴임 ===
         한 지자체장에 3선을 초과하여 도전할 수 없다는 우리나라 법에 따라 구미시장 4선 도전은 할 수 없기에 2018년 1월 25일에 [[경상북도지사|경북도지사]] 출마를 위해 자진 퇴임을 하였다. 곧바로 박정희 정신을 계승하겠다며 경북도지사 출마 선언을 했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 참석 이력을 강조하며 공약으로 포항 영일대에 박정희 동상을 설치하겠다고 한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2/26/0200000000AKR20171226141300053.HTML|연합뉴스]] 하지만 자유한국당 경상북도지사 경선에서 11.0%를 득표함으로써 경선을 꼴찌로 마감했다. 이후 경선에서 선출된 [[이철우(1955)|이철우]] 경상북도지사 후보의 공동선거대책본부장을 맡았다.
         현역 시장 시절 그의 어이없는 기행과 실정으로 인해 경북에서 젊은 세대가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는 구미 시민들은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비록 보수표가 세 갈래로 분열되기는 했지만 더불어민주당 [[장세용]] 후보를 선택하면서 투표로써 제대로 응징했다.
         그리고 시장뿐만 아니라 제반 정치 환경까지 새로 바뀌었다. 경북 도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자유한국당]]에 비해 앞섰으며, 시의회는 더불어민주당이 공천한 모든 후보가 1위 혹은 2위로 모두 당선되었다. 남유진 시장의 아스트랄한 실정에 지친 구미 시민들이 시장과 시의회를 통째를 바꾸게 된, 즉 위 아 더 월드를 보여 주었다고 할 수 있겠다.
         이쯤 되면 TK에 얼마나 더불어민주당이 자리잡지 못했는지 알 수 있다. 구미 같이 평균 연령이 낮은 TK 지자체에서도 더민주는 각 선거구별로 후보가 아예 없거나 1명 정도만 내었기 때문에 자유한국당 후보와 비교하면 후보 수 자체(시의회 후보 더민주 7명 VS 한국당 17명, 2.5배 차이다.)가 딸리기도 하고, 그 자유한국당 쪽 의원도 여러 명이 공천이 되기 때문에 있으나 마나한 더민주 후보(혹은 무소속)를 제끼면 최소 한명은 당선되는 시스템인데다가 그마저도 선산읍, 도개면, 무을면, 옥성면, 해평면처럼 고령층이 다수를 차지하는 시외 읍면 지역에서 당선된 인물이 5명이다. 나머지 동 지역은 더불어민주당이 1위를 휩쓸었다. 사실, 도의원 결과만 봐도 바로 설명 끝난다. 구미시의 도의원 당선자 6명 중 3명이 더불어민주당, 나머지 3명이 자유한국당 소속인데, 이 중 1선거구, 4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과반(52.22%, 50.33%)으로 당선되었다. 게다가 자유한국당 소속 도의원이 당선된 선거구 중 2선거구는 무투표 당선, 3선거구는 (비록 1:1이 아니고 보수표가 갈렸지만) 단 254표(0.8%p) 차로 당선되었다. 그리고 6선거구는 읍면 지역. 그만큼 자유한국당이 TK에서 그 동안 견제 세력 없이 얼마나 횡포를 부렸는지를 알 수 있고, 그걸 무기로 남유진이 자신의 사리사욕+덕질을 통한 자기만족을 위해 얼마나 구미 시민들을 만만하게 봤는지를 알 수가 있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풍운이 지나간 2018년 6월 17일, 40년 간의 공직 생활을 뒤로 하고 퇴임했다. 퇴임 이후에는 지역 후학들과 후배들에게 [[세뇌|강연]]을 하면서 보낼 예정이라고 한다.
         === 선거이력 ===
         ||<tablealign=center><rowbgcolor=#C9151E>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6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구미시장) || [[한나라당]] || '''98,758 (75.9%)''' || '''당선''' || ||
         || 201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구미시장) || [[한나라당]] || '''71,717 (53.9%)''' || '''당선''' || ||
         || 2014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구미시장) || [[새누리당]] || '''82,905 (52.5%)''' || '''당선''' || ||
  • 박희부 . . . . 38회 일치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1980년 [[전두환]] 정권이 출범하자 정치규제를 당하였다가 1984년 해금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민주당]] 후보로 충청남도 연기군-[[대덕구|대덕군]]-[[금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천영성]] 후보와 [[민주한국당]] [[유한열]]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충청남도 연기군-대덕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민주공화당]] [[이인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0년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출범할 때 합류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공천]]을 받지 못하자 [[통일국민당]] 후보로 충청남도 연기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치러진 [[제14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통일국민당을 탈당하여 민주자유당에 복당하였다. 이후 민주자유당, [[신한국당]]에서 원내부총무를 임명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민주연합]] 김고성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7년 한보그룹 비리로 구속되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2000년)|민주국민당]] 후보로 충청남도 [[공주시]]-연기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민주연합 [[정진석(정치인)|정진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열린우리당]] [[오시덕]]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한나라당]]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후보 [[경선]] [[전당대회]]에서 [[박근혜]]를 지지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무소속]]으로 세종특별자치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통합당]] [[이해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같은 해 치러진 [[제18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김덕룡]], [[문정수]], [[심완구]], [[강삼재]], [[이신범]], [[김정수(정치인)|김정수]], [[최기선]] 등과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를 지지하였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선여부 || 비고 ||
         || 1985 ||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충남 대덕/금산/연기) || [[신한민주당]] || 24,419 (17.45%) || 낙선 (3위) || ||
         || 1988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충남 대덕/연기) || [[통일민주당]] || 17,894 (20.46%) || 낙선 (2위) ||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충남 연기) || '''[[통일국민당]]''' || '''22,305 (49.13%)''' || '''당선 (1위)''' || 1992년 탈당[br][[민주자유당]] 입당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충남 연기) || [[신한국당]] || 11,989 (29.77%) || 낙선 (2위) ||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충남 공주/연기) || [[민주국민당(2000년)|민주국민당]] || 3,739 (3.72%) || 낙선 (6위) ||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충남 공주/연기) || [[새천년민주당]] || 7,797 (8.93%) || 낙선 (3위) ||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세종) || 무소속 || 1,071 (2.31%) || 낙선 (4위) || ||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세종특별자치시 출신 인물]]
  • 이인 . . . . 38회 일치
         |직책 = 前 초대 대한민국 법무부 장관
         |출생지= [[조선]]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대구군]] 동상면 사일리<br />(現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중구 (대구광역시)|중구]] 사일동)
         |사망지= {{국기나라|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산28의 22번지에서 16시 15분, 숙환으로 별세
         |국적= {{국기나라|대한민국}}
         '''이인'''(李仁, [[1896년]] [[10월 26일]] ~ [[1979년]] [[4월 5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법률가, 정치인이다. 자(字)는 자옥(子玉), 호(號)는 애산(愛山). [[일본]] 유학 후, [[1923년]] 변호사시험에 합격, 변호사를 개업하고 이후 [[일제 강점기]] 당시 [[김병로]], [[허헌]]과 함께 독립운동가 및 애국자, 사회저명인사들을 상대로 무료변호를 하여 등과 함께 '''3대 민족 인권 변호사'''로서 명망을 날렸다. 일제 강점기 말기에는 창씨개명을 거절하였고, 해방 후 우익 정치인으로 활동하다가 [[이승만]]의 단독정부 수립론에 가담하였다. [[1948년]] [[5월]] [[제헌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정부수립 이후 국회의원과 법무부장관을 역임하였다. [[1949년]] 7월에 [[반민특위]] 위원장에 임명되어 반민특위를 와해, 해체시켰다.<ref>{{서적 인용
         [[대한민국 제1공화국|제1공화국]] 붕괴 이후에는 군사정권에 맞서 야당 정치인으로 활동하였으며, 야당 원로로서 범 야당통합을 주장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954년]] 제3대 [[민의원]]에 당선되고 [[1960년]] 참의원(參議員)에 당선되었다. [[1962년]] 유엔인권옹호한국연맹 이사에 임명되었고, 1972년 민족통일촉진회장 ·[[국토통일원]] 고문 등을 역임했다. 자(字)는 자옥(子玉), [[호 (이름)|아호]]는 애산(愛山)이며 본관은 [[경주 이씨|경주]](慶州)이다. [[대구광역시]] 출신.
         1949년 3월 [[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인 [[장면]]이 주미대사 임명 관계로 국회의원직을 사퇴하자 그는 보궐선거에 출마하였다. 3월의 보궐선거에서 당선되어 제헌국회의원이 되었고, 6월에 법무부장관직을 사임하였다. [[1949년]] 6월 경찰의 [[반민특위]] 특경대 습격사건 이후 [[7월 7일]]에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 이인은 [[반민특위]] 특경대를 해산시키고 신변보호를 담당하던 경찰마저도 모두 철수시켜 '더이상 반민족 행위자의 체포가 없을 것'임을 분명히 하였다.<ref>1949년 7월 16일자 [[조선일보]] 기사 발췌</ref> 나아가 이인은 반민특위 해체를 주요내용으로하는 반민법 개정안을 제출하였고, 그나마 기소된 [[친일파]]도 제대로 처벌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시켰다.
         * [[대한민국 제1공화국|제1공화국]]
         * [[대한민국 법무부|법무부]]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1949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3·30 재보궐선거]]||[[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서울 종로구 을)]]||1대||[[무소속]]||{{막대|무|3|0|5}} 30.5%||10,351표||1위||[[파일:국회의원당선.png|25px|서울 종로구 국회의원 당선]]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제3대 총선]]||[[서울 영등포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서울 영등포구)]]||3대||[[대한국민당 (1948년)|대한국민당]]||{{막대|자|3|5|7|5}} 35.75%||8,420표||1위||[[파일:국회의원당선.png|25px|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 당선]]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제4대 총선]]||[[서울 종로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서울 종로구 갑)]]||4대||[[무소속]]||{{막대|무|1|1|0|7}} 11.07%||3,990표||3위||낙선
         * 《대한민국 의정총람》, 국회의원총람발간위원회, 1994년
         |직책 = 초대 [[대한민국의 법무부 장관|법무부 장관]]
         |임기 = [[1949년]] [[6월]]<ref>전임자인 [[장면]]이 1949년 2월에 주미국 대사로 부임하고, 1949년 3월에 종로구 을 선거구에 대한 보궐선거가 치러졌으며 이인은 1949년 6월 5일 법무부장관에서 해임되었으므로 임기가 1949년 6월경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ref> ~ [[1950년]] [[5월 30일]]
         |직책 =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참의원 지역구별 보기|참의원(서울특별시 제2부)]]
         |분류 = 대한민국의 제5대 참의원
         [[분류:1896년 태어남]][[분류:1979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반일 감정]][[분류: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분류:19세기 한국 사람]][[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제국의 유학자]][[분류:유교 신자]][[분류:일제 강점기의 대학 교수]][[분류:일제 강점기의 법조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조선어학회 사건]][[분류:한국의 군정기]][[분류: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관련자]][[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국민당 (1948년) 당원]][[분류:한국독립당]][[분류:신민당]][[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대한민국의 법무부 장관]][[분류:이승만 정부의 국무위원]][[분류:대한민국 제1공화국]][[분류:대한민국 제2공화국]][[분류:대한민국 제3공화국]][[분류:이범석 (1900년)]][[분류:대한민국 제4공화국]][[분류:이승만| ]][[분류:메이지 대학 동문]][[분류:니혼 대학 동문]][[분류:경주 이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정재호 (1964년) . . . . 38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시]]
         |거주지 =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경력 = [[한국외환은행]] 신용카드사 노조위원장<br />[[노무현]]대통령후보 정무보좌역<br />[[참여정부]] (대한민국, 2003년~2007년) [[대통령비서실]] 정무기획비서관실 행정관, 시민사회수석실 선임행정관, 사회조정비서관, [[국무총리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br />
         |소속상임위 = [[대한민국 국회 정무위원회|정무위원회]]
         '''정재호'''(鄭在浩, [[1965년]] [[10월 22일]] ~ )대한민국의 전 정무직 공무원이며 대한민국 20대 국회의원이다.
         정재호는 1998~2001년 [[외환은행]] 신용카드사 노조위원장을 역임했으며, 2002년 故 [[노무현]] 대통령후보 시절 정무보좌역, 2003년 [[참여정부]] 시절 [[대통령비서실]] 정무기획비서관실 행정관, 2005년 대통령비서실 시민사회수석실 선임행정관, 2006년 [[대통령비서실]] 사회조정비서관과 2007년 [[국무총리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 등 [[정무직]] 공무원직을 수행했다.
         * 2002.05 [[노무현]] 대통령후보 정무보좌역
         * 2003.02 [[노무현]] 대통령비서실 정무기획비서관실 행정관
         * 2005.04 [[노무현]] 대통령비서실 시민사회수석실 선임행정관
         * 2006.04 [[노무현]] 대통령비서실 사회조정비서관
         * 2012.12 민주통합당 제18대 대통령선거 문재인후보 선거펀드 총괄기획
         * 2017.04 ~ 2017.05 제19대 대통령선거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 중앙선거대책위원회 국민참여본부 수석부본부장
         * 2017.05 문재인 대통령 러시아 특사단
         * [http://nice929ho.kr/221029760532 대한민국 유권자 대상], 2017년 ([http://vdd.or.kr/ 유권자시민행동])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0001324 대통령의 밥값은 누가 낼까(정재호의 생생 리얼 토크), 모아북스, 2015년]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기록 시작|KR|개인}}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20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고양시 덕양구의 국회의원|경기 고양시 을]] | 더불어민주당 | 40,393 표 | 42.25 | 1위 | 당선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고양시 을|초선]] }}
         {{선거기록 끝}}
  • 허화평 . . . . 38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범죄자]][[분류:포항시 출신 인물]][[분류:1937년 출생]]
          * [[대한민국 국군/인물]], [[가톨릭/인물]]
         대한민국의 전 군인, 관료, 정치인이다. 자는 봉우(鳳宇), 호는 우민(佑民)이다. [[종교]]는 [[가톨릭]]으로 [[세례명]]은 필립보.
         1980년 9월 [[전두환]] 취임 후 [[대통령비서실]] 비서실보좌관으로 임명되었다.[* 당시 [[대통령비서실]] 직제에 비서실보좌관이라는 직함은 없었다. 말하자면 [[전두환]]이 자기 사람을 심기 위해 비서실보좌관이라는 없던 직제를 일부러 만들어서 허화평을 임명한 셈이다.] 이를 통해 실질적인 청와대 핵심 기획자 역할을 했고 차관급 관료임에도 유일하게 대통령과 함께 청와대 본관에서 근무했다. 명칭만 비서실 보좌관이었지 실질적으로 부총리급의 권력을 갖고 있었다고 한다. ~~보안사 시절부터 비서실장이었으니~~ [[허삼수]], [[허문도]] 등과 쓰리 허로 불리며 실세로 활동했다.
         대통령비서실 비서실보좌관실은 구 [[청와대]] 본관에 속해 있어서 전두환 대통령과의 관계가 매우 가깝다는 것을 방증하였다. 그러나 허화평의 권력이 너무 강하다는 지적에 1981년 12월 대통령비서실 산하 정무제1[[수석비서관]]으로 좌천되었다.[* 이후로 청와대 비서실장은 1982년 1월부터 [[이범석(1925)|이범석]]이 새로 도맡기도 하였다.]
         좌천된 상태에서도 저 정도의 위상이라면 실세로서 잘나가던 시절에 위세가 얼마나 대단했는지 짐작할 수 있다. 1982년 5월 [[장영자·이철희 금융사기 사건]]이 일어나자 이를 전두환 대통령의 친인척에 대한 견제 기회로 인식하고 친인척의 공직 사퇴를 건의하였다. 이러한 행동이 전두환 대통령에게는 항명으로 비춰져 1982년 12월 정무제1수석비서관에서 사임하게 되었다. 이후 허삼수와 함께 청와대를 나와 [[미국]]에 체류하며 헤리티지 재단 연구원으로 일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포항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김영삼]] 지지를 선언하며 [[제14대 대통령 선거]] 전 [[민주자유당]]에 입당하였다. 그러나 1995년 김영삼의 [[12.12 군사반란]] 및 [[5.18 민주화운동]] 관련 사법처리 조치로 기소되었다. 이에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포항)|북구]] 선거구에 무소속으로 옥중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12.12 군사반란 및 5.18 광주민주화운동과 관련하여 유죄 판결을 받아 국회의원직을 상실하였다. 이후 사면되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2000년)|민주국민당]] 후보로,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군사정권의 인사답게 민주화운동에 시종일관 부정적인 논조여서 많은 비판을 받았다. 《월간조선》은 2012년 3월호와 4월호에 걸쳐 허화평 전 대통령 정무수석과 심층 인터뷰를 했는데, 허 전 수석은 "[[5.18]]에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했을 것이라는 의혹을 지울 수 없다”며 “당시 정보당국의 감청에서 풀 수 없는 암호지령이 급증했다”고 회고했다.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정국이 요동치는 판에 허화평은 TV조선의 단독인터뷰에 응했다. 이 자리에서 허화평은 박근혜 대통령이 최태민의 정신적 포로라고 증언하면서, 이 같은 사건으로 한국의 정치적 후진성이 나타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http://m.news.naver.com/hotissue/read.nhn?sid1=100&cid=1051768&iid=1139394&oid=448&aid=0000186191|#]]
         '''그렇다면 왜 최태민을 잡아넣거나 재산을 몰수하지 않았느냐'''는 사회자의 반문에, 허화평은 [[박정희]] 대통령과 [[10월 유신]]의 결과물인 산업화를 지키기 위해서였다고 발언했다. 제5공화국의 첫 번째 과업이 박근혜와 최태민을 청산하는 일이었다는 말이다.[[http://news.naver.com/main/hotissue/read.nhn?mid=hot&sid1=100&cid=1051768&iid=1140067&oid=449&aid=0000114843&ptype=052|#]] 파장이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박근혜]]와 [[최태민]]의 부적절한 관계를 제대로 수사해서 청산하지 않고 놔둔 것이다. 이것이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단초를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박근혜와 최태민의 관계와 비리의 온상이 [[새마음봉사단]]이라고 보았으며, 그 결과 최태민과 박근혜의 관계를 제대로 드러내서 수습하지 못하고, 정치적 혼란기를 틈타 개인적인 관계를 끊어 달라는 수준에서 처리하고 묻어버린 것.
         5공시절의 정치인들은 대부분 매체에 노출되는 빈도가 매우 적은 데 반해 허화평은 방송 등 언론 노출 빈도가 높은 편이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당시에도 [[쾌도난마(채널A)|쾌도난마]]에 출연해서 [[박근혜 정부]]와 [[새누리당]]을 강도높게 비판한 바 있다.[* 당시 정무수석이던 [[조윤선]]이 11개월 동안 대통령을 독대하지 못했다는 어처구니 없는 말을 내뱉자 "정무수석쯤 되면 대통령이 안 만나 주더라도 집무실 문을 박차고 들어가야 된다."고 일갈했고 [[새누리당]]에 대해서도 "본인들이 앞장서서 이 정국을 헤쳐나갈 생각을 해야지 친박이니 비박이니 싸우기만 하면 안 된다."며 비판했다.] 또한 대한민국은 [[문고리 3인방|권력의 문고리만 잡으면]] 출세할 수 있는 나라라며 ~~문고리 잡아본 사람으로서~~ 제왕적 대통령제는 반드시 사라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포항) || '''무소속''' || '''69,395 (46.3%)''' || '''당선 (1위)''' || 1992년 [[민주자유당]] 입당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포항 북) || '''무소속''' || '''48,251 (44.2%)''' || '''당선 (1위)''' || '''옥중출마 당선'''[br]1997년 의원직 상실[br](12.12 군사반란 재판)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포항 북) || [[민주국민당(2000년)|민주국민당]] || 32,261 (30.5%) || 낙선 (2위) ||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포항 북) || 무소속 || 17,628 (16.1%) || 낙선 (3위) || ||
  • 이효상 . . . . 35회 일치
         '''이효상'''(李孝祥, [[1906년]] [[1월 14일]] [[경상북도|경북]] [[대구광역시|대구]] - [[1989년]] [[6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교육자, 철학자, 시인이다. 제5~7대, 제9~10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으며, 1963년 12월부터 1971년 6월까지는 7년 6개월 간 [[국회의장]](6대~7대)을 역임했다. 이는 역대 국회의장 중 최장 재임기간이다.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이고 세례명은 아길로이다. 본관은 [[성산 이씨|성산]]이며 아호는 한솔이다.
         * [[대한민국의 국회의장|국회의장]](6.7대)
         *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당의장서리ㆍ당총재상임고문
         그가 [[박정희]]의 대통령 선거 때 "이 고장은 [[신라]] 천 년의 찬란한 문화를 자랑하는 고장이지만 이 긍지를 잇는 이 고장의 임금은 여태껏 한 사람도 없었다. 박 후보는 신라 임금의 자랑스러운 후손이다. 이제 그를 대통령으로 뽑아 이 고장 사람을 천 년만의 임금으로 모시자.", "[[경상도]] 대통령을 뽑지 않으면 우리 영남인은 개밥에 도토리 신세가 된다" 등의 발언이 문제가 되어 지역감정을 조장했다. 현대 한국 정치사에서 지역감정을 정치적으로 이용한 효시로 보기도 한다.<ref name="김충식">[[김충식 (1954년)|김충식]], 정치공작사령부 남산의 부장들 1 (1992, 동아일보사)</ref>{{Rp|305}}<ref name="이상우">[[이상우]], 박 정권 18년: 그 권력의 내막 (1986, 동아일보사)</ref>{{Rp|343}}<ref>{{웹 인용 |url=http://www.sportsseoul.com/news2/ptoday/people/2009/0819/20090819101140200000000_7342608763.html |제목=[DJ 삶의 5가지 꼬리표] 시련·멍에는 역사의 거목을 키웠다 |확인날짜=2010년 1월 30일 |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090824010951/http://www.sportsseoul.com/news2/ptoday/people/2009/0819/20090819101140200000000_7342608763.html |보존날짜=2009년 8월 24일 |깨진링크=예 }}</ref>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제6대 총선]]||[[대구 남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시 남구)]]||6대||[[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막대|갈|5|1|4|3}} 51.43%||23,513표||1위||[[파일:국회의원당선.png|25px|대구 남구 국회의원 당선]]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제7대 총선]]||[[대구 남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시 남구)]]||7대||[[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막대|갈|5|5|9|2}} 55.92%||34,846표||1위||[[파일:국회의원당선.png|25px|대구 남구 국회의원 당선]]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제8대 총선]]||[[대구 남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시 남구)]]||8대||[[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막대|갈|4|2|8|6}} 42.86%||34,740표||2위||낙선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제9대 총선]]||[[대구 동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시 동구]]·[[대구 남구의 국회의원|남구)]]||9대||[[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막대|갈|4|3|0|8}} 43.08%||76,245표||1위||[[파일:국회의원당선.png|25px|대구 남구 국회의원 당선]]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제10대 총선]]||[[대구 동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시 동구]]·[[대구 남구의 국회의원|남구)]]||10대||[[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막대|갈|2|7|4|8}} 27.48%||79,299표||1위||[[파일:국회의원당선.png|25px|대구 남구 국회의원 당선]]
         |직책= [[대한민국의 국회의장]]
         |직책 =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의장
         |직책 = 참의원([[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참의원 지역구별 보기|경상북도 제1부]])
         |분류 = 대한민국의 제5대 참의원
         |소속정당 =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소속정당 =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소속정당 =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소속정당 = [[민주공화당 (대한민국)|민주공화당]]
         [[분류:1906년 태어남]][[분류:1989년 죽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도쿄 대학 동문]][[분류:경북대학교]][[분류:대한민국의 시인]][[분류:영남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국회의장]][[분류:유교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성산 이씨]]
  • 이상백 (1904년) . . . . 34회 일치
         | 사망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소속 = 前 [[국제 올림픽 위원회|국제올림픽위원회]] 종신위원 <br/> 前 [[대한민국 문교부]] 편수관 <br/> 前 [[서울대학교]] 교수 <br/> 前 [[고려대학교]] 교수 <br/> 前 [[한국독립당]] 체육행정특보위원
         |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이상백'''(李相佰, [[1904년]] [[8월 6일]] ~ [[1966년]] [[4월 14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사학자, 체육인, 작가, 언론인으로, 호는 상백(想白), 백무일재(百無一齋)이다.
         사학자로도 활동하였고 각종 사회단체와 문교부 고시출제위원, 중앙공무원교육원 명예교수 등을 역임했다. 일제 강점기 중반의 농구선수였으며 각종 올림픽 대회의 선수단 대표와 대표단장을 역임하였다. 학회 활동으로는 [[진단학회]], [[연경학회]], [[대한민국 학술원]]의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독립운동가 [[이상정]], 시인 겸 작가 [[이상화 (시인)|이상화]]의 동생이며, 수렵가 겸 문필가 [[이상오]]의 형이고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준장 [[박창암]]의 처숙부이다. 본관은 [[경주 이씨|경주]](慶州)이며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현재의 [[대구광역시]]) 출신이다.
         [[일제 강점기]]인 [[1932년]] 로스앤젤레스올림픽을 비롯,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대회의 대표로 참석한 경력이 인정되어, [[1948년]] 런던올림픽, [[1952년]] 헬싱키 올림픽, [[1956년]] 멜버른 올림픽에 파견되었으며, 그후 매번 올림픽에 출전하는 [[대한민국]]측 대표선수단 총감독, 단장, 아시아 경기 대회 대표 선수단 단장 등으로서 여러 번 선수단을 이끌고 해외에 원정하기도 했다. [[1960년]] 로마 올림픽 등의 선수단장으로 파견되었다.
         '삼봉인물고(三峰人物考)'를 발표한 이래 그는 [[정도전]]이 역적으로 몰린 것은 [[정도전]]의 잘못도 있지만 [[정도전]]의 정적들에 의해 일방적으로 비난, 부정적인 시각만 강조되어 왔음을 주장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다. 주로 고대사와 중세사, 상고사를 연구하는 타 학자들과 달리 그는 주로 조선 왕조사의 연구에 집중하여 힘썼으며 [[조선]] 건국과 조선 초기 분야의 연구에 업적을 이룩하여 [[1963년]] [[건국훈장]]과 [[문화훈장 대통령장]](大統領章)을 수여받았다.
         그는 작가이자 수필가로도 활동하였으며, [[대한민국 정부]] [[내무부]]의 고등고시 출제위원으로 국사, 문학 분야의 출제를 담당하였고, [[중앙공무원훈련원]] 고문 교수를 역임했다. 또한 [[대한민국 학술원]]이 출범하자 학술원 회원으로도 초빙되었다. 사회단체 활동으로는 연경학회(燕京學會) 회원, 동방문화 연구소 위원 등으로도 위촉되었다.
         [[1964년]]에 [[대한 올림픽 위원회]] 위원장과 [[국제 올림픽 위원회]] 종신위원에 선출되었으며, [[1963년]]에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문화훈장]] 대통령장을 수여받았다. [[1964년]] 도쿄 올림픽대회 선수단장으로 파견되었다.
         그가 죽은 이후 바로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국민훈장 모란장이 추서되고, [[1966년]] 8월에 [[일본]] 정부로부터 훈삼등 욱일중수장을 추서받았으며, [[1970년]] 12월에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한민국의 훈장#국민훈장(國民勳章, Order of Civil Merit)|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추서받았다.
         *** 조카사위: [[박창암]](朴蒼巖, [[1923년]] [[5월 15일]] ~ [[2003년]] [[11월 10일]], 군인, 정치가. '''이상오'''(李相旿)의 사위. 아호(雅號)는 만주(滿洲), 허주(虛舟), 농부(農夫). [[군사영어학교|대한민국 군사영어학교]] 1기 출신. [[대한민국 육군]] [[1성 장군|준장]] 전역.)
         [[분류:1904년 태어남]][[분류:1966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역사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스포츠인]][[분류:일제 강점기의 농구 선수]][[분류:일제 강점기의 스포츠 평론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수필가]][[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건국동맹]][[분류:대한민국 제1공화국]][[분류:대한민국의 별정직공무원]][[분류:한국독립당]][[분류:대한민국의 스포츠인]][[분류:고려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역사가]][[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사회학자]][[분류:대한민국의 수필가]][[분류: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
         [[분류:여행 작가]][[분류:대한민국의 군사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정치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과학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교육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스포츠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시사 평론가]][[분류:IOC 위원]][[분류:이병도]][[분류:김구]][[분류:이범석 (1900년)]][[분류:박헌영]][[분류:여운형]][[분류:김규식]][[분류:장건상]][[분류:박중양]][[분류:서울대학교 교수]][[분류:대륜고등학교 동문]][[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와세다 대학 동문]][[분류:서울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경주 이씨]][[분류:유교 신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정정용 . . . . 34회 일치
         |출생지=[[대한민국]] [[대구광역시]]
         |현 소속팀=[[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18]]
         |감독 클럽= [[대한민국 U-14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14]] (코치)<br />[[대한민국 U-14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14]]<br />[[대한민국 U-14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14]] (코치)<br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17]] (코치)<br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3]] (코치)<br>[[대구 FC]] (수석 코치) <br />[[현풍고등학교]]<br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18]]<br>[[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0]] (감독 대행)<br>[[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17]] (감독)<br>[[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3]] (감독 대행)
         '''정정용''' ([[1969년]] [[4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및 축구 지도자이다. [[2017년]] 7월부터 9월까지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의 임시 감독을 지냈다.
         |전임자 = {{국기그림|대한민국}} [[안익수 (축구인)|안익수]]
         |후임자 = {{국기그림|대한민국}} [[신태용]]
         |직책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대행
         |전임자 = {{국기그림|대한민국}} [[신태용]]
         |후임자 = {{국기그림|대한민국}} [[김봉길]]
         |직책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대행
         [[분류:196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축구 감독]][[분류:이랜드 푸마 축구단의 축구 선수]][[분류:내셔널리그의 축구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청주중학교 동문]][[분류:청주고등학교 동문]][[분류:경일대학교 동문]][[분류:명지대학교 동문]][[분류:한양대학교 동문]][[분류:대구 FC의 코칭스태프]][[분류: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서상기 (1946년) . . . . 33회 일치
         |출생지 = 미 군정 조선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대구]]<br />(現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국적 = 대한민국
         '''서상기'''(徐相箕, [[1946년]] [[1월 29일]] ~ , [[대구광역시|대구]])는 [[대한민국]] 정치가이다. [[한나라당]] 비례대표로 제17대 국회의원이 되었고, [[새누리당]]으로 [[대구 북구]]에 출마하여 제18대, 제19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이명박]] 대통령후보 과학기술정보통신분과 위원장으로 활동했고, [[2008년]] [[4월 9일]] [[제18대 총선]]에서 대구북구을에 출마 재선으로 당선되었다.
         [[2012년]] [[4월 11일]]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19대 총선]]에서도 대구 북구을에 출마하여 당선, 3선의원이 되었다.
         * [[2013년]] 대한민국우수국회의원대상 대상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기록 시작|KR|개인}}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7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틀:제17대 비례대표 한나라당|비례대표]] | 한나라당 | 7,613,660표 | 35.76 | 비례대표 20번 | 당선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비례대표 득표 결과|초선]] }}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8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대구 북구의 국회의원|대구 북구 을]] | 한나라당 | 69,604 표 | 86.3 | 1위 | 당선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광역시#북구 을|재선]] }}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9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대구 북구의 국회의원|대구 북구 을]] | 새누리당 | 66,595 표 | 58.6 | 1위 | 당선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광역시#북구 을|3선]] }}
         {{선거기록 끝}}
         [[분류:194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구칠성초등학교 동문]][[분류:경운중학교 (대구) 동문]][[분류:경기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동문]][[분류:호서대학교 교수]][[분류:웨인 주립 대학교 동문‎]][[분류:드렉셀 대학교 동문]][[분류:자유한국당 당원]][[분류:달성 서씨]][[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친이]][[분류:친박]]
  • 황보관 . . . . 33회 일치
         |출생지=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메달 나라|{{국기나라|대한민국}}}}
         '''황보 관''' (皇甫 官, [[1965년]] [[3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감독, 축구 클럽 경영자이자 전 [[대한축구협회]] 소속의 행정가였다. [[일본]] [[J리그]] 팀 [[오이타 트리니타]]의 코치, 감독을 거쳐 오이타 구단의 부사장 및 이사를 맡았고 [[2010년]]부터 오이타의 감독직을 다시 맡게 되었다. [[2011년]] [[대한민국]] [[K리그 클래식|K리그]] 팀 [[FC 서울]]의 감독을 맡아 [[대한민국]] 무대에 복귀했으나 성적 부진으로 117일 만에 사임하고 [[최용수 (축구인)|최용수]]에게 감독직을 넘겼다. 사임한 후 [[대한축구협회]]로 옮겨 기술교육국장을 맡았고 [[이회택]]의 후임으로 기술위원장이 되었다. 본관은 [[영천 황보씨]]이다.
         3전 전패로 탈락했던 [[1990년 FIFA 월드컵|이탈리아 월드컵]]에서 예선 2차전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전에서 [[안도니 수비사레타]]를 꼼짝 못하게 하는 시속 114 km 캐넌슛을 넣어 화제가 된 바 있다.<ref>[http://www.segye.com/Articles/SPN/SPORTS/Article.asp?aid=20120523022576&subctg1=&subctg2= 축구 슈팅속도 얼마나 되나]</ref> 이 득점은 [[1990년 FIFA 월드컵|이탈리아 월드컵]]에서 [[대한민국]]이 기록했던 유일한 득점이었다.
         은퇴 후 그는 지도자보다는 구단 경영자, 행정가로 더 두각을 드러냈다. [[1998년]] 은퇴한 후, [[아시아 축구 연맹|AFC]]에서 주관하는 'C,B,A 코스' 및 '프로페셔널 지도자 코스'를 이수하였다. [[1999년]]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0 대표팀]] 트레이너를 맡은 뒤, [[오이타 트리니타]]에서 코치로 활동하였다. [[2001년]] [[오이타 트리니타]] 유스 팀 감독으로 자리를 옮겼고, 지도력을 인정받아 [[2004년]] [[오이타 트리니타]]의 수석 코치로 활동하였다. [[2005년]] [[요한 베르거]] 감독이 성적 부진으로 사임하자, [[오이타 트리니타]] 감독으로 승격하였다.<ref>[http://osen.freechal.com/news/view.asp?Code=G04120600017 황보관 J리그 오이타 감독 승격]</ref> 감독 취임 뒤, [[경상남도]] [[통영시]]에서 열린 [[통영컵]]에 참가하여 데뷔전을 치러 우승을 차지하여 성공적인 시작을 알렸으나,<ref>[http://osen.freechal.com/news/view.asp?Code=G05022700011 황보관의 오이타, 2005 통영컵 패권]</ref> 성적 부진으로 9개월 만에 해임되었다.<ref>[http://joy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menu=702220&g_serial=167328 황보관 오이타 감독, 전격 해임 '성적 부진 탓']</ref> 이후 [[오이타 트리니타]] 유소년 육성부장을 거쳐, [[오이타 트리니타]] 부사장 및 이사에 올랐다. [[2008년]] 팀이 [[J리그 컵]]에서 우승하자, 우승컵을 갖고 [[대한민국]]을 방문하였다. 또한 [[일본문리대학]] 축구부의 테크니컬 디렉터도 맡았다. 오이타가 [[2009년]] 경영난 속에 [[J리그 디비전 2|2부 리그]]로 강등된 후, 이듬해 감독직에 복귀하였다. 그러나 2부 리그에서도 15위에 그치자 사임하였다.<ref>{{뉴스 인용|제목=황보관, J2 오이타 사령탑에서 퇴임|url=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1011300164 |출판사=OSEN |date={{날짜한글화|2010-11-30}} }}</ref>
         * [[1988년]] ~ [[1995년]] {{국기그림|대한민국}} [[제주 유나이티드 FC|유공 코끼리]]
         * [[2011년]] {{국기그림|대한민국}} [[FC 서울]] 감독
         ==== {{국기그림|대한민국}} [[제주 유나이티드 FC|유공 코끼리]] ====
         * [[리그컵 (대한민국)|리그컵]] 우승 1회 (1994년)
         |이전={{국기그림|대한민국}} [[김주성 (축구인)|김주성]]
         |다음={{국기그림|대한민국}} [[고정운]]
         |후임자 = {{국기그림|대한민국}} [[최용수 (축구인)|최용수]]
         |직책 = 제9대 {{국기그림|대한민국}} [[FC 서울]] 감독
         |제목=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span style="color:ffffff;">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span>]]
         {{1988년 AFC 아시안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1990년 FIFA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1990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대한민국 선수 명단}}
         [[분류:196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축구 감독]][[분류: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축구 선수]][[분류:오이타 트리니타의 축구 선수]][[분류:오이타 트리니타의 축구 감독]][[분류:FC 서울의 축구 감독]][[분류:FC 서울의 코칭스태프]][[분류:1988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분류:1990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90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분류:1990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축구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동메달리스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구침산초등학교 동문]][[분류:계성중학교 동문]][[분류:서울체육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동문]][[분류:영천 황보씨]][[분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일본의 외국인 축구 선수]][[분류:일본의 외국인 축구 감독]][[분류:J1리그의 축구 감독]][[분류:J2리그의 축구 감독]][[분류:K리그1의 축구 감독]][[분류:재팬 풋볼 리그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 영플레이어상 수상자]][[분류:K리그1 베스트 11 수상자]][[분류:일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감독]]
  • 표창원 . . . . 32회 일치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70000B><-5><bgcolor=#FFFFFF><:>{{{#70000B '''[[대한민국|{{{#70000B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70000B 국회의원}}}]] ([[경기도|{{{#70000B 경기}}}]] [[용인시 정|{{{#70000B 용인시 정}}}]])'''}}}||
         ||<width=30%><:>''선거구 신설''[br][[김민기(정치인)|김민기]][* [[용인시 을]] 선거구의 [[제19대 국회의원]]이다.]||<width=5%><:>→||<width=30%><bgcolor=#FFFFA0><:>'''제20대[br]표창원'''||<width=5%><:>→||<width=30%><:>''현직''||
         || '''약력''' ||<(> [[대한민국 경찰청|경찰청]] 제도개선기획단 연구관[br][[경찰대학]] 행정학과 교수[br]한국경찰발전연구회장[br]아시아경찰학회장[br]표창원범죄과학연구소장[br]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 ||
         [[대한민국]]의 [[형사]] 출신[* 1989년 임용.] 경찰학자[* 프로파일러, 범죄심리학자로 흔히 알려져있으나 일선에서 범죄심리분석관으로 근무한 적은 없다. 주 전공은 사회학이고 그걸로 학위를 받은 [[경찰학]] [[박사]]이다. 실제 일선에서 근무했던 범죄심리분석관들의 여러 인터뷰에서도 범죄학자이지 프로파일러는 아니라고 하고 있다. 그의 주 전공은 경찰학이다. "Doctor of Philosophy in Police Studies in the Faculty of Social Studies" [[RISS]]에서 검색하는 내용을 봐도 경찰학 전문가가 맞으며 표창원이 낸 교양책을 봐도 경찰학 중심이다.], 정치인.
         [[대한민국]]의 제20대 국회의원([[용인시 정]])으로 소속 정당은 [[더불어민주당]]이다.
         정계입문 이전에 국내에서 가장 지명도 있는 프로파일러, 범죄학자로 다방면에서 활동했다. 오랫동안 [[경찰대학]] 교수로서 교편을 잡았다가 [[문재인]] 당시 [[더불어민주당]] 인재영입위원장의 영입 제안을 받아들여 민주당에 입당했다. 이후 그 동안 갈고 닦은 지명도로 [[20대 총선]]에서 [[경기도]] [[용인시]] 정 선거구에 출마해 51.6%의 비교적 높은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이때 표창원 옆에서 바라본 당시 대한민국 경찰 수사라는 것은 엉망진창이었다.[* 영화 [[살인의 추억]]에서는 치밀한 범인의 완전범죄로 묘사되지만 실제로는 범인이 피고 버린 담배부터 해서 증거가 차고 넘쳤다. 다만 당시 대한민국의 과학수사 수준이 영...(..)] 결국 사건이 미제로 남게되자 패배감을 느꼈고, 당시 대한민국에는 전문적으로 학문을 배울때가 마땅치 않아 유학을 선택했다. 이후 1993년 국비장학생으로 [[영국]] 엑서터 대학교로 유학을 떠나서 경찰학을 수학해 1997년까지 사회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땄다. 범죄학이 아니다! 애초 엑서터 대학에는 경찰 및 범죄관련 석박사 과정이 없고 학사만 있다.[* 2015년 기준 [[http://www.exeter.ac.uk/undergraduate/degrees/sociology/criminologybsc/|학부과정]]은 개설되어 있긴 하다. 그러나 박사과정은 여전히 사회학만 [[http://www.exeter.ac.uk/postgraduate/research-degrees/sociology/mphil-phd_sociology/|개설되어 있다.]]] 다만 박사의 학위논문의 주제는 확실히 경찰과 관련이 있다.
         방송 쪽으로는 [[SBS]] [[그것이 알고 싶다]]와 같은 범죄 관련 프로그램에 단골로 출연하여 유명해졌고, 케이블 채널의 <살인자는 말한다>등의 자기 이름을 걸고 나오는 프로를 진행한 적도 있다. 2012년 경찰대학 정교수 퇴직 이후에는[* 개인 [[블로그]] 및 [[트위터]]를 통해 [[국가정보원 여론조작 의혹]]에 대한 견해를 표명하는 과정에서 돌연 "경찰대의 정치적 중립성을 침해할 수 있다."는 이유로 경찰대학 교수직을 사퇴했다.] [[JTBC]] [[표창원의 시사 돌직구]]라는 프로그램에 MC로 발탁돼 방송인을 겸했으며, 범죄심리분석 전문가로서의 행보는 계속해서 이어가고 있다. 대외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면서 본 문서에서도 여러 차례 지적했던것 처럼, "저명성에 걸맞는 전문성을 갖추고 있냐."는 지적들이 나왔지만, 어쨌거나 [[대한민국]]에 프로파일 기법이나 범죄자에 대한 복합적 연구를 처음으로 대중화한 점에서 공로가 있다는 것은 인정 받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에서 대중적인 범죄학자 표창원을 1호 인재로 영입하면서 많은 관심을 모았는데, 영입 초반에는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21&aid=0001807908|#'''오세훈 전 시장'''과 대결시킨다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다.]] 이때 본인은 이에 대해 '''"[[오세훈]] 전 시장 아니라 [[박근혜]] 대통령과 붙으라고 해도 하겠다"'''며 당락에 신경쓰지 않겠다는 모습을 보였으며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21&aid=0001807908|#]] [[국민의당|안철수 신당]]과의 중재자 역할을 자청하기도 했다. 그러나 오세훈 전 시장은 서울 [[종로구]]로, 표 교수는 밑에 서술되어 있듯 경기도 [[용인시 정]] 선거구에 출마하게 되면서 둘의 대결은 없던 일이 됐다.
         2016년 1월 22일 발표된 [[더불어민주당]] 선거대책위원 인선에서 선대위원으로 선임되었다.
         2016년 2월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용인시]]에 신설된 [[용인시 정]] 선거구[* 구성동, 청덕동, 마북동, 동백동, 보정동, 죽전1동, 죽전2동]에 출마한다고 밝혔다. [[경찰대학]]이 있던 지역이었고,[* 그가 공천을 받기 직전인 2016년 2월에 경찰대가 충남 아산시로 이전해갔다.] 그가 원래 거주하던 지역이다.[* 선거 기간 중 지역구 내에서 [[어린이집]] 차량사고가 났는데, 이때 자기 딸들도 그 어린이집을 다녔다고 밝힌 것으로 보아 전부터 살던 곳이 맞는 듯 하다.] 그리고 [[2016년]] [[3월 7일]] 당에서 표 전 교수를 [[전략공천]]하기로 확정 발표하였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0&oid=003&aid=0007080865|#]]
         4월 13일 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68,273표(51.4%)를 득표해, 새누리당 [[이상일(정치인)|이상일]] 후보를 이기고 당선되었다.
         다만 분명히 기억해야 할 점은 수사의 90%이상은 경찰이 수행하고 있다는 것이다. 2014년 기준으로 검사 한 명 당 하루에 11.4건의 사건을 배당받고 있는데, '''잔업해서 12시간 근무를 해도 거의 한시간에 사건 하나를 해결해야 한다(...)''' 사실상 수사의 주체는 경찰이고 경찰이 수사한 그 내용을 바탕으로 검사가 영장 집행시에만 지휘하는게 일반적이다. 즉 사실 이미 경찰이 수사 개시해서[* 경찰의 수사개시권은 2011년 때 법안 개정을 통해 이미 법률적으로 명문화되어 있다.], 증거를 모아서, 용의자를 잡아서, 검사한테 주면 검사가 이를 확인한 뒤 "OK" 외치고 끝나는 상황인데, 이것을 검사가 수사지휘를 하고 있다고 말하기엔 무리가 있다. 즉 경찰에게 유리한 내용이라기보다는 수사/기소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경찰은 수사에, 검사는 기소와 공소유지에 전념하자는 내용이다. 그리고 수사지휘권이 없어도 검찰의 기소권만으로도 얼마든지 보완수사를 요청하거나 경찰의 수사권을 통제할 수 있다고도 일선 경찰들은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영장 청구권이 없으면 수사에 애로사항이 많다는 점에서[* 강제수사의 핵심은 영장이다. [[영장주의]]참조.] 검사의 권한은 해당 개정안에서도 여전히 막강하다.[* 실제로 표 의원보좌관의 SNS를 보면 해당 개정 내용을 접한 일선 경찰들이 표 의원의 보좌관(보좌관도 경찰출신이다.)에게 연락해서 "영장청구권를 왜 검찰에 남겼냐."라며 하소연을 했다고 한다.] 하지만 2018년에 있을 제7회 지방선거 때 같이 치뤄질 개헌 안을 살펴보면 검사의 독점적 영장청구권 폐지에 대해 동의하는 의원들이 있으므로 경찰에게도 영장청구권이 생길 가능성은 매우 높으며 개헌이 되지 않을 가능성에 대비해 경찰도 여러가지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검사에게 영장을 청구할 시 검사는 법리적인 내용만 검토하게 하거나 혹은 변호사 자격을 가진 경찰을 특별검사와 같은 지위를 부여해 이들에게 영장청구권을 허용하게끔 하는 방안, 검사에 의해 영장이 반려되었을 때 법원에 항고를 할 수 있는 항고권 부여 방안 등이 논의되고 있다. 표창원 의원의 경우 발의한 법안과의 균형을 고려해 경찰의 항고권 보유에 찬성하고 있다. 이에 관해 2018년 6월 21일 KBS 라디오에 전화로 출연해 다시 한 번 본인의 주장을 내세웠다. 현재는 경할은 수사는 하지만 종결권이 없다. 이는 한 번 한 수사 결과를 검찰이 받아서 다시 검토하는 두 번 일이 되므로 수사 결과를 기다리는 피해자/피의자가 더 오래 기다려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 그러나 경찰이 수사권을 가지고 종결까지 할수 있게 될 경우에는 이를 해소할수 있으며, 문제가 없으면 바로 기소하면 되고 문제가 있으면 검찰이 재수사나 보완을 지시할수 있으므로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그에 대해 "경찰 내에서 종결권이 있다면, 경찰이 껄끄러운 사건을 묻어버리면 어쩌냐" 하는 반론이 있는데, 이에 대해 표 의원은 "검찰에서 묻어버리면 이미 대민 창구인 경찰의 손을 떠난 후라 사람들이 알수 없지만, 경찰에서 그러면 사건 관련된 사람들이 언론과 온라인으로 문제 제기를 하게 되고, 수사 지휘권이 있는 검찰도 알게 되므로 경찰이 사건을 묻어버리는 것이 불가능하다."라고 주장하였다.
          * [[국가정보원]]으로부터 고소를 당한 적도 있다. 2013년 1월에 [[경향신문]]에 올린 한 칼럼에서 표창원은 국정원이 정치적 중립성을 잃어버렸고 무능하고 무력하다고 지적하면서 국정원이 위기라고 썼는데, 이 내용이 국정원의 명예를 훼손했다는 이유. --4년 뒤의 실상을 보면 팩트폭행이었다-- 이 건은 1년이 지나서 '''무혐의가 명백하기 때문에''' 각하되었다. 애초에 판례 상 국가기관은 명예훼손의 피해자가 될 수 없다.~~헌법에 나와있는 내용인데?!~~[* 해당 판례가 밝히는 정의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민주주의 사회에서 국가기관은 당연히 국민들의 비판의 대상이 되며, 비판으로 인해 더 나은 발전을 추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를 욕한다고 [[고소미]]를 먹진 않으니까-- ~~하지만 [[대한민국 제1공화국|옛]][[대한민국 제4공화국|날]][[대한민국 제5공화국|에]]는 [[코렁탕|어떻게]] 했더라?~~]
          * [[https://twitter.com/DrPyo/status/705740934244204544|자신이]] [[https://twitter.com/DrPyo/status/705744988726886400|만든]] [[https://twitter.com/DrPyo/status/705749478217641987|선거]] 포스터를 트위터에 올렸는데, 지지자들로부터 이 포스터의 디자인이 [[우와 정말 데단해~~|구리다는]] 평을 받았고 본인도 이를 [[https://twitter.com/DrPyo/status/705752159585832963|인정했다]]. 그 후 보다 못 한 지지자들이 재능기부를 하는 현상이 벌어졌다. [[http://m.media.daum.net/m/media/politics/newsview/20160307000458094|기사]]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tablealign=center><rowbgcolor=#1870B9>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용인시 정|경기 용인 정]]) || [[더불어민주당]] || '''68,273 (51.40%)''' || '''당선 (1위)''' || ||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교수]][[분류:포항시 출신 인물]][[분류:1966년 출생]][[분류:무한도전의 역대 게스트]][[분류:1대 100 역대 1인]][[분류:대화의 희열 역대 출연자]]
  • 서상일 . . . . 31회 일치
         '''서상일'''(徐相日, [[1886년]] [[7월 9일]] - [[1962년]] [[4월 18일]], [[대구]] 출생)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정치가이다. [[대한민국 제1공화국|제1공화국]] 기간 중에는 [[야당]]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호 동암(東菴). 본관은 [[달성 서씨|대구]].
         그러나 그후 [[한민당]]을 탈당하고 야당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48년 5월 초대 제헌국회의원 선거에서 대구 을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6월 1일]] 헌법기초위원회 위원장에 선임되었다.<ref>[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s=B&i=208337&v=44 '헌법기초위원회' - 네이트 백과사전<!-- 봇이 따온 제목 -->]{{깨진 링크|url=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s=B&i=208337&v=44 }}</ref>
         그러나 1950년 5월30일 실시된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같은 지역구에 출마했으나 낙선하고 말았다.
         1952년 전쟁중 임시수도인 부산 충무동 광장에서 열린 6ᆞ25기념식장에서 당시 현역의원인 2대국회의원 김시현의 사주를 받은 전의열단원 유시태가 이승만 대통령을 권총으로 저격하려다가 미수에 그친 일이 있었는데 당시 기념식 행사를 촬영중이던 국립영화제작소의 촬영카메라에 김시현이 쓰고있던 중절모에서 권총을 꺼내 유시태에게 건네주는 장면이 포착되어 두 사람은 모두 특무대에 체포되었다 배후를 수사하던 특무대는 전국회의원 서상일이 당시 현역의원이던 김시현에게 거사자금으로 2백만원을 지원한 사실을 밝혀내고 그를 구속했다 그런데 의아한 점은 당시 치안국장(오늘날 경찰청장) 윤우경도 사전에 암살음모 첩보를 입수했음에도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도 않았고 오히려 김시현을 불러다 한번 다그친 후에는 차량이 없는 그에게 경찰찌프차와 운전사까지 대여해주었던것이다 구속된 서상일은 재판에서 유죄를 선고받고 집행유예로 풀려나왔지만 피선거권이 박탈되어 1954년의 3대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할수 없게 되자 자신의 선거구(대구 을구)에 조병옥을 대신 출마시켜 당선되도록 했다 이런 인연이 있음에도 후일 서상일이 조봉암의 호헌동지회 참가를 설득하자 조병옥은 냉정히 거절하였으며 이때문에 두 사람은 멱살잡이와 욕설까지 주고 받게 된다.그런데 이때 조병옥 장면 김준연 등 주로 보수야당 한민당 출신들이 조봉암의 민주당 합류를 반대했던 것은 이승만의 사사오입개헌 발의안에 서명까지 했던 자유당 출신 김영삼도 아무 이의없이 받아들인것을 감안하면 매우 자가당착적인 것이었다
          결국 1954년 이승만의 3선저지를 위해 결성된 호헌동지회에 참여하였던 서상일은 [[박기출]], [[장택상]] 등과 함께 [[조봉암]]의 [[호헌동지회]] 참가를 반대하는 [[조병옥]], [[김준연]], [[장면]], [[박순천]] 등에게 항의하고[[호헌동지회]]를 탈퇴했다.그런데 그후 조봉암과 함께 진보당을 창당하는 과정에서 조봉암이 원래 서상일을 대통령후보로 추대하기로 했던 두 사람간의 밀약을 깨고 조봉암 자신이 대통령후보로 나서려하자 이때문에 심기가 상한 서상일은 조봉암과 사실상 결별의 수순에 들어가 후일자신을 당 대표로 한 민주혁신당을 창당하였다
          일단 서상일은 1956년 3월 31일 진보당전국추진위원대표자회의에 참석하기는 하였으나 진보당전국추진위원대표자회의에서 [[대통령]] 후보에 [[조봉암]], [[부통령]] 후보에 서상일을 지명하자 한사코 이를 고사해 나중에 [[박기출]]로 바뀌었다.<ref name=autogenerated1>서중석, 이승만과 제1공화국 (역사비평사, 2007) 157</ref> 서상일은 선거대책위원장에 선출되었다. 그러나 정부 당국에서 이 회의에 참석한 진보당추진위 대표들에게 협박·공갈·회유를 했고, 대회장에는 정치깡패 유지광이 이끄는 폭력단이 난입해 테러를 자행했다.<ref name=autogenerated1 />
         56년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여론에 떠밀려 제일야당 민주당과 진보당은 후보단일화협상을 갖게 되었는데 협상장에서 진보당 대통령후보 [[조봉암]]은 민주당 [[대통령]] [[신익희]]에게 양보의사를 밝히는대신 [[부통령]] 후보는 중요하지 않으니 민주당측이 양보해달라는 의사를 전했다.<ref name="서158">서중석, 이승만과 제1공화국 (역사비평사, 2007) 158 페이지</ref> 일단 [[신익희]]는 이 제의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민주당 (1955년)|민주당]] 으로서는 이것도 받아들이기 어려운 요구였다. 왜냐하면 당시 신구파연합체였던 민주당은 당내경선에서 구파의 영수 신익희와 신파의 영수 장면을 나란히 정부통령 후보로 선출하였던 것인데 신익희가 신파를 설득하는것도 쉬운일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신익희ᆞ조봉암 회동이 이루어진지 6일만에 호남유세에 나섰던 신익희가 호남선 열차안에서 뇌출혈로 급사함으로써 사실상 후보단일화는 엉뚱하게 조봉암으로 되어버렸지만 민주당은 당차원에서 조봉암을 밀 생각은 전혀 없었고 오히려 민주당 최고위원 김준연은 조봉암의 사상적 문제점을 들어 이승만 지지를 공개선언하기까지 했다.
         이때 서상일은 후보 단일화 문제를 놓고 [[조봉암]]과 끊임없이 토론하고 좋은 결론을 심사숙고하려 했다. [[조봉암]], 서상일 등은 원래는 선거가 종반전에 들어갈 때 정부통령 후보를 모두 민주당측에 양보하는 것에 합의했으나 신익희의 급작스런 사망으로 조봉암이 사실상 대통령 단일후보가 되자 선거말미에 가서 부통령 후보 박기출만을 사퇴시켰던것이다. <ref name="서158"/> 대선이후 서상일은 겉으로는 [[조봉암]]과 함께 [[진보당]] 결성 운동을 추진했으나 이미 대선후보 결정당시 [[조봉암]]과 감정이 상했기 때문인지 [[진보당]] 결성에는 참여하지 않았고 사실상 1인정당인 민주혁신당을 창당했으나 이 당이 사실상 힘을 쓰지 못하자 서상일 또한 정치적으로 무기력한 상태에 처해지게 되어 정계은퇴와 다름없는 생활을 하게 된다. [[1962년]]에 [[서울]] [[종로구]] [[명륜동]] 자택에서 [[간장염]]으로 사망했다.
         * [[대한민국 제헌국회 총선|1948년 5월 10일]] : [[대한민국 제헌국회 총선 경상북도#대구부 을구 (제2선거구)|제헌 국회의원(경북 대구을)]]
         * 《대한민국 의정총람》, 국회의원총람발간위원회, 1994년
         |분류 = 대한민국의 제5대 민의원
         [[분류:1885년 태어남]][[분류:1962년 죽음]][[분류:병사한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반일 감정]][[분류: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분류:조선의 사회 운동가]]
         [[분류:대한제국의 사회 운동가]][[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한국의 군정기]][[분류:대한민국 제1공화국]][[분류:대한민국 제2공화국]][[분류:호헌동지회]][[분류:윤보선]][[분류:윤치호]][[분류:조봉암]][[분류:장택상]][[분류:민주당 (대한민국)]][[분류:진보당 (대한민국) 정치인]][[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대구 서씨]][[분류:간 질환으로 죽은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김문오 . . . . 30회 일치
         | 국가 = [[대한민국]]
         '''김문오'''(金文澳, [[1949년]] [[5월 4일]] ~ )은 [[대한민국]]의 언론인 출신 정치인이다. 현재 대구광역시 달성군수이다.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기록 시작|KR|개인}}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4회 지방 선거|지방 선거]] | 33대 | [[지방 관청|군수]] | [[달성군|대구 달성군]] | 무소속 | 14,094 표 | 22.44 | 2위 | [[대한민국 제4회 지방 선거|낙선]] | 민선 4기 }}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5회 지방 선거|지방 선거]] | 34대 | [[지방 관청|군수]] | [[달성군|대구 달성군]] | 무소속 | 31,378 표 | 47.22 | 1위 | 당선_대구 | [[대한민국 제5회 지방 선거 대구광역시#기초자치단체장|초선]], 민선 5기 }}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6회 지방 선거|지방 선거]] | 35대 | [[지방 관청|군수]] | [[달성군|대구 달성군]] | 새누리당 | 무투표 | 0 | 단독출마 | 당선_대구 | [[대한민국 제6회 지방 선거 대구광역시#기초자치단체장|재선]], 민선 6기 }}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7회 지방 선거|지방 선거]] | 36대 | [[지방 관청|군수]] | [[달성군|대구 달성군]] | 무소속 | 64,474 표 | 58.0 | 1위 | 당선_대구 | [[대한민국 제7회 지방 선거 대구광역시#기초자치단체장|3선]], 민선 7기 }}
         {{선거기록 끝}}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문화방송의 직원]][[분류:대한민국의 기초지방자치단체장]][[분류:자유한국당의 정치인]][[분류:경상중학교 동문]][[분류:경북대학교 동문]][[분류: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동문]][[분류:대구화원초등학교 동문]][[분류:달성군 출신 인물]]
  • 김승목 . . . . 30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호는 가남(佳南)이다. 2015년 [[췌장암]]으로 별세한 1945년생 영화배우 [[진도희]]의 사촌 오빠였다.
         1959년 [[민주당(1955년)|민주당]] [[박순천]]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의 비서관으로 일하면서 정계에 입문하였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박기출]]의 뒤를 이어 [[부산광역시|부산직할시]] [[동구(부산)|동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김영삼]]과 신민당 복수공천을 받아 부산직할시 [[서구(부산)|서구]]-동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김영삼과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 [[박찬종]] 후보에 밀려 3위 이하 득표로 낙선하였다. 1974년 [[정일형]] 등이 화요회라는 계보를 창설하자 화요회에 속하였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산직할시 [[남구(부산)|남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김재홍(1932)|김재홍]]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 후보로 부산직할시 [[해운대구]]-남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이흥수(1928)|이흥수]]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한민주당]] [[이기택]] 후보와 민주정의당 [[유흥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평화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마포구]]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통일민주당]] [[강신옥]]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1991년)|민주당]] 공천에서 [[김현규]]에 밀려 탈락하였다.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상임고문을 역임하였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71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광역시|부산직할시]] [[동구(부산)|동구]]) || || || '''당선''' || ||
         || 1973 || [[제9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직할시 [[서구(부산)|서구]]-동구) || [[신민당(1967년)|신민당]] || || 낙선 || ||
         || 1978 ||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직할시 [[남구(부산)|남구]]) || || || '''당선'''[* 민주공화당 [[김재홍(1932)|김재홍]] 후보와 동반 당선] || ||
         || 1981 ||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직할시 [[해운대구]]-남구) || [[민주한국당]] || || '''당선'''[* [[민주정의당]] [[이흥수(1928)|이흥수]] 후보와 동반 당선] || ||
         || 1985 ||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직할시 [[해운대구]]-남구) || [[민주한국당]] || || 낙선 || ||
         || 1988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마포구]]을) || [[평화민주당]] || || 낙선 || ||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구미시 출신 인물]][[분류:1929년 출생]][[분류:2003년 사망]]
  • 청도군 . . . . 30회 일치
         ||<-2><bgcolor=#04B4AE> {{{#FFFFFF '''국가'''}}} ||<bgcolor=#E0F2F7> [[대한민국]] ||
         ||<-2><bgcolor=#ACDB67> {{{#0B3B17 '''군수'''}}} ||<bgcolor=#CEF6CE> [[이승율]]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재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2><bgcolor=#ACDB67> {{{#0B3B17 '''국회의원'''}}} [br] [[영천시·청도군|{{{#0B3B17 {{{-1 (영천시·청도군)}}}}}}]] ||<bgcolor=#CEF6CE> [[이만희(정치인)|이만희]]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초선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그 외에 [[복숭아]]도 유명했으나, 복숭아 농장이 점차 줄어들어서 지금은 현지에서도 구하기 쉽지 않아졌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는 청도 반시와 청도 한재 [[미나리]]가 등록되어 있다.
         || '''후보''' ||<:><bgcolor=#1870B9>{{{#FFFFFF 문재인}}}||<:><bgcolor=#C9151E>{{{#FFFFFF '''홍준표'''}}}||<:><bgcolor=#046240>{{{#FFFFFF 안철수}}}||<:><bgcolor=#00B1EB>유승민||<:><bgcolor=#FFCC00>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 '''선거''' ||<:>'''18대 대선'''||<:>'''20대 총선'''||<:>'''19대 대선'''||<:>'''증감율 (대선/대선)'''||<:>'''증감율 (총선/대선)'''||<:>'''18대 대선'''||<:>'''20대 총선'''||<:>'''19대 대선'''||<:>'''증감율 (대선/대선)'''||<:>'''증감율 (총선/대선)'''||
         [[13대 총선|13대]] 이후 [[국회의원]] 당선자는 다음과 같다. 인구가 적은 지역 특성상 이웃 경산시와 한 명의 국회의원을 뽑았으나, [[20대 총선]]부터는 경산시와 분리되어 영천시와 공동선거구를 구성하였다.
         얼핏 보면 조용해 보이는 고장이지만, 청도군수 선거를 4년(2005~2008)에 4번 치른(쉽게 말해 재선거만 3번) 것과 관련되어 청도군 전체가 발칵 뒤집힌 적이 있었다. 선출되는 군수마다 금품수수 때문에 실형을 선고받아 낙마한 데다 지역 유지나 마을 주민들이 선거운동 등을 통해 비슷한 혐의를 받은 터라 군민 상당수가 선거사범(…)이 되다시피 했다. 수배된 사람 중에 자살자가 여럿 나올 정도였으니. [[http://www.sisainlive.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7|관련 기사]]
         사실 이 사건의 경우, 사회의 민주적 의식기반이 없는 상태에서 민주주의적 제도를 시행했을 경우에 생길 수 있는 부작용 사례로써 상당히 중요하게 여겨지는 경우도 있다. 일단 해당 사건들의 배경으로 금권, 관권, 부정선거가 판치는 시기를 겪었던 노인층의 도덕적 해이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분석이 있다. 물론 실제로 금품을 살포한 후보자 및 선거본부가 제일 나쁜 놈들인 건 분명하지만, 선거라고 하면 뭔가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그런 행위가 범죄임을 인식하지 못하여 후보자나 선거운동원에게 '''뭔가 없냐'''고 채근하고, 금품을 줄 수 없다고 하면 '''그러면 선거에 왜 나왔느냐'''고 힐문하기까지 했다는 지역주민들의 책임 역시 결코 부정할 수 없다는 것.
         나아가, 시골 특유의 폐쇄적이고 인맥중심적인 사회구조가 부정선거 문제를 심화시키는 심각한 원인이 되었다는 분석도 있다. 청도군은 집성촌을 중심으로 한 가문집단(문중)이나 초·중학교 학연(동창관계)등을 통하여 종횡으로 엮인 인맥관계가 사회적 분위기를 주도하는 폐쇄적인 사회였고, 이런 구조 속에서 부정선거 문제가 암처럼 번져나갔다는 것이다. 이런 인맥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선거전 속에서 갈등과 대립이 심화되고, 금품 살포등도 이런 인맥 구조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선거 조직을 통해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금품 살포가 공공연히 일어난 최악의 [[부정선거]]가 일어난 것이다.''' 인구 5만명이 채 안 되는 청도군에서 동(반)단위로 금권 선거운동 책임자가 500명, 금품을 받은 주민 수가 5000명에 이른 상황은 실로 참극이라고 하기에도 부족함이 없을 정도다. 선거 몇 번 하고 나니 지역 주민의 10% 이상이 범죄자로 전락한 것이다! 게다가, 수사 과정에서 발생한 자살자 2명의 사례 역시 한심하면서도 안타깝기 그지없는 일이다. 위 기사 링크에 나온 이야기처럼 전문 선거꾼이나 협잡꾼도 아닌, 그저 평범하고 성실하게 살면서 주변 사람들에게 좋은 평판도 얻었던 그냥 동네 아저씨들이 이런 인맥구조에 얽혀 선거운동원이 되었다가, 결국은 선거 과정에서 금품을 살포한 범죄자가 되어 경찰 수사를 받던 끝에 자살에 이른 것이다. 이에 대하여 비꼬기 좋아하는 사람들의 경우 차라리 전문 선거꾼이라면 이런 일로 자살 안 한다고 이야기하는 경우도 있다.
         평소에는 선량하고 성실하게 살았던 사람들이기에 범죄자로 전락하여 경찰 수사를 받게 된 심리적 부담감을 견디지 못하고 자살에 이르렀다는 것. 또한, 이들이 자살에 이르게 된 심리적 압박감의 주요한 원인 중 '''자신을 통해 금품을 전달받은 주변 사람들이 물게 된 과태료'''가 있다는 점 역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으레 선거때면 나눠주는 것이겠거니 생각하고 별 죄책감 없이 십만원 상당의 금품을 주고받았지만, 경찰 수사 결과 금품수수 사실이 드러나면서 50배의 과태료를 물게 된 것. 10만원의 50배인 500만원은 도시에서도 가볍다고 보기 어려운데, 농가 입장에서는 '''무서울 정도로''' 무거운 돈이 된다, 이 때문에 오랜 기간 원만하게 유지되던 지역의 인간관계가 순식간에 파탄에 이르게 되었다.
         결국, 청도군 군수 선거 부정 사건은 얼핏 보면 촌극 같지만 지독한 비극으로 끝맺게 되었으며 민주주의의 확립은 제도적인 개선뿐만 아니라, 국민들의 도덕적인 의식 개선이 함께하지 않으면 이루어질 수 없다는 반면교사로 기억되게 되었다. 하다 못해, 선거가 진행되는 시기에 불미스런 일과 관련되어 금품을 수수하는 것은 범죄이고, 처벌대상라는 점이 명확하게 홍보되기만 했더라도 문제가 이 정도까지 심각해지지는 않았을 가능성은 분명 있다.
  • 이선희 . . . . 29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이선희'''(李仙姬, [[1964년]] [[12월 14일]]([[1964년]] [[음력 11월 11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 겸 [[작사가]]이고 [[작곡가]]이다.
         1991년 [[서울시의회]] 의원 선거에 당선되어 제3대 서울특별시의회 의원으로 활동하였다. 음악적으로는 1990년대로 접어 들면서 고비가 왔다. 7집 《그대가 나를 사랑하신다면》은 <그대가 나를 사랑하신다면>, <그대가 떠나신 후에> 등이 인기를 끌긴 했지만 이전만큼은 아니었고 상업적으로도 제일 저조한 성적을 얻었다. 1992년 변화된 가요계 상황에 대응하여 국악과 가요의 콜라보레이션을 이룬 8집 《조각배》를 발표하였다. 타이틀곡 <조각배>와 <초원>, <작은 연가>, <성주풀이>, <한네의 이별> 등을 이선희만의 느낌으로 소화한 실험적인 앨범으로서 색다른 변화에 대단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후 한때 1995년 12월 6일에서 1996년 2월 17일까지 [[새정치국민회의]] 문화예술행정특보위원 직위에 보임되어 잠시 활약하였으며 [[새정치국민회의|국민회의]] 탈당 직후 1996년 3월 21일에서 1996년 6월 1일까지 [[민주당 (대한민국, 1995년)|통합민주당]] 문화예술행정특보위원 직위에 보임되어 활약하였고 [[민주당 (대한민국, 1995년)|통합민주당]] 탈당 직후 1996년 10월 발표한 10집 《First Love》(대표곡 <라일락이 질 때>)는 모든 노래의 작사, 작곡에 직접 참여하였다. <회색 도시>는 락의 느낌으로, <성안의 아이>는 몽환적인 느낌으로 팬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또한 <아카라카치>는 삶에 희망을 주는 메시지를 담고 응원 구호를 접목시키며 가창력까지 돋보이게 해 응원가로도 쓰인다. 이 앨범 이후로 이선희는 싱어송라이터의 면모도 보여 주기 시작했다.
         [[2011년]] [[2월 3일]]에 세계적인 가수들만 설 수 있다는 뉴욕 카네기홀 중에서도 가장 큰 메인공연장인 '아이작 스턴 오디토리움'에서 대한민국 대중가수로는 3번째로 단독 공연을 가졌다.<ref>{{뉴스 인용
         [[분류:196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1980년대 가수]][[분류:1990년대 가수]][[분류:2000년대 가수]][[분류:2010년대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싱어송라이터]][[분류:골든디스크 본상 수상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팝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댄스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록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음악 프로듀서]][[분류:1984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연출가]][[분류:스타 오디션 위대한 탄생]][[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정치인]][[분류:민주자유당 당원]][[분류:새한국당]][[분류:민주당 (대한민국, 1991년) 당원]][[분류:민주당 (대한민국, 1995년) 당원]][[분류:새정치국민회의]][[분류:새천년민주당 당원]][[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의 배우자]][[분류:계명대학교 교수]][[분류:연세대학교 교수]][[분류:계명문화대학교 교수]][[분류:동아방송예술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여성 기업인]][[분류:한산 이씨]][[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동문]][[분류:중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일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타이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홍콩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대한민국의 장로교도]]
  • 전태일 . . . . 29회 일치
         |출생지=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부]] [[남산동 (대구)|남산동]]<br>(현 [[대구광역시]] [[중구 (대구광역시)|중구]] [[남산동 (대구)|남산동]])
         |사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거주지= [[대한민국]]
         |국적= [[대한민국]]
         '''전태일'''(全泰壹, [[1948년]] [[9월 28일]] ~ [[1970년]] [[11월 13일]])은 [[대한민국]]의 봉제 [[노동자]]이자 [[노동운동가]], [[인권]] 운동가이다. [[1960년대]] [[평화시장 (서울)|평화시장]] 봉재공장의 [[재봉사]], [[재단사]]로 일하며 [[노동]]자의 권리를 주장하였다.
         [[1969년]] [[6월]] [[청계천]] 공장단지 노동자들의 노동운동 조직 [[바보회]]를 결성하고, 다니던 교회와 [[엠마누엘 수도원]] 등에서 잡역부로 일하던 중 다시 [[왕성사]]의 재단사로 [[청계천]]으로 돌아와 노동운동을 주도했다. 그는 [[동대문구]]청과 [[서울특별시]]의 근로감독관과 [[노동청]]을 찾아가 열악하고 위험한 노동환경 개선을 요구했으나 묵살당했고, [[박정희]] [[대한민국대통령|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냈으나 전달되지 못했다. [[1970년]] [[10월]]에는 본격적으로 근로조건 시위를 주도하였다. [[11월]] [[근로기준법]] 화형식과 함께 [[평화시장]] 입구에서 온 몸에 [[휘발유]]를 끼얹고 라이터로 분신 자살하였다. 그의 죽음을 계기로 [[11월 27일]] [[청계피복노동조합]]이 결성되었고, [[노동 운동]]이 재확산되었다.
         노동운동의 대부로 인식되는 탓에 그를 마치 반정부적이고 반체제적인 인물로 왜곡된 인식을 갖는 경우가 있는데, 정부와 대통령을 향해 보낸 탄원서에서도 그는 '대통령은 국부이고, 곧 저희들의 아버지'라고 표현하였다. 그는 대통령에게 노동자들의 극히 열악한 작업환경을 개선해주기를 호소하는 내용의 탄원서를 보냈다.
         {{인용문2|존경하시는 대통령 각하 옥체 안녕하시옵니까? 저는 제품(의류) 계통에 종사하는 재단사입니다. 각하께선 저들의 생명의 원천이십니다. 혁명 후 오늘날까지 저들은 각하께서 이루신 모든 실제를 높이 존경합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길이길이 존경할 겁니다. 삼선개헌에 관하여 저들이 알지 못하는 참으로 깊은 희생을 각하께선 마침내 행하심을 머리 숙여 은미 합니다. 끝까지 인내와 현명하신 용기는 또 한번 밝아오는 대한민국의 무거운 십자가를 국민들은 존경과 신뢰로 각하께 드릴 것입니다.<br><br>...(이하 중략)...<br><br>저의 좁은 생각 끝에 이런 사실을 고치기 위하여 보호기관인 노동청과 시청 내에 있는 근로감독관을 찾아가 구두로써 감독을 요구했습니다. 노동청에서 실태조사도 왔었습니다만 아무런 대책이 없습니다. 1개월에 첫 주와 삼 주 2일을 쉽니다. 이런 휴식으로썬 아무리 강철같은 육체라도 곧 쇠퇴해 버립니다. 일반 공무원의 평균 근무시간 일주 45시간에 비해 15세의 어린 시다공들은 일주 98시간의 고된 작업에 시달립니다. 또한 평균 20세의 숙련 여공들은 6년 전후의 경력자로써 대부분이 햇빛을 보지 못한 안질과 신경통, 신경성 위장병 환자입니다. 호흡기관 장애로 또는 폐결핵으로 많은 숙련 여공들은 생활의 보람을 못 느끼는 것입니다.<br><br>응당 기준법에 의하여 기업주는 건강진단을 시켜야 함에도 불구하고 법을 기만합니다. 한 공장의 30여명 직공 중에서 겨우 2명이나 3명 정도를 평화시장주식회사가 지정하는 병원에서 형식상의 진단을 마칩니다. X레이 촬영 시에는 필림도 없는 촬영을 하며 아무런 사후 지시나 대책이 없습니다. 1인당 3백 원의 진단료를 기업주가 부담하기 때문입니까? 아니면 전부가 건강하기 때문입니까? 나라의 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실태입니까? 하루 속히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약한 여공들을 보호하십시오. 최소한 당사들의 건강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정도로 만족할 순진한 동심들입니다. 각하께선 국부이십니다. 곧 저희들의 아버님이십니다. 소자된 도리로써 아픈 곳을 알려 드립니다. 소자의 아픈 곳을 고쳐 주십시오. 아픈 곳을 알리지도 않고 아버님을 원망한다면 도리에 틀린 일입니다.<br><br>저희들의 요구는 1일 14시간의 작업시간을 단축하십시오.<br>1일 10시간 - 12시간으로, 1개월 휴일 2일을 일요일마다 휴일로 쉬기를 희망합니다.<br>건강진단을 정확하게 하여 주십시오.<br>시다공의 수당 현 70원 내지 100원을 50%이상 인상하십시오.<br><br>절대로 무리한 요구가 아님을 맹세합니다. 인간으로서의 최소한의 요구입니다. 기업주 측에서도 충분히 지킬 수 있는 사항입니다.<ref>권태억, 《근현대 한국 탐사》 (역사비평사, 2007) 398~400페이지</ref>}}
         [[박정희]]에게 보낸 진정서에서 그는 "삼선개헌에 관하여 저들이 아지 못하는 참으로 깊은 희생을 각하께선 마침내 행하심을 머리 숙어 은미합니다. 끝까지 인내와 현명하신 용기는 또한번 밟(밝)아오는 대한민국의 무거운 십자가를 국민들은 존경과 신뢰로 각하께 드릴 것입니다.<ref>전태일, 《내 죽음을 헛되이 말라》 (돌베개, 1983) 136쪽</ref>…(이하 생략)…하루 속히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약한 여공들을 보호하십시요. 각하께선 국부이십니다. 곳(곧) 저희들의 아버님이십니다. 소자된 도리로써 아픈 곳을 알려드립니다. 소자의 아픈 곳을 고쳐 주십시오.<ref>전태일, 《내 죽음을 헛되이 말라》 (돌베개, 1983) 138쪽</ref>"라고 했다.
         [[1970년]] [[10월 8일]] 그는 [[삼동회]] 대표들을 이끌고 [[평화시장 (서울)|평화시장]] 사무실에 찾아가 노동자 [[숙소]] 다락방 철폐, 정식 기숙사 설치, [[노동조합|노조]] 결성 지원, 위생 환경 개선 등의 내용을 담은 노동 8개 항의 요구를 제출하였으나 거절당했다. 그는 [[박정희]] [[대통령]] 앞으로도 탄원서를 보냈지만 [[탄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고 중간에 소거되었다. [[10월 24일]] 그는 [[서울]] 도심에서 근로 조건 개선 거리시위를 기도했으나, 오후 1시 사전에 경비원의 신고로 정보를 입수하여 출동한 [[대한민국의 경찰|경찰]]의 방해로 무산되었다.
         그러나 전태일의 몸에 불이 붙은 상태에서 방치당하고 있었다. [[조영래]]에 의하면 "쓰러진 전태일의 몸 위로 불길은 약 3분 가량 타고 있었는데 너무나 뜻밖의 일이라 당황하여 아무도 불을 끌 엄두를 못 내었다.<ref name="chock283"/>" 한다. 그는 온 몸에 불이 붙은채 평화시장 앞을 달리는 와중에도 끝까지 "[[대한민국 정부|정부]]는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라는 마지막 말을 남기고 쓰러졌다. 시간이 흐른 뒤 "한 친구가 뛰어와서 무어라고 소리를 지르며 [[재킷|잠바]]를 벗어서 불길을 덮었다.<ref name="chock283"/>" 한다.
         당시 [[신민당 (1967년)|신민당]] 대통령 후보였던 [[김대중]]은 [[1971년]] [[1월 23일]] 연두 기자회견에서 '전태일 정신의 구현'을 공약으로 발표하기도 했다.<ref>조영래, 《전태일 평전》 (돌베개, 1998) 27쪽</ref> 이후 [[신민당 (1967년)|신민당]]은 노동 운동에 호의적인 정책을 펼쳤고, 노동자 시위는 경찰과 정부의 탄압을 피해 [[신민당 (1967년)|신민당]]의 당사로 피신하는 일도 종종 발생하였다.
         이를 두고 환자를 살려야 되는 [[의사]]들이 책임을 방관했다는 비판이 있다. "그 당시 전태일의 담당 의사는 한 개인이 아니었다. [[1970년]] [[11월]]의 [[대한민국]] 의료계 전체가 전태일의 마지막 길을 동반한 주치의였다. 그 글(전태일의 입원 과정)을 읽었던 [[1987년]]의 의료계도 사회적 책무라는 면에서는 [[1970년]]의 의료계와 별반 달라질 게 없었던 듯 했다.<ref>김선, 《의사가 말하는 의사》 (도서출판 부키, 2004) 104페이지</ref>"는 비판이 있다.
         성서학자 정승우에게 "전태일이 없었다면 한국 노동자들의 [[인권]]은 수십 년 뒤에나 존중받았을 것"<ref>《인류의 영원한 고전-신약성서》/정승우 지음/아이세움</ref> 이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그는 대한민국의 노동 인권과 [[민주주의]]의 발달에 큰 영향을 끼쳤다. 노동계에서는 전태일을 부를 때 흔히 '[[열사]]'나 '동지'<ref>동지 호칭은 아직 통용되는 건 아니지만 전태일 어머니 이소선은 유언처럼 남긴 말에서 열사 호칭을 극구 사양하고, 언제나 함께하는 노동자라면서 '동지'로 불러줄 것을 간곡히 요청했었다.:오도엽, 《지겹도록 고마운 사람들아》, 후마니타스, 287쪽. 예:“전태일'동지'가 그처럼 장렬하게 죽었고, 그에 뒤이어 우리 모두 엄청난 고난과 시련을 겪으면서 무수한 투쟁을 전개했으며”-[[장기표]]의 글에서</ref> 호칭을 붙인다.
         한편 이후 노동운동과 반정부 운동의 상징이 되면서 대단히 급진적이고 전투적인 인물인 것처럼 이미지가 만들어졌다<ref name="sangcahm">함규진, 《역사법정:한국사 인물논쟁》 (포럼, 2006) 330페이지</ref> 는 시각도 있다. 역사학자 함규진에 의하면 "노동운동과 반정부 운동의 상징이 되면서 대단히 급진적이고 전투적인 인물인 것처럼 이미지가 만들어어졌지만, 그가 쓴 글은 아주 소박하고 온건하다. '대통령 전상서'의 내용을 보면 골자가 [[근로기준법]]을 준수하고, 악덕 기업주들을 단속해 달라는 것이다. 마지막은 이렇게 맺고 있다. '각하께서는 국부이십니다. 곧 저희들이 아버님이십니다. 소자 된 도리로서 아픈 곳을 알려드립니다. 소자의 아픈 곳을 고쳐주십시오. 아픈 것을 알리지도 않고 아버님을 원망한다면 도리에 틀린 일입니다.'<ref name="sangcahm"/>"라는 것이다. [[전태일 평전]]을 읽어보면, 전태일은 급진적이거나 생각이 편향된 사람이 아니라 [[기독교인]]의 양심으로써 노동인권운동에 헌신했다고도 볼 수 있다. 전태일 평전에 전태일이 쓴 일기가 실려있는데, [[십계명]]으로써 하나님이 [[안식일]]을 정하셨으니 [[노동자]]들은 휴식할 권리가 있다고 했다.
         * [[대한민국 제4공화국|제4공화국]]
         * [[전순옥]] : 전태일의 여동생이자 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 정치인
         * [[민주노동당 (대한민국)|민주노동당]]
         [[분류:1948년 태어남]][[분류:1970년 죽음]][[분류:정선 전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노동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작가]][[분류:반공주의자]][[분류:전태일]][[분류:대한민국 제3공화국]][[분류:대한민국의 자살한 사람]][[분류:분신 자살한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감리교도]]
  • 김태환(1943) . . . . 28회 일치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이다. 5선 국회의원과 정무제1장관을 역임한 허주 [[김윤환]]의 친동생으로 아버지 [[김동석]]도 제4대 국회의원(경상북도 선산군. [[무소속]]-[[자유당]])을 역임하였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상북도 구미시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05년 한나라당 제1사무부총장에 임명되었다. 2005년 골프장에서 시비가 붙어서 건방지다면서 골프장 경비원을 폭행했는데 비슷한 시기 맥주병 폭행을 일으킨 당시 같은 당적의 [[곽성문]]의원 등과 더불어 진보 네티즌들의 빈축을 사기도 하였다. 더 가관이었던건 이때 사용한 도구가 건어물(...)이어서 '오징어 의원'이라는 비아냥이 돌았었다.
         이후 [[친박]]계 정치인으로 활동하였으며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를 앞둔 한나라당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후보 선출 [[전당대회]]에서 [[박근혜]] 후보를 지지하였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내 [[친이]]계 수뇌부의 공천학살에 따라 공천을 받지 못하자 한나라당을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당선 후 한나라당에 복당하였다. 그리고 한나라당 경상북도지부 수석부위원장, 경상북도당 운영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2010년 12월 5일 일왕 축하파티가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소공동에서 열렸는데 거기에 참석하였다는 이유로 논란이 되었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2년부터 2013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행정안전위원장을, 2013년부터 2014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안전행정위원장을 역임하였다.~~이게 다 부서 이름 앞뒤만 바꿔서 그렇다~~
         [[새누리당]]에서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의 공천을 주지 않기로 했다. 이를 두고 살생부가 현실이 되었다는 논란이 제기되었으며, ~~당연히~~ 후보는 강력 반발하고 있다. 결국 새누리당을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했으나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새누리당 [[장석춘]] 후보에게 밀려 떨어졌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rowbgcolor=black> {{{#white 연도}}} || {{{#white 선거종류}}} || {{{#white 소속정당}}} || {{{#white 득표수(득표율)}}} || {{{#white 선여부}}} || {{{#white 비고}}}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구미시 을) || '''[[한나라당]]''' || '''32,804 (54.39%)''' || '''당선 (1위)''' || 2008.3.18 탈당[br](공천불복)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구미시 을) || '''무소속''' || '''33,125 (60.53%)''' || '''당선 (1위)''' || 2008.7.11 복당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구미시 을) || '''[[새누리당]]''' || '''38,090 (57.94%)''' || '''당선 (1위)''' || 2016.3.11 탈당[br](공천불복)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구미시 을) || 무소속 || 33,414 (47.62%) || 낙선 (2위) || ||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구미시 출신 인물]]
  • 박상돈(정치인) . . . . 28회 일치
         * [[정치인/목록]]. [[가톨릭/인물]]. [[대한민국 국군/인물]]
         [[대한민국]]의 [[군인]], [[공무원]], [[정치인]]이다. [[종교]]는 [[가톨릭]]으로 [[세례명]]은 아퀴나스이다.
         이후 [[유신사무관]]으로 근무하면서 [[대한민국 육군]] [[소령]]으로 예편하였다. 내무부(현 [[행정자치부]]) 지방행정국 지방기획과장,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충청남도 [[아산시|아산]][[군수]], 대천시장, [[서산시]]장, 충청남[[도청(행정)|도청]] 기획실장 등을 지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충청남도 [[천안시]]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인 [[한나라당]] [[함석재]]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열린우리당의 후신 [[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을 탈당하여 [[자유선진당]]에 입당하였다. 원래 박상돈 의원은 열린우리당 내에서도 가장 보수적인 의원이라 평가받고 있었다. 자유선진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자유선진당에서 원내대표, 사무총장 등을 역임하였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국회의원]]직을 사퇴하고 [[자유선진당]] 후보로 충청남[[도지사]]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2008년)|민주당]] [[안희정]]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선진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통합당]] [[박완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같은 해 자유선진당이 [[국민생각]]과 합당하여 [[선진통일당]] 소속이 되었다가 선진통일당이 새누리당에 흡수되자 [[새누리당]] 소속이 되었다. 이후 [[자유한국당]] 소속이 되었다.
         또 다른 천안시의 국회의원인 [[양승조]] 의원과 함께 국무총리실 관리관 출신의 [[구본영]]을 열린우리당으로 영입하는데 큰 업적을 세운 인물이다. 현재 자신은 [[자유한국당]]에 있지만, 남은 두 사람은 각각 충남도지사 후보를 노리고 있고, [[천안시]]장을 역임하고 있다. --어쩌면 천안시를 민주당의 텃밭으로 만들려는 큰 그림이었을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육사2기수 절친후배인 [[구본영]] 현직시장과 대결하게 되었다. --[[구본영]]의 선거책자 뒷면에는 ''[[문재인]] [[양승조]] 구본영 VS [[홍준표]] [[이인제]] 박상돈' 이라고 적혀있다(...)--
         선거기간 중에 재보궐 발생비용을 부담하라며 국회의원직을 사퇴하고 충남지사에 출마한 양승조를 공격했다가, 그럼 8년 전 재보궐비용부터 물어내라는 반박에 데꿀멍했다.(...) 8년 전에는 역으로 자신이 의원직을 사퇴하고 충남지사에 출마했던 터라. 사실 이건 양승조를 공격하기보단 시장 경쟁자인 구본영을 공격하려는 의도였는데, 구본영이 비리혐의로 재판이 예정되어 있다 -> 낙마할 경우 천안시장 재보궐을 치룬다!로 연결하려 했던 것.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tablealign=center><rowbgcolor=#C9151E>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충남 천안 을) || '''[[열린우리당]]''' || '''41,615 (45.51%)''' || '''당선 (1위)''' || 2008년 탈당[br][[자유선진당]] 입당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충남 천안 을) || '''[[자유선진당]]''' || '''36,949 (42.80%)''' || '''당선 (1위)''' || 2010.5.4 사퇴[br](충남지사 출마) ||
         || 201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남도지사) || [[자유선진당]] || 347,265 (34.94%) || 낙선 (2위) ||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충남 천안 을) || [[자유선진당]] || 18,075 (18.06%) || 낙선 (3위) ||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남 천안시장) || [[자유한국당]] || 92,119 (35.31%) || 낙선 (2위) || ||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 [[분류:대한민국의 군인]] [[분류:세종특별자치시 출신 인물]]
  • 박창달 . . . . 28회 일치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70000B><-5><bgcolor=#FFFFFF><:>[[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상징.png|width=30px]]]] {{{#70000B '''[[대한민국|{{{#70000B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70000B 국회의원}}}]] ([[대구광역시|{{{#70000B 대구}}}]] [[동구 을|{{{#70000B 동구 을}}}]])'''}}}||
         ||<width=30%><:>''선거구 통합''[br][[강신성일]][* [[동구(대구)|동구]]]||<width=5%><:>→||<width=30%><:>'''제17대[br]박창달'''[* 의원직 상실]||<width=5%><:>→||<width=30%><:>제17~20대[br][[유승민]]||
         [[대한민국]]의 [[정치인]]. [[포항시]] 출신. [[계성고등학교]],[[한국외국어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박근혜]] 대통령을 1998년 대구 달성군 지역구로 이끌어 정계 진출을 성공시킨 주역이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탄핵역풍 속에서도 자신이 영입한 박근혜가 당 대표가 되면서 텃밭 대구 동 을 지역구 공천을 받아 무난하게 당선되었다. 그러나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1년 반여만에 의원직 상실 크리.(...) 그리고 그의 지역구는 바로 [[유승민]]이 차지하게 된다. 이후 2008년 [[이명박]] 대통령의 8.15 특사로 사면복권되었지만 [[제18대 국회의원 선거]]는 이미 지났다.(...) 사면복권되기 전에는 당원이 될 수 없기에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당원이 아니어도 할 수 있는 후보 및 유세단 경호 등에 참여했다.
         사실 박근혜 영입을 주도했다곤 하지만 정작 박근혜가 거물 정치인으로 성장한 이후에는 친박계보에 속하지 않고 친이계에 속했다. 이명박의 중학교 4년 후배기도 하고 이재오와 친밀하게 지냈다. 19대 총선에서는 자신의 지역구였던 대구 동 을에 유승민이 버티고 있었기에 대신 대구 중/남 지역구에 공천을 신청했으나 친이계라고 [[김희국]]에 밀라 탈락, 이에 반발하여 무소속 출마를 선언했으나 느닷없이 불출마를 선언하고 자유총연맹 회장직을 맡게 된다. 본인의 말에 따르면 '''당시 위(청와대, 즉 이명박 대통령)에서 자유총연맹 회장직을 제안해 어쩔 수 없었다고.''' 실제로 이념적 성향은 [[극우]]가 아니라고 한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같은 지역구에 공천 신청을 했으나 탈락, 불복하고 무소속 출마를 강행하였으나 새누리당 [[곽상도]] 후보와 [[더불어민주당]] 김동열 후보에 밀려 3위로 낙선하였다.
         3선 의원이지만 실제 수행임기는 6년이 채 안된다. 온전히 4년 임기를 수행한건 16대뿐이고, 15대는 3개월, 17대는 1년 3개월이다.(...) 그나마 17대는 공직선거법으로 당선 자체가 무효된 것이어서 엄밀히 말하자면 선수로 쳐줄수도 없다.[* 물론 언론 등에선 정치인들이 당선무효가 된 선수도 그냥 포함시켜 카운팅해주기는 한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tablealign=center><rowbgcolor=#C9151E>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26번) || '''[[신한국당]]''' || - || 낙선→'''당선''' || 2000.3.8 승계[BR](윤원중 의원 탈당으로 승계)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15번) || '''[[한나라당]]''' || - || '''당선''' ||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 동 을) || ~~'''[[한나라당]]'''~~ || ~~'''45,245 (55.09%)'''~~ || ~~'''당선 (1위)'''~~ || 2005.9.15 의원직 상실[BR](공직선거법 위반)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 중/남) || 무소속 || 11,256 (10.93%) || 낙선 (3위) || ||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 서훈 (1942년) . . . . 28회 일치
         '''서훈'''(徐勳, [[1942년]] [[4월 30일]] 대구 ~ )은 [[대한민국]]의 제14·15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다.
         [[대한민국 제13대 총선|13대 총선]]에서는 [[통일민주당]] 소속으로, [[대한민국 제14대 총선|14대 총선]]에서는 [[통일국민당]] 공천으로 출마해 낙선했으나, [[1993년]] [[문민정부]] 초기에 [[공직자 재산공개]]로 [[박준규 (1925년)|박준규]] 당시 국회의장이 의원직 사퇴를 선언해서 치러진 보궐선거에서 [[민주자유당]] [[노동일]] 후보에 신승하면서 국회에 입성한다. 당시 지역감정이 억세기로 소문난 대구 지역 유일의 무소속 당선자여서 화제를 모았고, 자전거를 타고 국회에 출근하며 타 국회의원들이 언급하기 꺼려하는 국정사항에 대해 과감하게 질의하는 등의 소신 행보로 화제를 모은다.
         이를 기반으로 [[대한민국 제15대 총선|15대 총선]]에서 재선에 성공한 뒤 [[2000년]]의 [[대한민국 제16대 총선|16대 총선]]에서 [[한나라당]]의 공천을 신청했으나 [[1997년]]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15대 대선]] 당시 [[이회창]] 총재의 비토론자였다는 이유로 낙천되었고, 이 후 [[김윤환 (1932년)|김윤환]]을 따라 [[민주국민당 (2000년)|민주국민당]]으로 출마했으나 낙선한다.
         이 후 [[국민통합21]]을 거쳐 한나라당에 복당해 [[대한민국 제17대 총선|17대 총선]]과 [[2005년 재보궐선거]]에 잇달아 공천신청을 했으나 낙천되었다.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제13대 총선]]||[[대구 서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서구 갑)]]||13대||[[통일민주당]]||{{막대|적|1|9|7|8}} 19.78%||19,242표||3위||낙선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제14대 총선]]||[[대구 동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동구 을)]]||14대||[[통일국민당 (대한민국)|통일국민당]]||{{막대|자민|4|2|5|9}} 42.59%||29,843표||2위||낙선
         |[[1993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8·12 재보궐선거]]||[[대구 동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동구 을)]]||14대||[[무소속]]||{{막대|무|4|5|4}} 45.4%||28,729표||1위||[[파일:국회의원당선.png|25px|대구 동구 국회의원 당선]]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제15대 총선]]||[[대구 동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동구 을)]]||15대||[[무소속]]||{{막대|무|3|0|2|7}} 30.27%||20,715표||1위||[[파일:국회의원당선.png|25px|대구 동구 국회의원 당선]]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제16대 총선]]||[[대구 동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동구)]]||16대||[[민주국민당 (2000년)|민주국민당]]||{{막대|옥|0|7|8|1}} 7.81%||10,267표||3위||낙선
         [[분류:194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달성 서씨]][[분류:영남고등학교 동문]][[분류:대구해서초등학교 동문]][[분류:영남중학교 (대구) 동문]][[분류:경북대학교 동문]][[분류:육군보병학교 동문]][[분류:전남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 육군 대위]][[분류:대한민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분류:통일민주당 당원]][[분류:통일국민당 (대한민국)]][[분류:신한국당 당원]][[분류:한나라당의 정치인]][[분류:민주국민당 (2000년) 당원]][[분류:자유민주연합의 정치인]]
  • 송호창 (1967년) . . . . 28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송호창'''(宋皓彰, [[1967년]] [[2월 14일]] ~ )은 대한민국의 제19대 국회의원이자 인권 변호사이다.<ref>[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20120228110317 민주당, 송호창·이학영·백혜련 전략공천] 프레시안 2012-02-28</ref>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촛불집회 당시 TV토론에 출연해 촛불 정국으로 대변되는 촛불민심을 지지하여, '촛불 변호사' 로 활약했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720662 '촛불 변호사' 송호창, 안상수 16년 아성 '탈환'] 오마이뉴스 2012.04.12</ref>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사무차장, 그리고 2011년 서울시장 보궐 선거 후보로 나선 [[박원순]]의 대변인으로 활동했다.<ref>[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165 ‘박원순 대변인’ 송호창, ‘보온병’ 안상수에 도전장] 미디어오늘 2012-02-06</ref>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제19대 총선]]에서 [[민주통합당]] 후보로 의왕·과천에 출마해서 당선되었다.<ref>[http://info.nec.go.kr/main/showDocument.xhtml?electionId=0020120411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깨진 링크|url=http://info.nec.go.kr/main/showDocument.xhtml?electionId=0020120411 }}</ref>
         * [[2012년 5월]] ~ [[2016년 5월]] [[대한민국 제19대 국회|19대 국회의원]](경기도 의왕시·과천시)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기록 시작|KR|개인}}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9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경기도|경기]] [[의왕시의 국회의원|의왕시]]·[[과천시의 국회의원|과천시]] | 민주통합당 | 57,120 표 | 55.09 | 1위 | 당선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도#의왕시·과천시|초선]] }}
         {{선거기록 끝}}
         |소속정당 = [[민주당 (대한민국, 2011년)|민주통합당]] → [[무소속]] → [[새정치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
         [[분류:대한민국의 변호사]][[분류:새천년민주당 당원]][[분류:민주당 (대한민국, 2007년) 당원]][[분류:민주당 (대한민국, 2008년) 당원]][[분류:민주당 (대한민국, 2011년) 당원]][[분류:친문]][[분류:문재인]][[분류:박원순]][[분류:안철수]][[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더불어민주당 당원]][[분류:1967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시사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정치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법률학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평론가]][[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인하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여산 송씨]]
  • 김정재 . . . . 27회 일치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70000B><-5><bgcolor=#FFFFFF><:>{{{#70000B '''[[대한민국|{{{#70000B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70000B 국회의원}}}]] ([[경상북도|{{{#70000B 경북}}}]] [[포항시 북구(선거구)|{{{#70000B 포항시 북구}}}]])'''}}}||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남자이름~~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08년 한나라당 중앙여성위원회 기획분과위원장에 임명되었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한나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다만 이 과정이 좀 특이했는데 4회 지선에선 지역구 의원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는데 5회 지선에선 비례대표로 당선되었다. 국회나 지방의회나 보통 비례대표로 당선된 사람들이 다음 선거에서 지역구 선거에 나서는 것과는 정반대. 덕분에 5회 지방선거에서 괴멸당하다시피 한나라당 서울시의회의 몇 안 되는 재선이었다. 이후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서울특별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5회 지방선거 및 19대 총선으로 서울, 그것도 자신의 활동영역이던 서대문 지역에서는 보수정당으로 희망이 없다고 생각한 듯 고향인 포항으로 지역기반을 바꾼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경상북도 포항[[시장(공무원)|시장]] 선거에 출마하려 하였으나 [[컷오프]]되었다. 같은 해부터 2015년까지 새누리당 부대변인을 역임하였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포항)|북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전직 포항시장 출신인 친여 [[무소속]] [[박승호(정치인)|박승호]] 후보를 꺾고 당선되어 경북 최초의 여성 국회의원이 되었다.[* 심지어 20대 총선 기준 영남권의 유일한 여성 국회의원이다.] 같은 해 5월 8일 [[김명연]]([[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갑)과 새누리당 원내대변인에 임명되었다. [[정우택]] 원내대표 체제 하에서도 유임되었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tablealign=center><rowbgcolor=#C9151E>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6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의회 서대문 제1선거구) || '''[[한나라당]]''' || '''17,622 (55.96%)''' || '''당선 (1위)''' || ||
         || 201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의회 비례대표 1번) || '''[[한나라당]]''' || - || '''당선''' ||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포항 북) || '''[[새누리당]]''' || '''56,525 (43.39%)''' || '''당선 (1위)''' || '''초선''' ||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포항시 출신 인물]][[분류:1966년 출생]]
  • 류중일 . . . . 27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덕군]]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2006년]], [[2009년]] - [[2010년]])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2013년 WBC]], [[2014년 아시안 게임 야구|2014년 AG]])
         |대표국가 = 대한민국
         [[1982년]] 3학년 재학 때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야구장]] 개장 기념으로 열렸던 와의 우수 고교 초청 대회 결승전에서 [[투수]] [[김종석 (1964년)|김종석]]을 상대로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잠실야구장]] 개장 1호 홈런을 기록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410&aid=0000011188 류중일 감독, 손주인-강명구에게 특별한 선물] - 매일경제</ref> 1981년 봉황대기 미기상고 주장을 맡은 1982년 대통령배 감투상, 대붕기 최우수선수상을 수상. 초고교급 유격수로 발돋음하고. [[한양대학교|한양대]] 체육학과(1983학번) 시절 1985년 ~ 1986년에 3학년, 4학년 때 대학야구 올스타 [[유격수]]로 선정되었다.
         [[2006년]]·[[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및 [[2010년 아시안 게임|광저우 아시안 게임]] 국가대표팀 코치로 발탁되어 활동했다. [[1999년]]을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하고 [[2000년]]부터 [[김용희 (야구인)|김용희]], [[김응용]], [[선동열]] 감독 밑에서 코치로 보좌한 후, [[2010년]] [[12월 30일]] [[선동열]]이 경질되자 [[선동열]]의 후임으로 [[2011년]] [[1월 5일]]에 [[삼성 라이온즈]]의 감독으로 취임하였다.<ref>[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609&yy=2011 류중일 감독 "신인 패기로 KS 우승 데뷔 축포 쏜다" ] - 매일신문</ref> 그가 감독으로 부임하게 되면서 [[삼성 라이온즈]]는 오랜만에 프랜차이즈 스타 출신 감독을 맞이하게 되었다.<ref>최초의 [[삼성 라이온즈|삼성]] 선수 출신 감독은 [[서정환]]이고, 류중일은 [[삼성 라이온즈|삼성]] 출신 선수 중 선수 및 코치로 활동하면서 단 한번의 팀 이동 없이 감독이 된 첫 번째 경우이다.</ref> [[2011년]] 감독 부임 첫 해에 정규 리그 우승과 [[2011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을 확정지으며, "야구 대통령"을 줄인 '''"야통"'''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고,<ref>[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109280100191240017032&servicedate=20110927 류중일호, 우승을 가능케 한 키워드 4개] - 스포츠조선</ref> [[대한민국]] 챔피언 자격으로 참가한 [[2011년 아시아 시리즈]]에서 [[일본]] 챔피언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소프트뱅크]]를 꺾고 [[대한민국]] 프로 야구 팀 최초로 [[아시아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ref>[http://osen.mt.co.kr/article/G1109325476 '야통' 류중일 감독, 야신도 못한 亞 정상 위업] - OSEN</ref> [[2012년]] 역시 정규 리그 우승과 [[2012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뤄 냈다. [[2013년]] 정규 리그 우승과 [[2013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 후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2013 WBC]]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발탁되었으나 1라운드에서 탈락하는 수모를 겪었다. [[2013년]] 시즌 후 계약 기간 3년의 조건으로 계약금 6억 원, 연봉 5억 원 등 총액 21억 원에 [[삼성 라이온즈]]와 재계약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672898 류중일 감독, 3년 재계약…총액 21억원 사상 최고 대우] - OSEN</ref> [[2014년 아시안 게임|2014 인천 아시안게임]]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발탁되어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2013 WBC]] 1라운드 탈락의 쓰라림을 딛고 우승을 이뤄냈다. [[2014년]]에 정규 리그 우승과 [[2014년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면서 팀의 사상 최초 통합 4연패를 달성하였고, [[2015년]] 역시 정규 리그 우승으로 5년 연속 정규 리그 우승으로 새 역사를 썼지만, [[2015년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가 개최되기 전, 삼성 투수들의 해외 원정도박 파문으로 인해 [[2015년 KBO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우승을 [[두산 베어스]]에게 내주고 만다. [[2016년]]에는 [[박석민]], [[야마이코 나바로|나바로]], [[채태인]]을 잃었고, 외국인 선수 농사 실패, 선수들의 줄부상과 부진으로 팀 최초 정규리그 9위에 머물게 되자, [[2016년]] [[10월 15일]] 계약 만료로 [[김한수 (야구인)|김한수]]에게 감독직을 넘기고 기술고문을 맡게 되었다.
         |직책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
         |제목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1983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선수 명단}}
         {{1984년 하계 올림픽 야구 대한민국 선수 명단}}
         {{2006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대한민국 선수 명단}}
         {{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대한민국 선수 명단}}
         {{2010년 아시안 게임 야구 대한민국 선수 명단}}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대한민국 선수 명단}}
         {{2014년 아시안 게임 야구 대한민국 선수 명단}}
         [[분류:196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문화 류씨]][[분류:영덕군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한양대학교 동문]][[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KBO 리그 유격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분류:1984년 하계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감독]][[분류: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삼성 라이온즈 감독]][[분류:LG 트윈스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 이열희 (1924년) . . . . 27회 일치
          | 사망지 =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최종 계급 = [[대한민국]] [[대한민국 육군|육군]] [[대위]]
          | 근무 = [[국군수도병원|대한민국 육군수도병원 예하]] [[군의관]]
         '''이열희'''(李烈熙, [[1924년]] [[12월 18일]] - [[2012년]] [[8월 9일]])는 [[대한민국]]의 의학 교육자, [[치과]] 의사, [[구강 성형외과]] 의사, 대학 교수 및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대위]]이자 [[경북대학교]] 치의과대학 창립 멤버의 한 사람이며, 치과, 악안면외과(악안면성형외과) 전문의였다. [[경북대학교]] 의과 대학의 치의학과 과장이자, 경북대학교 치의과대학 초대 학장이었다. [[1962년]] [[11월]]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의 창립 멤버의 한 사람이기도 하다. 6.25 전쟁 당시에는 군의관으로 참전했고, [[1950년]]대부터 [[치과]]대학 부설의 필요성을 주장하여 [[1979년]] [[경북대학교]]에 치의과대학을 별도로 설치하고, 이후 치과대학이 의과대학에서 분리, 단설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경북대 재직 초기 당시 그는 "치과대 설립을 허가해 주고는 예산을 제때 배정해주지 않아 교실없이 신입생을 모집, 강의실을 구하기 위해 우왕좌왕했던 일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한다.<ref name="imails"/> [[1957년]]부터 [[대한민국 문교부|문교부]]를 상대로 치과 관련 대학의 별도 단설을 주장, 설득한 끝에 [[1979년]] 경북대학교 치과 대학외 7개 대학교의 치과대학을 시범으로 설립하여 성과가 나타나자 각 대학의 치과대학 별도 설치를 허가받았다.
         * [[대한민국 육군 보병학교|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졸업([[1950년]])
         * [[대한민국 육군 기계화학교|대한민국 육군기갑학교]] 졸업([[1951년]])
         * [[대한민국 육군 포병학교|대한민국 육군포병학교]] 졸업([[1952년]])
         * [[대한민국 육군 공병학교|대한민국 육군공병학교]] 졸업([[1952년]])
         **** 6촌 매부: [[박창암]](朴蒼巖, [[1923년]] [[5월 15일]] ~ [[2003년]] [[11월 10일]], 군인, 정치가. 이상오의 사위. 아호(雅號)는 만주(滿洲), 허주(虛舟), 농부(農夫). [[군사영어학교|대한민국 군사영어학교]] 1기 출신. [[대한민국 육군|육군]] [[1성 장군|준장]] 전역.)
         [[분류:1924년 태어남]][[분류:2012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참전유공자]][[분류:대한민국의 치과 의사]][[분류:대한민국의 외과 의사]] <!--[[구강 성형외과]] 의사-->[[분류:경북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의학자]][[분류:서울대학교 교수]][[분류:연세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 육군 대위]][[분류:대한민국의 군의관]][[분류: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분류:유교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서울대학교 치과대학 동문]][[분류:육군보병학교 동문]][[분류:육군기갑학교 동문]][[분류:육군기계화학교 동문]][[분류:육군포병학교 동문]][[분류:신민주공화당]][[분류:육군공병학교 동문]][[분류:자유민주연합 당원]][[분류:경북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주 이씨]]
  • 오철환 . . . . 26회 일치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기록 시작|KR|개인}}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5회 지방 선거|지방 선거]] | 6대 | [[지방 관청|시의원]] | [[대구광역시의회|대구광역시(수성구제2선거구)]] | 한나라당 | 21,949 표| 44.28 | 1위 | 당선 | [[대한민국 제5회 지방 선거 대구광역시|초선]], 민선 5기 }}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6회 지방 선거|지방 선거]] | 7대 | [[지방 관청|시의원]] | [[대구광역시의회|대구광역시(수성구제2선거구)]] | 새누리당| 38,484 표| 64.96 | 1위 | 당선 | [[대한민국 제6회 지방 선거 대구광역시|재선]], 민선 6기 }}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7회 지방 선거|지방 선거]] | 8대 | [[지방 관청|시의원]] | [[대구광역시의회|대구광역시(수성구제2선거구)]] | 자유한국당| 31,112 표| 49.93 | 2위 | [[대한민국 제7회 지방 선거 대구광역시#광역의원|낙선]] | }}
         {{선거기록 끝}}
         [[분류:195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륜고등학교 동문]][[분류:대구수창초등학교 동문]][[분류:대구중학교 동문]][[분류:영남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대한민국의 지방의회의원]]
  • 정승화(육군) . . . . 26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1929년 출생]][[분류:2002년 사망]]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대한민국 국군/인물)]
         ||<#2e8b57><:> {{{#ffffff '''복무'''}}} ||<#8fbc8f> 대한민국 육군 ||
         |||||||||| [[대한민국 육군]]의 [[제1야전군사령관]] ||
         |||||||||| [[대한민국 육군]]의 [[육군참모총장|참모총장]] ||
         [[대한민국]]의 [[군인]]. [[육군사관학교]] 5기, 최종 계급은 [[대장(계급)|대장]]. [[종교]]는 원래는 [[불교]]였다가 후에 [[천주교]]로 [[개종]]했으며 [[세례명]]은 베드로다.
         5.16 쿠데타 이후 군사정권, 3공화국, 4공화국을 거치면서 계속 승승장구했다. [[제7보병사단]][[사단장|장]],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인사국장, [[제3군단]][[군단장|장]], 육군사관학교 [[교장]], [[제1야전군사령관]]을 역임한 이후에 [[1979년]] [[2월]] [[육군참모총장]]으로 영전했다. 여담으로 당시 정승화는 [[김대중]]에게 부정적이라 그가 당선되어도 용인하지 않겠다는 편파적 발언을 하기도 했으나 여하간 직접적으로 정치에 개입하는 시도는 없었다.
         그리고 그의 인생에서 큰 사건이 터지는데 1979년 [[10.26 사건]](김재규의 박정희 전 대통령 시해사건)이다. 당시 육군참모총장이였던 정승화에게는 인생의 전환점이 된다. 자세한 사항은 [[10.26 사건]] 문서로.
         10.26 사건 이후 계엄사령관이 되어 사건 수습을 진행한다. 그러나 당시 보안사령관 겸 합동수사본부장인 [[전두환]]의 [[12.12 군사반란]] 때 신군부측에 납치당하고 만다. [[10.26 사건]] 문서에도 자세히 나오지만, [[박정희]]가 피살된 [[10.26 사건]] 당시 궁정동 안가 '가'동(피살장소는 '나'동이었음)에 있었다는 점을 조사하겠다는 명목으로 전두환의 부하 허삼수 [[대령]] 등에게 강제 연행, 군사재판에 회부되었다. 사건 당일 [[김재규]]는 대통령이 연회가 있으면서도 정승화에게 저녁을 같이 하자고 궁정동으로 불러냈다. 물론 김재규는 박정희와의 연회가 있었기 때문에 정승화와 함께하지 못했고, 정승화는 김재규가 보낸 중정 차장과 저녁을 먹던 중에 사건이 일어난 것이다. 김재규의 치밀한 계략인지, 순간적인 기지인지, 본능적인 직감인지는 이제 알 수 없게 되었지만 당시 피살 현장에서 매우 가까이 있으면서도 김재규의 암살 시도를 눈치채지 못했고,[* 다만 뭔가 수상쩍다는 건 느꼈는지 차 안에서 김재규가 "목이 마를 텐데 이거라도 좀 드시라." 하면서 준 사탕을 바로 바닥에 버렸다고 한다. 본능적으로 자신도 암살 당할지도 모른다는 위협을 느꼈다고... 영화 [[그때 그사람들]]에서는 사탕 대신 껌을 준다.] 김재규와 같은 차를 타고 [[육군본부]]에 갔으며, 육군본부에 도착한 이후에도 대통령이 저격에 의해 피살되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음에도 이를 숨긴 채 [[노재현]] [[국방부장관]]에게 대통령께서 돌아가셨으며 자세한 경위는 중앙정보부장에게 물어보라면서 사건 경위를 축소하여 보고하였고 [[차지철]]이 지휘했던 [[수도방위사령부|수경사]]를 불법적으로 장악하려 시도하는 등 김재규의 정권장악시도에 암묵적으로 동조하는 행보를 보인 사실은 정승화에게 치명적인 약점이 된다.[* 훗날 [[노태우]]는 회고록에서 박정희의 죽음을 현장에서 막지 못한 죄인이니 마땅히 물러나야 하는 사람인데 뻔뻔하게도(?) 자리를 보전하길래 의로운 마음으로 들고 일어났다고 주장했지만...]이에 대해 정승화는 청문회 등에서 평소 차지철의 행보와, 당시 상황의 급박함으로 인해 대통령을 암살한 범인이 차지철이라고 오판해서 수경사 병력을 장악해 차지철을 제압하려 한 것이라고 자기 변호하였다.
         이후 남한산성에서 형기를 채우다가 형집행 정지로 출옥하여 조용히 지내다가 세간에 등장하게 되는 계기가 생기니 그것이 87년 대선이다. [[1987년]] [[6월 항쟁]]의 결과로 직선제로 치러지게 된 [[제13대 대통령 선거]]에는 야당의 [[김영삼]]-[[김대중]]이 후보단일화에 실패했고, 거기다가 재야 진보진영에서 [[백기완]]까지 출마하면서 야당표의 분산으로 노태우 당선(당시 김영삼과 김대중 등 두명이 하나로 단일화됬어도 노태우가 대선에 당선될일은 없었을것이라고 한다. 노태우는 어부지리로 대통령에 무혈입성)이 유력하였다. 정승화는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김영삼]]의 삼고초려 끝에 1987년 대선 직전 [[통일민주당]]의 상임고문 겸 부총재로 전격 등장했다.
         공식선거운동 시작 직후 김영삼이 정승화를 통일민주당 부총재로 영입하자 김영삼의 지지율이 1위로 치솟았다. 그러나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이 터지고 선거 바로 전날 [[김현희(1961)|김현희]]가 [[김포국제공항]]에 도착하면서 엄청난 북풍이 불었고, 3김이 서로 먼저 대통령 해보겠다고 동시출마하는 병크까지 터뜨려, 결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결과는 노태우-36%, 김영삼-27%, 김대중-26%, 김종필-7%[* 보면 알 수 있듯, 3김이 단일화만 했어도 노태우는 절대 당선될 수 없었다.], 즉 여당인 [[민주정의당]] 대표 노태우의 당선으로 마무리되었다.
         1995년에는 [[대한민국 전직 대통령 구속 사건]]이 87년에 제정된 헌법이후 최초로 발생하자 증인으로 채택되어 증언하였다. 그의 기대대로 [[전두환]]은 [[대법원]]에서 [[사형]] 선고를 받아 평생의 한을 푸는 듯 했으나, 1997년 12월 22일 [[김영삼]] 대통령과 [[김대중]] 차기 대통령의 합의(?)에 따라 전두환, 노태우가 [[특별사면]] 혜택을 받아 풀려나자 "반성도 하지 않는 사람들을 그래도 풀어준다니 이 나라가 진정으로 법치주의 국가입니까?" 라며 강한 분노를 표시했다.
          * 10.26 당시 자신을 몰라보는 육군본부의 초병에게 "나 참모총장이야!!" 하니 그 초병이 대답하기를 "뭔 총장?? 대학교 총장 말인가요?"라고 한 일화는 정승화 회고록에도 나와 있는 사실이다.[* 이에 대해 정승화는 대통령 저격이라는 비상사태가 일어났으니 이런 일도 있을 수 있다'라고 평가하고 있다.] 궁정동 안가의 연회에 참석할 때 정승화 대장은 군복이 아닌 사복, 즉 [[정장]] 차림이었고, 자신의 관용차가 아닌 [[김재규]]의 차를 타고 온 상황이었다. 육본의 초병도 "한밤중에 갑자기 민간차량을 타고 나타난 사복 차림의 장년 남성"이 설마 육군참모총장이라곤 생각 못했을 것이다. 다행히 곧 다른 장교가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을 알아보고 무사통과시켰다고.
          * 소설 [[리턴 1979]]에선 [[최규하]] 대통령의 둘도 없는 군부 파트너로, 군부 내 2인자 [[장태완]]과 함께 '유신 체제를 이용한 국정 개혁'의 한 축이 된다.
  • 트로피코 4/인물 . . . . 26회 일치
         == 대통령 각하 ==
         El Presidente. 이 게임의 화자이자 주인공. 플레이어. 카리브 해의 독재국가 트로피코의 대통령이다. 인간이 아닌 새로운 인종 호모 프레지덴쿠스다.
         트로피코를 세계 강국으로 성장시킨다는 원대한 야망을 가진 독재자. 미국 대통령 암살의 배후라는 누명을 뒤집어쓰고 몰락하지만 재기하여 복수극을 벌인다.
         [[큰부리새]]를 좋아해서 애완조로 키우고 있다. 각하의 큰부리새는 트로피코의 마스코트로도 발탁되었다. 각하의 정적인 산타나 총통은 대통령 각하를 엿먹이려고 자신의 섬에서 큰부리새를 박멸시켰다.
         Penultiomo. 대통령 각하의 충실한 보좌관. 아틀란티스 대학에서 페눌티모를 전공했다……고 주장한다.
         모던 타임즈 캠페인에서는 대통령 각하가 휴가가면서 맡긴 트로피코를 말아먹는다. 반란군을 없앤다고 농장을 죄다 불태웠고, 그 결과 식량 부족 현상이 일어난 것.
         대통령 각하를 각하 동지라는 모순적인 호칭으로 부른다. 헛소리를 잘 안해서 재미없다.
         대통령 각하와는 애인 관계로 보인다. 초등학교를 열었을 때 늙은 선원도 얼굴이 빨개질만한 책을 가장 좋아하는 책이라고 가져와서 낭독하는 모습을 보인다.
         달에 트로피코 깃발을 꽃아 트로피코를 세계에서 제일 넓은 국가로 만들자는 주장을 했다. 대통령 각하는 그걸 진짜 해냈다.
         첫번째 캠페인에서 대통령 각하를 지원하며 등장한다. 캠페인을 진행하다보면 미국 부통령이 되는데 미국 대통령이 암살당하며 대통령까지 올라간다. 이후 대통령 각하를 미국 대통령 암살의 배후로 지목해 몰락시킨다.
         각하에게 미국 대통령 암살 혐의를 뒤집어씌워 몰락시킨 흑막. 누명을 벗으려는 각하를 저지하려 하지만 실패한다.
         Generalissimo Santana. 푸에르토 가토의 악명높은 독재자. 대통령 각하의 멘토이자 본보기. [[마가단]] 대학에서 신체 훈련 박사 학위를 받았다.
         튜토리얼에서 대통령 각하에게 통치 방법을 가르쳤다. 이후 대통령 각하를 몰락시킨 음모에 가담해 대통령 각하가 통치하던 나라를 빼앗는다. 다시 돌아온 대통령 각하에게 이런저런 협박을 하며 가지고 놀았지만 대통령 각하는 미끼였을 뿐이고, 그 사이 각하에게 감화된 모레노에 의해 푸에르토 가토를 빼앗긴다. 이후 자신들의 지지자를 데리고 게릴라 활동을 벌이지만 그것마저 실패하자 각하한테 항복한다.
         대통령 각하의 사업 파트너였지만 대통령 각하가 몰락하자 "난 당신 모르오"라며 내쳐버린다. 결국 각하의 첫번째 복수 대상이 되어 프루타스 주식의 과반수를 빼앗기고 해고당한다. 마지막 발악으로 올림픽 개최지 후보 세곳을 후원했으나 트로피코가 올림픽 개최지가 되며 알거지가 된다.
         대통령 각하를 몰락시킨 일당 중 하나였지만 모레노를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 대통령 각하에게 감화되어 각하에게 협력하게 된다. 대통령 각하가 산타나 총통의 주의를 끄는 동안 산타나의 섬인 푸에르토 가토를 점령한다.
  • 김옥이 . . . . 25회 일치
          | 복무 = {{육군|대한민국}}
          | 최종 계급 = [[파일:대령.JPG|35px]] [[대한민국 육군|육군]] [[대령]]
         육군 대령 예편 이후 [[새누리당|한나라당]] 소속의 제18대 국회의원(비례대표)을 지냈고, 18대 총선에 비례대표로 출마하기 전에는 경기도 의회 비례의원이었다.<ref>[http://cnbnews.com/category/read.html?bcode=34888]</ref>
         * [[2008년]] 5월 ~ [[2012년]] 5월 : 제18대 [[새누리당|한나라당]] 국회의원(비례대표)
         * [[2011년]] 6월 : 한나라당 7.4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기록 시작|KR|개인}}
         {{선거기록/KR/개인|[[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총선]]|18대|국회의원|[[틀:제18대 비례대표 한나라당|비례대표 21번]]| 한나라당 | 6,421,727표| 37.48 |-|당선|[[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초선]]}}
         {{선거기록 끝}}
         {{제18대 비례대표 한나라당}}
         [[분류:대구달성초등학교 동문]][[분류:대구일중학교 동문]][[분류:194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군 장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주 김씨]][[분류:대한민국 육군 대령]][[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여성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숙명여자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분류:자유한국당 당원]][[분류:대구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동아대학교 동문]][[분류:육군보병학교 동문]][[분류:국방대학교 동문]][[분류:동국대학교 동문]][[분류:친이]][[분류:친박]]
  • 박명재 . . . . 25회 일치
         [[분류:대한민국 국회의원]][[분류:포항시 출신 인물]][[분류:1947년 출생]]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70000B><-5><bgcolor=#FFFFFF><:>{{{#70000B '''{{{#70000B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70000B 국회의원}}}]] ([[경상북도|{{{#70000B 경북}}}]] [[포항시 남구·울릉군|{{{#70000B 포항시 남구·울릉군}}}]])'''}}}||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43762><#FFFFFF><-5><:>{{{#043762 '''대한민국''' }}}]] {{{#043762 '''행정자치부''' }}}]] [[행정안전부 장관|{{{#043762 '''장관'''}}}]]}}}||
         대한민국의 전직 [[공무원]], 현 [[정치인]]. 현재 대한민국의 재선 [[국회의원]](제19대 ~ 제20대)으로서, 지역구는 [[경상북도]] [[포항 남구]]·[[울릉군]]이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경상북도지사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당시 [[한나라당]] [[김관용]]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 때 23.1%라는 놀라운 득표율을 기록했는데,(이후 지방선거에서도 [[홍의락]]이 11.8%, [[오중기]]가 14.9%에 그치며 20%는 고사하고 15%도 넘지 못했다. 이 기록은 2018년이 되어서야 오중기가 34.32%로 갱신한다.) 특히 그때 '''호남을 포함하여''' 전국적으로 열린우리당에 대한 반감이 컸었던 걸 생각하면 더욱 놀랍다. 만약 경북에 계속 도전했다면 언젠가 당선되어 지금보다 더 큰 정치인이 되었을 수도? ~~하지만 몇 번 낙선하다 한 번 당선되는 것과 새누리당 공천받아 계속 당선되는 건 차이가 있다~~] 이후 2008년까지 [[노무현 정부]]에서 행정자치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참여정부 행정자치부 장관 시절 당시 한나라당 국회의원이었던 [[송영선]]과 언쟁을 벌인 적이 있다.[[https://www.youtube.com/watch?v=78aVcg_chko|관련링크]]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포항 남/울릉 선거구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였지만 낙선하였다. 이후 해당 선거에서 승리한 [[김형태(정치인)|김형태]] 의원이 의원직을 상실함에 따라 치뤄진 [[2013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에서는 [[새누리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때 과거 참여정부의 장관, 열린우리당 경북지사 후보 경력을 지적하며 철새로 비판하는 사람도 있었으나, 당선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어 재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동년 6월 26일부터 [[권성동]]의원의 후임으로 새누리당 사무총장에 임명되었다. 하지만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정국에 들어서며 새누리당이 친박-비박 내분에 휩싸이며 [[이정현(정치인)|이정현]] 대표의 사임을 외치는 목소리가 높아지자 같은 해 11월 18일 사무총장직에서 사임하였다.
         2017년 12월 20일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북도 도지사 출마를 선언했으나 3위로 경선에서 탈락했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tablealign=center><rowbgcolor=#C9151E>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6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북도지사) || [[열린우리당]] || 290,358 (23.19%) || 낙선 (2위) ||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포항 남구/울릉군) || 무소속 || 24,297 (21.89%) || 낙선 (2위) || ||
         || 2013 || [[2013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19대 국회 경북 포항 남구/울릉군)[* 전임자 김형태 의원직 상실] || '''[[새누리당]]''' || '''57,309 (78.56%)''' || '''당선 (1위)''' ||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포항 남구/울릉군) || '''[[새누리당]]''' || '''75,569 (71.86%)''' || '''당선 (1위)''' || ||
  • 안내상 . . . . 25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세종특별자치시]]
         '''안내상'''(安內相, [[1964년]] [[12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90년 [[연극배우]]로 첫 데뷔하였다.
         * 2003년 《[[대한민국 헌법 제1조 (영화)|대한민국 헌법 제1조]]》 ... 도민우 역
         * 2004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주간시트콤 《[[혼자가 아니야]]》 ... 편집장 역
         * 2007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주말특별기획 《[[조강지처 클럽]]》 ... 한원수 역
         * 2008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미니시리즈 《[[타짜 (드라마)|타짜]]》 ... 고니 부, 명수 역 (특별출연)
         * 2009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대기획 《[[태양을 삼켜라]]》 ... 수창 역
         * 2009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드라마스페셜 《[[카인과 아벨 (2009년 드라마)|카인과 아벨]]》 ... 조현택 역
         * 2009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미니시리즈 《[[천사의 유혹]]》 ... 형사 역
         * 2011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드라마 스페셜 《[[보스를 지켜라]]》 ... 악덕 사채업자 역 (특별출연)
         * 2011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주말특별기획 《[[폼나게 살거야]]》 ... 선글라스남 역 (특별출연)
         * 2012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추석특집극 《[[가족사진]]》 ... 한상태 역
         * 2013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주말극장 《[[원더풀 마마]]》 ... 장기남 역
         * 2013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드라마 스페셜 《[[내 연애의 모든 것]]》 ... 송준하 역 (특별출연)
         * 2013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일일연속극 《[[못난이 주의보]]》 ... 공상만 역
         * 2015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설특집2부작드라마 《[[내일을 향해 뛰어라]]》 ... 강가득 역
         * 제16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탤런트부문 우수상
         * 제11회 대한민국영상대전 탤런트부문 포토제닉상
         [[분류:1964년 태어남]][[분류:순흥 안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세종특별자치시 출신]][[분류:연세대학교 신과대학 동문]][[분류:1990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창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새정치국민회의]][[분류:개신교도 이탈자]][[분류:새천년민주당 당원]]
  • 유한식 . . . . 25회 일치
         ||<table bordercolor=#00A664><-5><:>{{{#005BAB ''' 대한민국 '''}}} {{{#005BAB ''' 충청남도 '''}}} {{{#005BAB ''' 연기군수 '''}}} ||
         [[1949년]] [[6월 20일]] 생 ([age(1949-06-20)]세), [[충청남도]] 연기군 (현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출생하였다. [[종교]]는 [[천주교]]이며, [[세례명]]은 비오이다. 농어촌 관련 공무원으로 활동하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국민중심당]] 소속으로 도의원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07년]] [[10월]]에 [[이기봉]] 전 [[군수]]가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당선이 무효되자 연기군수 재보궐 선거에 출마를 선언하였으나 같은 당의 최준섭에게 공천에서 밀려 탈락하자 무소속으로 출마했지만 3위로 [[낙선]]한다. 그런데 최준섭 군수 또한 선거법 위반으로 당선이 무효되면서 다시 보궐에 선거에 국민중심당 공천을 받아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자유선진당]]에 속하였다.
         연기군지역에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이 되면서 [[2012년]] 총선과 같이 실시되는 세종특별자치시장 선거에 자유선진당 후보로 출마하여 [[민주통합당]] [[이춘희]]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이후 당이 [[새누리당]]과 합당하면서 새누리당에 속하게 된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새정치민주연합]] [[이춘희]] 후보에게 밀려 낙선하였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출마하지 않았다.
         == 선거 이력 ==
         ||<tablealign=center><#C9151E> {{{#ffffff 연도}}} ||<#C9151E> {{{#ffffff 선거 종류}}} ||<#C9151E> {{{#ffffff 소속 정당}}} ||<#C9151E> {{{#ffffff 득표수 (득표율)}}} ||<#C9151E> {{{#ffffff 당선 여부}}} ||<#C9151E> {{{#ffffff 비고}}} ||
         || 2006년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4회 지방 선거]] [BR]충남도의원(연기군 제2선거구) || [[국민중심당]] || 6,048표 (31.41%) || 낙선(2위) || ||
         || 2007년 || [[2007년 재보궐선거 #s-3|12·19 재보궐선거]][BR]충남 연기군수 34대 (민선 4기) || 무소속 || 4,695표 (11.3%) || 낙선(3위) || ||
         || 2008년 || '''[[2008년 재보궐선거 #s-3.1.1|10·29 재보궐선거]] [BR]충남 연기군수 35대 (민선 4기)''' || [[자유선진당]] || '''14,444표 (51.94%)''' || '''당선(1위)''' || '''초선''' ||
         || 2010년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5회 지방 선거]] [BR]충남 연기군수 36대 (민선 5기)''' || 자유선진당 || '''19,542표 (52.96%)''' || '''당선(1위)''' || '''재선''' ||
         || 2012년 || '''[[2012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s-3.1|4·11 재보궐선거]] [BR]세종특별자치시장 1대 (민선 5기)''' || 자유선진당 || '''19,387표 (41.73%)''' || '''당선(1위)''' || '''초선'''[* 초대 세종시장^^[세종시 교육감]^^의 임기는 ''세종특별자치시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세종시법)^^''의 부칙 제2조에 따라 2014년 6월 30일까지로 한정하고 있다.(약 2년)] ||
         || 2014년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6회 지방 선거]] [BR]세종특별자치시장 2대 (민선 6기) || [[새누리당]] || 26,451표 (42.21%) || 낙선(2위) || ||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1949년 출생]][[분류:세종특별자치시 출신 인물]]
  • 김상훈 (1963년) . . . . 24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시]] [[서구 (대구광역시)|서구]] [[비산동 (대구)|비산동]]<br />(現 [[대구광역시]] [[서구 (대구광역시)|서구]] [[비산동 (대구)|비산동]])
         |거주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서구 (대구광역시)|서구]]
         '''김상훈'''(金相勳, [[1963년]] [[1월 25일]] [[대구광역시|대구]] ~ )은 [[대한민국]] 전 공무원이자 정치인이다.
         * [[2018년]] [[3월]] ~ [[2018년]] [[5월]] : 6.13지방선거 자유한국당 대구시당 공천관리위원장
         * [[2018년]] [[5월 23일]] ~ [[2018년]] [[6월 13일]] : 6.13지방선거 자유한국당 대구시당 공동선거대책위원회 위원장
         * 홍조근정훈장 (대통령)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기록 시작|KR|개인}}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9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대구 서구의 국회의원|대구 서구]] | 새누리당 | 54,113 표 | 59.97 | 1위 | 당선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광역시#서구|초선]] }}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20대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 | [[대구 서구의 국회의원|대구 서구]] | 새누리당 | 49,367 표 | 58.22 | 1위 | 당선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광역시#서구|재선]] }}
         {{선거기록 끝}}
         [[분류:1963년 태어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자유한국당의 정치인]][[분류:대건고등학교 동문]][[분류:성광중학교 동문]][[분류:대구서부초등학교 동문]][[분류:영남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살아있는 사람]]
  • 김성조 . . . . 24회 일치
         || '''의원 대수''' || [[제16대 국회의원 목록|16]], [[제17대 국회의원 목록|17]], [[제18대 국회의원 목록|18]] ||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1958년 [[경상북도]] 선산군(현 [[구미시]])에서 태어났다. 대구 [[대륜고등학교]], [[영남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을 졸업하였다. 이후 동양전자화학에서 근무하다가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북도의회 의원으로 당선되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김윤환]]을 제치고 [[한나라당]] 공천을 받았다. 그리하여 한나라당 후보로 경상북도 구미시 선거구에 출마하였고 [[민주국민당(2000년)|민주국민당]] 김윤환 후보를 꺾고 당선되어 화제가 되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상북도 구미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2006년까지 한나라당 사립학교법 재개정특별위원회 위원장, [[대한민국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한나라당 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2009년까지 한나라당 [[여의도연구원|여의도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다. 2009년부터 2010년까지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을 역임하였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무소속 출마를 검토하였으나 불출마를 선언하였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95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북도의회 의원) || [[무소속]] || - || '''당선''' ||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구미시) || [[한나라당]] || - || '''당선''' ||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구미시 갑) || [[한나라당]] || - || '''당선''' ||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구미시 갑) || [[한나라당]] || - || '''당선''' || ||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구미시 출신 인물]]
  • 김양 (1953년) . . . . 24회 일치
          | 대통령 = [[이명박]]
          | 출생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대구]]
          | 직책 = 前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국가보훈처장|국가보훈처 처장]]
          | 경력 = [[창조한국당]] 보훈행정위원 <br/> [[국방대학교|대한민국 국방대]] 객원교수
         '''김양'''(金揚, [[1953년]] [[2월 24일]] ~ )은 관료를 지낸 [[대한민국]]의 금융인이다.
         * [[2005년]] [[8월 9일]] ~ [[2008년]] [[3월 7일]] : [[주상하이 대한민국 총영사관|중국 상하이 대한민국 총영사관 총영사]]
         * [[2013년 2월]] ~ [[2013년 8월]] : [[국방대학교|대한민국 국방대]] 객원교수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대구]]에서 출생하였고 [[서울특별시|서울]]에서 성장한 그는 [[백범 김구]]의 손자이며, [[대한민국의 공군참모총장|공군참모총장]]·[[대한민국 건설교통부|건설교통부]] 장관·[[유신정우회]] [[국회의원]]과 [[중화민국|중화민국 타이완]] 주재 [[대한민국]] [[특명전권대사|대사]] 등을 지낸 [[김신 (1922년)|김신]]의 둘째 아들이고, [[김진 (1949년)|김진]]의 동생이기도 하다. 본관은 [[구 안동 김씨|안동]](安東)이다.
         |직책 = [[대한민국의 국가보훈처장|국가보훈처장]]
         [[분류:195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안동 김씨 (구)]][[분류:김구 가]][[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 육군 군인]][[분류: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분류: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동문]][[분류:조지 워싱턴 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금융인]][[분류:대한민국의 별정직공무원]][[분류:대한민국의 국가보훈처장]][[분류:새천년민주당 당원]][[분류:김대중]][[분류:문국현]][[분류:창조한국당]][[분류:대한민국의 시사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군사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정치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경제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역사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국방대학교 교수]][[분류:유교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감리교도]]
  • 이창동 . . . . 24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시]]<br/>(現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이창동'''([[1954년]] [[4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소설가]] 겸 [[영화감독]]이다.<ref>[[네이버]] 인물 정보 - [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txc&where=people_profile&ie=utf8&query=%EC%9D%B4%EC%B0%BD%EB%8F%99&os=158601 이창동]</ref><ref>MDL http://www.mydvdlist.co.kr/mdlkth/movie/name.asp?peoplecode=51334</ref>
         데뷔작 《[[초록물고기|초록 물고기]]》부터 시작해 《[[박하사탕]]》, 《[[오아시스 (영화)|오아시스]]》, 《[[밀양 (영화)|밀양]]》, 《[[시 (영화)|시]]》 등 많은 작품들이 좋은 평가를 받아 각국의 영화제에서 상을 휩쓸면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감독중 한 명으로 손꼽힌다.
         [[경상북도]] [[대구시]](現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학과를 졸업했다. [[신일고등학교]] 국어 [[교사]]를 하다가 1983년 [[동아일보]] 신춘 문예에 중편 소설〈전리(戰利)〉가 당선되면서 [[소설가]]로 등단하여 여러 편의 소설을 썼다. 1993년 영화《[[그 섬에 가고 싶다]]》의 시나리오를 쓰고 조감독을 맡으면서 영화계에 뛰어들었다. 영화계로 들어선 이후에는 소설보다 영화에 주력하게 되었다. [[1997년]] 이스트 필름의 창립 작품이기도 한 [[한석규]] 주연의 영화 《[[초록물고기|초록 물고기]]》를 통해 [[영화 감독|감독]]으로 데뷔하며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2년 뒤 내놓은 영화 《[[박하사탕]]》은 1999년 [[부산 국제 영화제]] 개막작으로 선정되며 [[설경구]]란 걸출한 배우를 탄생시켰다. 2002년 설경구, [[문소리]]와 다시 호흡을 맞춘 영화 《[[오아시스 (영화)|오아시스]]》로 [[베네치아 영화제]]에서 감독상을 수상했다.<ref>{{뉴스 인용|제목=‘오아시스’ 이창동―감독상·문소리―신인상 등 5관왕…베니스 영화제 쾌거|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5&aid=0000118051|출판사=국민일보|저자=이광형 기자|날짜=2002-09-09}}</ref>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대한민국 문화관광부|문화관광부]] 장관을 지내기도 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 교수를 맡고 있다. 2009년 열린 [[칸 영화제]]에서 [[중화민국|타이완]]의 영화 배우 [[수치 (배우)|수치]](서기)와 함께 심사위원으로 위촉되기도 했다.<ref>{{뉴스 인용|제목=이창동 감독 장편 부문 심사위원 위촉… “칸에서 나의 국적은 영화”|url=http://sportsworldi.segye.com/Articles/EntCulture/Article.asp?aid=20090514004092&subctg1=15&subctg2=00|출판사=[[세계일보]]|저자=김용호 기자|날짜=2009-05-14}}</ref> 2010년에 열린 50회 칸 영화제에서는 영화 《[[시 (영화)|시]]》로 각본상을 수상했다.
         * 2002년 제1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감독상
         * 2002년 제1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각본각색상
         * 2002년 제1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작품상
         * 2003년 제3회 [[대한민국청소년영화제]] 감독상
         * 2007년 제6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감독상
         * 2007년 제6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작품상
         * 2010년 제8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각본상
         * 2010년 제8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감독상
         * 2010년 제8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작품상
         * 2010년 제6회 [[대한민국 대학영화제]] 작품상
         * 2002년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훈장|보관문화훈장]](3등급)
         |직책 = [[대한민국 문화관광부|문화관광부 장관]]
         {{대한민국 영화대상 감독}}
         [[분류:195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영화 제작자]][[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각본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1993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문화관광부 장관]][[분류:노무현 정부의 국무위원]][[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새정치국민회의]][[분류:경북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레지옹 도뇌르 오피시에 훈장 수훈자]]
  • 이철희(1964) . . . . 24회 일치
         || '''약력''' ||<(> [[대통령비서실]] 정책2행정관[br]두문정치전략연구소 소장[br]더불어민주당 전략기획위원장 ||
         [[대한민국]]의 전직 시사평론가, 작가, 정치인.
         [[대한민국]]의 제20대 [[비례대표]] 국회의원이며 소속 정당은 [[더불어민주당]]이다.
         한창 [[썰전]]의 패널로 잘 나가다가 [[20대 총선]]을 앞두고 [[문재인]] 당시 [[더불어민주당|민주당]] 대표의 손을 잡고 [[더불어민주당|민주당]]에 입당해 본격적으로 정계에 입문했다. 그리고 [[더불어민주당|민주당]] [[비례대표]] 8번 후보로 출마해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이 되었으며 [[김종인]] 비대위 시절에는 전략기획위원장으로 일하기도 했다.
         '두문정치전략연구소' 소장을 역임하였다. 실제로 번듯한 정치 연구소 소장이라기보다는 전화 받고 사무실 지키는 직원 하나 둔 개인 사무실에 간판 하나 달아 놓은 것으로 보면 된다. 그러나 [[썰전]]에 출연하기 시작한 후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연구소에 부소장도 생겼다. [[서양호]] 씨인데 2011 통합민주당 전략기획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았던 정당인 출신이다. 이철희 의원이 정계에 입문하면서 자연스럽게 소장직을 이어받았다고 한다. 서양호 소장은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서울 중구청장으로 당선.
         그리고 [[김대중]] 정부 시절 청와대에서 대통령 비서실에서 정책 행정관으로 근무한 경력이 있고, [[노무현]] 대선 캠프에서도 일한 적이 있다. [[김한길(정치인)|김한길]] 의원의 보좌관으로도 일했는데, 언제부터 일했는지 구체적으로는 알 수 없으나, 2000년대 중반에는 확실히 의원 보좌관이었다. 2008년 전후로 그 자신의 표현에 따르면 '''자발적 백수'''가 되었다....는데, 정작 이후에도 대학 출강을 한다든지, 여론조사 기관에서 일한다든지, 민주당 당내 정책연구소에서 부원장을 지낸다든지, 이런저런 일들을 하면서 정치 스펙을 쌓았다. 본인의 말로는 2012년 [[19대 총선]] 때 국회의원에 도전했으나 끝내 공천되지 못했다. 열심히 스펙을 쌓았지만 [[http://m.news1.kr/news/category/?detail&593920|서류심사에서 탈락해서]] 면접도 못 봤다. [[http://mnews.joins.com/article/7703750|공천 과정에 대한 중앙일보 정치부 기자들의 코멘트]]] 2016년 기준으로 보면 전화위복이지만, 그 과정에서 시사평론가가 된 것으로 보인다.
         같은 대학 출신이고 또 동향인 전직 대통령 [[이명박|그분]]을 시간될 때마다 언급하며 깐다.
         전반적으로 온건 합리적인 리버럴 스탠스를 가진 것과는 달리 사관엔 [[이덕일]]류 노론사관을 맹신한다고 비판받기도 한다. 저서 <뭐라도 합시다>와 썰전에서 대한민국 보수의 뿌리는 노론으로, 이는 [[친일]] 단정 [[박정희|군사]] [[전두환|독재]] 세력으로 이어진다는 주장을 한 바 있다.
         그렇게 첫인상이 좋지 않던 상황에서 인재 영입 당시 대부분의 인물들이 '당이 원하면 어디든 가겠다' 라고 하며 개인의 욕심을 보이지 않았던 반면, 이철희 전 소장의 경우에는 [[http://mnews.jtbc.joins.com/News/Article.aspx?news_id=NB11174997|'지역구 출마는 생각하지 않고 있다']](13분 25초부터)라고 발언하며 낙선의 위험을 안아야 하는 지역구보다 상대적으로 당선이 수월한 비례대표를 노리고 있던 것 때문에 이미 정치 세계에 대해서 알 만큼 알고 있고, 또 [[썰전]] 등을 통해 충분한 인지도와 지지를 확보한 사람이니 지역구 선거로 나가는 게 맞지 않느냐는 비판이 있었다.
         또한 [[더불어민주당]]에서 당무를 맡게 된 이후의 공천 잡음과 관련되어 있지 않냐는 의혹을 받기도 했다. 입당 직후 [[https://www.viewsnnews.com/article?q=128501|문재인 의원의 부산 공천]]을 주장해서 논란을 만들기도 했고[* 대권주자 또는 당의 핵심인원으로 전국에서 선거지원 활동을 나서야 하는 인물들을 지역구 선거에 투입할 경우 지역구 선거유세에 발이 묶이기 때문에 전국지원유세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그 부분을 고려하지 않은 발언이라 볼 수 있다.], 2월 초에는 '[[http://m.yna.co.kr/kr/contents/?cid=AKR20160205100351001&mobile|막말, 운동권 공천 배제]]'를 주장하였는데 [[정청래]] 의원의 공천 배제의 가장 큰 근거가 된 게 '막말'이었으며 운동권 출신 의원들이 대거 공천 배제당하다보니 이철희 전 소장의 입김이 작용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의심을 산 것이다.
         마지막으로 청년 비례대표 논란이 있는데, '더벤저스'라고 불리며 당내 활동에 적극적이던 영입 인사인 [[http://m.moneyweek.co.kr/view.html?no=2016031507208018613|김빈 디자이너가 예심에서 5분 면접 후에 탈락]]당한 반면, [[http://news.donga.com/ISSUE/Vote2016/News?m=view&gid=77018257&date=20160315|더민주 당직자가 첨삭지도를 해 준 것]]과 [[http://mnews.joins.com/article/19388510|과거 국민의당 발기인]]이었던 상황임에도 청년비~~리~~례대표 결선대상자로 지정되어서 논란이 된 최유진 예비 후보가 이철희 전 소장의 대학원 시절 제자라고 밝혀지면서 '자기 사람 끼워넣기'가 아닌가 하는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김빈 디자이너는 비례대표 심사 이전에 비례대표 예비후보로서 자신을 홍보하면서 자신의 본명인 '김현빈'이 아닌 예명 '김빈'이라는 이름을 쓴 적이 있다. 본명을 기재하지 않았다면 선거법 위반 사항이다. 이것 때문에 탈락했을 것이라고 보는 의견이 있다.]
         하지만 본인이 속한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이 [[최순실 게이트]]로 인하여 청산을 더 중요시한다는 것을 크게 경시한 것이기에 이후 자신이 지지하던 안희정이 경선에서 탈락하는 모습을 지켜만 봐야 했다. 물론 이철희 본인이 이기는 곳에 가는 것에 연연했다기 보다 본인에게 맞는 쪽으로 간 것이기에 이철희 본인도 이후 경선결과에 토를 달지 않고 승복, 이후 문재인을 지지하는 모습을 보였다. 주적 표현에서 대통령다운 표현이라고 말하면서 국민의당의 김경진 의원과 설전을 벌인 것이 대표 사례.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tablealign=center><rowbgcolor=#1870B9>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 [[더불어민주당]] || '''6,069,744 (25.54%)''' || '''당선 (8번)''' || ||
          * [[경상도]] 사투리 억양을 가진 편임에도 불구하고 차분하고 정확한 발음이나 발성, 톤 조절 등 기초적 발언 능력이 상당히 뛰어날 뿐만 아니라, 토론에서의 치고 빠지는 타이밍(?)[* 평론가 시절 방송 토론에서 --노답-- 상대가 억지 논리로 나올 때도 이철희는 처음엔 참고 있다가 자신에게 유리한 시점(큰 헛점이 표출될 때)에 치고 나오며, 막판에 상대와 같이 깽판을 치더라도 상대 빈틈을 파고들 타이밍을 안 놓치고 맹공격하곤 했으며, 상대의 억지 논리를 그대로 이용하여 받아치는 것도 정확한 타이밍을 잡아 왔고, 역으로 소위 막가는(?) 언쟁을 끝낼 때도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칼같이 끊어버리곤 했다. 그렇게 함으로써 누가 봐도 상대가 먼저 깽판을 쳤고, 이철희는 그에 잘 맞섰다는 인상을 주었다. --상대는 콧김만 씩씩, 사회자는 그냥 멘붕--] 설정 능력, 짧은 시간에 상대 논리의 빈틈을 찾아내는 능력, 상대와 상황에 맞춰서 발언 스타일을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는 기술이 탁월하여, 농담으로 '말 못하는 사람도 토론은 잘 한다'[* 말투가 어눌하거나 목소리 톤이 별로거나 하는 등 대화에 불리한 조건을 가진 사람조차도 상대의 뜻을 빠르고 정확히 찾아내어 자신의 목적에 적합한 문장을 구성하고, 그 상황에 맞는 비언어적 표현들을 이용하여, 자신의 단점들을 극복하고 부드럽게 대화하는 능력은 뛰어나다는 뜻이다. 즉, 언어라는 요소만을 이용해 대화를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 또한 그것에는 그 사람만의 [[포스]]나 [[카리스마]]도 포함된다. 한국 근대 민주화의 뿌리였던 [[김대중]]은 대통령 시절 연예인들이 그 말투를 흉내내어 당대에 가장 유행한 개그 패러디 소재가 되었을 정도로, 발음이나 말투가 매력적인 편이 아니었음에도 평생 수많은 진보 인사들을 연설과 대화로 매료시켰던, 한국 정치사 최고의 웅변가였다는 것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대한민국사 최초의 [[필리버스터]]도 김대중이 했다.) 그와 대화했던 정치인들의 경험담들을 보면 짧은 문장에도 힘이 실려있었다고 한다. '우리 박동지가 날 좀 도와줘야겠어'라는 말 한 마디에 사람이 움직인다는 것은 말을 못해도 말을 잘한다는 개념과 일치한다. 물론 이런건 김대중처럼 정치인생의 험난한 경험과 그런 고난들을 수없이 극복한 뒤에만 얻어지는 절대적 카리스마가 많이 쌓여야만 가능한 것으로, 초선의원 이철희에게는 어울리지 않는 분야다.--원래 말 잘하는 사람은 그냥 말 잘하면 된다--]는 소리도 있는 스피킹의 달인들이 모인 정치인 집단들 중에서도 정상급이다.
          * 썰전에 출연할 당시 정치적인 부분에서는 말을 잘 했으나, 경제적인 의제와 관련해서는 식견 부족으로 그저 원론적이고 이상적인 얘기만 늘어놓았다는 비판이 있었다. 사실 이 부분은 신자유주의적 성향을 드러낸 강용석과 복지를 주장한 이철희의 성향차이라고 보면 된다. 썰전에서 차라리 정치적 부분은 양자가 타협을 하기도 하고 서로의 주장을 인정하기도 했으나, 경제적 문제를 보는 인식 차이는 완벽한 평행선이었다. 썰전에서 즐겨 인용한 말이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전 브라질 대통령의 '''왜 부자들을 돕는 것은 "투자"라고 하고, 가난한 이들을 돕는 것은 "비용"이라고만 말하는가?'''였으니.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 [[분류:포항시 출신 인물]][[분류:1964년 출생]]
  • Victoria II/개혁 . . . . 23회 일치
          * 지주만의 선거 이상의 선거권 개혁 필요.
          * 상원 구성이 각 주의 선거로 만들어짐
          * 지주만의 선거 이상의 선거권 개혁 필요.
          * 상원 구성이 국민들의 선거로 만들어짐
          * 선거
          * 선거 없음: 총선이 시행되지 않는다.
          * 지주만의 선거: 부유층인 귀족과 자본가들만이 선거를 할 수 있다.
          * 빈민이 제외된 불평등 선거: 중산층 이상이면 선거를 할 수 있지만, 부유층의 표 하나는 중산층의 표 두개와 같게 취급된다.
          * 빈민이 제외된 선거: 중산층 이상이면 선거를 할 수 있다.
          * 불평등 선거: 모두가 선거를 할 수 있지만, 부유층의 표 하나는 다른 계층의 표 두개와 같게 취급된다.
          * 보통선거: 모두가 한표씩 행사할 수 있다.
          * 선거 시스템: 지주만의 선거 이상의 선거권 개혁이 필요하다.
          * 게리멘더링: 선거구가 여당에 유리하도록 휙휙 바뀐다.
          * 공개선거: 여당이 누가 어느 당을 찍었는지 알 수 있다. 야당에게 투표하는 이에게 압력을 행사할수도 있다.
          * 비밀선거: 사람들은 뇌물이나 위협의 염려 없이 비밀리에 투표할 수 있다. 여당은 국민들의 투표에 간섭할 수 없다.
  • 김대환 (법조인) . . . . 23회 일치
         1942년에 [[경상북도]] 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제8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육군 대위를 전역한 이후 판사에 임용되어 서울형사지방법원 [[서울고등법원]] 등에서 판사와 [[서울고등법원]] 등에서 부장판사를 하다가 [[서울고등법원]]에서 수석 부장판사로 재직하고 있을 때인 1999년 10월 11일에 [[수원지방법원]]장에 임명되었다. [[수원지방법원]]장에 임명된 직후인 11월 20일에 수원지역 주민들의 등기민원 불편을 해소할 목적으로 2000년까지 수원시내 택지개발지구에 2개 등기소 를 설립하였으며<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4559307]</ref> 2000년 6월에 [[최종영]] 대법원장이 제청하는 신임 대법관 후보로 거론되었으나<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008261]</ref> 2000년 7월21일에 [[대전고등법원]]장으로 승진하였으며 2001년 2월 12일에 [[서울고등법원]]장으로 전보되면서 대법원장에 의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에 지명되었다. 서울고등법원장을 끝으로 법관에서 물러났으며 이후 법무법인 율촌에서 송무 Group<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6&aid=0000189786]</ref> 변호사를 하다가 2004년 3월 2일에 박영철 고려대 교수와 함께 대법원장 추천으로 공적자금관리위원회 민간위원에 임명되었다. 2013년 4월에는 [[서울중앙지방법원]]과 [[서울고등법원]]을 관할하는 서울법원조정센터 상임조정위원과 센터장을 맡았다.<ref>[http://news1.kr/articles/?1087614]</ref>
         되어 1심에서 징역1년 추징금 550만원을 선고받은 [[전두환]] 대통령의 사촌동생인 전우환에 대해 징역10월 추징금 550만원을 선고했다.<ref>동아일보 1989년 6월 8일</ref> 6월 22일에 삼양교통에서 사규위반 등으로 해고되자 서울북부지방노동사무소에 구제신청을 하고 부당해고 철회 등을 요구하며 회사를 비방하는 유인물을 작성해 배포하고 다른 회사 쟁의에 지원을 다니다가 구제신청이 기각된 이후 해고되자 [[노동쟁의 조정법]] 제3자 개입 금지 등으로 구속기소된 피고인에 대한 항소심에서 자기 회사에서의 활동에 대해 원심대로 무죄를 선고하면서 다른 회사 노동쟁의에 개입한 부분에 대해서만 징역1년 벌금 5만원 집행유예3년을 선고했다.<ref>한겨레 1989년 6월 23일자</ref>
         [[서울고등법원]] 형사1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1992년 10월 2일에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홍사덕]] 후보의 사생활을 비방하는 흑색 선전물을 살포하다 1심에서 징역1년6월 집행유예3년를 선고받은 안기부 대공수사국 소속 한기용(37세) 사무관과 징역8월 집행유예2년을 선고받은 박재규(29세) 김일환(32세) 전우경(27세) 등 4명에게 "처벌받아야 마땅하지만 대공 수사관으로 남이 알아주지 않는 음지에서 성실히 일해온 모범 공무원인데다 유죄판결로 공무원 자격 박탈되는 점 등을 참작했다"며 원심대로 선고했다.<ref>동아일보 1992년 10월 2일자</ref> 1993년 2월 26일 [[5공화국]] 비리로 구속되어 1심에서 징역2년 집행유예3년을 선고받은 전 치안본부 정보1과 분실장 서정희(48세 당시 청와대 정부수석 비서관실 파견)에 대해 혐의사실 중에 일부만 유죄를 인정하여 선고유예 판결했으며<ref>동아일보 1993년 2월 26일자</ref>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에 대해 은폐, 조작하여 2심에서 무죄가 선고되었다가 대법원에서 파기환송된 전 치안본부 5차장 박처원(65세)에게 범인도피죄를 적용해 1심대로 징역1년6월 집행유예3년을 선고했다.<ref>한겨레
         대한 항소심에서 "공판 전 증인신문은 무효"라며 원심 파기하고 무죄를 선고했다. 공판 전 증인신문제도에 대해 헌법재판소가 위헌 결정받은 이후 첫 판결이다.<ref>동아일보 1998년 4월 20일자</ref> 4월 28일에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선거운동기간 전에 선거기획단을 운영하여 법정선거운동 비용을 초과한 혐의 등으로 기소된 [[이명박]]에 대해 [[공직선거법]]과 범인도피죄를 적용해 각각 벌금400만원, 벌금 300만원을 선고했다.<ref>경향신문 1998년 4월 29일자</ref> 6월 30일에 사전 선거운동으로 1심에서 징역8월 집행유예2년을 선고받은 [[박계동]]에 대해 벌금 600만원을 선고했다.<ref>동아일보 1998년 7월 1일자</ref> 11월 4일에 "[[이회창]] 후보 아들 이정연이 고의로 체중을 감량해 병역을 면제받았다"고 기자회견을 했던 전 서울병무청장 직원 이재왕에 대해 명예훼손과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징역1년6월을 선고했다.<ref>동아일보 1998년 11월 5일자</ref> 11월 30일에 1심에서
          1일자</ref> 12월 1일에 대통령 선거에서 [[김대중]] 후보를 비방하는 기자회견을 열어서 1심에서 징역2년이 선고된 윤홍준에게 징역1년6월을 선고하면서 같은 혐의를 받은 전 안기부 해외조사실장 이대성도 징역1년6월을 선고했다.<ref>한겨레 1998년
         뇌물을 받아 1심에서 징역2년6월이 선고된 이강우 전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에 대해 "공직생활 중에 성실히 근무한 점 등을 고려할 때 실형은 과중하다"며 원심판결을 파기하면서 징역2년6월 집행유예3년을 선고했다.<ref>동아일보 1998년 12월 9일자</ref> 12월 24일에 대학원 연구과정을 수료한 뒤 선거 인쇄물에 대학원 총동문회 이사라고 기재하여 허위사실공표죄로 기소된 피고인에 대해 벌금80만원을 선고했다.<ref>매일경제 1998년 12월 25일자</ref> 1999년 1월 22일에 윤홍준 기자회견, 오익제 편지사건 등 [[안기부]] 북풍공작을 주도한 [[권영해]]에 대해 원심대로 징역5년
         자격정지3년을 선고하면서 박일룡 전 안기부 1차장에게 징역2년 집행유예3년 자격정지2년, 임광수 전 101실장과 임경묵 전 102실장 등 전직 안기부 간부 4명에게 징역8월~1년6월 집행유예2~4년 자격정지1~2년을 선고하면서 [[김대중]] 후보를 비방하는 X파일 시리즈를 게재한 격주간지 인사이더월드 발행인 손충무에게 징역2년을 선고했다.<ref>한겨레 1999년 1월 23일자</ref> 4월 26일에 대통령과 함께 찍은 것처럼 합성한 사진을 선거공보에 실은 허위사실공표죄에 대해 벌금150만원을 선고했다.<ref>한겨레 1999년 4월 27일자</ref> 5월 20일에 [[자민련]] 후보가 시장 후보를 결정하자 무소속 후보로 출마하면서 [[새정치 국민회의]]의 추천을 받았다며 선거운동을 했던 경기 안성시장 [[한영식]]에게 원심대로 징역8월 집행유예2년을 선고했다.<ref>동아일보 1999년 5월 21일자</ref> 8월 31일에 성남시 지하상가 개발업자로부터 금품을 받은 [[오성수]] 전 성남시장에 대해 징역5년 추징금 1억6천만원을 선고하면서 공직선거법 위반에 대해 벌금100만원, 업무상 횡령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다.<ref>한겨레 1999년 9월 1일자</ref>
         [[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194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문]][[분류:대한민국의 판사]][[분류:대한민국의 지방법원장]][[분류:대한민국의 고등법원장]][[분류:대한민국의 변호사]]
  • 김동한 (1919년) . . . . 23회 일치
          | 사망지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부산]]
          | 복무 = [[대한민국 해군]]
          | 국적 = [[대한민국]]
          | 최종 계급 = [[대한민국 해군]] [[중령]]
          | 기타 이력 = 1940년 [[대구가톨릭대학교|경상북도 대구 성 유스티노 신학교]] 전문학사 출신 <br /> 1956년 [[국방대학교|대한민국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1기 출신 <br/> [[성직자]], [[천주교]] [[사제]], [[수필|수필가]], [[군인]] <br/> [[신민당 (1967년)|신민당]] 국가보건행정특보위원(1975년) <br /> [[한국가톨릭결핵시설연합회]] 회장
         '''김동한'''(金東漢, [[1919년]] [[6월 25일]] ~ [[1983년]] [[9월 28일]])은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해군|해군]] [[군인]]이며 [[로마 가톨릭교회|가톨릭]] [[사제|성직자]] 겸 [[수필|수필가]]이다.
         [[1951년]]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해군|해군]] 군종 장교로 [[대한민국 해군|해군]] [[대위]] 임관하여 이후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군종장교|군종사관]] [[사제]]로 참전하였으며 [[군종사제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고 [[1970년]] [[대한민국 해군|해군]] [[중령]] 예편하였다.
         그 뒤 김동한 가롤로 사제는 [[1949년]] [[6월]]부터 [[1951년]] [[3월]]까지 [[창원시|경상남도 창원]]에서 사목하다가 [[1951년]] [[대한민국 해군|해군]]의 첫 [[군종장교|군종사관]](군종 신부)로 [[대한민국 해군|해군]] [[대위]] 임관하였다.<ref name="가톨1">[http://www.catholictimes.org/news/news_view.cath?seq=36413 (한국교회사 인물 80) (하)]{{깨진 링크|url=http://www.catholictimes.org/news/news_view.cath?seq=36413 }} 가톨릭뉴스</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528492 김동환 신부와 함께하는 故 김수환 추기경 :: 네이버 뉴스<!-- 봇이 붙인 제목 -->]</ref> 1953년 4월 진해 및 인근 본당들과 함께 ‘군민 합동 성체대회’ 개최했으며 이 대회는 진해 지역의 천주교 활성화에 크게 기여했다.<ref name="가톨1"/> 그 이후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대구]] [[계산성당]] 등에서 사목하였다.
         [[1969년]]에는 군종사제회 부회장에 서임되었다. 이때 군내 가톨릭회 총무로 있던 [[신치구]]에게 동생 [[김수환]]을 소개하기도 하였다.<ref>[http://www.heraldbiz.com/SITE/data/html_dir/2009/02/18/200902180497.asp 고품격 콘텐츠페이퍼, 헤럴드경제<!-- 봇이 붙인 제목 -->]</ref> 이후 19년간의 [[대한민국 해군|해군]] [[장교|군종 사제]] [[국방의 의무|복무]]를 마치고 [[1970년]] [[3월]] [[대한민국 해군|해군]] [[중령]] 예편하였다.
         [[분류:1919년 태어남]][[분류:1983년 죽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광산 김씨]][[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성직자]][[분류:대한민국 해군 중령]][[분류: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분류:대한민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분류:대한민국의 수필가]][[분류:함세웅]][[분류:신민당]][[분류:대한민국의 군사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문화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시사 평론가]][[분류:대구가톨릭대학교 동문]][[분류:국방대학교 동문]]
  • 이강철 (1947년) . . . . 23회 일치
         '''이강철'''(李康哲, [[1947년]] [[5월 6일]] [[대구]] - )은 [[대한민국]] [[참여정부]]에서 대통령 정무특별보좌관을 지낸 정치인이다.
         * [[노무현]]대통령후보 조직특보
         * 제16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정무특보
         * 열린우리당 [[대한민국 제17대 총선|4.15 총선]] 영입추진단장
         * 대통령비서실 시민사회수석비서관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제13대 총선]]||[[대구 수성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수성구)]]||13대||[[한겨레민주당]]||{{막대|민노|0|5|6|5}} 5.65%||8,459표||4위||낙선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제14대 총선]]||[[대구 중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중구)]]||14대||[[민주당 (대한민국, 1991년)|민주당]]||{{막대|녹|1|8|1|8}} 19.18%||12,122표||3위||낙선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제15대 총선]]||[[대구 중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중구)]]||15대||[[민주당 (대한민국, 1995년)|통합민주당]]||{{막대|늘|1|3|5|5}} 13.55%||7,183표||3위||낙선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제17대 총선]]||[[대구 동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동구 갑)]]||17대||[[열린우리당]] ||{{막대|열린|3|5|1|1}} 35.11%|| 24,529표||2위||낙선
         |[[2005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10·26 재보궐선거]]||[[대구 동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동구 을)]]||17대||[[열린우리당]]||{{막대|열린|4|4|0|8}} 44.08%||30,789표||2위||낙선
         [[분류:194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분류:대구서부초등학교 동문]][[분류:대구중학교 동문]][[분류:계성고등학교 (대구) 동문]][[분류:경북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임인배 . . . . 23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 [[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분류:1954년 출생]]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호는 덕천(德泉)이다.
         1954년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태어났다. [[김천고등학교]], [[영남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대한민국 검찰청]] 수사관으로 근무하였다. 1995년 현직 검찰 수사관 신분으로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012800329116014&editNo=20&printCount=1&publishDate=1995-01-28&officeId=00032&pageNo=16&printNo=15325&publishType=00010|"조국을 남기고 님은 가셨습니다"라는 소설을 발간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호를 따서 덕천장학회를 설립하여 운영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후보로 경상북도 김천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신한국당 원내부총무에 임명되었다. 1999년 한나라당 원내부총무에 임명되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이회창]] [[총재]]의 특별보좌관, 한나라당 원내수석부총무를 역임하였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07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치러진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 선출 [[전당대회]]에서 [[친이]]계로 [[이명박]] 후보를 지지하였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김천고등학교 동기생인 [[이철우(1955)|이철우]]에게 밀려 한나라당 공천에서 탈락하였다. 같은 해부터 2010년까지 한국전기안전공사 [[사장]]을 역임하였다. 2014년부터 [[안양대학교]] 부총장을 역임하고 있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김천) || '''[[신한국당]]''' || '''34,576 (45.23%)''' || '''당선 (1위)''' ||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김천) || '''[[한나라당]]''' || '''49,544 (75.36%)''' || '''당선 (1위)''' ||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김천) || '''[[한나라당]]''' || '''41,696 (62.20%)''' || '''당선 (1위)''' || ||
  • 조진호 (축구인) . . . . 23회 일치
         |출생지=[[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사망지=[[대한민국]]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양산부산대학교병원]]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0]]<br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3]]<br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조진호'''(趙眞浩, [[1973년]] [[8월 2일]] ~ [[2017년]] [[10월 10일]])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였으며, [[대전 시티즌]], [[상주 상무]], [[부산 아이파크]]의 감독을 지냈다. 본관은 [[함안 조씨|함안]].
         [[10월 10일]] 당일 [[스위스]] 베른 주 빌에서 열린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의 평가전 시작 전 선수들이 묵념의 시간을 가졌으며, 10월 14일부터 15일까지 모든 K리그 경기에서도 추모 묵념을 진행했으며, [[10월 14일]] [[수원 FC]]와 [[부산 아이파크]]의 경기에서는 부산 측 원정 서포터석에 조진호 감독의 사진을 걸었며, 이 날 [[이정협 (축구 선수)|이정협]]은 패널티킥으로 골을 성공시킨 뒤 조진호 감독의 사진 앞에 달려가 얼굴을 파묻는 모습을 보여줬으며, [[10월 15일]] [[대전 시티즌]]과 [[부천 FC 1995]]와의 경기에서 대전 홈팬들이 조진호 감독이 대전을 K리그 챌린지에서 우승시켰던 2014년을 기억하고 추억하고자 경기 시작 후 14분 동안 응원을 하지 않으며 조진호 감독을 추모했다.
         ;{{국기그림|대한민국}} [[포항 스틸러스]]
         * [[FA컵 (대한민국)|FA컵]] : 우승 ([[FA컵 1996|1996]])
         * [[FA컵 (대한민국)|FA컵]] ([[FA컵 1996|1996]]) MVP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대한민국 선수 명단}}
         {{1993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선수 명단}}
         {{1994년 FIFA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1994년 아시안 게임 축구 남자 대한민국 선수 명단}}
         [[분류:1973년 태어남]][[분류:2017년 죽음]][[분류:함안 조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륜고등학교 동문]][[분류:한양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포항 스틸러스의 축구 선수]][[분류:상무 축구단 (실업)의 축구 선수]][[분류: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축구 선수]][[분류:성남 FC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1의 축구 선수]][[분류: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축구 감독]][[분류:대전 시티즌의 축구 감독]][[분류:상주 상무 축구단의 축구 감독]][[분류:부산 아이파크의 축구 감독]][[분류: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1994년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94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전 시티즌의 코칭스태프]][[분류:K리그1의 축구 감독]][[분류:전남 드래곤즈의 코칭스태프]][[분류:부산 아이파크의 코칭스태프]][[분류:상주 상무 축구단의 코칭스태프]][[분류:심장 마비로 죽은 사람]][[분류: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코칭스태프]]
  • 김봉환(1921) . . . . 22회 일치
         [[대한민국]]의 관료, 법조인([[변호사]]), [[정치인]]이다. 호는 선주(善洲)이다. [[신광순]] 전 국회의원이 그의 손아랫동서이다. 또한 [[손경식]]의 장인어른이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 후보로 경상북도 선산군-[[군위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자유민주당(대한민국)|자유민주당]] [[김현규]]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965년부터 1967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신민당(1967년)|신민당]] [[박만원]]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신민당 김현규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1972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예산결산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유신정우회]] 제1기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1976년까지 부임하였다. 같은 기간에 [[대한민국 국회]] 보건사회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76년에는 유신정우회 제2기 국회의원에서 탈락하였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63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선산군-[[군위군]]) ||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 || - || '''당선''' || ||
         || 1967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선산군-[[군위군]]) ||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 || - || '''당선''' || ||
         || 1971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선산군-[[군위군]]) ||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 || - || '''당선''' || ||
         || 1973 || [[제9대 국회의원 선거]] (유신정우회) || [[유신정우회]] || - || - || ||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구미시 출신 인물]]
  • 김승대 . . . . 22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1980년생 대한민국의 배우, rd1=김승대(배우))]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ed0000> '''{{{#ffff00 국적}}}''' || [[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30]] [[대한민국]] ||
         ||<#ed0000> '''{{{#ffff00 청소년대표}}}''' ||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0]] (2경기) [br]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3]] (8경기 4골) ||
         ||<#00703c> '''{{{#eee156 2015.08.02}}}''' ||<#00703c> '''{{{#eee156 2015 EAFF 동아시안컵}}}''' ||<#00703c> '''{{{#eee156 중국 0 : 2 대한민국}}}''' ||<#00703c> '''{{{#eee156 A대표 데뷔전 [br] A대표 데뷔골}}}''' ||
         ||<#00703c> '''{{{#eee156 2015.08.09}}}''' ||<#00703c> '''{{{#eee156 2015 EAFF 동아시안컵}}}''' ||<#00703c> '''{{{#eee156 대한민국 0 : 0 북한}}}''' ||<#00703c> '''{{{#eee156 우승}}}''' ||
         ||<#00703c> '''{{{#eee156 2010.04.07}}}''' ||<#00703c> '''{{{#eee156 UAE 4개국 친선대회}}}''' ||<#00703c> '''{{{#eee156 대한민국 1 : 0 독일}}}''' ||<#00703c> '''{{{#eee156 U-20 대표 데뷔전}}}''' ||
         ||<#00703c> '''{{{#eee156 2010.04.10}}}''' ||<#00703c> '''{{{#eee156 UAE 4개국 친선대회}}}''' ||<#00703c> '''{{{#eee156 이집트 1 : 1 대한민국}}}''' ||<#00703c> '''{{{#eee156 우승}}}''' ||
         ||<#00703c> '''{{{#eee156 2014.06.01}}}''' ||<#00703c> '''{{{#eee156 U-23 친선전}}}''' ||<#00703c> '''{{{#eee156 대한민국 2 : 1 쿠웨이트}}}''' ||<#00703c> '''{{{#eee156 U-23 대표 데뷔전 [br] U-23 대표 데뷔골}}}''' ||
         ||<#00703c> '''{{{#eee156 2014.09.14}}}''' ||<#00703c> '''{{{#eee156 2014 인천 아시안게임 본선}}}''' ||<#00703c> '''{{{#eee156 대한민국 3 : 0 말레이시아}}}''' ||<#00703c> '''{{{#eee156 1골}}}''' ||
         ||<#00703c> '''{{{#eee156 2014.09.17}}}''' ||<#00703c> '''{{{#eee156 2014 인천 아시안게임 본선}}}''' ||<#00703c> '''{{{#eee156 대한민국 1 : 0 사우디아라비아}}}''' ||<#00703c> '''{{{#eee156 1골}}}''' ||
         ||<#00703c> '''{{{#eee156 2014.09.21}}}''' ||<#00703c> '''{{{#eee156 2014 인천 아시안게임 본선}}}''' ||<#00703c> '''{{{#eee156 라오스 0 : 2 대한민국}}}''' ||<#00703c> '''{{{#eee156 1골}}}''' ||
         ||<#00703c> '''{{{#eee156 2014.09.25}}}''' ||<#00703c> '''{{{#eee156 2014 인천 아시안게임 본선}}}''' ||<#00703c> '''{{{#eee156 대한민국 3 : 0 홍콩}}}''' ||<#00703c> '''{{{#eee156 -}}}''' ||
         ||<#00703c> '''{{{#eee156 2014.09.28}}}''' ||<#00703c> '''{{{#eee156 2014 인천 아시안게임 본선}}}''' ||<#00703c> '''{{{#eee156 대한민국 1 : 0 일본}}}''' ||<#00703c> '''{{{#eee156 -}}}''' ||
         ||<#00703c> '''{{{#eee156 2014.09.30}}}''' ||<#00703c> '''{{{#eee156 2014 인천 아시안게임 본선}}}''' ||<#00703c> '''{{{#eee156 대한민국 2 : 0 태국}}}''' ||<#00703c> '''{{{#eee156 -}}}''' ||
         ||<#00703c> '''{{{#eee156 2014.10.02}}}''' ||<#00703c> '''{{{#eee156 2014 인천 아시안게임 본선}}}''' ||<#00703c> '''{{{#eee156 대한민국 1 : 0 북한}}}''' ||<#00703c> '''{{{#eee156 우승}}}''' ||
         [[김병수(축구인)|김병수]]감독에 의하면 [[http://sportalkorea.mt.co.kr/news/view_interview.php?gisa_uniq=2014052613515581|고등학교 때 측면에서 뛰었는데 대학교에서 가운데로 이동을 시켰다.]] 희한하게 측면에서는 아무것도 못하는데 가운데에서 프리롤을 주면 뭔가를 만들어낸다고... 순간 스피드가 좋으며 체력도 굉장히 좋아서 지구력으로는 대한민국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들어갈 정도라는 평가를 했다.
         [[분류:1991년 출생]] [[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분류:대한민국의 축구선수]] [[분류:옌볜 푸더/은퇴, 이적]] [[분류:포항 스틸러스/현역]]
  • 김장섭 . . . . 22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법조인, 관료, [[정치인]]이다. 1909년 [[경상북도]] 영일군(현 [[포항시]])에서 태어났다.
         [[8.15 광복]] 이후 [[미군정]]기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검사(법조인)|검사]]로 근무하였다. 대검찰청 검사를 거쳐 [[변호사]]를 개업했다.
         1958년부터 1959년까지 내무부(현 [[행정자치부]]) 차관을, 1959년 농림부(현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을 역임하였다. 1960년 1월 [[김익노]]의 당선 무효로 치러진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재보궐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경상북도 영일군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4.19 혁명]] 이후 치러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참의원]](경상북도)에 출마하였다. 그러나 1961년 초 [[3.15 부정선거]]를 이유로 반민주주의자로 결정되었다. 이에 공민권 제한 대상자가 되어 국회의원직이 상실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 후보로 경상북도 포항시-영일군-[[울릉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1969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선여부 || 비고 ||
         || 1960 || [[1960년 재보궐선거]] (경상북도 영일군 을) || [[자유당]] || - || '''당선''' || ||
         || 1960 ||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참의원]](경상북도)) || [[무소속]] || - || - || ||
         || 1963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포항시-영일군-[[울릉군]]) ||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 || - || '''당선''' || ||
         || 1967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포항시-영일군-[[울릉군]]) ||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 || - || '''당선''' || ||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포항시 출신 인물]][[분류:1919년 출생]][[분류:1993년 사망]]
  • 김종훈 (1952년) . . . . 22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시]] <br>(현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국적 = 대한민국
         '''김종훈'''(金宗壎, [[1952년]] [[5월 5일]] ~ , [[대구광역시|대구]])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었고, 제19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다.
         * 1998년 : [[주 제네바 대한민국 대표부]] 공사
         * 1993년 : [[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참사관
         * 1987년 : [[주 캐나다 대한민국 대사관]] 참사관
         * 1979년 : [[주 프랑스 대한민국 대사관]] 3등서기관
         * 2012년 11월 ~ 2012년 12월 : 새누리당 대선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인재영입위원회 위원
         * 2012년 10월 ~ 2012년 12월 :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직능총괄본부 외교통상본부장
         * 2012년 10월 ~ 2012년 12월 : 새누리당 서울시당 선거대책위원회 공약위원회 위원장
         * 2012년 10월 ~ 2012년 12월 : 새누리당 재외선거대책위원회 자문위원
         또한 2012년 총선을 앞두고, 김종훈은 SBS 라디오 '서두원의 시사초점'에서 강북 출마설에 대해 묻자 강북을 저 어디 어두컴컴한 데'라고 묘사하여 물의를 빚었고,<ref>[http://www.mt.co.kr/edition/se_vote2012/vote_view.php?no=2012032014002808265&sec=news&gb= 김종훈 '강남아니면 컴컴한 곳'? SNS'폭발'] 《머니투데이》 2012년 3월 20일</ref> CBS와의 인터뷰에서 “구멍가게 찾아보기 어렵게 된 지 20년이 됐다”며 “이것이 한-미 에프티에이(FTA) 때문이라고 말하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는 발언으로 대한민국내 영세업자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ref>[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525380.html “컴컴한 데” 발언 김종훈 “구멍가게 20년전에…”] 《한겨레》 2012년 3월 26일</ref>
         새누리당은 28일 논평을 통해 "4.11 총선거를 앞두고 홍사덕, 김종훈 후보 등 새누리당 후보들의 트위터 계정에 대한 공격이 잇따르고 있다"며 트위터 계정폭파를 신종 사이버 공격으로 규정하고, "검찰은 트위터 계정폭파 범죄에 대해 즉각 수사에 나서 선거를 방해하려는 집단의 배후를 밝혀내라"고 촉구했다.<ref>[http://news1.kr/articles/608133 새누리 "김종훈 트위터 폭파는 조직적 테러"] 《뉴스1》 2012년 3월 28일 차윤주 기자</ref> 그러나 "트위터 계정폭파란 존재하지 않으며,<ref>[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7745518&ctg=1200 트위터 본사 "계정폭파?...이용규정 위반으로 정지는 된다"] 《중앙일보》 2012년 3월 30일</ref> 오히려 사용자가 반복된 글을 일방적으로 보내는 등 이용규정 위반할 경우 정지된다"는 트위터 본사 측 반박<ref>[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20330800080 트위터 측 “새누리당, 반복 글 보내 정지된 것” 반박] 《서울신문》 2012년 3월 30일</ref> 으로 새누리당 측의 이러한 주장은 사실과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ref>[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10120329031607 김종훈 '트위터 계정폭파'? "새누리당, 새 됐네"] 《프레시안》 2012년 3월 29일 이명선 기자</ref><ref>[http://www.viewsnnews.com/article/view.jsp?seq=84981 보수지 신봉하던 새누리, '국제적 대망신' 자초] 《뷰스앤뉴스》 2012년 3월 29일</ref><ref>[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525874.html 김종훈 트위터 계정폭파 당했다더니…“국제적 망신살”] 《한겨레》 2012년 3월 29일</ref>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대한민국 19대 총선|제19대 총선]]||[[서울 강남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서울 강남구 을)]]||19대||[[새누리당]]||{{막대|새|5|9|4|7}} 59.47%||73,346표||1위||[[파일:국회의원당선.png|25px|서울 강남구 국회의원 당선]]
         |[[대한민국 20대 총선|제20대 총선]]||[[서울 강남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서울 강남구 을)]]||20대||[[새누리당]]||{{막대|새|4|4|4}} 44.4%||41,757표||2위||낙선
         [[분류:195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외교관]][[분류:통상교섭본부장]][[분류:옛 새누리당의 정치인]][[분류:바른미래당의 정치인]]
         [[분류: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동문]][[분류: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동문]][[분류:연세대학교 경영대학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한미자유무역협정]][[분류:SK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사외이사]]
  • 김태룡(정치인) . . . . 22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1963년 [[국민의당(1963년)|국민의당]] 창당에 참여하였다. 이후 민주당, [[민중당(1965년)|민중당]] 등의 야당에 몸담았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1967년)|신민당]] 후보로 충청남도 대전시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 [[김용태(1926)|김용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충청남도 대전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김용태 후보와 [[민주통일당]] [[박병배]][* 재검표로 당선 확정]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5년 [[긴급조치]] 9호로 구속되었다. 1977년 [[이철승]] 대표최고위원의 온건노선에 반발하여 신민당야당성회복투쟁위원회 공동의장 겸 대변인을 역임하였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민주당]] 후보로 [[충청남도]] [[대전광역시|대전시]] [[중구(대전)|중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강창희]]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7년 1월 [[홍사덕]]의 뒤를 이어 신한민주당 대변인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4월 신한민주당을 탈당하여 [[통일민주당]]에 입당하였고 통일민주당에서도 대변인을 역임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충청남도 대전시 [[서구(대전)|서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민주공화당]] 박충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0년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출범하자 참여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공천]]에 탈락하자 [[통일국민당]] 후보로 [[대전광역시|대전직할시]] 서구-[[유성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친여 [[무소속]] [[이재환(정치인)|이재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rowbgcolor=black> {{{#white 연도}}} || {{{#white 선거종류}}} || {{{#white 소속정당}}} || {{{#white 득표수(득표율)}}} || {{{#white 선여부}}} || {{{#white 비고}}} ||
         || 1971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대전시) || [[신민당(1967년)|신민당]] || - || 낙선 || ||
         || 1973 ||[[제9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대전시) || [[신민당(1967년)|신민당]] || - || 낙선 || ||
         || 1985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대전광역시|대전시]] [[중구(대전)|중구]]) || [[신한민주당]] || - || '''당선'''[* [[민주정의당]] [[강창희]] 후보와 동반 당선] || ||
         || 1988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대전시 [[서구(대전)|서구]]) || [[통일민주당]] || - || 낙선 || ||
         || 199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대전광역시|대전직할시]] 서구-[[유성구]]) || [[통일국민당]] || - || 낙선 || ||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세종특별자치시 출신 인물]]
  • 박기환(정치인) . . . . 22회 일치
         '''지방자치제도 도입 후 [[TK]]에서 최초로 [[민주당계 정당]] 소속으로 당선된 기초지방단체장.'''[*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소속으로 [[울진군]]수에 당선된 신정 전 군수와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구미시]]장에 당선된 [[장세용]] 현 시장이 있다.]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공인회계사|공인회계사]] 출신 [[정치인]]이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경상북도 영일군-[[울릉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이상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0년 [[3당 합당]] 때 [[민주자유당]]에 합류하지 않고 [[민주당(1990년)|꼬마민주당]]에 잔류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1991년)|민주당]] 후보로 경상북도 포항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친여 [[무소속]] [[허화평]]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경상북도 포항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민주당의 후신 [[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이 [[신한국당]]에 흡수되어 [[한나라당]]이 되자 한나라당에 속하였다.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을 탈당하여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포항시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정장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으로 포항시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정장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후보로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포항)|남구]]-울릉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이상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으로 포항시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박승호(정치인)|박승호]]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 울진군 . . . . 22회 일치
         ||<-2><bgcolor=#FF8000> {{{#FFFFFF '''국가'''}}} ||<bgcolor=#F5ECCE> [[대한민국]] ||
         ||<-2><bgcolor=#04B431> {{{#FFFFFF '''군수'''}}} ||<bgcolor=#CEF6CE> [[전찬걸]] ([[무소속|{{{#808080 '''무소속'''}}}]])[br]초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2><bgcolor=#08088A> {{{#FFFFFF '''국회의원'''}}} ||<bgcolor=#CEE3F6>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br][[강석호]]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3선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신라]] 시대에는 [[명주]], [[고려]] 시대에는 동계, [[조선]]~[[대한민국]] 시대(1962년)까지 1000년이 넘도록 강원도 관할이었고, 현재 [[경상도]](경상북도) 관할로는 2014년 현재 겨우 50여 년이 되었다. 경상도 다른 지역보다 강원도 정서가 좀 더 강한 것은 당연하다. [[애초에]] 도급 행정구역의 경계지역은 완전히 그 도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도 않다. 그것도 강원도같이 도내에서도 지역차가 확고한 지역이라면.
         그러나 울진은 항공교통의 요충지 중 하나로 [[인천국제공항]]을 출발하여 [[일본]]이나 [[미국]]으로 가는 비행기 및 [[유럽]]/[[중국]]에서 우리나라 영공을 관통하여 [[일본]]으로 가는 대부분의 비행기들은 울진 상공을 거쳐서 대한민국을 떠난다. 일부 예외가 있는데 이 경우는 강릉 상공을 통해 대한민국을 떠난다.
         특산물로는 [[대게]]와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 등록된 울진 [[송이]]가 있으며 [[2005년]]과[[2009년]]엔 친환경 농업 [[엑스포]]가 개최 되었다. 이웃한 [[영덕군]]과는 대게 문제로 사이가 좋지 않은 편이다. 그것도 원조 분쟁이었는데 한국산 대게의 원조 분쟁을 놓고 [[영덕군]]과 대립중이며 대게 생산에 있어서도 [[영덕군]]과 경쟁중이다.
         || '''후보''' ||<:><bgcolor=#1870B9>{{{#FFFFFF 문재인}}}||<:><bgcolor=#C9151E>{{{#FFFFFF '''홍준표'''}}}||<:><bgcolor=#046240>{{{#FFFFFF 안철수}}}||<:><bgcolor=#00B1EB>유승민||<:><bgcolor=#FFCC00>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 '''선거''' ||<:>'''18대 대선'''||<:>'''20대 총선'''||<:>'''19대 대선'''||<:>'''증감율 (대선/대선)'''||<:>'''증감율 (총선/대선)'''||<:>'''18대 대선'''||<:>'''20대 총선'''||<:>'''19대 대선'''||<:>'''증감율 (대선/대선)'''||<:>'''증감율 (총선/대선)'''||
         역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울진은 경상북도와는 조금 다른 성향을 보였는데, 지역적 성향 탓도 있지만 [[김중권]]이라는 지역 유명 정치인 때문이다. 1981년부터 3선을 달리고 이후 20년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6번이나 연이어 낙선했으나 매우 높은 득표를 보였다. [[민주정의당]] - [[민주자유당]] - 공천탈락 - "무당파국민연합" - [[김대중]] 정부의 초대 [[대통령비서실]]장 + [[새천년민주당]] 대표 - 무소속의 길을 밟았으며,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노무현]] 대통령보다도 먼저 "영남 대통령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었다. 2012년에는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를 지지하였다.
         김중권 후보가 이런 테크를 타게 된데에는 3선 이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의 낙선이 크게 작용했는데, 당시 지역 발전을 위해 유치한 원전에 반대하여 울진 지지층 상당수가 이탈했기 때문이라고. 지금의 울진의 주변지역에 비해 상대적 번영을 생각하면 역설인 셈이다. 그래도 밑에서 보이듯 이탈한 표는 다시 돌아왔다. 하지만 탄핵 역풍이나 다른 지역의 새누리 지지로 끝내 당선은 늘 실패했다.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천년민주당]] 깃발을 달고도 불과 19표(0.03%)차로 낙선하는 기염을 토했다. 물론 중요한 건 낙선했다는 거지만. 당시 [[김광원]] 후보도 같은 울진 출신이었을 뿐더러, [[삼척시]] 산불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투표에 참여하지 못해 낙선하고 말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17대 총선에서 민주당의 분열에 따라 당을 탈당, [[서울특별시]] [[마포구]]을 출마를 포기하고 열린우리당 후보가 정해진 이 지역구로 다시 무소속 출마했다. 탄핵열풍에도 열린우리당 후보(박영무, 24.02%)와 표를 나눠먹으며 26.9%로 낙선. 이때 탄핵열풍을 타러 열린우리당에 입당했으면 당선될 수 있었지만 결국 그러진 않았고,민주당 후보가 없던 18대 총선에서도 38.9%를 얻으며 낙선.
         울진은 [[봉화군]], [[영덕군]], [[영양군]]과 선거구가 같은데 울진에서는 김중권 후보가 압도적인 지지를 받고 봉화는 비등한데 영덕에서 밀리는 식이다. 영양은 애초에 판세에 영향줄 만큼 인구가 많지 않다. 대표적으로 [[2012년]]에 있었던 19대 총선의 경우, 김중권 후보는 울진에선 51.63%를 득표해 40.21%를 득표한 새누리당 [[강석호]] 후보를 이겼으나 나머지 지역에서 강석호 후보에게 밀렸다. 특히 영덕에서는 강석호 후보가 70.64%를 득표했다. (물론 이는 강석호 후보의 고향이 영덕인 까닭이다.) 격차는 55:36으로 19%나 났는데 민주통합당 후보가 4.5%, [[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이 3%를 득표했다. 김중권 후보의 울진 득표는 16대 이래 50.90 -> 31.95%(범민주를 더하면 53.36%) -> 55.69% -> 51.63%으로 건재하나 아마도 이번이 마지막 출마가 될 것 같다. [[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2/05/2013020501995.html|#]]
         다만 다른 성향을 보인다는 것도 경북 내에서는 그렇다는 것이지 우리가 생각하는 그런 수준을 생각하면 안된다. 단적인 예로 18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79.99%를 득표했다. 다만 이게 경상북도의 군 지역에서는 가장 낮은 득표율이다. 옆동네엔 영덕에서는 박근혜 후보가 87.11%를 득표했다. 읍면별로 뜯어보면 득표율 격차가 군치고는 꽤 나는 편인데 남쪽 끝인 후포면에서는 박근혜 후보가 90.9%(...)라는 어마어마한 득표율을 기록한 반면 강원도랑 인접해 있으며 원전이 있는 북면에서는 문재인 후보가 30.68%를 득표하였다. 이건 강원도의 영향이 아니라, 원전으로 인해 젊은 층이 많아서 이다. 그 이외 지역들은 울진읍을 제외하고는 박근혜 후보가 전 지역에서 8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그나마 울진읍도 76% 이상 득표하였고.
  • 이병석(정치인) . . . . 22회 일치
         1994년부터 1996년까지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정무비서관을 역임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후보로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포항)|북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옥중 출마한 [[무소속]] [[허화평]]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7년 허화평의 [[국회의원]]직 상실로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도 신한국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박태준]]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친이]]계 정치인으로서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치러진 한나라당의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후보 선출 [[전당대회]]에서 [[이명박]] 후보를 지지하였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 [[대한민국 국회|국회]] 국토해양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2014년까지 제19대 국회 전반기 국회부의장을 역임하였다.
         허나 이런 훈훈한 일화도 얼마 못가 [[포스코]] 비리 연루 의혹을 받으면서 빛이 바랬다.(...) 결국 2016년 1월 25일 [[대한민국 검찰청|검찰청]]에 의해 체포 영장이 발부되었으며, 결국 2016년 2월 1일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불출마를 선언하였다. 그리고 포스코 관련 비리 때문에, 새누리당이 인명진 비대위체제로 넘어간 뒤 2017년 1월 18일에 당에서 '''제명되었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포항시 출신 인물]][[분류:1952년 출생]]
  • 이현우 (가수) . . . . 22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그는 중학교 시절 [[미국]]으로 이주하였다. 그 후 1988년 [[미국]] [[뉴욕주]] [[뉴욕 시티]]의 언더그라운드 [[라이브 클럽]]에서 [[록 음악]] [[가수]]로 첫 데뷔하였으며 이듬해 1989년 미국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대한민국]]에 잠깐 놀러 왔다가 당시 [[가수]] [[강수지]]의 소속사 매니저의 소개를 받고 1990년 10월에 실험적인 [[테크노 팝|테크노]] [[댄스 팝]] [[대중음악|음악]] 장르 곡인 데뷔곡 《꿈》이 수록된 《12 Inch Dance Version》이라는 싱글 [[음반]]으로 첫 데뷔하였다. 그리고 이듬해 1991년 1집 [[음반]] 《Black Rainbow》로 정식 데뷔하였다.
         * [[2006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 |SBS]] 월화드라마 《[[독신천하]]》 - 장현수 역
         * [[2010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 |SBS]] 월화드라마 《[[오! 마이 레이디]]》 - 유시준 역
         * [[2012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 |SBS]] 금요시트콤 《[[도롱뇽도사와 그림자 조작단]]》 - 현우 역
         * [[2016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 |SBS]] 드라마스페셜 《[[딴따라]]》 - 최준하 역 (특별출연)
         [[분류:196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1988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20세기 미국 사람]][[분류:21세기 미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미술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모델]][[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참가자]][[분류:미국의 개신교도]][[분류:파슨스 디자인 스쿨 동문]][[분류:경원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한국계 미국인]][[분류:한국계 미국인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마약범]][[분류:나는 가수다에 출연한 가수]][[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이라크 전쟁 반전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경주 이씨]][[분류:대한민국의 범죄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 함중아 . . . . 22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
         '''함중아'''(咸重兒, '''존슨 함'''(Johnson Hahm), [[1952년]] [[5월 13일]] ~ )는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이다.
         [[분류:195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미국계 한국인]][[분류:대한민국의 록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사이키델릭 록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록 기타 연주자]][[분류:대한민국의 피아노 연주자]][[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키보드 연주자]][[분류:김현식]][[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1971년 데뷔]][[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싱어송라이터]][[분류:대한민국의 침례교도]][[분류:대한민국의 검정고시 통과자]][[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캐나다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명지전문대학 교수]][[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홍콩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잉글랜드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스코틀랜드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뉴질랜드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오스트레일리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김운용 . . . . 21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세브란스 병원]]
         '''김운용'''(金雲龍, [[1931년]] [[3월 19일]] ~ [[2017년]] [[10월 3일]])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스포츠 행정가이다.<ref name="newsis_2011-04-18_419">{{뉴스 인용 | 저자=배민욱 | 위치=서울 | 뉴스=뉴시스 | 제목="국민이 하야 원해? 그럼 하지"…4·19 생생한 증언 |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3808062 | 날짜=2011-04-18 | 확인날짜=2017-10-03 | 보존url=https://archive.today/20171003133654/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3808062 | 보존날짜=2017-10-03 | 깨진링크=아니오 }}</ref>
         [[1971년]]부터 [[1991년]]까지 [[대한태권도협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1973년]]부터 [[2004년]]까지 [[세계 태권도 연맹]]을 역임했다. [[태권도]]의 세계화를 추진했으며 태권도가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86년]]부터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1992년]]에는 부위원장에 당선되기도 하였다. 2001년 IOC위원장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하였다. 2005년 공금 횡령 등의 혐의로 구속된 후에 IOC 위원직을 사퇴했다. 2017년 10월 3일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의 [[연세대학교 의료원|세브란스병원]]에서 8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ref name="yonhapnews_2017-10-03_death">{{뉴스 인용 | 저자=배진남 | 위치=서울 | 뉴스=연합뉴스 | 제목='한국스포츠 거목' 김운용 전 IOC 부위원장 3일 오전 타계(종합3보) | 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0/03/0200000000AKR20171003024154007.HTML | 날짜=2017-10-03 | 확인날짜=2017-10-03 | 보존url=https://archive.today/20171003133204/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0/03/0200000000AKR20171003024154007.HTML | 보존날짜=2017-10-03 | 깨진링크=아니오 }}</ref><ref name="news1_2017-10-03_death">{{뉴스 인용 | 저자=정명의 | 위치=서울 | 뉴스=뉴스1 | 제목=거목이 쓰러지다…김운용 전 IOC 부위원장이 걸어온 길 | url=http://news1.kr/articles/?3116999 | 날짜=2017-10-03 | 확인날짜=2017-10-03 | 보존url=https://archive.today/20171003133158/http://news1.kr/articles/?3116999 | 보존날짜=2017-10-03 | 깨진링크=아니오 }}</ref>
         * 1952년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졸업
         * 1953년 대한민국 육군포병학교 졸업
         * 1954년 대한민국 육군공병학교 졸업
         * 1963년 ~ 1968년 : [[미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관 참사관, [[유엔]] 주재 대한민국 대표부 참사관, [[영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관 참사관을 역임함.
         * 1965년 : 제20차 [[유엔 총회]]에서 대한민국 대표로 참석함.
         * 1982년 : [[대한민국 외무부]] 정책 자문 위원으로 위촉됨.
         * 1990년 6월 : 대한민국의 [[노태우]] 대통령의 특사 자격으로 [[폴란드]], [[헝가리]], [[유고슬라비아]]를 방문함.
         * 1996년 8월 :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체육 교류 대사로 임명됨.
         * 2000년 5월 ~ 2004년 5월 : [[대한민국 제16대 국회]] [[새천년민주당]] 전국구 6번 의원을 역임함.
         [[분류:1931년 태어남]][[분류:2017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분류:대한민국 육군 소령]][[분류:육군보병학교 동문]][[분류:미국 육군보병학교 동문]][[분류:육군포병학교 동문]][[분류:육군공병학교 동문]][[분류: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분류:텍사스 대학교 동문]][[분류:연세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메리빌 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잉글랜드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대한민국의 수감자]][[분류:IOC 위원]][[분류:동국대학교 교수]][[분류:동덕여자대학교 교수]][[분류:중앙대학교 교수]][[분류:홍익대학교 교수]][[분류:단국대학교 교수][[분류: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분류:한양대학교 교수]][[분류:고려대학교 교수]][[분류:서울가톨릭대학교 교수]][[분류:한성대학교 교수]][[분류:성균관대학교 교수]][[분류:이화여자대학교 교수]][[분류:숭실대학교 교수]][[분류:한국체육대학교 교수]][[분류:서일대학교 교수]][[분류:숙명여자대학교 교수]][[분류: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교수]][[분류:경기대학교 교수]][[분류:세종대학교 교수]][[분류:국민대학교 교수]][[분류:태권도인]][[분류:신민주공화당]][[분류:새천년민주당 당원]][[분류:대통합민주신당 당원]][[분류:스포츠영웅 명예의 전당 헌액자]]
  • 하태환 . . . . 21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교육자 [[정치인]]이다. [[김병윤]] 전 [[대한민국 국회의원]]이 그의 손아래처남이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영일군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김익노]]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영일군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현역 [[지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인 무소속 김익노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포항동지상업고등학교(현 [[동지고등학교]]) [[교장]]을 역임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포항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자유당]]에 입당하였다. 1956년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목화|원면]] 부정사건을 조사하다가 자유당에서 제명되었다. 1957년에야 복당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대한민국 국회]] [[국방위원회]] 위원장에 선출되었다.
         1960년 5월 초 자유당에서 [[조경규(1904)|조경규]] 원내총무 체제가 출범하자 부총무에 임명되었으나, 같은 달 말 사퇴하였다. 이후 자유당을 탈당하였고, 같은 해 치러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1955년)|민주당]] 이상면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게다가 1961년 [[3.15 부정선거]] 가담을 이유로 반민주행위자공민권제한법에 의해 공민권이 제한되었다. [[5.16 군사정변]] 이후 정치정화법에 묶여 정치활동이 금지되었다가 1963년 말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에야 해금되었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에 경상북도 포항시-영일군-[[울릉군]] 선거구로 [[공천]]을 신청하였으나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 [[김장섭]]에 밀려 탈락하였다. 이에 [[민중당(1967년)|민중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김장섭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 강원도 . . . . 20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지리 관련 정보, top2=대한민국/지명)]
         [include(틀: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
         ||<-2><bgcolor=#00A885> {{{#FFFFFF '''국가'''}}} || [[대한민국]] ||
         ||<-2><bgcolor=#00A885> [[강원도지사|{{{#FFFFFF '''도지사'''}}}]] || [[최문순]] ([[더불어민주당|{{{#1870B9 '''더불어민주당'''}}}]])[br],,,3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2><bgcolor=#00A885> {{{#FFFFFF '''교육감'''}}} || [[민병희]][br],,,3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1910년 관찰부를 도청으로 개칭하면서 춘천시는 다시 강원도의 도청소재지가 되었으나, 1930년대에는 [[철원군|철원]]으로 도청소재지가 다시 옮겨질 뻔했다. 자세한 내용은 [[경춘선]] 문서 참조. 일제시대를 거쳐 남북분단 및 6.25 전쟁으로 한국 강원도랑 북한 [[미수복 강원도]]로 나뉘어 현재에 이르렀다. [[미수복 강원도]]의 도청(강원노동당사) 소재지는 해방 이후 잠깐 철원이긴 했다. 그러나 북한에서 함경남도에 있던 [[원산시|원산]]을 강원도로 편입해 현재는 원산에 강원노동당사를 두었다. 참고로 [[6.25 전쟁]] 당시에는 원주에 도청임시출장소로 옮기게 되었으나 어디까지나 '출장소'적 성격이었다.[* 1953년 8월 2일 경향신문 2면 기사] 과거에는 간혹 도지사 선거때마다 [[원주시]]로의 도청이전 떡밥이 나돌았다가 선거종료와 동시에 잠잠해지기를 반복하기도 하였으나, 2010년 선거 이후로는 따로 언급되지 않고 있다.
         단순히 영서와 영동을 비교하자면 영서가 영동에 비해 넓이도 넓고 인구도 많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지역 측면에서 보았을 때 영서는 다시 [[춘천시]]를 중심으로 하는 영서 북부와 [[원주시]]를 중심으로 하는 영서 남부로 나뉜다. 결론은 강원도는 [[춘천시]], [[원주시]], [[강릉시]]가 --삼대장-- 트로이카를 이루며 왕초 노릇을 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선거철마다 강원도의 판세를 분석할 때 이 세 도시들은 표심을 좌지우지하는 big3 지역으로 표현되곤 한다.
         기타 강원도 각 지역간의 지역감정 또는 갈등에 대한 내용은 [[대한민국/지역감정]] 참조.
         고교입시의 경우 80년대 춘천, 원주에서 [[고교평준화제도]]를 도입했었으나 90년대 이후 다시 전역에서 비평준화를 줄곧 유지해 왔었다. 그러나 2010년 지방선거 이후 [[민병희]] 교육감이 고교평준화를 하겠다고 선언했고, 당선 후 2012년 춘천, 원주, 강릉 지역의 고교평준화가 결정되었다. 그리고 2013년부터 이들 주요 도시는 고교평준화를 전면 실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군|공군]]과 [[대한민국 해군|해군]]의 경우는 부대를 선택할 수가 있기 때문에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에 비해 선호도가 적은 편.[* 실제로 [[제8전투비행단]]의 경우는 청주에 있는 [[제17전투비행단]], 충주에 있는 [[제19전투비행단]]보다 서울에서 가까운데도 강원도의 [[이미지]] 때문에 기피된다. 하지만 막상 가 보면 버스 기준으로 17비, 19비가 8비에 비해 서울 가는 시간이 약 30분~1시간 가량 더 걸린다.] 공군과 해군의 경우 [[제8전투비행단]] 및 [[제18전투비행단]], [[제1함대(대한민국 해군)|제1함대]] 예하 부대가 대부분이다. 게다가 자대배치를 받을 때 이동거리도 상당하여 전세버스 기사님들이 상당히 고생하게 된다. --공군은 북한기에 해군은 [[잠수함]].-- 그래서 기훈단과 기초교에서 강원도에 배치되었을 때는 동기들이 위로하기도 한다. 심지어 공군의 경우 심지어 전술항공통제(ROMAD) 특기를 받으면 강원도 내 육군부대에서 [[http://www.afplay.kr/857|생활]]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내가 고자라니|내가 육군이라니]]!--[* [[근접항공지원]]을 담당하기 때문에 간부와 함께 2년 동안 고생하는 편. 간부가 할 일을 병사가 한다고 보면 된다. 그러나 국직부대가 아니기 때문에 공군 대우를 거의 모두 누리면서 살아갈 수 있다. 게다가 기본적으로 정기휴가 일수 추가, 격오지수당으로도 보상받는다! 부대 규모가 작기 때문에 분위기가 화기애애한 것은 [[덤]]. 다만 일병 때 주문한 [[팬티]]가 군수사령부의 처리 지연으로 [[병장]] 때가 돼서야 오거나, [[축구]] 등의 체련활동을 육군과 같이 한 팀이 되어 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하지만 [[공군방공관제사령부]], [[공군방공유도탄사령부]] 인원들은 산 아래 육군부대와는 비교도 안 되는 무지막지한 제설량+산꼭대기 위치+상황발동 쓰리콤보로 인해 강원도 배치 시 "죽었구나!"를 복창한다(...).[* 하지만 사령부 차원에서 이들 포대와 관제대에 병사복지 차원에서 신경을 쓰는 일이 많아 시설개선사업에 최우선적으로 예산이 투입되고, 사회문화체험 다녀올 기회도 종종 있다. 그러나 특유의 복무환경 때문에 강원도 내 격오지 방공포대와 레이더사이트 근무자들은 육군파견병과 마찬가지로, 더 많은 휴가와 격오지수당으로 보상받는다. 그리고 간부는 장기복무 지원 시 이 포대+레이더사이트를 비롯한 격오지근무 경력이 곧 '''[[치트키]]'''가 되며, 복무성과 측정에서 가산점 메리트를 받는다.]
         [[경기도]]와는 중부지방에서 도권(道權)상으로 쌍벽을 이루는 관계이지만 동시에 남북분단의 영향으로 [[경기도]]와 함께 [[북한]]에 의해 도역이 일부 잘려지기도 하였다. 때문에 현재 [[북한]]에는 강원도라는 지명의 도가 있는데 이 강원도가 분단 이전에 [[대한민국]] 강원도와 한 몸이었다는 것이다. [[북한]]과 인접해있기 때문에 [[경기도]]와 함께 북한의 도발 등에 대비하여 북방을 책임지고 있는 관계이기도 하다.
          * [[평강군]](남면 정연리 제외)[* 남면 정연리는 유일하게 대한민국의 실효 지배로 남아 [[철원군]]에 편입되었다.]
         [include(틀:대한민국 관련 문서)]
         [[분류:대한민국의 행정구역]][[분류: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분류:강원도]]
  • 박세직 . . . . 20회 일치
         [[분류:구미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자치단체장]][[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1933년 출생]][[분류:2009년 사망]][[분류:대한민국 국회의원]]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한민국의 축구선수, rd1=박세직(축구선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대한민국 국군/인물, top2=정치인/목록)]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5ba6><#005ba6><-7><:> {{{+1 [[대한민국|{{{#ffc224 ''' 대한민국 ''' }}}]] [[국가정보원/원장|{{{#ffc224 ''' 국가안전기획부장 ''' }}}]] }}} ||
         뛰어난 영어 실력을 바탕으로, [[채명신]] 초대 파월사령관이 미군들과 파병 관련 한국 지원 및 작전 구역 설정, 그리고 지휘체계 설정 협상하는 과정을 지원하며 활약하였다. 이후 1976년 대통령 안보담당 특별보좌관을 지냈고, 1979년 군사정보 참모를 지냈다. 박희도나 박준병과는 달리 하나회였음에도 [[12.12 군사반란]]에 가담하지 않아서 [[김영삼]] 정권 때 화를 겪지 않았다.
         1980년 보병 제3사단 사단장을 역임하다가 그 해 8월 [[전두환]]이 국군보안사령관에서 예편하여 대통령이 되고 제8대 수도경비사령관이던 [[노태우]]가 국군보안사령관이 되자 노태우의 뒤를 이어 제9대 수도경비사령관(현 수도방위사령관)을 지냈다. 이 때까지는 잘 나가는 듯 하였다.
         그러나, 1981년 8월 '''박세직 사건'''으로 [[소장(계급)|소장]] 계급으로 예편하였다. 겉으로는 박세직이 육군사관학교 동기의 사업을 도와 준다는 이유로 비리를 저릴렀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전두환과 [[허화평]], [[허삼수]] 등 측근 세력이 '하나회 출신이라 하더라도 자신의 권력을 넘보는 자는 용서하지 않겠다'라는 본보기를 보여 주려고 박세직을 예편하였다는 설이 있다. 이 사건은 1973년 일어난 [[윤필용 사건]]에서처럼 수도경비사령관의 육군사관학교 동기생이 보안사령관인 상태에서 보안사령관이 동기생을 수사하였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당시 박세직은 박준병 국군보안사령관에 의해 조사를 받고 예편하였다. 후에 박준병은 조사 결과 박세직이 여기저기 “차기 대통령은 나”라고 말하고 다녔다고 밝혔다.
         1992년 [[민주자유당]] 소속으로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 [[전국구]] [[국회의원]]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6년 [[신한국당]] 공천후보로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북도]] [[구미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자유민주연합 [[박재홍(1941)|박재홍]] 후보를 꺾고 재선되었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구미) || '''[[민주자유당]]''' || '''59,098(72.89%)''' || '''당선 (1위)''' ||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구미 갑) || '''[[신한국당]]''' || '''30,415(45.47%)''' || '''당선 (1위)''' || ||
  • 이종화 (1949년) . . . . 20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시]] 봉덕동<br />(현.[[대구광역시]] [[남구 (대구광역시)|남구]] 봉덕동)
         |국적 = [[대한민국]]
         | 국가 = [[대한민국]]
         '''이종화'''(李宗和, [[1949년]] [[7월 16일]]~ , [[대구]] [[남구 (대구광역시)|남구]] 봉덕동)은 [[대한민국]]의 전직 공무원으로, [[대구광역시]] [[북구 (대구광역시)|북구]]청장을 역임했다.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200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6·5 재보궐선거]]||[[북구 (대구광역시)|대구 북구청장]]||26대 (민선 3기)||[[한나라당]]||{{막대|한|5|5|1|0}} 55.10%||37,107표||1위||[[파일:대구당선.png|25px|북구청장 당선]]
         |[[대한민국 제4회 지방 선거|제4회 지방 선거]]||[[북구 (대구광역시)|대구 북구청장]]||27대 (민선 4기)||[[한나라당]]||{{막대|한|8|0|8|0}} 80.80%||127,142표||1위||[[파일:대구당선.png|25px|북구청장 당선]]
         |[[대한민국 제5회 지방 선거|제5회 지방 선거]]||[[북구 (대구광역시)|대구 북구청장]]||28대 (민선 5기)||[[한나라당]]||{{막대|한|5|8|3|8}} 58.38%||85,384표||1위||[[파일:대구당선.png|25px|북구청장 당선]]
         |임기 = [[2004년]] [[6월 6일]]<ref>[[2004년]] [[6월 5일]]에 [[200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재보궐선거]]에 당선되었다.</ref> ~ [[2014년]] [[6월 30일]]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내성초등학교 (경북) 동문]][[분류:오성중학교 (대구) 동문]][[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경북대학교 동문]][[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공무원]][[분류: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최세창 . . . . 20회 일치
         |복무 = [[대한민국 육군]]
         |근무 =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합동참모본부]]
         |지휘 = [[대한민국의 합동참모의장|합동참모총장]]
         '''최세창'''(崔世昌, [[1934년]] [[4월 17일]] ~ )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이다. 본관은 [[경주 최씨|경주]](慶州), [[호 (이름)|아호(雅號)]]는 유광(維光)이다.
         [[1953년]] [[경동고등학교|서울 경동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1957년]]에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1977년]] 육군 특전사령부 제3공수특전여단장으로 보임되었고 [[1979년]]에 일어난 [[12·12 군사 반란]] 당시 [[하나회]]의 핵심 인물 가운데 한 사람으로 제3공수특전여단을 지휘했다.
         [[1980년]] [[5월 20일]]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파견된 제3공수특전여단에 실탄 배부와 실탄 사용을 지시했으며 나중에 사단장, 육군 제1군단장, 육군참모차장, 육군 제3야전군사령관, 합동참모의장, [[대한광업진흥공사]] 사장,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의 국방부 장관|장관]] 등을 역임했다. [[1997년]] [[4월 17일]] 대법원에서 열린 12·12 군사 반란 및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관련 재판에서 반란 모의 참여 주요 임무 종사·상관 살해 미수 등의 혐의로 징역 5년형을 선고받았으나, 1998년 8월 15일 사면됐다.<ref>{{뉴스 인용
         *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 13기 졸업
         * [[대한민국 육군 보병학교|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고등군사반 졸업
         * [[국방대학교|대한민국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졸업
         |직책 = [[대한민국의 합동참모의장|합동참모의장]]
         |직책 = [[대한민국의 국방부 장관|국방부 장관]]
         [[분류:193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합동참모의장]][[분류:대한민국의 국방부 장관]][[분류:노태우 정부의 국무위원]][[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대한민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분류:대한민국의 반란자]][[분류:하나회]][[분류:경동고등학교 동문]][[분류:경주 최씨]][[분류:육군사관학교 동문]][[분류:미국 육군보병학교 동문]][[분류:육군보병학교 동문]][[분류:국방대학교 동문]][[분류: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 육군 대장]][[분류:신민주공화당]][[분류:자유민주연합 당원]][[분류:대한민국의 반역죄 기결수]]
  • 선거인단 . . . . 19회 일치
         [[간접선거]] 제도에서 최종 선거를 실행하는 집단. [[미국]]의 [[대통령]] 선거에서 선거인단 제도가 유명하다.
         미국 [[대통령 선거]]의 선거인단은 각 주의 [[투표]]로 선출된다. 각 주에 할당되어 있는 선거인의 숫자는 각 주의 인구에 비례하여 차이가 난다. 현재 미국에서 다수의 주는 주 선거에서 승리한 후보가 선거인을 독식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선출된 선거인단은 원칙적으로 자신의 양심에 따라서 후보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각 주의 선거에서 선출된 후보와는 별개의 인물에게 투표하는 것이 가능하다. 몇몇 주에서는 이러한 행위에 처벌 규정이 있다. 대부분의 경우, 관례적으로 선출된 후보를 선택하며 배신 투표는 지극히 드물다.
         선거인단 제도는 과거 미국의 영토가 매우 넓고, 인구가 분산되어 있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직접 투표로 대통령을 선출하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에 고안된 제도이다. 대통령은 각 주가 아닌 '연방'의 대표라는 측면도 반영하고 있다.
         현대에는 선거인단 제도로 인하여 실제 투표수와 왜곡되는 경우가 있어, 이러한 측면에서 논란이 있다. 실제 투표수는 더 많이 받은 후보가 선거인단 득표수에서 밀려서 패배하는 사례가 21세기에 몇 차례 나타나고 있으며, 과거와는 달리 현대에는 직접 투표가 기술적으로도 불가능하지 않게 되었기 때문에 선거인단 제도의 개혁론이 제기되고 있다.
  • 영천시 . . . . 19회 일치
         ||<-2><bgcolor=#4C0B5F> {{{#FFFFFF '''국가'''}}} ||<bgcolor=#E3CEF6> [[대한민국]] ||
         ||<-2><bgcolor=#4C0B5F> {{{#FFFFFF '''시장'''}}} ||<bgcolor=#BDBDBD> [[최기문(1952)|최기문]] ([[자유한국당|{{{#000000 무소속}}}]])[br]초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2><bgcolor=#4C0B5F> {{{#FFFFFF '''국회의원'''}}} [br] [[영천시·청도군|{{{#FFFFFF {{{-1 (영천시·청도군)}}}}}}]] ||<bgcolor=#E3CEF6> [[이만희(정치인)|이만희]]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초선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노인 인구 비율이 높아 인구에 대비해서도 절대적인 규모로 봐서도 5일장이 굉장히 크며 아직도 명맥을 잘 유지하고 있다.[* 그덕에 시장으로의 출근길이나 시장을 통과하는 출근길이나, 성남여중•여고를 제외한 시내 주요 중•고등학교의 등교길은 평소보다 지각할 확률이 배로 늘어난다.][* 특히 [[영천IC]] 근처 가와인아파트쪽에서 오는 버스는 원래 등교길이나 출근길이 오래걸려 2,3분씩 늦기 마련인데, 장날은 지각하는날로 확정된다. 하지만 이런사정을 알고 학교선생님들이 넉넉히 10분내외로 봐주신다.] 편리한 교통을 바탕으로 타 지역에서 생산된 농산품의 도매 거래활발하며 이를 통한 한약유통이 옛날부터 유명해 매년 한약축제도 벌인다.[* 한약은 생산량도많지만, 유통량이 조금 더많은데 큰 한약시장이 있기때문이다. 대구약령시장보다 더크며, 전국 유통량의 30%한약재중에 3분에1이 영천 것이라고 보면된다.] 내륙임에도 상어고기인 [[돔배기]]의 전국 물량 중 50%가 영천에서 팔린다. [[대구광역시|대구]]보다 높은 기온과 적게 오는 비로 포도를 많이 키워 '''전국 포도 생산량과 재배량 모두 1위를 차지한다.'''[* 참고로 똑같이 포도가 유명한 [[김천시]]는 생산량과 재배량이 2위이다.][* [[금호읍]]에서 재배되는 포도는 '''미국으로 수출도 한다.'''] 이 때문인지 21세기 초부터 한약재 대신 포도를 시에서 밀어주며 보현산 천문대가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별빛포도' 라는 자체 브랜드도 존재.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도 영천 포도는 53로 등록되어있다. 비는 적게 와도 수리시설이 발달한데다 전국최고 수준의 일조량을 활용한 농산물 생산지로서 유명하며, 우수 특산물에 '별빛촌'이라는 공동 브랜드를 붙여 홍보하고 있다.
         || '''후보''' ||<:><bgcolor=#1870B9>{{{#FFFFFF 문재인}}}||<:><bgcolor=#C9151E>{{{#FFFFFF '''홍준표'''}}}||<:><bgcolor=#046240>{{{#FFFFFF 안철수}}}||<:><bgcolor=#00B1EB>유승민||<:><bgcolor=#FFCC00>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 '''선거''' ||<:>'''18대 대선'''||<:>'''20대 총선'''||<:>'''19대 대선'''||<:>'''증감율 (대선/대선)'''||<:>'''증감율 (총선/대선)'''||<:>'''18대 대선'''||<:>'''20대 총선'''||<:>'''19대 대선'''||<:>'''증감율 (대선/대선)'''||<:>'''증감율 (총선/대선)'''||
         ||<|2> [[정동윤(정치인)|정동윤]]/재선[br][[민주정의당]] ||<|2> [[박헌기]]/초선[br][[민주자유당]] ||<|2> 박헌기/재선 [br] 신한국당 ||<|2> 박헌기/3선 [br] 한나라당 || --이덕모/초선--[* 05.2.19 의원직 상실(선거법 위반)] [br] --한나라당-- ||<|2> 정희수/재선 [br] 새누리당 ||<|2> 정희수/3선 [br] 새누리당 ||<|2> [[이만희(정치인)|이만희]]/초선 [br] 새누리당 ||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때 선거구 유권자 수 10만622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적은 선거구였다. 여담으로 제일 인구수가 많은 선거구였던 [[인천광역시]] [[서구(인천)|서구]]·[[강화군]]갑의 유권자 수는 34만7611명. 결국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인구부족으로 인해 [[청도군]]과 선거구가 통폐합되었다. 민자당 계열(한나라-새누리-자유한국)정당이 압도적인 지지율을 받고 있지만 의외로 역대 민선시장 대부분이 초선때는 무소속으로 당선된 특이한 이력이 있다. 제7회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최기문 시장이 무소속으로 당선되었고 3선 연임한 김영석 시장, 중간에 낙마한 정재균, 박진규 시장 또한 초선때는 정당 공천을 받지 않고 무소속으로 당선되었다.
         2015년 5월 [[보잉]]의 항공전자 MRO 센터가 영천에 준공되어 대한민국 공군의 주력 전투기인 F-15K 관련 항공전자 부품 테스트 및 정비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6&aid=0000740517|관련 기사]]
         시장통에 있는 말죽거리터에는 육군 공병대와 함께 [[6.25 전쟁]] 초반인 1950년 7월 미 25사단 산하 포로수용소가 설치되기도 했었다. 이곳에서는 친공포로와 반공포로를 수용했었지만 전쟁 중후반 친공포로와 반공포로의 대립이 절정에 달하자 문제를 인식한 미군이 친공포로와 반공포로를 분리수용하기 시작하면서 주로 반공포로와 민간인 포로를 수용하는 역할을 담당했었다. 이곳은 이승만 대통령이 시찰차 방문한 적이 있었고 훗날 반공포로 환영식도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되었었을 만큼 규모가 큰 수용소였는데 규모가 있는 수용소였던 만큼 탈도 많았는지 1952년 5월 29일에는 포로들의 폭동이 일어나기도 했었고 그 후에도 포로들의 시위가 간간히 있었다고 한다. 그 외에도 미군들이 공산당의 사주를 받아 폭동을 모의했다며 경북도의원을 무단 체포, 납치하는 사건도 발생해 지역민들의 빈축을 샀었다고. 그 외에도 격전지였던 영천전투에서 발생한 인민군 포로를 수용하기 위해서 현재의 영남대학교 영천병원 부지 근처에 임시수용소를 설치하기도 했었다고 한다.
         이런 일이 있었어서인지, 아니면 단순히 우연의 일치인지는 모르겠지만, 밀리터리 소설가--를 가장한 국군 찬양 [[국뽕]] [[양판소]]-- 소설가인 [[김경진(소설가)|김경진]]의 처녀작 [[데프콘(소설)]] 한미 전쟁편에서는 '''대구로 가는 길목이라는 이유'''로 진짜 '''개박살이라는 말도 표현하기에 부족할 만큼 박살난다.'''--여기 주민들 지못미....-- 심지어 여기를 지키던 인민군 6군단 때문에 미군이 '''[[기화폭탄]]마저 쓴다(!!!).'''[* 당연히 국군도 여기 전역('전투지역'의 줄임말.)에 보복으로 기화탄을 포격으로 날려 버렸다. 보고에 의하면 ''''보복 기화탄 공격'''으로 생긴 '''화상 환자들 때문'''에 '''미군 병원선이 미어터질 지경' '''이라나 뭐라나... 근데 여기서 오류가 하나 있는데, '''기화탄을 무슨 소형 핵 취급한다(실제로도 '[[기화폭탄]]은 소형 핵폭탄이나 다름없다.'라고대놓고 표현할 지경이니...).''' '''기화폭탄 따위는 핵에 비교하면 폭발 규모나 후유증에서 비교가 안될정도로 넘사벽이다!!''' 다만 '''인류가 만든 화약무기 중'''에서 '''그나마 핵에 제일 근접'''해서 그렇지...] 물론 ''''경상북도의 중심지' '''이자 ''''서울로 가는 길목에 있는 (부산을 제외한)첫 번째 대도시'라는 이유'''로 '''통일한국군과 미군 쌍방이 정말 박 터지게 싸운 [[대구광역시]]'''가 입은 피해와는 '''비교도 안되지만(...).'''[* 물론 여기에는 ''''대구 비행장의 존재감'도 컸다.''' 아무래도 '''(경상남북도를 다 합쳤을 때) 제 1의 비행장'''이니...(''''대한민국에서의 제1 비행장'이라고 하면...''' 뭐 다 '''[[인천국제공항|알지]]?''')]
         [[분류:대한민국의 도시]][[분류: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분류:경상북도의 행정구역]][[분류:영천시]]
  • 오경훈 . . . . 19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시]]<br>(현 [[대구광역시]])
         '''오경훈'''(吳慶勳, [[1964년]] [[3월 8일]] ~ , [[대구광역시]])은 대한민국의 제16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다.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제16대 총선]]||[[서울 양천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서울 양천구 을)]]||16대||[[한나라당]]||{{막대|한|4|4|1|0}} 44.10%||36,171표||2위||낙선
         |[[2003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4·24 재보궐선거]]||[[서울 양천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서울 양천구 을)]]||16대||[[한나라당]]||{{막대|한|4|8|8}} 48.8%||21,816표||1위||[[파일:국회의원당선.png|25px|양천구 국회의원 당선]]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제17대 총선]]||[[서울 양천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서울 양천구 을)]]||17대||[[한나라당]]||{{막대|한|3|9|6|0}} 39.60%||49,847표||2위||낙선
         |[[2007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4·25 재보궐선거]]||[[양천구|서울 양천구청장]]||12대 (민선 4기)||[[한나라당]]||{{막대|한|3|9|6}} 39.6%||37,227표||2위||낙선
         |[[대한민국 제6회 지방 선거|제6회 지방 선거]]||[[양천구|서울 양천구청장]]||15대 (민선 6기)||[[새누리당]]||{{막대|새|4|6|7|2}} 46.72%||109,000표||2위||낙선
         [[분류:196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해주 오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구신암초등학교 동문]][[분류:영동중학교 (서울) 동문]][[분류:용문고등학교 (서울) 동문]][[분류: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자유한국당의 정치인]]
  • 이성구 (1942년) . . . . 19회 일치
         '''이성구'''(李聲九, [[1942년]] [[3월 17일]], [[대구광역시]] ~ )는 [[대한민국]]의 기업인, 언론인이자 전직 서울특별시의원, 서울특별시의회 의장, 제17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다.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대한민국 제1회 지방 선거|제1회 지방 선거]]||[[서울특별시의회|서울특별시의원(서초구 제1선거구)]]||4대 (민선 1기)||[[민주자유당]]||{{막대|청|5|0|0|3}} 50.03%||13,327표||1위||[[파일:지방의원당선.png|25px|서울특별시의원 당선]]
         |[[대한민국 제2회 지방 선거|제2회 지방 선거]]||[[서울특별시의회|서울특별시의원(서초구 제1선거구)]]||5대 (민선 2기)||[[한나라당]]||{{막대|한|5|8|9|2}} 58.92%||20,434표||1위||[[파일:지방의원당선.png|25px|서울특별시의원 당선]]
         |[[대한민국 제3회 지방 선거|제3회 지방 선거]]||[[서울특별시의회|서울특별시의원(서초구 제1선거구)]]||6대 (민선 3기)||[[한나라당]]||{{막대|한|6|7|3|6}} 67.36%||23,972표||1위||[[파일:지방의원당선.png|25px|서울특별시의원 당선]]
         |[[대한민국 제17대 총선|제17대 총선]]||[[틀:제17대 비례대표 한나라당|국회의원(비례대표)]]||17대||[[한나라당]]||{{막대|한|3|5|7|6}} 35.76%||7,613,660표||비례대표 22번||승계
         [[분류:194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운중학교 (대구) 동문]][[분류:대구공산초등학교 동문]][[분류: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상과대학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언론인]][[분류:민주자유당의 정치인]][[분류:신한국당 당원]][[분류:자유한국당의 정치인]][[분류:영천 이씨]][[분류:대한민국의 지방의회의원]]
  • 장세용 . . . . 19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 [[분류:1953년 출생]] [[분류:구미시 출신 인물]]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후 20년만에 탄생한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TK 기초자치단체장'''[* 당시 경북 울진군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전신이었던 [[새정치국민회의]]의 [[신정]] 후보가 [[한나라당]]의 전광순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포항시]]장으로 당선된 [[박기환(정치인)|박기환]] 전 시장을 포함하면 3번째 사례이다.]
         [[대한민국]]의 역사학자,사회운동가, 정치인. [[경상북도]] [[구미시]]의 21대 시장이며, 소속 정당은 [[더불어민주당]]이다.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HK교수(인문한국 교수)를 지냈으며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과 [[대구경북]] 민주화 운동 기념사업회 이사장으로 재직하기도 했다.
         그리고 [[박정희]] 전 대통령의 고향으로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보수 성향이 강한 [[경상북도]]에서도 가장 보수세가 강한 지역으로 손꼽히던 [[구미시]]에서 [[민주당계 정당]] 소속으로 시장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는 쾌거를 이뤄낸 인물이기도 하다.
         상술하였듯 [[구미시]]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고향]]으로서, '[[개]]가 보수 정당 후보로 나온다고 해도 당선될 곳'이라는 인식이 박혀있고 실제로 [[김관용]], 전임 시장이었던 [[남유진]]이 모두 내리 3선을 지내기도 했다.
         후보 출마 확정 후 구미시민들의 네트워크인 '구미텐인텐'에 출마 이유와 구상하고 있는 정책 등을 올린 바 있으며 [[http://cafe.daum.net/kumi10in10/IKJI/10328|*]] 구미시장에 당선된 직후, [[박정희]] 기념관을 비롯한 '박정희 전 대통령 기념 사업'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논의하겠다고는 했지만, 기념 사업 예산을 칼질할 의지가 있음을 내비치기도 했다. [[http://www.segye.com/newsView/20180614001410|*]]
         하지만 ‘[[박정희]] 기념사업’을 전면 재검토하느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그렇지는 않다. 박 전 대통령을 존경하는 분들이 계시기에 그 자체로는 인정한다”라고 발언하고 또한 전임 시장인 [[남유진]]이 '박정희 타운'을 만드는데 천문학적인 자금을 쏟아붇고도 내리 3선을 그것도 모두 과반 득표에 성공해서 당선된 것에서 볼 수 있듯이[* 전임 [[구미시]] 시장인 [[남유진]] 문서에는 남유진에 대해서 대부분 구미 시민들이 악평을 하는 것으로 묘사돼 있지만 엄연히 남유진은 구미에서 '''내리 3선을 과반 득표로 모두 당선'''된 인물이다. 이게 어떻게 된 거냐면, 4~6회 지선 광역비례에서 한나라당-새누리당 표가 76.5%, 48.7%, 71.5%로, 이 표가 남유진 전 시장표(75.9%, 53.1%, 52.6%)로 이어졌다.(단, 6회는 새누리당 표가 분열되었다.) 그래서 3선. 그리고, 2016년 20대 총선에서 새누리당 50.4%로 하락했고, 2018년 지선에서는 자유한국당 41.3%로 더불어민주당 43.3%에 졌고, 이에따라 시장직도 자유한국당이 더불어민주당에 넘겨주게 되었다. 만약, 1:1로 대결하였더라면 기초의회 비례득표를 기준으로 계산하였을 때, 진보vs보수 구도에서는 48.2%vs51.8%로 보수측이 승, 반자유한국당vs자유한국당(+대한애국당) 구도였다면 57.5%vs47.5%로 반자유한국당측이 승리하였을 것이다. 바른미래당 지지층이 어느쪽을 선택할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진보(더불어민주당+정의당)가 48.2%로, 보수(자유한국당+대한애국당, 42.5%)보다 좀 더 유리했을 것이다.] 여전히 구미시에서 [[박정희]]의 존재감과 위치란 [[목포시]]에서의 [[김대중]] 이상의 위치이고 또한 '[[박정희]] 기념사업' 축소에 대한 보수파들의 반발도 상당할 것이기 때문에 과연 '[[박정희]] 기념사업'들을 어디까지 축소할 수 있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 알 수 있는 부분이다.
         하지만 위에도 언급하였지만 그 당시에는 [[박정희]]에 대한 향수가 강하였기 때문이고 현재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헌정 사상 최악의 국정농단 부패 스캔들 사태]]와 마약, 사기 등 박근혜와 박지만, 박근령 등 박정희와 육영수의 자식들이 박정희 사망 이후에 저질러온 악행으로 인해 그 신화는 치명상을 입었다.[* 현재 박근혜가 정치적으로 파멸해버린 상황에서 박정희를 추종하는 친박 등 한국내 보수 우익 세력들이 박근혜의 친동생들이자 나머지 박정희와 육영수 부부의 자녀들인 박지만이나 박근령을 새로운 친박 세력의 지도자로 정계로 영입하거나 세우지 못 하는 것도 바로 이 이유 때문이다. 박근령과 박지만 모두 사기, 마약 등 범죄 전과를 가진 전과자의 신분에다 과거에 행실이나 성품 등 여러 부분에서 정치를 하기에는 부적합한 인물들로 박근혜가 몰락하기 이전부터 드러났기 때문에 친박계로서도 이들을 정계로 불러들이는 것은 오히려 정치적 자살 행위에 가깝다. 그렇다고 나머지 박정희-육영수 일가의 다른 일가족이나 친척들은 언제 오늘 내일 할지 모를 정도로 나이가 너무 많거나 인지도가 워낙 낮아서 박근령이나 박지만보다 내세우기 더 힘든 실정이다. 현재 대한애국당이나 신 새누리당, 박사모, 어버이연합 등 주류 친박 단체들과 친박 성향의 극우 원외 정당들이 박지만과 박근령을 기피, 거부하며 박근혜의 석방과 사면을 요구하고, 정치인으로서의 생명이 끝장나버린 박근혜와 70년대 총탄에 암살당한 그들의 부모인 박정희와 육영수 부부만을 맹목적으로 추종하고 있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특정 정당이 6선이나 한 지역이었지만 민주당 소속의 장세용 시장이 당선되며 그 신화도 마침표를 찍었다고 볼 수 있다. 후술되어 있지만 선거 구조가 민주당계로 유리하게 진행되었던 것도 사실이지만 민주당계의 시의원이 전원 당선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박정희]] 신화에서 벗어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거기에 현실적으로 1000억 넘게 들어가는 박정희 예산은 구미시에 엄청난 부담이 되기 때문에 줄일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구미시의 18년 기준 1년 예산은 1조다. 비록 1000억이 1년만에 집행된건 아니지만 적어도 1년에 수백억씩 사용되기는 했고 실제 구미시에 상당한 부담이 되고 있다.]
         [[http://policy.nec.go.kr/skin/doc.html?fn=20180603111303458_1.pdf&rs=/preview/html/201806/|선거 공보]]
         그나마 시의회의장 · 부의장의 지역구가 더민주 접전, 강세인 지역[* 시의회의장 선거구는 마 선거구(인동동, 진미동)로, 여기서 장세용 시장은 여기서 49.84%의 득표율을 올렸다. 부의장 선거구는 가 선거구(선주원남동, 도량동)로, 여기서는 38.96%로, 이양호 후보(39.80%)와 0.84%p로 접전을 벌였다. 광역의회 비례 득표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각각 47.47%, 39.74%로, 자유한국당과 각각 +15.25%p, -0.26%p의 격차를 보였다.]이라 이론상으로는 주민소환제로 날릴 순(...) 있다. 둘 중 한 명이라도 의원직을 상실하면 자유한국당이 절반, 두 명 모두 상실시 자유한국당 과반이 무너진다. 게다가 도지사가 새마을운동 사업 축소에 반대하는 의견을 밝혀, 이 문제로 한동안 대립할 것으로 보인다. --국회의원은 [[21대 총선|2020년]]을 기대해보자--
         9월 20일, [[이철우(1955)|이철우]] 경상북도 도지사가 새마을운동 테마파크를 경상북도에서 직접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http://www.ksmnews.co.kr/default/index_view_page.php?idx=220851&part_idx=274#09HT|“경북, 새마을테마파크 직접 운영”]]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2425991|879억 애물단지 ‘새마을공원’ 운영비, 결국 경북도가 부담]] 이로써 연간 20~30억원의 운영비 부담은 덜었지만 역사자료관 명칭 변경에서 보수측은 박정희 지우기라면서 반발하고 있다. ~~[[남유진|지난 시장]]이 저러다가 이번 지선에서 뒤집혔는데, 국회의원도 [[더불어민주당|파랗게]] 뒤집고 싶을 듯, 이 동네에서 [[정의당|노란색]]이나 [[바른미래당|민트색]]은 안 뽑힐 듯 하니~~[* 구미 갑은 원도심(원평, 도량, 형곡)vs공단+신시가지(공단/비산+선주원남/오태 등) 싸움이고, 구미을은 읍면vs동지역+공단(인동/진미/양포/산동)의 싸움인데(갑을 모두 앞쪽이 보수 우세 뒤쪽이 진보 우세), 구미 갑은 양쪽 인구 수는 비슷하지만, 자유한국당vs더불어민주당이 아니라 범보수vs범진보로 본다면, 선주원남동, 비산동, 상모사곡동이 경합으로 넘어간다. 구미을은 동지역+산동면이 읍면 지역 인구의 1.5배 정도 되지만, 범진보가 8~22%p 우세를 보이는 동지역+공단과 달리 읍면지역은 범보수가 19~'''66'''%p 우세를 보여 읍면지역이 투표율이 더 높은 것과 함께 구미을 선거에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 선거이력 ==
         ||<tablealign=center><rowbgcolor=#1870B9>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북 구미시장)''' || '''[[더불어민주당]]''' || '''74,917 (40.8%)''' || '''당선''' || '''초선'''||
  • 전순옥 . . . . 19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전순옥'''([[1953년]] [[6월 15일]]([[음력 5월 5일]]) ~ )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제19대]] [[대한민국의 국회의원|국회의원]]이다. 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 [[전태일]]의 여동생이다.
         * 2012.10 ~ 2012.12 : 제18대 대통령선거 민주통합당 공동선거대책위원장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기록 시작|KR|개인}}
         {{선거기록/KR/개인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총선]] | 19대 | [[국회의원]] | [[틀:제19대 비례대표 민주통합당|비례대표]] | 민주통합당 | 7,777,123 표 | 36.45 | 비례대표 1번 | 당선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목록 (지역구별)#정당별 비례대표|초선]] }}
         {{선거기록 끝}}
         [[분류:195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노동 운동가]][[분류:민주당 (대한민국, 2011년)의 정치인]][[분류:더불어민주당의 정치인]]
  • 배천석 . . . . 18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국가대표팀 =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17]]<br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0]]<br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3]]
         '''배천석'''(裵千奭, [[1990년]] [[4월 27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공격수]]이다. 현재 [[대한민국]] [[K3리그]] [[이천 시민축구단]]에서 활약하고 있다.
         ==== {{국기그림|대한민국}} [[포항 스틸러스]] ====
         * [[FA컵 (대한민국)|FA컵]]
         {{2007년 FIFA U-17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분류:199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축구 공격수]][[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포항제철동초등학교 동문]][[분류:포항제철중학교 동문]][[분류: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동문]][[분류:숭실대학교 동문]][[분류:포항 스틸러스의 축구 선수]][[분류:비셀 고베의 축구 선수]][[분류:부산 아이파크의 축구 선수]][[분류:전남 드래곤즈의 축구 선수]][[분류:이천 시민축구단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1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2의 축구 선수]][[분류:K3리그의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분류:일본의 외국인 축구 선수]][[분류:J1리그의 축구 선수]][[분류:일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이승현 (1985년 7월) . . . . 18회 일치
         |출생지=[[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0]] <br>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3]] <br>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이승현'''([[1985년]] [[7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미드필더#윙어|윙어]]이다. 현재 [[수원 FC]] 소속으로 뛰고 있다.
         ==== {{국기그림|대한민국}} [[상주 상무]] ====
         * [[2006년]] ~ [[2011년]] {{국기그림|대한민국}} [[부산 아이파크]]
         * [[2011년]] ~ [[2015년]] {{국기그림|대한민국}} [[전북 현대 모터스]]
         * [[2016년]] ~ 현재 {{국기그림|대한민국}} [[수원 FC]]
         {{2005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선수 명단}}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85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부산 아이파크의 축구 선수]][[분류:전북 현대 모터스의 축구 선수]][[분류:상주 상무 축구단의 축구 선수]][[분류:수원 FC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1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2의 축구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청구고등학교 동문]][[분류:대구반야월초등학교 동문]][[분류:청구중학교 동문]][[분류:한양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축구 윙어]]
  • 창원시 . . . . 18회 일치
         [include(틀:대한민국의 특정시)]
         ||<-2><bgcolor=#00BFFF> {{{#FFFFFF '''국가'''}}} || [[대한민국]] ||
         ||<-2><bgcolor=#008000> {{{#FFFFFF '''시장'''}}} || [[허성무]] ([[더불어민주당|{{{#1870B9 '''더불어민주당'''}}}]])[br]초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창원시 의창구|의창]]: [[박완수]]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초선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 [[창원시 마산합포구|마산합포]]: [[이주영(1951)|이주영]]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5선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 [[창원시 마산회원구|마산회원]]: [[윤한홍]]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초선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 [[창원시 진해구|진해]]: [[김성찬(군인)|김성찬]]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재선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대한민국의 [[기초자치단체]] 중에서는 가장 많은 5개의 [[일반구]]가 설치되어 있고, [[수원시]]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시의원 선거구도 18개로 가장 많다.[* 일반적으로 시의원 선거구는 '가'~'하' 순서로 선거구 기호를 매기는데, 통합되면서 '하'선거구까지 다 채우고도 모자라 '거'에서 '러'까지 매겼다. 참고로 거~러 선거구는 모두 진해구에 있다.] 전반적인 인구는 2010년대 들어 완만한 증가세를 보여 110만을 돌파했지만, 장기적으로 청년층의 인구 감소가 꽤나 심각하게 진행 중에 있다.[* 우선 조선과 기계, 자동차 등의 창원시 경제를 지탱하는 중후장대 산업 성장세가 규모 면에서 한계에 다다르고, 외곽 도로망이 확충되면서 집값이 비싼 창원을 떠나 시계 밖의 장유, 진영 등의 신도시로의 접근성이 향상되어 인구가 유출되는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또한 마산합포구 지역은 면지구뿐만 아니라 옛 시가지의 노후화 때문에 인구유출이 가속화되고 있기도 하며, 그나마 월영마을에 형성된 학군이나 현동지구 등의 신규 아파트 택지공급이 감소세를 덜어주는 정도다.]
         19대 총선 때는 시청사 소재지를 두고 후보들 간에 치열한 대립각을 세웠다. 옛 창원 지역에서는 현 청사 리모델링을, 옛 마산 지역에서는 마산으로의 이전을 주장하고, 옛 진해 지역의 야권, 무소속 후보들은 진해 분리독립을 주장했다. 선거 결과를 보면, 진해구에서 막판에 간신히 야권 단일화를 이루었음에도 꽤 큰 차이로 여당 후보에게 패한 것을 볼 때, 다시 나누어지는 파국으로 치달을 생각까지는 없어 보이지만 통합의 후유증이 상당히 남아 있음을 보여준다.
         여튼 현재 창원의 경제적 규모는 광역시급이며, 통합시 출범을 토대로 광역시 승격을 노리고 있다. 그러나 창원시가 경상남도에서 빠져나간다면 경제적 타격이 크기 때문에 경남은 창원이 독립하고자 하는 것에 매우 민감하다. 그게 아니더라도 지역 균형발전 정책상 수원과 더불어 광역시 승격은 매우 힘들다. 다만 통합으로 인한 혜택을 몇 가지 받기는 했지만 역시나 시 규모에 걸맞는 권한을 못 가졌다는 문제가 있으므로 비슷한 처지인 [[수원시|수원]], [[성남시|성남]], [[고양시|고양]] 등과 더불어 새로운 자치단체 규정을 만들어달라고 정부에 요구하고는 있는데, 어떻게 될지는 두고봐야 할 듯. 최근 여러번의 선거를 거치며 광역시로 승격하자는 슬로건과 플래카드들을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있긴 한데, 이미 언급했듯 가능성은 크지 않다. 자세한 내용은 [[창원광역시]] 참고.
         경제 규모로는 이미 [[광역시]]급이다. 덕분에 [[경상남도]]는 [[부산광역시|부산]]에 이어 [[울산광역시|울산]]을 뱉어내고도 지역총생산이 '''광역자체단체 3위'''이다. 두산([[두산인프라코어]], [[두산중공업]]), LG([[LG전자]]), 한화([[한화기계]],[[한화테크윈]][* 구 삼성테크윈]), 현대차그룹([[현대위아]],[[현대로템]]) 등 많은 재벌기업들이 창원에 [[공장]]을 갖고 있다. 심지어는 정부, 정확히는 대한민국 육군에서도 [[종합정비창|초대형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창원시/경제]] 항목 참조.
         창원향토문화백과에 따르면 이외에도 국화, 수박(대산면), 고구마(평촌), 멜론이 있다고 한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는 마산합포구의 진동면의 진동 [[미더덕]]이 등록되어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도시]][[분류:경상남도의 기초자치단체]][[분류:경상남도의 행정구역]][[분류:창원시]]
  • 김형태(정치인) . . . . 17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언론인 출신 [[정치인]]이다. [[종교]]는 [[개신교]]이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포항)|남구]]-[[울릉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현역]] [[지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인 한나라당 [[이상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6년 [[한나라당]] [[여의도연구원|여의도연구소]] 정책자문위원회 홍보분과 부위원장에 임명되었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울릉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허나 선거 기간부터 과거 [[제수]]씨 [[성폭행]] 미수 의혹으로 곤욕을 치뤘다. 이후 조카에게 사과하는 녹취록이 유포되어서 큰 망신을 당했다. 동생의 아내와 외도를 한 [[라이언 긱스]]를 빗대 '포항긱스'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리하여 당선 직후 출당되어 [[무소속]]으로 지내다가 [[공직선거법]]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37169&yy=2013|위반]]으로 2013년 7월 의원직이 상실되었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tablealign=center><rowbgcolor=#C9151E>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포항 남·울릉) || 무소속 || 7,437 (6.27%) || 낙선 (3위) ||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포항 남·울릉) || ~~'''[[새누리당]]'''~~ || ~~'''45,775 (41.24%)'''~~ || ~~'''당선 (1위)'''~~ || [* 2012.4.18 제명 조치, 2013.7.25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당선 무효] ||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포항시 출신 인물]][[분류:기자]]
  • 박은수 (1956년) . . . . 17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소속상임위= [[대한민국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보건복지위원회]]
         '''박은수'''(朴殷秀, [[1956년]] [[대구광역시|대구]] ~ )는 [[대한민국]]의 제18대 국회의원이다. 민주당 비례대표로 제18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제18대 총선]]||[[틀:제18대 비례대표 통합민주당|국회의원 (비례대표)]]||18대||[[민주당 (대한민국, 2008년)|통합민주당]]||{{막대|8민|2|5|1|7}} 25.17%||4,313,645표||비례대표 2번||[[파일:국회의원당선.png|25px|비례대표 국회의원 당선]]
         {{제18대 비례대표 통합민주당}}
         [[분류:195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판사]][[분류:대한민국의 변호사]][[분류:계성고등학교 (대구) 동문]][[분류: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문]][[분류:면천 박씨]][[분류:지체 장애인]]
  • 박재홍(1941) . . . . 17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종교]]는 원래는 [[불교]]였으나, [[개종]]해서 [[개신교]]이다.
         1941년 2월 28일 [[경상북도]] 선산군(현 [[구미시]])에서 [[박정희]]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의 큰형 [[박동희]]의 아들로 태어났다. 대구상업고등학교(현 [[대구상원고등학교]]),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학부/법과대학|법과대학]] 행정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백수]]로 있다가 [[박태준]]의 도움으로 [[포스코|포항종합제철]]의 중간간부를 역임하다가, 동양철관(주)의 사장, 회장을 역임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경상북도 구미시-[[선산]]군-[[칠곡군]]-[[군위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한국당]] [[김현규]]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같은 해 민주정의당 원내부총무에 임명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무소속]] 김현규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경상북도 구미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 때 숙부 [[박상희]]의 아들, 즉 사촌 동생인 [[박준홍]]이 [[신민주공화당]] 후보로 출마함에 따라 지역에서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조카 두 명이 대결하는 게 보기 좋지 않다는 여론이 있었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구미시 지역구 공천이 [[박세직]]에게 밀려 [[민주자유당]]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994년부터 1995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교통위원장을, 1995년부터 1996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건설교통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96년 초 [[신한국당]]을 탈당하여 [[자유민주연합]]에 입당하였다. 그리고 같은 해 치러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박준홍 대신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경상북도 구미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한국당 박세직 후보에게 밀려 낙선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구미시 출신 인물]]
  • 백승주(정치인) . . . . 17회 일치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70000B><-5><bgcolor=#FFFFFF><:>[[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상징.png|width=30px]]]] {{{#70000B '''[[대한민국|{{{#70000B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70000B 국회의원}}}]] ([[경상북도|{{{#70000B 경북}}}]] [[구미시 갑|{{{#70000B 구미시 갑}}}]])'''}}}||
         ||<width=30%><:>제19대[br][[심학봉]][* 의원직 사퇴.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보궐선거 미실시.]||<width=5%><:>→||<width=30%><bgcolor=#FFFFA0><:>'''제20대[br]백승주'''||<width=5%><:>→||<width=30%><:>''현직''||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관료, 정치인.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tablealign=center><rowbgcolor=#C9151E>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경북 구미시 갑) || '''[[새누리당]]''' || '''50,292 (61.9%)''' || '''당선 (1위)'''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3월 13일 공천되었다. 출마 지역구는 본인의 고향인 구미 갑 지역. 여당 텃밭인 경북, 그것도 박정희 전 대통령의 고향으로서 박근혜 현 대통령에 대한 지지가 높은 구미에서 출마하는 만큼, 무난히 국회에 입성할 것으로 보일 수도 있겠지만...
         사실 무난하다고 생각은 했지만 2위 후보자였던 남수정 후보가[* 그것도 옛 [[통합진보당]] 인사들이 창당한 원외 진보정당인 [[민중연합당]]의 후보였다.] 38.1%를 받았다는 것을 생각하면 구미시에서도 친박이라는 브랜드가 그리 잘 먹히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2년 후 지방선거에서 [[장세용|이변이 일어났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구미시 출신 인물]][[분류:1961년 출생]]
  • 의성군 . . . . 17회 일치
         ||<-2><bgcolor=#FFB6C1> {{{#FF0080 '''국가'''}}} ||<bgcolor=#FFFFF0> [[대한민국]] ||
         ||<-2><bgcolor=#FFB6C1> {{{#FF0080 '''군수'''}}} ||<bgcolor=#FFFFF0> [[김주수(정치인)|김주수]]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재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2><bgcolor=#FFB6C1> {{{#FF0080 '''국회의원'''}}} ||<bgcolor=#FFFFF0> [[상주시·군위군·의성군·청송군]]:[br][[김재원(정치인)|김재원]]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3선 ([[2017년 4월 재보궐선거]]) ||
         국회의원 선거구는 [[군위군]], [[청송군]]과 한 선거구로 의성-군위-청송 선거구를 이루고 있었지만 2016년 [[20대 총선]]에서는 인근의 상주시와 합쳐져 서울시 면적의 6.4배에 이르는 거대 선거구가 형성되었다.
         특산물로는 [[마늘]], [[산수유]], [[홍화]] 재배로 유명하다. 이중에서도 특히 마늘이 가장 유명해서 고향이 의성이라고 하면 다들 "아? 마늘 나는데요?"라고 한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는 의성 마늘이 등록되어 있다.
         '''대한민국 컬링수도'''
         || '''후보''' ||<:><bgcolor=#1870B9>{{{#FFFFFF 문재인}}}||<:><bgcolor=#C9151E>{{{#FFFFFF '''홍준표'''}}}||<:><bgcolor=#046240>{{{#FFFFFF 안철수}}}||<:><bgcolor=#00B1EB>유승민||<:><bgcolor=#FFCC00>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 '''선거''' ||<:>'''18대 대선'''||<:>'''20대 총선'''||<:>'''19대 대선'''||<:>'''증감율 (대선/대선)'''||<:>'''증감율 (총선/대선)'''||<:>'''18대 대선'''||<:>'''20대 총선'''||<:>'''19대 대선'''||<:>'''증감율 (대선/대선)'''||<:>'''증감율 (총선/대선)'''||
         ||<|2> [[정창화(정치인)|정창화]]/3선[br][[민주정의당]] ||<|2> 김동권/초선[br][[민주자유당]] || --[[김화남]]/초선--[* 97.12.26 의원직 상실(선거법 위반)] [br] --자유민주연합-- ||<|2> 정창화/5선 [br] 한나라당 ||<|2> [[김재원(정치인)|김재원]]/초선 [br] 한나라당 ||<|2> [[정해걸]]/초선 [br] 무소속 ||<|2> 김재원/재선 [br] 새누리당 || --[[김종태(1949)|김종태]]/재선--[* 17.2.9 의원직 상실(선거법 위반)][br]--새누리당-- ||
         TK 안에서도 보수정당이 강세를 보이는 지역이다. 생활권이 비슷한 이웃 [[군위군]], [[영덕군]]과 함께 '''대한민국에서 가장 보수성향이 강한 TOP3''' 지역으로, [[18대 대선]]에서 [[박근혜]] 후보가 86.1%를 득표하여 군위, 영덕에 이어 전국 3위를 기록했을 뿐만 아니라, 그가 최순실 게이트를 일으키고 결국 탄핵이 된 이후에 치뤄진 [[19대 대선]]에서도 [[홍준표]] 후보가 63.3%를 득표하여 군위 다음으로 전국 2위를 기록했다. 또한 대선 한 달전에 있었던 [[2017년 4월 재보궐선거]]에서도 의성 출신+강성친박 성향의 김재원 후보 역시 67.13%의 몰표로 가볍게 당선되는 데에 일조했을 정도로,[* 합산 득표율은 47.5%] 새누리당-자유한국당 외의 다른 정당은 발을 붙이지 못할 수준이었다.
         그러다가 [[7회 지방선거]]의 경북도의회 의성군 1선거구에서 오랜만에 민주당 계열 후보가 당선됐는데 이 지역에서 한우축산업을 하다가 더불어민주당의 비례대표로 당선된 [[김현권]] 국회의원의 아내였다.
  • 이명규(국회의원) . . . . 17회 일치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이다. [[종교]]는 [[불교]]이다. 본관은 [[성주 이씨|성주]]이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으로 [[대구광역시]] 북[[구청장]]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북구청장 선거에 출마하여 3선을 기록하였다.
         2004년 초 북구청장직을 사임하고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대구광역시 [[북구(대구)|북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 [[경선]] [[전당대회]]에서 [[이명박]]을 지지하여 [[친이]]계에 속하였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한나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한편 같은 해 한나라당 사무부총장에 임명되었다. 2011년 한나라당 원내수석부대표에 임명되었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누리당]] [[공천]]에서 탈락하고 [[권은희(1959)|권은희]]가 공천되었다.
         [[분류:동명이인/ㅇ]][[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이시형 (1934년) . . . . 17회 일치
          | 복무 = [[대한민국 공군]]
          | 최종 계급 = [[대한민국 공군]] [[대위]]
         '''이시형'''(李時炯, [[1934년]] [[4월 30일]] ~ )은 [[대한민국]]의 [[교수|의과대학 교수]]·정신건강의학과 [[의사]]·前 [[군의관]]이다. [[경북대학교]]·[[성균관대학교]] 교수와 [[서울대학교]] 외래교수를 역임하였으나 사실상 [[서울대학교]]와는 별 관계가 없는 인물이다.
         * [[대한민국 공군|공군]] [[군의관]] [[대위]] 예편
         * 2011 숲 치유기능 공로 `국민훈장` 모란장 - 대통령표창
         [[분류:193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의사]][[분류:대한민국의 심리학자]][[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분류:대한민국의 정신과 의사]][[분류:대한민국의 군의관]][[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시인]][[분류:대한민국의 수필가]][[분류:경북대학교 교수]][[분류:성균관대학교 교수]][[분류:서울대학교 교수]][[분류:경북대학교 교수]][[분류:차의과학대학교 교수]][[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서울사이버대학교 교수]][[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원광디지털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 공군 대위]][[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경북대학교 동문]][[분류:예일 대학교 동문]][[분류:경주 이씨]][[분류:유교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트로피코 4/건물 . . . . 17회 일치
         === 대통령 박물관 ===
         ||이곳은 사실 정치적인 풍자, 희극, 익살스러운 연극, 심지어는 셰익스피어의 정신적 고향입니다! 요즘 대통령 각하께서 공연장에 변장하고 들어와 페눌티모에 관한 농담을 한다는 소문이 돌고 있습니다.||
          * 나의 소박한 삶: 우리 대통령 각하의 삶을 담은 전기 영화입니다. 3년간 모든 관광객들의 존경심이 10 상승합니다.
          * 인민 위원회: 많은 시민들이 대통령 각하께 투표할 수 있도록 만드는 공산주의 정부입니다. 만약 하지않는다면…
          * 정신교육: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재교육을 실시합니다. "난 대통령 각하가 너무 좋아요"라는 수업도 이수해야 하지요. 모든 죄수들의 존경심이 20% 증가합니다.
         ||대통령 각하께선 '메이드 인 트로피코'라고 적힌 때묻은 통조림을 보실 때 마다 이 작은 국가에 이룩하신 영광을 생각하며 결국 눈물을 보이시지요.
         트로피코인, 관광객, 대통령 각하가 자동차를 타는 곳. 이게 없으면 먼 곳까지 뚜벅뚜벅 걸어가야한다.
          * 괜찮은 한 해: 소형 비행선에 대통령 각하의 광고판을 만듭니다. 광고문의는 1-800-HAEMIMONT로 주십시오. 광고 수익은 국고에 보태집니다.
          * 대통령의 존재감: 시민들은 비행선을 보며 마치 대통령각하께서 지켜보고 계신다고 느낄 것입니다. 비행선이 방문하는 건물엔 대통령각하께서 방문하실 때와 같은 보너스가 발생합니다.
         === 황금 대통령상 ===
         황금 대통령상은 충성파 일원들의 숫자를 증가시켜줍니다. 또한 인근의 조경도 아름다워집니다.||
         대통령 아바타의 모습을 한 황금상. 만들면 10명의 시민이 충성파가 된다.
         ||인류의 멸종을 막을 용도로 지어둔 거대한 관? 대통령 각하가 돈을 잔뜩 숨겨준 거대 지하 금고로 통하는 입구? 사람들이 끌려 들어가서는 다시는 나오지 못하는 곳? 왜 누가 핵 방공호를 드나드는걸 본 사람이 한 명도 없을까? 음모론은 아직도 끝없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대통령 동상 - $10,000 소모. 시민들은 관저 주변에서 감히 시위를 벌어지 못하게 됩니다.
         대통령 각하의 관저. 반란군에게 파괴되면 게임 오버.
  • 김광석 . . . . 16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서울특별시|서울시]] 남창동 (서울) (남대문시장4길) <br/> (現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특별시)|중구]] 남창동 (서울) (남대문시장4길))
         | 사망지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김광석'''(金光石<ref>[http://news.khan.co.kr/section/khan_art_view.html?mode=view&artid=200711220915531&code=900307 '대중음악 100대 명반'25위 김광석 ‘다시 부르기 2’], 《경향신문》, 2007년 11월 22일 작성, 2011년 2월 14일 확인.</ref>, [[1964년]] [[1월 22일]]<ref>{{저널 인용|제목=[추억의 LP 여행] 김광석(上) 시대의 감성을 일깨운 우울의 미학 해맑은 미소로 기억될 '거리에서'|저널=주간한국|이름=|url=http://weekly.hankooki.com/lpage/enter/200407/wk2004070211320337570.htm|날짜=2004-07-02|출판사=|저자=최규성|확인날짜=2010-03-12}}</ref> ~ [[1996년]] [[1월 6일]])은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이다. ‘노래하는 철학자’로도 불린다. 2014년 제5회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대통령표창장이 추서되었다.
         * [[2014년]]《[[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대통령 표창
         [[분류:김광석]][[분류:1964년 태어남]][[분류:1996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포크 록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포크 록 음악가]]
         [[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싱어송라이터]][[분류:대한민국의 하모니카 연주자]][[분류:대한민국의 기타 연주자]][[분류:통기타 연주자]][[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의문사한 사람]]
  • 김용국 (야구인) . . . . 16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대표국가 = 대한민국
         [[한양대학교]] 재학 시절 뛰어난 활약으로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에 발탁되어 [[1984년 하계 올림픽|1984년 LA 올림픽]]에 참가하였다.<ref name="imaeil">[[매일신문]] - 2007년 7월 기사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29528&yy=2007 "최종문의 펀펀 야구 - 영어가 뭐기에"]</ref>
         [[1993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1993 시즌]]이 끝나고 [[태평양 돌핀스]]로 트레이드되면서 삼성의 3루수 자리를 후배 [[김한수 (야구인)|김한수]]에게 물려 주었다.
         1994~1995 시즌 [[태평양 돌핀스]] 선수로 뛴 후, 돌핀스를 새로 인수한 [[현대 유니콘스]]가 기존의 선수단을 리빌딩하는 과정에서 [[1996년]]에 세대 교체의 명분 아래 현역 은퇴를 하면서 [[1996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1996 시즌]]을 맞이했다.<ref name="imaeil" />
         그는 은퇴하면서 [[현대그룹]]의 [[대한민국의 실업 야구|실업 야구단]] [[현대 피닉스]]에서 [[1996년]]부터 바로 수비 코치를 맡았다. 1년 뒤엔 프로 구단 [[현대 유니콘스]]로 발령나기를 기다렸으나 도리어 재계약 불가 통보를 받았고, 실망감을 안은 채 어린 두 아들과 아내를 데리고 무작정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다.<ref name="imaeil" />
         [[대한민국]]에서 연봉 5천만원에 [[LG 트윈스]]의 코치로 활동하기 시작한<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4551908 <프로야구소식> LG, 김대진, 김용국코치 영입]</ref> 그는 추후 자리를 옮겨 [[2006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2006 시즌]]부터 [[2009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2009 시즌]]까지 친정 구단 [[삼성 라이온즈]]에서 수비 코치로 활동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09&aid=0000020171 삼성, 김용국·강성우 코치 영입]</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09&aid=0000060865 [사진]김용국 코치,'아픈 데는 괜찮나?' :: 네이버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09&aid=0000060876 [사진]김용국,'글러브 가볍고 괜찮네!' :: 네이버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 [[2009년]] 친정 팀의 코치 재계약에 실패한 후 [[2010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2010 시즌]]엔 [[넥센 히어로즈]]에 자리를 옮겨 2군 수비·작전·주루 코치로 활동하다가<ref>''OSEN'' - 2009년 11월 기사 [http://www.osen.co.kr/news/Sports_View.asp?gisano=G0911190106 "히어로즈, 김용국 전 삼성 코치 영입"]</ref> [[류중일]]이 감독으로 부임한 후 부름을 받아 친정 팀의 코치로 복귀했다.
         [[2010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 올스타전]]에서 "[[삼성 라이온즈]] 레전드 올스타" 행사도 열렸는데, 그가 레전드 [[3루수]]로 선정되어 오랜만에 [[삼성 라이온즈]]의 옛 유니폼을 입고 모습을 드러내기도 하였다.<ref>[[스포츠 서울]] - 2010년 7월 기사 [http://news.sportsseoul.com/read/baseball/857634.htm "올스타전, 팬들에게 추억을 선사한 레전드 행사"]{{깨진 링크|url=http://news.sportsseoul.com/read/baseball/857634.htm }}</ref>
         {{1983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선수 명단}}
         {{1984년 하계 올림픽 야구 대한민국 선수 명단}}
         [[분류:196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태평양 돌핀스 선수]][[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KBO 리그 1루수]][[분류:KBO 리그 3루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대구수창초등학교 동문]][[분류:경상중학교 동문]][[분류:대구상업고등학교 동문]][[분류:한양대학교 동문]][[분류:김해 김씨]][[분류:1984년 하계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야구 참가 선수]]
  • 박동진 (1922년) . . . . 16회 일치
         '''박동진'''(朴東鎭, [[1922년]] [[10월 11일]] ~ [[2013년]] [[11월 11일]])은 [[대한민국]]의 외교관, 국회의원이다. [[민주정의당]] 소속으로 11대와 12대 전국구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1951년 외무부에 들어와, 의전국장, 주 영국 참사관, 외무부차관, 주 월남 대사, 주 브라질 대사(1962년 10월~1968 2월)<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2082100329201006&editNo=6&printCount=1&publishDate=1962-08-21&officeId=00032&pageNo=1&printNo=5173&publishType=00020 브라질 大使에 朴東鎭氏] 《경향신문》1962년 8월 21일, 1면. <!--“最高會議 第63次 常任委員會는 21日 越南共和國駐箚大使 朴東鎭氏를 「브라질」合衆國特命全權大使로,...”--></ref><ref>{{서적 인용 |저자 = 외교통상부 |제목 = 한국 외교 60년 |url = http://www.mofat.go.kr/state/publication/history60/20100201/11369_file_2009%20dip60_appendix.pdf |장 = 부록 |확인날짜 = 2015년 2월 21일 |보존url = https://web.archive.org/web/20160303211841/http://www.mofat.go.kr/state/publication/history60/20100201/11369_file_2009%20dip60_appendix.pdf |보존날짜 = 2016년 3월 3일 |깨진링크 = 예 }}</ref>{{Rp|496}}, 페루 겸임대사<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6404290020920101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4-04-29&officeId=00020&pageNo=1&printNo=13079&publishType=00020 朴東鎭브라질大使 駐『페루』大使兼任]〉 《동아일보》(1964년 4월 29일) 1면 <!--“政府는 駐「브라질」大使朴東鎭씨를 駐「페루」大使도 겸임토록 28일하오 國務會議에서 議決했다.”--></ref>, 주 제네바 대사, 주 유엔 대사, 1975년부터 1980년까지 외무부 장관, 국회의원(11대.12대), [[대한민국 통일부|국토통일원]] 장관을 역임했다. 외무부장관으로서, 1976년 3월 말레이시아를 방문하여, 리타우딘 말레이시아 외무부 장관과 양국간의 경제무역관계를 더욱 강화하기로 합의했다.<ref>{{뉴스 인용 |url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6031900329201017&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6-03-19&officeId=00032&pageNo=1&printNo=9377&publishType=00020 |제목= 貿易強化에 합의...韓․말聯 공동성명 |출판사 = 경향신문 | 날짜 = 1976-03-19 |인용문=<!--朴東鎭외무부장관과 리타우딘 말레이시아외상은 19일 공동성명을 발표, 평화․자유․번영이라는 공동목표를 추진하기 위해 아시아 제국간의 협력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양국간의 경제무역관계를 더욱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朴장관은 지난 17일부터 3일간 말레이시아를 공식 방문한 후 발표한 이 성명에서...--> }}</ref> 1988년 4월 22일 한국 정부는 박동진을 주미대사에 임명하였다.<ref>{{뉴스 인용 |url = http://dna.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042200209201007&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8-04-22&officeId=00020&pageNo=1&printNo=20477&publishType=00020| 제목 = 駐美大使 朴東鎭씨| 날짜 = 1988-04-22| 출판사 = 동아일보}}</ref> 박동진은 당시 민정당의 전국구 국회의원이었으나, 주미대사로 부임함에 따라 의원직을 사퇴하였고, 민정당 전국구 예비후보 11번인 김종열이 5월 13일자로 의원직을 승계하였다.
         * 《대한민국 의정총람》, 국회의원총람발간위원회, 1994년
         |직책 = [[대한민국 외무부|외무부 차관]]
         |직책 = [[대한민국 외무부|외무부 장관]]
         |직책 = [[대한민국 국토통일원|국토통일원 장관]]
         |직책 = [[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관|주 미국 대사]]
         [[분류:1922년 태어남]][[분류:2013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외무부 차관]][[분류:대한민국의 외무부 장관]][[분류:대한민국의 국토통일원 장관]][[분류:박정희 정부의 국무위원]][[분류:최규하 정부의 국무위원]][[분류:전두환 정부의 국무위원]][[분류:베트남 주재 대한민국 대사]][[분류:브라질 주재 대한민국 대사]][[분류:미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주오 대학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민주정의당]][[분류:민주자유당 당원]][[분류:유엔 주재 대한민국 대사]][[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밀양 박씨]]
  • 박승호(정치인) . . . . 16회 일치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용인대학교 졸업 후, 서울올림픽조직위원회 1기 공채로 입사하여 [[노태우]] 조직위원장의 비서관으로 활동하다가 1985년 [[민주정의당]] [[총재]]비서관으로 임명되었다. 노태우 정부 때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민정비서실 행정관으로 근무하다가 총무처(현 [[행정자치부]]) [[국가공무원]] 시험에 응시하여 합격하였다. [[김영삼]] 정부 때 관선 [[봉화군]]수를 지냈다. 이후 내무부, 행정자치부 등에서 근무하다가 2005년 경상북도공무원교육원 [[원장]]을 지냈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상북도 포항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친이]]계에 속하였다. 2008년 [[이상득]]의 국정개입 논란이 있었을 때 영포회 회원이라는 것이 거론되어 논란이 되었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새누리당]]에 경상북도지사 예비후보로 등록하였으나 경선에서 현직 도지사인 [[김관용]]에 밀려 탈락하였다. 이때 [[구미시]]를 [[박정희]]시로 개칭하자는 주장을 하기도 했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627528.html|#]]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누리당]] [[공천]]에서 [[김정재]]에 밀렸다. 이후 새누리당을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누리당 김정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바른정당에 합류하여 2017년 3월 [[바른정당]]의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당협위원장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다시 탈당하여 자유한국당에 복당을 신청하였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tablealign=center><rowbgcolor=#808080>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6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북 포항시장) || '''[[한나라당]]''' || '''127,480 (60.95%)''' || '''당선 (1위)''' || ||
         || 201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북 포항시장) || '''[[한나라당]]''' || '''155,248 (74.67%)''' || '''당선 (1위)''' || ||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포항시 출신 인물]][[분류:1957년 출생]]
  • 박종준 . . . . 16회 일치
         [[대한민국]]의 [[경찰공무원]], [[정치인]]이다. [[종교]]는 [[개신교]]이다.
         경찰대학 졸업 후 경찰공무원으로 근무하였다. [[평창군|평창]][[경찰서장]], 공주경찰서장,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실 행정관, [[마포구|마포]]경찰서장, 충남[[지방경찰청]] [[지방경찰청장|청장]], [[대한민국 경찰청|경찰청]] [[차장]] 등을 역임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충청남도 공주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통합당]] [[박수현(정치인)|박수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2013년 6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청와대 [[대통령경호실]] 차장을 역임하였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세종특별자치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친야 [[무소속]] [[이해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충남 공주) || [[새누리당]] || 23,919 (43.68%) || 낙선 (2위) ||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세종) || [[새누리당]] || 38,076 (36.04%) || 낙선 (2위) || ||
         [[분류:경찰공무원]][[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세종특별자치시 출신 인물]]
  • 백일섭 . . . . 16회 일치
         '''백일섭'''(白一燮, [[1944년]] [[6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박정희 대통령 집권 당시, 대한민국 최초로 청와대로 초청받은 연예인 1호로 알려지기도 했다. [[문화방송]]의 드라마 《아들과 딸》에서 아버지 역을 맡은 백일섭이 극 중에서 취중에 독특하게 부르는 옛 노래〈홍도야 우지마라〉가 다시 인기를 끈 일이 유명하다.<ref>[http://star.moneytoday.co.kr/view/stview.php?no=2006011010100691636&type=1 박원숙 정혜선 백일섭, 맛깔스런 연기에 "역시!"]《머니투데이 스타》</ref> 가수 [[조영남]]과는 같은 고등학교 출신이다.
         * [[2008년]] 제9회 대한민국 영상대전 탤런트부문 포토제닉상
         * [[200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서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를 공개 지지하면서 무소속 [[이회창]] 후보를 비하하는 발언을 해 물의를 빚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764591|제목=탤런트 백일섭 "이회창 뒈지게 맞아야" 발언 파문 - 당 행사에서 규탄사... 이회창 캠프 "선전포고냐"|날짜=2007-11-14|확인날짜=2008-02-01|출판사=오마이뉴스|저자=손병관}}</ref>. 백일섭은 추후 이 발언이 단순한 농담이었다고 해명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news_uid=202857|제목=백일섭 이회창 관련 발언 해명 “농담이 큰 오해가 됐다”|날짜=2008-01-30|확인날짜=2008-02-01|출판사=뉴스엔|저자=김미영 기자}}</ref>.
         [[분류:194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1963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명지대학교 동문]][[분류:창극 배우]][[분류:세종특별자치시 출신]][[분류:수원 백씨]][[분류:자유민주연합 당원]][[분류:서울예술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대한민국의 연극인]][[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영화인]]
  • 송정현 . . . . 16회 일치
         |출생지=[[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국가대표팀=[[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송정현'''([[1976년]] [[5월 28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중앙 미드필더]]이다.
         [[대구광역시]] 출생으로 [[대구고등학교]], [[아주대학교]]를 졸업하였다. 유독 [[FA컵 (대한민국)|FA컵]]에서 좋은 기량을 발휘해 'FA컵의 사나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성이 '송'씨인 것에 착안하여 '쏭'이라는 별명이 붙기도 하였다.
         [[1999년]] [[경북 드래곤즈]]에 입단하였으나, 그 해 발목 부상을 입어 재활 치료를 받다가 [[2000년]] 복귀하였다. 하지만 [[2001년]] 다리 부상을 입어 시즌이 끝난 뒤 방출되었고, 이후 1년 간 무적 신분으로 지내다 [[2003년]] 당시 신생 팀이자 연고 팀인 [[대구 FC]]에 창단 멤버로 입단하였다. [[2006년]] 친정 팀 [[전남 드래곤즈]]로 복귀하여,<ref>[http://www.dragons.co.kr/news/news.asp?mode=view&category=&boardcode=tb_board_news&idx=6157 송정현, 진순진 영입]</ref> [[2006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 결승전에서 결승골을 기록하였고,<ref>[http://www.segye.com/Articles/Spn/Sports/Article.asp?aid=20061203000144&cid=0101110300000&dataid=200612031710000231 전남, 9년 만에 FA컵 품었다…송정현·김태수 연속골]</ref> [[2007년]] [[포항 스틸러스]]와 결승전에서 2골을 기록하는 등<ref>[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0712021657372235 '혼자 2골' 송정현, FA컵 2연패 가능케 한 전남의 영웅 ]</ref> [[FA컵 (대한민국)|FA컵]] 2연패에 큰 공헌을 하였다. [[2009년]] [[FA]]로 풀린 송정현은 [[울산 현대 호랑이]]로 이적하였으다.<ref>[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0903221500532234 울산, FA 송정현 긴급 수혈…전반기 단발 계약]</ref>
         * [[1999년]] ~ [[2002년]] {{국기그림|대한민국}} [[전남 드래곤즈]]
         * [[2003년]] ~ [[2005년]] {{국기그림|대한민국}} [[대구 FC]]
         * [[2006년]] ~ [[2008년]] {{국기그림|대한민국}} [[전남 드래곤즈]]
         * [[2009년]] {{국기그림|대한민국}} [[울산 현대 호랑이]]
         * [[2009년]] ~ [[2011년]] {{국기그림|대한민국}} [[전남 드래곤즈]]
         ==== {{국기그림|대한민국}} [[전남 드래곤즈]] ====
         * [[FA컵 (대한민국)|FA컵]] 우승 2회 ([[FA컵 2006|2006년]], [[FA컵 2007|2007년]])
         [[분류:197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경북 드래곤즈의 축구 선수]][[분류:대구 FC의 축구 선수]][[분류:울산 현대 축구단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1의 축구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아주대학교 동문]][[분류:승부조작에 관여한 스포츠인]][[분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영주시 . . . . 16회 일치
         ||<-2><bgcolor=#04B486> {{{#FFFFFF '''국가'''}}} ||<bgcolor=#EFFBEF> [[대한민국]] ||
         ||<-2><bgcolor=#04B486> {{{#FFFFFF '''시장'''}}} ||<bgcolor=#EFFBEF> [[장욱현]]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재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2><bgcolor=#04B486> {{{#FFFFFF '''국회의원'''}}} [br] [[영주시·문경시·예천군|{{{#FFFFFF {{{-1 (영주시·문경시·예천군)}}}}}}]] ||<bgcolor=#EFFBEF> [[최교일]]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초선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영주에 왔으면 딴건 다 못해도 한우는 꼭 먹어보자. 정말 싼 가격에 좋은 한우를 구입할 수 있다. [[과일]]의 경우 전체적으론 사과가 주류이지만 순흥면의 경우 [[복숭아]], 단산면은 [[포도]]도 유명하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대한민국의 지리적 표시제]]를 적용받는 농산물로는 영주 사과가 있다.
         || '''후보''' ||<:><bgcolor=#1870B9>{{{#FFFFFF 문재인}}}||<:><bgcolor=#C9151E>{{{#FFFFFF '''홍준표'''}}}||<:><bgcolor=#046240>{{{#FFFFFF 안철수}}}||<:><bgcolor=#00B1EB>유승민||<:><bgcolor=#FFCC00>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 '''선거''' ||<:>'''18대 대선'''||<:>'''20대 총선'''||<:>'''19대 대선'''||<:>'''증감율 (대선/대선)'''||<:>'''증감율 (총선/대선)'''||<:>'''18대 대선'''||<:>'''20대 총선'''||<:>'''19대 대선'''||<:>'''증감율 (대선/대선)'''||<:>'''증감율 (총선/대선)'''||
         [[경상북도]] 지역답게 보수정당 강세 지역이다.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까지는 영주시 단독 선거구였으나,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인구 부족으로 인해 [[문경시]]-[[예천군]] 선거구와 통합되었다. 그런데 문경, 예천 선거구와 통합된 건 잘못되었고, [[생활권]]이 같은 [[봉화군]]과 선거구를 통합하는 것이 타당했다는 의견이 있다.
          * 삼정승고택([[정도전]] 생가 복원 건물)과 구 도립도서관 사이 강둑에 [[박정희]] 기념식수가 있다. 대통령 취임 전에 와서 심은 거라 "장군" 기념식수다.(...) 여기에는 사연이 있는데, 과거 1961년 영주에 집중[[호우]]로 인한 대[[홍수]]가 나서 피해복구를 위해 군인들이 동원되었을 때 함께 참가했기 때문. 현재의 제민루가 있는 언덕과 시립도서관이 있는 산 사이(그리고 구성공원까지)는 원래 연결되어 있었으며, 서천 물길을 돌리는 직강공사를 하면서 절개 및 발파되었다. 그 때의 흔적으로 강바닥에 다른 곳에는 없는 바위가 드러나 있다. 현재의 나무는 처음 심었던 나무가 말라죽자 1979년에 다시 심은 것이다. 관련글: [[http://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221931|#1]][[http://www.yeongnam.com/mnews/newsview.do?mode=newsView&newskey=20130226.010140730260001|#2]][[http://blog.daum.net/shgh1225/8762740|#3]]
          * [[김계원]] : 전 [[육군참모총장]], 전 [[대통령비서실장]]
         [[분류:대한민국의 도시]][[분류: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분류:경상북도의 행정구역]][[분류:영주시]]
  • 유열 (가수) . . . . 16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유열'''(柳列, 본명 '''류종렬'''(柳鍾列) 예명 유열로 개명 (2009.11.09), [[1961년]] [[1월 12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뮤지컬|어린이 및 가족 뮤지컬]] [[연출가|프로듀서]]이다. 대표곡으로는 《지금 그대로의 모습으로》, 《가을비》, 《이별이래》, 《하늘을 닮은 그대에게》, 《단 한번만이라도》, 《화려한 날은 가고》, 《어느날 문득》, 《그 여름》, 《사랑의 찬가》 등이 있다.
         [[대구초등학교]], [[대구중학교 (대구)|대구중학교]], [[대구고등학교 (대구)|대구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무역학을 전공. [[고려대학교 문화예술 최고위과정수료]] [[1986년]] [[12월 19일]] [[MBC 대학가요제|제10회 MBC 대학가요제]]에서 ''지금 그대로의 모습으로''라는 노래로 대상을 수상하면서 음악계에 데뷔하였다.<ref name=autogenerated1>[http://www.chosun.com/se/news/200601/200601190193.html 1등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 [브라보~! 7080] '데뷔 20주년' 유열<!-- 봇이 붙인 제목 -->]</ref> 그 후 [[1989년]]까지 매년 [[한국방송]]·[[문화방송]]의 연말 10대가수로 선정되는 등 큰 인기를 누렸다.<ref name=autogenerated2>[http://www.izm.co.kr/news_view.asp?key=1&s_idx=1700 * IZM - New Stream *<!-- 봇이 붙인 제목 -->]</ref> 1996년 대한민국 동요대상,동요를 사랑한 가수상 수상
         2010년 제 1회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한국콘텐츠진흥원장 표창을 받았다.
         [[분류:196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학가요제 출신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음악 프로듀서]][[분류:대한민국의 팝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연출가]][[분류:뮤지컬 감독]][[분류:1986년 데뷔]][[분류:동아방송예술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구초등학교 동문]][[분류:대구중학교 (대구) 동문]][[분류:한국외국어대학교 동문]][[분류:대구고등학교 (대구)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침례교도]][[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음악가]]
  • 윤덕홍 . . . . 16회 일치
         '''윤덕홍'''(尹德弘, [[1947년]] [[4월 19일]] ~ , [[대구광역시|대구]])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교육인이다.
         민주진보진영 서울시교육감 후보 단일화 경선에 참여하지 않았던 윤덕홍은 단일화 불참 이유에 대해 "경선을 몰랐고, 서울시교육감 선거에 갑자기 출마하게 됐기 때문에 그때는 경선에 관심도 없었다"고 해명했지만, '서울 교육에 대해 전혀 관심이 없는 상태에서 출마를 했다'는 또 다른 논란을 낳았다.
         서울교육감 민주진보 후보 단일화를 추진했던 '서울 좋은 교육감 시민추진위'는 "시민경선에 참가하시길 권유했음에도 참가하지 않았는데, 지금와서 자신에게 유리하게 단일화 경선을 요구하는 게 민주주의 원칙과 상식에 맞는 진보적 행동인가? 자라나는 세대의 교육을 책임지는 수장을 뽑는 선거인데, 이렇게 규칙을 어기고서라도 자신이 어떤 지위를 차지하겠다고 나서는 행동은 교육적이지 않다"고 비판하였다.<ref>[http://www.newscham.net/news/view.php?board=news&nid=74285 "윤덕홍 탈당 시점은?"] 참세상 2014년 5월 9일</ref>
         === 교육감 선거 출마 자격 논란 ===
         또한 윤덕홍은 2014년 4월 말까지도 새정치민주연합 경북도당 공천관리심사위원장을 맡는 등 예비후보 등록 시점까지 실질적으로는 당원으로서 활동하였으며, 국회 교육위 소속 국회의원들을 찾아가 "교육감 선거 후보 조건으로 당적 1년 미보유 조항을 없애 달라", "최근 당적을 지난해 4월로 소급해 말소해 달라"고 요청하였다.<ref>[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202838 윤덕홍은 시한폭탄] 뉴데일리 2014년 5월 13일</ref>
         《한국인텔리서치》가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에 등록한 조사대상 및 표본크기에 의하면, 응답률이 3.0%에 60대 이상이 530명으로 전체 표본의 52.4%를 차지하고 있고, 20~30대는 116명, 40대 130명, 50대 234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986191"뒤늦게 서울교육감 출마 선언한 윤덕홍, 이건 아니다"] 오마이뉴스 2014년 4월 30일</ref>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제17대 총선]]||[[대구 수성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대구 수성구 을)]]||17대||[[열린우리당]] ||{{막대|열린|2|1|6|9}} 21.69%|| 20,534표||2위||낙선
         |직책 = [[대한민국의 교육부총리|부총리]] 겸 [[대한민국 교육인적자원부|교육인적자원부 장관]]
         {{대한민국의 부총리}}
         [[분류:194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부총리]][[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적자원부 장관]][[분류:대한민국의 공공기관장]][[분류:노무현 정부의 국무위원]][[분류:대구대학교]][[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대구동덕초등학교 동문]][[분류:경운중학교 (대구) 동문]][[분류: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동문]][[분류:도쿄 대학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이동흡 . . . . 16회 일치
         '''이동흡'''(李東洽, [[1951년]] [[1월 27일]] [[경상북도]] [[대구시]] ~ )는 [[대한민국의 헌법재판관]]을 역임한 법조인이다.
         [[경상북도]] [[대구시]]의 [[고성 이씨|고성]](固城) 집안에서 [[1951년]] [[1월 27일]] 태어나 [[경북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1973년 제15회 [[사법시험 (대한민국)|사법시험]]에 합격하여 5기 [[사법연수원]]과 군 법무관을 마친 1978년 [[부산지방법원]] 판사에 임용되었다. 종교는 [[불교]]이다.<ref>허신열, [http://www.naeil.com/News/politics/ViewNews.asp?nnum=701495&sid=E&tid=1 박근혜 인사에 불교계 민감반응], 내일신문</ref>
         판사로 재직하면서 헌법재판소 헌법연구부장, 대법원 재판연구관, [[사법연수원]] 교수, 사법발전위원회 위원, [[언론중재위원회]] 위원을 역임하였던 이동흡은 2000년에 [[수원지방법원]] 수석부장판사 직무대우에 이어 2005년 2월 [[서울고등법원]] 수석부장판사로 재직하다 2005년 8월에 법원장으로 승진하여 [[서울가정법원]]에서 법원장으로 재직하던 2006년 9월에 [[한나라당]] 추천으로 국회에서 임기 6년의 [[대한민국 헌법재판소|헌법재판소 재판관]]에 임명되었다. 2012년 9월 헌법재판관에서 물러난 이후인 [[2013년]] 1월 3일 [[이명박]] 대통령에 의해 헌법재판소장 후보자로 지명되었으나 특정업무경비 유용 의혹 등으로 인해 국회 청문보고서가 채택되지 않아 41일만인 [[2013년]] 2월 13일에 헌법재판소장에서 사퇴하였다.
         [[서울고등법원]] 수석부장판사로 재직하던 이동흡은 법원내 형서 재판장 9며이 모인 자리에서 "그동안 현행법을 지키지 않았던 관행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제안하면서 선거법 전담재판부인 형사10부 재판장을 맡은 스스로도 [[박혁규]], [[유시민]] 의원의 재판에서 감정인·통역인·국선변호인의 일당과 여비·보수 등의 "소송비용에 대해 피고인의 부담으로 한다"는 판결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0108296]</ref>
         * 1989년 [[대한민국 대법원|대법원]] 재판연구관
         * 1992년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헌법연구부 부장
         * 2006년 9월 ~ 2012년 9월 [[대한민국 헌법재판소|헌법재판소 재판관]]([[한나라당]] 추천으로 국회 선출)
         * [[2013년]] 1월 3일 대한민국 헌법재판소장 후보자로 지명되었으나 특정업무경비 유용 의혹 등으로 인해 국회 청문보고서 채택 불발되었다.
         * [[서울고등법원]] 선거 전담 재판부인 형사10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2005년 3월 22일에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둔 2003년 9월 선거구 아파트 조기축구회 창단식에 참석해 고사상에 현금 20만원을 기부하고 같은해 12월 제주도에서 열린 이장단 단합대회에 두차례 참석해 1100만여원 상당의 음식값과 술값을 후배를 통해 지급하여 기소된 [[박혁규]] [[한나라당]] 의원에 대해 이장단 단합대회에 대해 무죄라고 판단하여 벌금 50만원이 선고된 원심을 깨고 모두 유죄로 인정하면서 벌금 700만원을 선고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8&aid=0000519344]</ref> [[민주노동당]]을 공개 지지한 혐의로 1심에서 징역 8월 집행유예2년이 선고된 정용천 전국공무원노조 수석부위원장에 대해 징역6월 집행유예1년을 선고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0519351]</ref> [[열린우리당]]을 반대하는 내용의 글을 [[시스템클럽]]에 게시하여 1심에서 벌금 50만원이 선고된 군사평론가 [[지만원]]에 대해 벌금 30만원을 선고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0519374]</ref> 3월 29일에 [[백원우]] [[열린우리당]] 의원에 대해 "경선 당시 인쇄물을 배부한 대상은 입당 원서가 지구당이나 중앙당에 제출되지 않았던 것을 볼 때 진정한 의미의 당원이라고 보기 어렵다"며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깨고 벌금 50만원을 선고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8&aid=0000521828]</ref>
         [[분류:195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판사]][[분류: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 재판관]][[분류: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문]][[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고성 이씨]]
  • 이명주 (축구선수) . . . . 16회 일치
         |출생지=[[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3]] <br/>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이명주''' (李明周, [[1990년]] [[4월 24일]] ~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미드필더#중앙 미드필더|중앙 미드필더]]이다.
         [[2013년]] [[6월 11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우즈베키스탄]]과의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경기에서 선발 출장하며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 데뷔전을 가졌다. 데뷔전에서 MOM(Man Of the Match)에 선정되었다.<ref>{{뉴스 인용 |제목='겁없는 데뷔전' 이명주, 대담한 활약 눈부셨다|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a_match&ctg=news&mod=read&office_id=111&article_id=0000336377 |출판사=조이뉴스24 |date={{날짜한글화|2013-06-11}} }}</ref>
         ;{{국기그림|대한민국}} [[포항 스틸러스]]
         * [[FA컵 (대한민국)|FA컵]] : 우승 ([[FA컵 2012|2012]], [[FA컵 2013|2013]])
         |이전={{국기그림|대한민국}} [[이승기 (축구 선수)|이승기]]
         {{2015년 AFC 아시안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대한민국 선수 명단}}
         [[분류:199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축구 미드필더]][[분류: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분류:아랍에미리트의 외국인 축구 선수]][[분류:포항 스틸러스의 축구 선수]][[분류:알아인 FC의 축구 선수]][[분류:FC 서울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1의 축구 선수]][[분류:2015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분류:포항제철중학교 동문]][[분류: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동문]][[분류:대구화원초등학교 동문]][[분류:영남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리그2의 축구 선수]][[분류:아산 무궁화 축구단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 영플레이어상 수상자]][[분류:K리그1 베스트 11 수상자]][[분류:아랍에미리트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이민아 (축구선수) . . . . 16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클럽 = {{국기그림|대한민국}}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WFC|인천 현대제철]] <br /> {{국기그림|일본}} [[아이낙 고베 레오네사|아이낙 고베]]
         |국가대표팀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U-17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17]] <br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U-20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0]] <br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이민아'''(李玟娥, [[1991년]] [[11월 8일]] ~ )는 [[대한민국]]의 여자 [[축구]] 선수로 포지션은 [[미드필더]]이다. 현재 [[아이낙 고베 레오네사|아이낙 고베]]에서 활약하고 있다.
         {{2008년 FIFA U-17 여자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2010년 FIFA U-20 여자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분류:199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축구 선수]][[분류: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의 축구 선수]][[분류:WK리그의 축구 선수]]
         [[분류:축구 미드필더]][[분류:포항여자전자고등학교 동문]][[분류:영진전문대학 동문]][[분류:대구상인초등학교 동문]][[분류:상원중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분류:일본의 외국인 축구 선수]][[분류:2018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이주호 (1961년) . . . . 16회 일치
         |국가 = 대한민국
         |대통령 = [[이명박]]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시]]
         |국적 = 대한민국
         '''이주호'''(李周浩, [[1961년]] [[2월 17일]] ~ )는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를 맡고 있는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다. 한나라당 비례대표로 제17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이명박 정부]]에서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을 역임했다.
         * 2007년 12월 ~ 2008년 2월 제17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회교육문화분과위 간사
         * 2008년 2월 ~ 2008년 6월 대통령실 교육과학문화수석비서관
         |직책 = [[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교육과학기술부 제1차관]]
         |직책 = [[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교육과학기술부 장관]]
         [[분류:196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전주 이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청구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분류:서울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코넬 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경제학자]][[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대한민국대통령실 수석비서관]][[분류:대한민국의 교육과학기술부 차관]][[분류:대한민국의 교육과학기술부 장관]][[분류:이명박 정부의 국무위원]][[분류:한나라당의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
  • 강대식 . . . . 15회 일치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현직 [[대구광역시]] [[동구(대구)|동구]]청장으로 당적은 바른미래당이며 계보상으로는 [[친유]]계이다. [[노총각|미혼]]이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대구광역시 동구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대구광역시 동구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대구광역시 동구의회 [[의장]]을 역임하였다. 그런데 2012년 11월 20일 [[음주운전]] 상태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4837775|경찰에 적발되었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대구광역시 동[[구청장]]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하여 2017년 2월 [[윤순영]] 대구광역시 [[중구(대구)|중구]]청장과 함께 새누리당을 탈당하여 [[바른정당]]에 입당하였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바른미래당]] 후보로 동구청장 재선에 출마하였으나 [[자유한국당]] [[배기철]], [[더불어민주당]] 서재헌 후보에 이은 3위로 낙선하였다.
         == 선거이력 ==
         ||<tablealign=center><rowbgcolor=#00B4B4>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6 || [[제4회 지방선거]] (대구 동구의원 바) || [[한나라당]] || '''9,979 (44.49%)''' || '''당선(1위)''' || ||
         || 2010 || [[제5회 지방선거]] (대구 동구의원 바) || 한나라당 || '''7,448 (28.80%)''' || '''당선(2위)''' || ||
         || 2014 || [[제6회 지방선거]] (대구 동구청장) || [[새누리당]] || '''116,937 (79.39%)''' || '''당선''' || ||
         || 2018 || [[제7회 지방선거]] (대구 동구청장) || [[바른미래당]] || 43,374 (25.8%) || 낙선(3위) || ||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동구(대구) 출신 인물]]
  • 김만제 . . . . 15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관료, [[정치인]]이다. 1934년 [[경상북도]] 선산군(현 [[구미시]])에서 태어났다.
         귀국하여 [[서강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근무하였다.[* 이 때문에 역시 서강대에서 경제학 교수를 역임했던 전임 [[남덕우]], 후임 [[이승윤(정치인)|이승윤]] 경제 부총리와 노태우 정부에서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을 역임한 [[김종인]] 등과 더불어 서강 학파의 대표 주자로 알려져 있다.] 1971년 [[한국개발연구원]]의 초대 [[원장]]으로 부임하여 1982년까지 재임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강남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국가안전기획부]]의 흑색선전 공작에 대한 역풍으로 [[민주당(1991년)|민주당]] [[홍사덕]]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1994년부터 1998년까지 [[포스코|포항종합제철]] [[회장]]을 역임하였다. 이는 역대 포스코 회장 중 유일한 외부인사 영입 사례이다.[[http://www.opinio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72|#]]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대구광역시]] [[수성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자유민주연합]] [[박철언]]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2001년까지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을 역임하였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공천에서 탈락하였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강남구]] 을) || [[민주자유당]] || - || 낙선 ||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대구광역시]] [[수성구]] 갑) || [[한나라당]] || - || '''당선''' || ||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구미시 출신 인물]]
  • 김성주 (기업인) . . . . 15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시]]
          | 국적 = [[대한민국]]
          | 직책 = 前 [[대한민국]] [[대한적십자사|적십자사]] 총재
         '''김성주'''([[1956년]] [[11월 19일]] ~ )는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현재 [[성주그룹]] 회장, 독일 [[모드 크리에이션 뮌헨|MCM Holding AG]] 대표이사, 전 [[대한적십자사]] 총재이다.
         2012년 대선 때에는 여성 리더를 대통령으로 만드는데 일조하겠다며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를 지지하며 선거캠프에서 공동선거대책위원장으로 활동했다. 이로 인해 그룹 매출이 급감하거나, 빨간색 운동화 패션을 유행시키는 등 다양한 방면으로 대중의 주목을 끌기로 유명한 인물이다. 선대위 활약 이후에는 공약에서 약속한대로 성주그룹 회장으로서 일선에 복직해 비지니스에 주력하다가, 2014년 10월 8일 [[대한적십자사]] 제28대 총재에 선출되었다. 임기만료를 3개월 앞두고 [[2017년]] [[6월 30일]]에 사퇴할예정이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6/16/0200000000AKR20170616082000014.HTML?input=1195m</ref>
         [[분류:195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적십자사 대표]][[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여성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최고경영자]]
         [[분류:대한민국의 시사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경제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정치 평론가]][[분류:연세대학교 신과대학 동문]][[분류:런던 정치경제대학교 동문]][[분류:하버드 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친박]][[분류:옛 새누리당의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정치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여성 기업인]][[분류:애머스트 대학교 동문]]
  • 문호근 . . . . 15회 일치
         | 출생지 = {{국기|대한민국}} [[경상북도]] [[김천시|금릉군 김천읍]]
         | 사망지 = {{국기|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서 심장마비로 사망
         | 국적 = {{국기|대한민국}}
         '''문호근'''(文昊瑾, [[1946년]] [[11월 17일]] ~ [[2001년]] [[5월 17일]])은 [[대한민국]]의 [[연극]]연출가 겸 [[오페라]] 연출가이다.
         [[분류:1946년 태어남]][[분류:2001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고전 피아노 연주자]][[분류:1967년 데뷔]][[분류:오페라 연출가]][[분류:대한민국의 수필가]]
         [[분류:심장질환으로 죽은 사람]][[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남평 문씨]][[분류:경기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문]][[분류:평화민주당 (1987년)]][[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독일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뮌헨 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음악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미술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연극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분류:문익환]][[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박경석 (1960년) . . . . 15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시]]
         | 거주지 = {{국기|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병역 = [[대한민국 해병대]] [[병사 (군인)|병장]]
         '''박경석'''(朴敬石<ref name=hanshin>[http://www.bokjiro.go.kr/news/allNewsView.do?board_sid=308&data_sid=68170 한신대 교수된 '장애인 이동권연대' 박경석 대표]</ref>, [[1960년]] ~ )은 [[대한민국]]의 [[장애인]] 인권 운동가이다. 현재 장애인차별철폐연대 대표와 노들장애인야학 교장, [[한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겸임교수를 맡고 있다.
         [[경상북도]] [[대구시]](현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나 [[개신교]] 집안에서 자란 그는 학창 시절까지만 해도 [[스포츠]] 활동을 즐기는 활달한 성격이었다고 한다. [[영남대학교]] 재학중이던 [[1980년]] [[대한민국 해병대|해병대]]에 입대, [[대한민국 해병대 수색대|수색대]]로 복무하였고 복무 당시에도 스킨스쿠버, 수영, 낙하산을 매우 즐겼다고 한다.<ref name=park>[http://na-dle.hani.co.kr/arti/issue/501.html 니들의 잣대로 구별짓지 마라 - 손아람이 본 박경석], 《[[한겨레]]》, 2013년 11월 4일</ref> 전역 후 대학교 행글라이더 동호회에 들어가 활동 중이던 [[1983년]] 8월, [[경상북도]] [[경주시]] [[토함산]]에서 행글라이더를 타던 중 추락 사고로 하반신이 마비되어 지체장애 1급 판정을 받았다.<ref name=park /><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976992 하루 '5억원짜리' 삶, 이 사람 부럽다], 《[[오마이뉴스]]》, 2014년 4월 6일</ref>
         * [[2004년]] [[대한민국의 국회의원|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당시 민주노동당 장애인 비례대표로 추천을 받았으나 그는 이를 사양했다고 한다.<ref name=khan>[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11011920515&code=210000 <nowiki>[김규항의 좌판]</nowiki>(4) 장애인차별철폐연대 대표 박경석], 《[[경향신문]]》, 2011년 11월 1일</ref>
         * [[노무현]] 전 대통령 재임 당시 [[청와대]]에서 열린 만찬에 초청되어 대통령에게 장애인 인권에 관한 문제를 지적하다가 경호실 직원들에 의해 퇴장당한 사건이 있었다.<ref name=khan />
         * [[2012년]] [[10월 26일]] 장애인 당사자 인권운동가 김주영이 화재로 사망한 사건과 관련하여, 광화문에서 장례식 노제를 치르다 폴리스라인을 넘어 [[대한민국 검찰청|검찰]]은 장애인 활동가 18명에게 총 1500여만 원의 벌금을 부과하였고, 박경석은 이를 대신하여 스스로 노역형을 자처, [[서울구치소]]에서 5일간 노역형을 복역하고 출소하였다.<ref name=park /><ref name=pressian />
         [[분류:196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인권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영남대학교 동문]][[분류:숭실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지체 장애인]][[분류:밀양 박씨]]
  • 송아영 . . . . 15회 일치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종교]]는 [[개신교]]이다. 현재 [[자유한국당]] 중앙당 부[[대변인]]이다.
         [[이명박 정부]] 때 자유선진당에서 충청남도당 여성위원장, 뉴 선진비전 여성위원회 대표 등을 지내며 정치에 입문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선진당]] [[비례대표제|비례대표]]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제5번)으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제18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자유선진당의 후신 [[선진통일당]]이 [[새누리당]]에 흡수될 때 합류하였고 새누리당 세종특별자치시당 대변인을 지냈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자유한국당의 [[세종특별자치시장]] [[공천]]을 받았으나 현 시장인 이춘희 후보에게 큰 표차로 낙선했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tablealign=center><rowbgcolor=#C9151E>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 [[자유선진당]] || 689,843(3.2%) || 낙선(5번) ||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세종특별자치시장) || [[자유한국당]] || 24,546 (18.06%) || 낙선 (2위) || ||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세종특별자치시 출신 인물]][[분류:1963년 출생]]
  • 송언석 . . . . 15회 일치
         [[분류:대한민국 국회의원]][[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1963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차관]]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70000B><-5><bgcolor=#FFFFFF><:>{{{#70000B 대한민국}}} {{{#70000B 국회의원}}}{{{#70000B 경북}}} {{{#70000B 김천시}}}||
         ||<bgcolor=#C9151E> '''{{{#FFFFFF 지역구}}}''' ||<(> 경상북도 [[김천시(선거구)|김천시]] ||
         '''[[2018년 재보궐선거]] 중 유일하게 [[자유한국당]] 소속으로 당선된 국회의원.'''
         [[대한민국]]의 [[공무원]] 출신 [[정치인]]이다. 현재 [[자유한국당]] [[제20대 국회의원]](경북 [[김천시(선거구)|김천시]]).
         [[이철우(1955)|이철우]]가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당협위원장직을 사퇴하자 2018년 2월 자유한국당에 입당하여 김천시 당협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동시에 치러질 [[2018년 재보궐선거]]에서 경상북도 김천시 [[선거구]]에 출마할 후보로 [[공천]]되었다.
         == 선거 이력 ==
         ||<tablealign=center><rowbgcolor=#C9151E>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18 || [[2018년 재보궐선거|재보궐선거]] (경북 김천 국회의원) || [[자유한국당]] || '''39,323 (50.32%)''' || '''당선 (1위)''' || '''초선'''[* 전임자 [[이철우(1955)|이철우]] 경상북도지사 출마를 위해 사퇴] ||
  • 예천군 . . . . 15회 일치
         ||<-2><bgcolor=#005CAA> {{{#FFFFFF '''국가'''}}} ||<bgcolor=#FFFFFF> [[대한민국]] ||
         ||<-2><bgcolor=#5EBFED> {{{#FFFFFF '''군수'''}}} ||<bgcolor=#FFFFFF> [[김학동]] ([[자유한국당|{{{#CA252B '''자유한국당'''}}}]])[br]초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2><bgcolor=#5EBFED> {{{#FFFFFF '''국회의원'''}}} [br] [[영주시·문경시·예천군|{{{#FFFFFF {{{-1 (영주시·문경시·예천군)}}}}}}]] ||<bgcolor=#FFFFFF> [[최교일]]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초선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예천군의 동쪽을 통과하는 [[중앙고속도로]]에 [[예천IC]]가 있다. 문경, 안동 방면으로 [[34번 국도]], 의성, 영주 방면으로 [[28번 국도]], 군 북서부를 [[59번 국도]]가 지난다. 하지만 서울 방향으로 가는 경우 [[예천IC]] 보다 점촌을 지나 [[중부내륙고속도로]] [[점촌함창IC]]를 이용하는것이 훨씬 빠르다. 연평균 이용량이 300대 정도로 매우 적은 교통량. 예천읍과도 상당한 거리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중앙고속도로]]가 안동과 영주를 직결하지 않고 예천으로 우회하도록 한 것이 잘못되었다는 의견이 있다. [[중앙고속도로]]가 예천으로 우회한 것은 [[대한민국 제5공화국]] 시절 [[전두환]] 당시 대통령의 정치적 후견인이었던 지역 출신 정치인 [[유학성]]의 입김이었다고 한다. [[예천공항]]이 생겼던 것도 [[유학성]]이 주도했다는 말이 있다.
         || '''후보''' ||<:><bgcolor=#1870B9>{{{#FFFFFF 문재인}}}||<:><bgcolor=#C9151E>{{{#FFFFFF '''홍준표'''}}}||<:><bgcolor=#046240>{{{#FFFFFF 안철수}}}||<:><bgcolor=#00B1EB>유승민||<:><bgcolor=#FFCC00>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 '''선거''' ||<:>'''18대 대선'''||<:>'''20대 총선'''||<:>'''19대 대선'''||<:>'''증감율 (대선/대선)'''||<:>'''증감율 (총선/대선)'''||<:>'''18대 대선'''||<:>'''20대 총선'''||<:>'''19대 대선'''||<:>'''증감율 (대선/대선)'''||<:>'''증감율 (총선/대선)'''||
         || [[반형식]]/재선[* 93.6.11 재보궐선거][br][[민주자유당]] || [[신영국]]/재선 [br] 한나라당 ||
         15대 국회 이후부터 선거구가 항상 문경과 같이 가고 있다[* 생활권이 다르다고 할 수는 없다. 예천읍 서부 지역은 문경 점촌 생활권이며, 중앙고속도로가 생기기 전까지 예천에서 서울을 갈땐 문경을 지나가야 했기에 지금도 상호간에 교류가 많은 지역이다.]. 2016년 20대 국회에서는 문경-예천 선거구가 영주 선거구와 통합되었다.
         김진호 선수를 기리는 예천진호국제양궁장도 있다. 예천진호국제양궁장은 국내 최대 규모의 양궁전용경기장으로 2003년 대구하계유니버시아드 양궁경기장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세계 여러 나라에서 이곳으로 전지훈련을 오기도 한다. 이곳에서 국내, 국제 경기가 열리고 여행자들을 위한 양궁체험 프로그램도 운영한다고 한다. 2015년 예천은 대통령기 전국 남녀 양궁대회를 비롯해 14개 대회를 유치하기도 했다.
          * [[김진호(양궁)|김진호]] : 전 [[양궁]]선수. 대한민국이 낳은 신궁, 예천에 김진호를 기리는 진호국제양궁장이 있다.
          * [[유학성]] : 전 군인(예비역 육군 대장), 전 공무원(중앙정보부장, 안전기획부장), 전 국회의원. 신군부 출신으로 [[전두환]], [[노태우]] 전 대통령이 있던 [[하나회]]를 후원, [[12.12 사태]]에 가담하기도 했다.
          * [[현석호]] : 장면내각 전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내무부 장관 역임, 전 민주당 국회의원
  • 이정무 . . . . 15회 일치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이다. 호는 선웅(善雄)이다. [[종교]]는 [[개신교]]이다.
         1941년, [[경상북도]] 선산군(현 [[구미시]])에서 태어났다. 선산중학교, [[경북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영남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이후 1978년부터 [[대구백화점]] 대표이사를 역임하였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에 경상북도 군위군-선산군-칠곡군-성주군 선거구로 [[공천]]을 신청하였다가 [[신현확]]에 밀려 탈락하였다.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경북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1년 후배인 [[박철언]]이 조직한 월계수회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대구직할시 남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89년 민주정의당 원내부총무에 임명되었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통일국민당]] [[김해석(정치인)|김해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대구광역시]] [[남구(대구)|남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자유민주연합 원내총무에 임명되었다. [[DJP연합]]에 따른 [[새정치국민회의]]-자유민주연합 [[연정|공동정부]]의 몫으로 1998년 3월부터 1999년 5월까지 건설교통부(현 [[국토교통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현승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정계에서 은퇴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구미시 출신 인물]][[분류:1941년 출생]]
  • 이헌일 . . . . 15회 일치
          | 서훈 내역 = 1963년 대한민국 대통령 표창장 <br/> 사후 1990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 웹사이트 = [http://www.mpva.go.kr/narasarang/gonghun_view.asp?id=6437&ipp=10000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공훈록]
         '''이헌일'''(李憲一, [[1917년]] [[3월 25일]] ~ [[1979년]] [[4월 17일]])은 [[한국의 독립 운동|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다. 본관은 [[경주 이씨|경주]](慶州), 호(號)는 창록(蒼綠). 경상북도 대구(慶尙北道 大邱) 출생이다.
         * 1956년 2월, [[대한민국 국방대학교|국방대학교]] 행정학사 1기.
         * 대한민국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리고자 1963년 대한민국 대통령 표창장을 수여하였고 사후 1990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 [http://www.mpva.go.kr/narasarang/gonghun_view.asp?id=6437&ipp=10000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공훈자 목록]
         [[분류:1917년 태어남]][[분류:1979년 죽음]][[분류:대륜고등학교 동문]][[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연희전문학교 동문]][[분류:연세대학교 문과대학 동문]][[분류:육군 장교]][[분류:국방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주 이씨]][[분류:대한민국의 반일 감정]][[분류:대한민국의 반공주의자]][[분류:김구]][[분류:이범석 (1900년)]][[분류:유교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장로교도]][[분류:광복군]][[분류: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분류:한국독립당]][[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 정창영 (공무원) . . . . 15회 일치
         | 출생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 경력 = [[한국철도공사]] 사장<br />[[대한민국 감사원|감사원]] 사무총장<br />감사원 제1사무차장<br />감사원 제2사무차장<br />감사원 국장<br />[[대한민국 국회|국회]] 예결위 입법심의관<br />[[대통령비서실|청와대]] 민정수석실 행정관<br />감사원 과장<br />감사원 감사관<br />청와대 [[대통령경호실|경호실]] 감사담당관<br />감사원 부감사관<br />경북도 / 대구시 / 서울시 행정사무관<br />행정고시 24회
         '''정창영'''(鄭昌永, [[1954년]] [[8월 29일]] ~ , [[대구광역시|대구]])<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0&aid=0000281626 국회-감사원 첫 인사 교류] 《동아일보》 2005년 1월 20일 정용관 기자</ref>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다.<ref>[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txc&where=people_profile&ie=utf8&query=%EC%A0%95%EC%B0%BD%EC%98%81&os=766969 네이버 인물정보]</ref>
         [[대한민국 감사원|감사원]] 사무총장을 지냈으며, [[2012년]] [[2월 6일]]에 [[한국철도공사]] 사장으로 취임해 [[2013년]] [[6월 17일]] 물러났다.
         * 대통령경호실 감사담당관
         *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실 행정관
         |직책 = [[대한민국의 감사원 사무차장|감사원 제2사무차장]]
         |직책 = [[대한민국의 감사원 사무차장|감사원 제1사무차장]]
         |직책 = [[대한민국의 감사원 사무총장|감사원 사무총장]]
         [[분류:195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공공기관장]][[분류:대한민국의 감사원 사무총장]][[분류:성균관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
  • 황용식 . . . . 15회 일치
         |국가 = {{국기|대한민국}}
         |직책 = [[주 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부|주 타이베이 대표부]] 대표
         |대통령 =
         '''황용식'''(黃龍植, [[1944년]] [[5월 28일]] ~ )<ref name="사전">{{서적 인용|title=한국인명사전 (연합연감 1999년판 별책) |publisher=[[연합뉴스]] |page=840 |date=1999-04-30}}</ref>은 [[대한민국]]의 외무공무원이다.
         * 1973 : [[대한민국 외무부|외무부]] 입부<ref name="文大"/> (73.04 제7회 외무고시 합격)<ref name="충북일보">{{웹 인용|title=전 튀니지대사 황용식, 충주대 강연 |publisher=충북일보 |url=http://www.inews365.com/news/article.html?no=31171 |archiveurl=http://archive.is/Z8zKO |archivedate=2016-11-25 |accessdate=2016-11-25}}</ref>
         * 1982 : [[대한민국 대통령비서실|대통령비서실]] 정무행정관<ref name="사전"/>
         * 1995 : [[주 제네바 대한민국 대표부|주 제네바 대표부]] 공사<ref name="사전"/>
         * 1999 : 외교통상부 조약국장<ref>{{서적 인용|title=대한민국외교연표 |publisher=[[대한민국 외교통상부]] |date=1999 |page=118, 124}}</ref>
         * 2000 : 제 13대 주 튀니지 대사<ref name="60년">{{인용|title=헌국외교 60년 |url=http://www.mofa.go.kr/state/publication/history60/20100201/11369_file_2009%20dip60_appendix.pdf |archiveurl=http://web.archive.org/web/20160304094536/http://www.mofa.go.kr/state/publication/history60/20100201/11369_file_2009%20dip60_appendix.pdf |archivedate=2016-03-04 |publisher=[[대한민국 외교통상부]] |editor=외교안보연구원 교학과 }}</ref>{{rp|515쪽}}
         {{타이베이 주재 대한민국 대표}}
         [[분류:194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타이베이 주재 대한민국 대표]][[분류:튀니지 주재 대한민국 대사]][[분류: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문]][[분류:터프츠 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창원 황씨]]
  • 김보름 . . . . 14회 일치
         |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 국가 = {{국기나라|대한민국}}
         {{메달 나라|{{국기나라|대한민국}}}}
         '''김보름'''([[1993년]] [[2월 6일]] ~ )은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이다.
         2016년 11월 11일 중국 하얼빈에서 열린 2016-2017 국제빙상경기연맹 스피드스케이팅월드컵 1차 대회 3000m 디비전B에서 김보름은 4분12초21로 3위를 차지했다.<ref name=":24" /> 12일 열린 팀추월에서 이승훈과 김보름이 힘을 보탠 남녀 팀추월 대표팀이 동메달을 나란히 수확했다. 13일 열린 매스스타트에서는 이승훈이 남자부 금메달, 김보름이 여자부 동메달을 목에 걸며 메달 사냥의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다.<ref>{{뉴스 인용|url=http://d.kbs.co.kr/news/view.do?ncd=3380743|제목=이승훈·김보름, 매스스타트서 ‘맹활약’|뉴스=KBS 뉴스|언어=ko|확인날짜=2017-03-27}}</ref> 2016년 11월 18일 일본 나가노에서 열린 월드컵 2차 대회 3000m 디비전A에서 김보름은 4분05초91로 16명 가운데 6위에 올랐다. 자신의 최고 기록(4분04초62)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2016년 11월 11일 중국 하얼빈에서 열린 월드컵 1차 대회 디비전B에서 세운 4분12초21보다 6초30 빨랐다. 우승은 체코의 마르티나 사블리코바가 4분03초56으로 차지했다. 그 뒤는 안토이네트 데 용(네덜란드-4분04초53), 안나 유라코바(러시아-4분05초24)가 이었다. 3000m 디비전B의 박지우(의정부여고)는 4분18초88로 20명 가운데 16위에 자리했다.<ref>{{웹 인용|url=http://www.msn.com/ko-kr/news/sports/%EB%B9%99%EC%83%81-%EA%B9%80%EB%B3%B4%EB%A6%84-%EC%8A%A4%ED%94%BC%EB%93%9C%EC%8A%A4%EC%BC%80%EC%9D%B4%ED%8C%85-2%EC%B0%A8-%EC%9B%94%EB%93%9C%EC%BB%B5-%EF%A6%81-3000m-6%EC%9C%84/ar-AAkrY2E|제목=[빙상] 김보름, 스피드스케이팅 2차 월드컵 女 3000m 6위|확인날짜=2017-03-27}}</ref> 19일 열린 팀추월 결승에서는 대한민국(노선영, 김보름, 박지우)이 3분05초01로 5위를 차지했다. 20일 김보름은 박지우와 함께 23명이 출전한 매스스타트 결승에서 8분15초02의 기록으로 가장 먼저 골인하면서 금메달을 획득하였고 박지우는 8분22초85로 18위를 기록했다. 1500m 디비전B에서는 김보름이 1분59초65로 2위에 올랐고 박지우는 2분01초89로 16위를 차지했다.<ref>{{뉴스 인용|url=http://m.blog.naver.com/ufo5405/220866296406|제목=김보름 매스스타트 금메달(2016~2017 ISU 스피드스케이팅 월드컵 2차 대회)|뉴스=네이버 블로그 {{!}} 자유 평화 사랑|언어=ko|확인날짜=2017-03-27}}</ref> 2016년 12월 2일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열린 월드컵 3차 대회 3000m 디비전A에서 김보름은 4분10초61로 14위를 차지했다. 3일 열린 팀추월에서는 박지우, 노선영, 김보름이 3분04초62로 6위를 차지했다.<ref name=":24" /> 5일 열린 매스스타트에서는 김보름이 8분29초51로 결승선을 통과하며 2차 대회 우승자인 캐나다의 이바니 블롱댕(8분29초28)과 일본의 다카기 나나(8분29초46)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이번 대회에서 랭킹 포인트 70점을 획득한 김보름은 총점 240점으로 블롱댕(랭킹포인트 280점)에 이어 월드컵 랭킹 2위를 유지했다.<ref>{{뉴스 인용|url=http://mn.kbs.co.kr/news/view.do?ncd=3388523|제목=이승훈·김보름, 3차 대회 매스스타트 동메달|뉴스=KBS 뉴스|언어=ko|확인날짜=2017-03-27}}</ref> 2016년 12월 9일 네덜란드 헤렌벤에서 벌어진 월드컵 4차 대회 팀추월에서 박지우, 노선영, 김보름은 3분06초42로 7위를 차지했다. 10일 열린 1500m 디비전A에서는 김보름이 2분00초71로 19위를 차지했다.<ref name=":24" /> 10일 열린 매스스타트에서 김보름은 8분31초73의 기록으로 이린 쇼우텐(네덜란드)을 0.09초 차로 제치고 정상에 올랐다. 이로써 김보름은 일본 나가노에서 열렸던 2차 대회에 이어 시즌 월드컵 시리즈에서 두번째 금메달을 차지하며 월드컵 랭킹 점수에서도 340점을 확보, 이바니 블롱댕(캐나다, 308점)을 제치고 선두로 올라섰다. 중국 하얼빈에서 열린 1차 대회와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열린 3차 대회에서 금메달, 2차 대회에서 은메달을 차지했던 블롱댕은 8분33초59로 10위로 밀려나면서 4회 연속 메달 사냥에 실패하고 김보름에게 월드컵 랭킹 선두 자리를 내줬다. 함께 김보름과 매스스타트에 출전한 박지우(의정부여고)는 8분41초67의 기록으로 14위에 올랐다. 박지우는 3차 대회 13위에 이어 4차 대회에서도 줄곧 중위권을 유지하며 월드컵랭킹 52점으로 18위로 올라섰다.<ref>{{뉴스 인용|url=http://m.sportsq.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5576|제목=김보름 매스스타트 '동-금-동-금 행진', 이젠 당당한 평창 우승 후보|날짜=2016-12-11|언어=ko|확인날짜=2017-03-27}}</ref> 11일 열린 5000m 디비전A에서 7분17초89로 12위를 차지했다.<ref name=":24" /> 2017년 3월 12일 노르웨이 스타방에르에서 열린 월드컵 파이널 매스스타트에서 김보름은 8분45초75의 기록으로 결승선을 통과해 네덜란드의 이린 쇼우턴(8분45초69)에 단 0.06초 뒤지는 2위에 그쳤다. 3위는 이탈리아의 프란체스카 롤로브리기다(8분45초78)가 차지했다. 매스스타트 랭킹 포인트 120점을 획득한 김보름은 합계 460점으로 364점의 롤로브리기다를 여유 있게 제치고 시즌 1위 자리를 지켜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1.kr/articles/?2934262|제목=[빙속] ISU 월드컵 파이널 매스스타트 이승훈金-김보름銀|날짜=2017-03-13|뉴스=뉴스1|언어=ko|확인날짜=2017-03-31}}</ref>
         2017년 2월 9일 강릉스피드스케이팅경기장에서 열린 2017 국제빙상경기연맹 종목별스피드스케이팅세계선수권대회 3000m에서 4분03초85를 기록했다. 순위는 6위에 그쳤지만 2013년 11월 미국 솔트레이크시티에서 열린 월드컵에서 자신이 세운 한국기록(4분04초62)을 0.77초 앞당겼다. 우승은 3분59초05를 기록한 네덜란드의 이레인 뷔스트(31)가 차지했다. 이날 경기에서도 김보름의 뒷심이 발휘됐다. 첫 200m 구간을 20초45(9위)로 통과한 김보름은 레이스 중후반인 1800m 이후에도 랩타임을 줄곧 32초대로 유지하며 순위를 끌어올렷다. 메달 획득은 하지 못했지만 아시아 선수 중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donga.com/BestClick/3/all/20170210/82801694/1|제목=매스스타트 간판 김보름, 3000m서 ‘한국신 스퍼트’|날짜=2017-02-10|뉴스=동아닷컴|언어=ko|확인날짜=2017-03-29}}</ref> 10일 열린 팀추월에서는 김보름, 노선영, 박지우가 3분02초95로 5위를 차지했다.<ref name=":24" /> 12일 열린 매스스타트에서는 김보름이 출전해 8분00초97를 기록해 60점을 획득하며 우승을 차지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tv.co.kr/MYH20170213003000038/|제목=김보름 세계선수권 매스스타트 금메달 획득|날짜=2017-03-31|뉴스=연합뉴스TV: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채널 23|언어=ko|확인날짜=2017-03-31}}</ref> 레이스 동안 5위 안팎에서 벗어나지 못해 곡선 코스마다 선두 진입을 노리던 김보름은 마지막 바퀴에서 앞에서 달리던 네덜란드 선수가 일본 선수와 충돌해 넘어진 틈을 타 역전에 성공했다. 쇼트트랙 선수 출신으로 코너워크가 장점인 김보름의 장점이 발휘된 순간이었다. 자칫하면 김보름까지 휩쓸려 넘어질 수 있던 상황에서 순간적으로 인코스 진입을 시도해 선수들을 차례대로 제쳤다. 마지막 직전코스에서 1위를 달리던 일본 다카기 나나까지 따돌리며 태극기를 드높였다. 다키기는 8분00초90의 기록으로 2 번째로 결승선을 통과했고, 3위는 8분01초36을 기록한 미국 헤더 베르그스마가 차지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newspost.kr/news/articleView.html?idxno=53070|제목=뉴스포스트|언어=ko|확인날짜=2017-03-31}}</ref>
         [[분류:199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분류: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메달리스트]][[분류:2018년 동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참가 선수]][[분류:2014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참가 선수]][[분류:2018년 동계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은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동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스피드스케이팅 메달리스트]][[분류:2011년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스피드스케이팅 참가 선수]][[분류:2011년 동계 아시안 게임 스피드스케이팅 참가 선수]][[분류:201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스피드스케이팅 참가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구문성초등학교 동문]][[분류:성화중학교 (대구) 동문]][[분류:정화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한국체육대학교 동문]]
  • 김상희 (가수) . . . . 14회 일치
         | 출생지 = {{국기|일제 강점기}} [[경상도]] <br /> (現 {{국기나라|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거주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김상희'''(金相姬, 본명 : 최순강(崔順江), [[1943년]] [[3월 29일]]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ref>김상희는 예명이고, 본명은 최순강이다.</ref> [[고려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였고, [[고려대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이던 [[1961년]] 가수로 데뷔, [[1965년]]부터 활동하였다.<ref>처음 리사이틀 갖는 金相姬, 《경향신문》, 1970.1.17.</ref> [[1971년]] [[동양방송|TBC]] 가요대상, 1973년 제1회 대한민국방송가요대상 여자가수부문, [[1977년]] [[도쿄]] [[요요기 공원]]에서 열린 동경 국제 가요제에서 "즐거운 아리랑"을 부르며 특별상을 수상했다. 현재는 [[한국방송예술진흥원]]의 학장 및 [[한국교통방송]]의 DJ로 활동 중이다.
         [[분류:1943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의 배우자]][[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경주 최씨]]
  • 김선재 (아나운서) . . . . 14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국적 = 대한민국
         | 소속 =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김선재'''([[1992년]] [[5월 2일]] ~ )는 [[대한민국]]의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아나운서다.
         * [[2014년]] :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20기 공채 [[아나운서]]
         *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모닝와이드]]》 ([[월요일|월]] ~ [[토요일]])
         *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프로야구 중계석》
         *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접속애니월드]]》
         *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모닝와이드]]》,《[[SBS 12 뉴스]]》, 《SBS 취재파일 플러스》
         *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맨 인 블랙박스]]》(2016년 9월 6일 ~ 2017년 9월 10일)
         *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토요일 《[[모닝와이드]]》 1, 2부 앵커 (2016년 12월 24일 ~ 2018년 1월 13일)
         [[분류:1992년 태어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일외국어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분류: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아나운서]][[분류:SBS의 아나운서]][[분류:2015년 데뷔]]
  • 김성곤 (1913년) . . . . 14회 일치
         '''김성곤'''(金成坤, [[1913년]] [[7월 14일]] - [[1975년]] [[2월 25일]])은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으로 호는 성곡(省谷)이다.
         [[1958년]]에는 [[자유당 (대한민국)|자유당]]소속으로 달성에서 [[제4대 민의원 선거]]에서 당선되며 정계에 입문하였다. 그러나 [[4.19혁명]]으로 인해 한때 정계 은퇴하였으며 [[5.16 군사정변]]이후 다시 정계에 복귀하였다. 그 이후 [[1959년]] 국민학원(現 [[국민대학교]])를 인수하여 이사장으로 취임하였다. [[1960년]]에 [[대한유도회]] 회장에 피선되었으며 [[1962년]]에 [[쌍용양회]]를 설립한다. 그 이후 [[1963년]]에는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 당선되었으며 국회 재정경제위원장이 되었다. [[1965년]]에는 [[민주공화당]] 재정위원장, 당무위원이 되었으며 성곡언론문화재단, 성곡학술문화재단을 창립하였다. [[1967년]]에 [[쌍용제지]]를 설립하였으며, 제7대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1967년]] 김성곤은 [[길재호]], [[백남억]], [[김진만]]과 함께 [[민주공화당]] 내의 핵심인물이 된다. 그 이후 [[1971년]]에 치러진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그리고 [[1971년]] [[10월 2일]]에 야당과 동조하여 [[박정희]] 대통령의 명령을 어기고 [[오치성]] 내무부장관 해임 건의안을 통과시켰는데 이를 [[10.2 항명 파동]]이라 한다. 그 이후 김성곤은 [[10.2 항명 파동]]의 주동인물로 지목받아 경위조사를 받고, 정계를 은퇴하게 된다. 그 뒤 [[1973년]]에는 [[대한상공회의소]] 제8대 회장을 지냈으며, [[1974년]]에는 대한양회 인수, 한국신문연구소 회장 취임을 했다. 그 뒤 [[1975년]] [[2월 25일]] 사망하였으며 가족장으로 [[국민대학교]] 뒷산에 안장되었다가 [[1984년]] 강원도 평창에 이장되었고, 2014년 고향인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으로 재이장되었다.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되었다.
         [[분류:1913년 태어남]][[분류:1975년 죽음]][[분류:김해 김씨]][[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구달성초등학교 동문]][[분류:휘문고등학교 동문]][[분류:대한축구협회 회장]][[분류:대한민국의 제6대 국회의원]][[분류:대한민국의 제7대 국회의원]][[분류:대한민국의 제8대 국회의원]]
  • 김형기 (법조인) . . . . 14회 일치
         |국가 = 대한민국
         |대통령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김형기'''(金炯琪, 1929년 ~)는 대한민국 대법원 판사를 역임한 법조인이다.
         1927년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난 김형기는 [[경복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1955년 제7회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해 1960년 대구지방법원 판사에 임용되었다. 문학과 고서화에 높은 안목을 가지고 있던 김형기는 서울형사지방법원, 서울민사지방법원, 서울고등법원 등에서 부장판사를 하다가 1981년에 임명된 서울형사지방법원장에 임명되었다. 법원장으로 재직하다가 [[김중서]]의 정년 퇴임으로 공적이 된 대법원 판사에 1984년 7월 20일 [[전두환]] 대통령에 의해 임명되었다.<ref>매일경제 1984년 7월 17일자 동아일보 1984년 7월 18일자</ref>
         * 서울형사지방법원 합의7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1972년 9월 27일에 필화사건으로 기소된 동아일보 의정부 주재기자 장봉진에게 공갈죄를 적용해 징역9월 집행유예1년을 선고하면서 [[반공법]]위반에 대해서는 "송고 시간이 급박했고 오보된 기사의 정정을 위해 노력한 점으로 보아 이적 목적을 인정할 수 없다"며 무죄를 선고했다.<ref>경향신문 1972년 9월 27일자</ref> 10월 4일 폭력행위 처벌에 관한 법률과 [[도로교통법]]위반으로 기소된 영화배우 [[박노식]]에 대해 "실형을 선고해야 마땅하나 연예계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나 반공극에 공헌한 점을 참작했다"며 징역10월 집행유예2년을 선고했다.<ref>동아일보 1972년 10월 4일자</ref> 12월 21일에 북한에서 의약업자를 하다가 귀순하여 국가보건원 직원들에게 국가시험 정답지를 20만원~100만원을 주고 빼낸 피고인 20명 중에서 1명만 무죄를 선고하고 징역1년~벌금5만원을 선고했다.<ref>경향신문 1972년 12월 21일자</ref> 1973년 5월 16일에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 동대문 선거구 공화당 후보에게 사전 투표를 하여 구속된 피고인에게 징역1년6월~10월을 각각 선고했다.<ref>경향신문 1973년 5월 16일자</ref> 7월 24일에 일본에서 지내던 중에 북한 공작원에게 포섭되어 2차례 평양에서 밀봉교육을 받고 합작투자로 위장하여 국내 경제계, 군부 등에 침투하려 했던 재일교포 사와모도 산지(한국명 한삼차)에게 "사형을 선고해야 마땅하나 피고인이 일본에 귀화했고 인생의 황혼기에서 범죄사실을 모두 자백한 점 등을 참작했다"며 [[국가보안법]], [[반공법]], 간첩죄를 적용해 무기징역을 선고했다.<ref>경향신문 1973년 7월 24일자</ref><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307240020920700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3-07-24&officeId=00020&pageNo=7&printNo=15941&publishType=00020 동아일보 1973년 7월 24일자]</ref>
         * 서울고등법원 형사3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1980년 1월 19일에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때 선거 거부를 주장하다 기소된 전 서울대 학생 등 9명에게 무죄를 선고했다.<ref>경향신문 1980년 1월 19일자</ref> 2월 9일에 통혁당 재건과 정부 전복을 기도한 혐의로 구속되어 1심에서 징역15년 자격정지15년을 선고받은 [[지정관]]에게 징역7년 자격정지7년, 1심에서 실형을 선고받은 [[박현채]]와 [[양정규]]에게 각각 징역2년 자격정지2년 집행유예3년과 징역2년6월 자격정지2년6월 집행유예4년을 선고했다.<ref>경향신문 1980년 2월 9일자</ref> 2월 22일에 '옛 석굴암'이라는 상호로 공예품 판매업을 하면서 문공부 장관의 허가없이 자신의 소장품인 유형문화재 청자 등 이조 자기류 10점을 점포에 진열하거나 매매 목적으로 진열했다는 혐의로 1심에서 징역1년 집행유예2년을 선고받은 피고인에게 원심을 깨고 무죄를 선고했다.<ref>경향신문 1980년 2월 22일자</ref>
         [[분류:1937년 태어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복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대법관]][[분류:대한민국의 판사]][[분류:대한민국의 변호사]]
  • 박순석 . . . . 14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성직자, [[정치인]]이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영일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지역구]] 개편으로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영일군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대한청년당]] 김판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2년 자유당에 입당하였다. [[6.25 전쟁]] 중인 1951년 전시원호대책중앙위원회에서 피난민 구호부장으로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자유당에서 원내부총무, 경상북도당 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상대 후보의 표를 절취했다는 이유로 선거소송이 제기되어 1959년 당선 무효형을 선고받고 [[국회의원]]직을 상실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경상북도 [[참의원]] 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설상가상으로 1961년 [[3.15 부정선거]] 연루를 이유로 반민주행위자로 결정되어 공민권이 제한되고 피선거권이 상실되었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포항시 출신 인물]][[분류:목사]]
  • 양시영 (1944년) . . . . 14회 일치
         | 국가 = [[대한민국]]
         '''양시영'''(楊始榮, [[1944년]] [[1월 2일]](음.[[1943년]] [[12월 7일]]) ~ ,[[대구광역시|대구]] [[달성군|달성]])은 전직 지방자치공무원이면서,전직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성군수이다.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대한민국 제1회 지방 선거|제1회 지방 선거]]||[[달성군|대구광역시 달성군수]]||30대 (민선 1기)||[[무소속]]||{{막대|무|5|1|7}} 51.7%||23,345표||1위||[[파일:대구당선.png|25px|대구광역시 달성군수 당선]]
         |[[대한민국 제2회 지방 선거|제2회 지방 선거]]||[[달성군|대구광역시 달성군수]]||31대 (민선 2기)||[[자유민주연합]]||{{막대|자민|4|3|5}} 43.5%||21,371표||2위||낙선
         |[[대한민국 제4회 지방 선거|제4회 지방 선거]]||[[달성군|대구광역시 달성군수]]||33대 (민선 4기)||[[무소속]]||{{막대|무|1|3|1}} 13.1%||8,233표||3위||낙선
         [[분류:194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영남대학교 동문]][[분류:자유민주연합 당원]][[분류: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에릭 (가수) . . . . 14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에릭'''({{본명|문정혁}}, [[1979년]] [[2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이며, [[보이 그룹]] [[신화 (음악 그룹)|신화]]의 멤버이다.
         [[분류:신화의 일원]][[분류:1998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힙합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래퍼]][[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래퍼]][[분류:대한민국의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동국대학교 동문]][[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신화컴퍼니 소속]][[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이강덕 . . . . 14회 일치
         ||<bgcolor=#C9151E> '''{{{#FFFFFF 약력}}}''' ||<(> 제12대 해양경찰청장[br]서울지방경찰청장[br]경기지방경찰청장[br]청와대 대통령실 치안비서관[br]부산지방경찰청장 ||
         [[대한민국]]의 [[경찰공무원]] 출신 [[정치인]]이다. 현재 [[자유한국당]] 소속 포항시장이다.
         경찰대학 졸업 이후 [[대한민국 경찰청]] 소속 경찰공무원으로 근무하였다. 포항남부경찰서장, 구미경찰서장, 서울남대문[[경찰서장]], [[청와대]] [[대통령비서실|대통령실]] 치안비서관, 부산[[지방경찰청장]], 경기지방경찰청장, 서울지방경찰청장, [[해양경찰청장]] 등을 지냈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포항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자유한국당]] 후보로 포항시장 선거에 출마하였다 여론조사 상으로는 5% 안팎의 치열한 접전이 예상되었고, 실제로도 불과 7.7% 차이로 재선에 성공하였다.
         == 선거 이력 ==
         ||<tablealign=center><rowbgcolor=#C9151E>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14 || [[제6회 지방선거]] (경북 포항시장) || [[새누리당]] || '''141,154 (66.75%)''' || '''당선(1위)''' || '''초선''' ||
         || 2018 || [[제7회 지방선거]] (경북 포항시장) || [[자유한국당]] || '''127,592 (50.1%)''' || '''당선(1위)''' || '''재선''' ||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포항시 출신 인물]][[분류:경찰공무원]][[분류:1962년 출생]]
  • 이상오 . . . . 14회 일치
          | 사망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대구]]
         '''이상오'''(李相旿, [[1905년]] [[11월 6일]] ~ [[1969년]] [[12월 15일]])는 [[대한민국]]의 [[사냥|수렵가]], [[작가|문필가]], 저술가, [[사격|사격인]], [[바둑|바둑인]]이다.
         [[대구광역시|대구]] 출생이며 독립운동가 [[이상정 (1897년)|이상정]](李相定), 시인 [[이상화 (시인)|이상화]](李相和), 사학자 [[이상백 (사학자)|이상백]](李相佰)의 아우인 그는 [[국가재건최고회의]] 혁명검찰부장을 지낸 대한민국 육군 준장 출신이자 [[자유월보사]] 사장을 지낸 [[박창암]](朴蒼巖)의 장인이기도 하다.
         [[분류:1905년 태어남]][[분류:1969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분류:대한민국의 작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저술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작가]]
         [[분류:일제 강점기의 스포츠 평론가]][[분류:경주 이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김구]][[분류:한국독립당]][[분류:염상섭]][[분류:이범석 (1900년)]][[분류:박헌영]][[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과학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군사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정치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시사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역사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스포츠 평론가]][[분류:유교 신자]][[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륜고등학교 동문]][[분류:호세이 대학 동문]]
  • 정링컨 . . . . 14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정링컨'''({{본명|링컨 폴 램버트}} - <small>(Lincoln Paul Lambert)</small>, [[2007년]] [[10월 1일]] ~ )은 [[미국 시민권]]의 아버지와 [[대한민국]] [[국적]]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미국]]계와 한국계 [[혼혈|혼혈인]] 아역 [[연기자]]이다.
         2011년 [[tvN]] 《[[리얼키즈 스토리 레인보우]]》에서 첫 데뷔한 그는 [[대한민국]] [[국적]]과 [[터키]] [[시민권]]을 소지, 즉 [[이중 국적]]을 소지하였다.
         [[분류:2007년 태어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11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모델]][[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미국 사람|램버트, 링컨]][[분류:21세기 터키 사람|람베르트, 파울]][[분류:미국의 남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어린이 배우]][[분류:한양초등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미국의 침례교도]][[분류:미국계 터키인]][[분류:한국계 터키인]][[분류:미국계 한국인]][[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캐나다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터키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뉴질랜드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브루나이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대한민국의 침례교도]]
  • 허준영 . . . . 14회 일치
         '''허준영'''(許准榮, [[1952년]] [[10월 23일]] ~ )은 대한민국의 제12대 [[경찰청장]]을 역임한 공무원으로 제4대 [[한국철도공사]] 사장을 역임하였다. 본관은 [[김해 허씨|김해]]이며, [[대구광역시|대구]] 출신이다.
         * 2003.2 ~ 2004.1 :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실 치안비서관
         * 2015.02~ 2016.2 : [[한국자유총연맹]] 중앙회장<ref> {{뉴스 인용|url=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2/26/2016022600239.html|저자=곽래건|제목=자유총연맹 회장선거… 親朴 김경재, 허준영 꺾었다|출판사=조선일보|날짜=2016-02-26|확인날짜=2016-03-16}} </ref>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대한민국 제19대 총선|제19대 총선]]||[[서울 노원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서울 노원구 병)]]||19대||[[새누리당]]||{{막대|새|3|9|6|2}} 39.62%||36,201표||2위||낙선
         |[[2013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4·24 재보궐선거]]||[[서울 노원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서울 노원구 병)]]||19대||[[새누리당]]||{{막대|새|3|2|7|8}} 32.78%||23,090표||2위||낙선
         |직책 = [[대한민국의 경찰청장|경찰청장]]
         [[분류:195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김해 허씨]][[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5급 국가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외교관]][[분류:건국대학교 교수]][[분류:경찰대학 교수]][[분류:홍익대학교 교수]][[분류:단국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경찰청장]][[분류:대한민국의 공공기관장]][[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자유한국당 당원]][[분류:홍준표]][[분류:명지대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동문]]
  • 홍서범 . . . . 14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김천시]] 대광동 (김천시) (환경로)
         '''홍서범'''(洪瑞範, [[1958년]] [[12월 7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그의 현재이다.
         [[분류:195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김천시 출신]][[분류:1980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싱어송라이터]][[분류:대한민국의 록 가수]][[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비디오 자키]][[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남양 홍씨 (당홍)]]
  • 김성곤 . . . . 13회 일치
         [[쌍용그룹]]의 창업주이자 4, 6, 7, 8대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이다. 호는 성곡(省谷)이다. [[김해 김씨]](金海 金氏) 삼현파(三賢派)로 잘 알려져 있다.
         박정희의 친위대를 자처하면서 3선개헌에 회의적이던 김종필계와 대다수 공화당 인사들을 강하게 압박해서 [[3선 개헌]]을 성사시켰다.[* 3선개헌이 처음 불거졌을때 김종필을 선두로 해서 대다수 공화당 정치인들은 이를 반대했다. 장기집권한 이승만의 최후를 봤기 때문이다. 하지만 1969년부터 [[김형욱]] 중앙정보부장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공화당 국회의원들을 회유, 협박해서 결국 모두 찬성으로 돌려놨다. 당내에 막강한 독자계보를 가지고 있던 김종필을 압박하는데 선봉에 선게 김성곤, [[김진만(정치인)|김진만]], [[백남억]], [[길재호]] 4인방][* 한때 60명이 넘던 공화당내 개헌반대파 국회의원은 결국 3명 [[정구영]], [[예춘호]], [[이만섭]]만이 남았고, 결국 정구영-강제 정계은퇴, 예춘호-제명, 이만섭-낙선으로 모두 숙청되었다. 예춘호는 야당으로 넘어가서 1980년대 [[재야]] 민주화 운동에 투신했고, 이만섭은 야인으로 지내다가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다시 당선되었다. 그리고 [[전두환]]의 집권 이후 [[한국국민당(1981년)|한국국민당]] 총재로 재기했다.] 이 과정에서 [[김진만(정치인)|김진만]], [[백남억]], [[길재호]]와 함께 소위 4인체제로 박정희를 대리해서 공화당을 관리하였다. 특히 [[재벌]]에게 해외차관과 정부발주공사의 10%를 무조건 자신을 통해서 상납하게 하면서 ~~[[뇌물]]의 제도화~~ 정권의 정치자금 창구를 단일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치권과 재벌, 언론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이는 그가 [[쌍용그룹]] 회장(재벌총수), 동양통신 사장(언론인)이면서 공화당 재정위원장(정치인)이자 박정희의 최측근이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 선거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tablealign=center>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58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 [[자유당]] || - || '''당선''' || ||
         || 1963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 || - || '''당선''' || ||
         || 1967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 || - || '''당선''' || ||
         || 1971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 || - || '''당선''' || ||
         [[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달성군 출신 인물]] [[분류:1913년 출생]] [[분류:1975년 사망]]
  • 박경호 (1949년) . . . . 13회 일치
         | 국가 = [[대한민국]]
         '''박경호'''(朴慶鎬, [[1949년]] [[12월 1일]] [[달성군]] [[화원읍]] ~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전직 대구 달성군수이며 현재는 [[새누리당]](옛 한나라당) 대구시당 대외협력위원장직을 맡고 있다.
         * 1997년:대통령 표창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대한민국 제2회 지방 선거|제2회 지방 선거]]||[[달성군|대구광역시 달성군수]]||31대 (민선 2기)||[[한나라당]]||{{막대|한|4|6|3|1}} 46.31%||23,685표||1위||[[파일:대구당선.png|25px|대구광역시 달성군수 당선]]
         |[[대한민국 제3회 지방 선거|제3회 지방 선거]]||[[달성군|대구광역시 달성군수]]||32대 (민선 3기)||[[한나라당]]||{{막대|한|7|6|8|3}} 76.83%||41,039표||1위||[[파일:대구당선.png|25px|대구광역시 달성군수 당선]]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구화원초등학교 동문]][[분류:달성중학교 동문]][[분류:영남대학교 동문]][[분류:한나라당의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지방의회의원]][[분류: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 박보생 . . . . 13회 일치
         [[대한민국]]의 [[공무원]] 출신 [[정치인]]이다. 전직 [[경상북도]] [[김천시]]장으로 당적은 [[자유한국당]]이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상북도 김천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상북도 김천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경상북도 김천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 선거이력 ==
         ||<tablealign=center><rowbgcolor=#C9151E>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6 || [[제4회 지방선거]] (경북 김천시장) || [[한나라당]] || '''36,031 (50.09%)''' || '''당선''' || ||
         || 2010 || [[제5회 지방선거]] (경북 김천시장) || [[한나라당]] || '''46,220 (69.78%)''' || '''당선''' || ||
         || 2014 || [[제6회 지방선거]] (경북 김천시장) || [[새누리당]] || '''46,598 (68.37%)''' || '''당선''' || ||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봉준호 . . . . 13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봉준호'''([[1969년]] [[9월 14일]] ~ )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영화감독]], [[영화 각본|각본가]]이다.<ref>[http://www.cine21.com/do/person/detailView?person_id=3778 씨네21 프로필]</ref><ref>[http://movie.naver.com/movie/bi/pi/basic.nhn?code=9479 네이버영화 프로필]</ref>
         * [[2013년]] 제13회 [[대한민국청소년영화제]] 감독상
         * [[2010년]] 제10회 [[대한민국청소년영화제]] 감독상
         * [[2009년]] 제5회 [[대한민국 대학영화제]] 감독상
         * [[2006년]] 제5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최우수작품상, 감독상
         * [[2006년]] 제2회 [[대한민국 대학영화제]] 감독상
         * [[2003년]] 제2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감독상, 각본상, 작품상
         {{대한민국 영화대상 감독}}
         [[분류:진보신당 당원]][[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각본가]][[분류:대한민국의 뮤직 비디오 감독]][[분류:한국영화아카데미 동문]]
  • 손담비 . . . . 13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죽도동 (죽도시장2길)
         '''손담비'''(孫淡妃<ref>이해리 기자, "[http://www.cbs.co.kr/Nocut/Show.asp?IDX=553460 손담비, '올해 목표? 무릎팍 도사 출연!']", 《노컷뉴스》, 2007년 6월 30일 작성</ref>, [[1983년]] [[9월 25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이다.
         손담비는 가수와 배우로 활동하면서 많은 상을 받았다. [[서울가요대상]]에서는 2009년,<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서울가요대상 본상 수상 ‘미쳤어’ 열풍 과시|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902121717531002|출판사=뉴스엔|저자=지형준|날짜=2009-02-12|확인날짜=2014-05-15}}</ref> 2010년,<ref>{{뉴스 인용|제목=아이돌, 그들을 위한 잔치! 서울가요대상 이변은 없었다(종합)|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002032026191002|출판사=뉴스엔|저자=이언혁|날짜=2010-02-03|확인날짜=2014-05-15}}</ref> 2011년에 이은 3년 연속으로 본상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3년 연속 본상 수상… “내겐 너무 특별한 상”|url=http://sstv.hankyung.com/?c=news&m=v&nid=98214|출판사=뉴스엔|저자=양나래|날짜=2011-01-20|확인날짜=2014-05-15|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40517130014/http://sstv.hankyung.com/?c=news&m=v&nid=98214#|보존날짜=2014-05-17|깨진링크=예}}</ref> 2009년에는 제24회 [[골든디스크상]]에서 디지털음원부문 본상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골든디스크 본상’ 손담비 “이렇게 큰 무대에서 큰 상을 받다니…”|url=http://bntnews.hankyung.com/apps/news?popup=0&nid=04&c1=04&c2=04&c3=00&nkey=200912102051543&mode=sub_view|출판사=한경닷컴 bnt뉴스|저자=박영주|날짜=2009-12-10|확인날짜=2014-05-15}}</ref> 2009 [[SBS 연기대상]]에서는 《[[드림 (드라마)|드림]]》으로 뉴스타상을 받았으며,<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김범-이민정 등 12명, SBS 연기대상 뉴스타상|url=http://osen.mt.co.kr/article/G0912310257|출판사=OSEN|저자=봉준영|날짜=2009-12-31|확인날짜=2014-05-15}}</ref> 2012년에는 《빛과 그림자》로 [[MBC 연기대상]] 특별기획 우수상,<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MBC 연기대상 ‘우수상’ 수상, “숟가락 얹은 것 뿐”|url=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136379|출판사=뉴데일리|저자=신성아|날짜=2012-12-31|확인날짜=2014-05-15}}</ref> [[대한민국 문화연예대상]] 신인상을 받았다.<ref>{{뉴스 인용|제목=손담비,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신인상 수상...인증샷 공개|url=http://osen.mt.co.kr/article/G1109511163|출판사=OSEN|저자=정유진|날짜=2012-12-06|확인날짜=2014-05-15}}</ref> 배우, 가수 이외에도 예능 프로그램 《[[우리 결혼했어요]]》를 통해 2008 [[MBC 방송연예대상]]에서 특별상 베스트 브랜드상을 받았다.<ref name="2008MBC">{{웹 인용|url=http://www.imbc.com/broad/tv/ent/event/2008entertain/awards/|제목=2008 MBC 방송연예대상 수상자 목록|출판사=[[MBC]]|웹사이트=[[MBC 방송연예대상]]|확인날짜=2011-02-16}}</ref>
         [[분류:손담비]][[분류:1983년 태어남]][[분류:밀양 손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키이스트 소속]][[분류:골든디스크 본상 수상 음악가]][[분류:하이원 서울가요대상 본상 수상 음악가]][[분류:SBS 인기가요 뮤티즌송 수상자]][[분류:KBS 뮤직뱅크 1위 수상자]][[분류:Mnet 엠카운트다운 1위 수상자]][[분류:2010년대 가수]][[분류:2000년대 가수]][[분류:2007년 데뷔]][[분류:한국어 가수]][[분류:포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팝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댄스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비디오 자키]][[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오재희 . . . . 13회 일치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경력 = 제25대 [[대한민국 외무부|외무부]] 차관
         '''오재희'''(吳在熙, 1932년 ~ )는 대한민국의 제25대 [[대한민국 외무부|외무부]] 차관을 역임한 외교관이다. 본관은 [[해주 오씨|해주]]이며, [[대구광역시]] 출신이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외무고시에 합격한 뒤, 주미·주일 공사, 주 파키스탄 대사,<ref>{{뉴스 인용 |url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311070009920101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3-11-07&officeId=00009&pageNo=1&printNo=5439&publishType=00020 | 제목 = 韓國, 파키스탄과 修交 | 날짜 = 1983-11-07 | 출판사 = 매일경제신문 | 인용문 = 政府는 7일 파키스탄 정부와 공식외교관계를 수립했다고 외무부가 발표했다. 外務部는 이날 발표에서 韓․파키스탄 국교수립으로 양국 주재 총영사관이 각각 대사관으로 승격되고 양국 주재 대사 임명에 앞선 잠정조치로서 吳在熙 駐파키스탄총영사와 자베드․마수드 駐韓파키스탄 총영사가 각각 대사대리로 임명됐다고 밝혔다. "}}</ref> [[대한민국의 외교통상부 차관|외무부 차관]], 주일 대사를 역임하였다.
         1991년 2월 19일, [[노태우 정부]]에 의해 주일 대사에 임명되었다. 오재희 대사의 기용은 그의 직업외교관 경력으로 미루어 자연스런 인사로 볼 수도 있지만 그가 [[노태우]] 대통령과 [[경북고등학교]] 동기동창이고 [[노재봉]] 총리의 매형, [[이상옥]] [[대한민국의 외교통상부 장관|외무부 장관]]과는 대학 동기 사이라는 학연, 혈연에 주목하는 시각도 있었다. 성격이 꼼꼼하고 일처리가 치밀하며 빈틈없어 부하 직원들로부터 오검사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외무고시]] 출신으로 첫 주일 대사이다.<ref>{{뉴스 인용 |url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21900329201007&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91-02-19&officeId=00032&pageNo=1&printNo=13971&publishType=00020 | 제목 =大使7명 이동 | 날짜 = 1991-02-19 | 출판사 = 경향신문}}</ref>
         |직책 = [[대한민국 외무부|외무부 차관]]
         |직책 =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주 일본 대사]]
         [[분류:193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해주 오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분류:컬럼비아 대학교 동문]][[분류:일본 주재 대한민국 공사]][[분류:대한민국의 외무부 차관]][[분류:일본 주재 대한민국 대사]][[분류:파키스탄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왝더독/줄거리 . . . . 13회 일치
         영화의 시작은 선거 홍보 영상으로 시작된다. 승마장에서 남자 두 명이 다음에는 대화하다가 "달리는 중에는 말을 바꾸지 않는다"라는 말을 한다.그러고는 현직 대통령의 재선을 주장하는 문구가 나오는 영상. 이 영상은 여러 버전이 있는데, 나올 때마다 등장인물들에게 구리다고 까인다.
         대통령 선거 2주일 전 밤, 콘래드 브린(로버트 드 니로)이라는 남자가 [[백악관]]에 찾아온다. 백악관을 방문했던 "반딧불 소녀단"의 단원 중 하나가 대통령과 단 둘이 방에 들어갔다 나왔다. 이후 그 소녀는 대통령이 자신을 성희롱했다고 주장했다. 브린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백악관을 방문한 것. 그는 시간을 끌기 위해 당시 [[중국]]을 방문 중이던 대통령이 희귀병에 걸린걸로 위장해 귀국을 지연시킨다.
         다음날, 대통령이 병에 걸려 귀국이 지연되었다는 뉴스와 반딧불 소녀단 단원이 대통령의 성희롱을 고발했다는 뉴스가 연이어 방송된다. 브린은 이 사건을 덮기 위해 [[알바니아]]와 [[전쟁]]이 난 것 처럼 꾸미기로 결심한다. 그는 이를 위해 [[헐리우드]] [[영화 제작자]]인 스탠리 모스(더스틴 호프만)를 찾아간다.
         모스는 알바니아에 위치한 [[이슬람]] 테러조직이 [[핵무기]]를 숨기고 있고, [[캐나다]] 국경에서 음모를 꾸미고 있다는 각본을 짜낸다. 그리고는 이 일을 돕기 위해 동료 예술가인 패드 킹(데니스 리어리), 조니 딘(윌리 넬슨)을 부른다. 국민들을 속이기 위해 알바니아 소녀가 고양이를 안고 도망치는 영상[* 소녀는 섭외한 배우. 고양이와 배경은 [[컴퓨터 그래픽|CG]].]도 찍어 뉴스에 올리고, 미국에 사는 알바니아인들이 대통령에게 감사를 표하는 생방송 뉴스를 조작해낸다. 이 와중에 전쟁이 없다는걸 눈치챈 [[CIA]]에게 잡혀가기도 하지만 브린의 현란한 말빨로 풀려난다.
         선거 직전, 일행은 "알바니아의 숲 속에서 찾아낸" 슈만 상사의 귀환식을 열기 위해 군대에서 슈만 상사를 인수받는다. 슈만 상사는 [[수녀]]를 [[강간]]하는 등의 범죄를 저질러 육군 교도소에 수감된 정신 이상자였다. 귀환식 시간에 맞추기 위해 악천후를 뚫고 비행하던 비행기는 슈만의 난동으로 추락하고, 일행은 멕시코인 [[불법체류자]]가 모는 콤바인을 타고 귀환식장으로 향한다. 이 와중에 슈만은 중간에 들른 상점 주인의 딸을 강간하려다 상점 주인의 [[총기|총]]에 맞아 죽는다.
         어찌어찌 귀환식장에 도착한 일행. 슈만의 영결식을 진행하는 동안 브린과 모스는 TV를 본다. TV에서는 대통령의 지지율이 80%대까지 올라갔다는 내용의 방송을 하며 그 공을 홍보 영상에게 돌린다. 모스는 자신의 업적을 병신같은 홍보 영상 따위에 빼앗긴 것에 분노, 사실을 폭로하겠다며 브린과 말싸움을 하다 자리를 떠난다. 이후 요원들이 모스를 차에 태워 어디론가 데려간다.
         대통령이 반딧불 소녀단 단원을 성희롱한게 사실인지의 여부는 영화 끝날 때 까지 안 나온다.
  • 윤석용 . . . . 13회 일치
         |출생지=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시 (현 [[대구광역시]])
         |국적= 대한민국
         '''윤석용'''(尹碩鎔, [[1951년]] [[11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전직(18대) 국회의원([[새누리당]] 서울 강동구 을)이자 한의사이다.<ref>{{웹 인용|제목= 대한민국 대표 인명록 - 한국의 인물
         [[2012년]] [[2월 14일]] 자신이 회장으로 있는 대한장애인체육회가 후원받은 8275만원 상당의 옥매트 250개를 횡령해 지역 복지단체와 동료의원 사무실 등에 임의로 전달한 혐의, 자신의 지역구(서울 강동을) 선거구민과 연관된 단체에 축구공 100개와 30여만원 상당의 김ㆍ빵을 기부해 [[공직선거법]]을 위반한 혐의, 2011년 8월 [[서울시 무상급식 주민투표]]를 앞두고 장애인체육회 직원 20여명을 동원해 단계적 무상급식을 찬성하는 내용의 투표 운동을 시켜 주민투표법을 위반한 혐의로 검찰에 의해 불구속 기소되었으며, 횡령혐의는 무죄, 나머지 혐의에 대해서는 벌금형을 선고받고 확정되었다.<ref>{{웹 인용|제목=옥매트 횡령 윤석용 의원 불구속 기소(종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5512434.html|저자=[[연합뉴스]]|확인날짜=2012-02-14}}</ref>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대한민국 제17대 총선|제17대 총선]]||[[서울 강동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서울 강동구 을)]]||17대||[[한나라당]]||{{막대|한|3|8|8|4}} 38.84%||40,465표||2위||낙선
         |[[대한민국 제18대 총선|제18대 총선]]||[[서울 강동구의 국회의원|국회의원(서울 강동구 을)]]||18대|| [[한나라당]] ||{{막대|한|5|4|5|0}} 54.50%||41,652표||1위||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thumb/d/dd/%EA%B5%AD%ED%9A%8C%EC%9D%98%EC%9B%90%EB%8B%B9%EC%84%A0.png/25px-%EA%B5%AD%ED%9A%8C%EC%9D%98%EC%9B%90%EB%8B%B9%EC%84%A0.png
         [[분류:대한민국의 한의사]][[분류:195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한나라당의 정치인]][[분류:대구종로초등학교 동문]][[분류:계성중학교 (대구) 동문]][[분류:계성고등학교 (대구) 동문]][[분류:경희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지체 장애인]]
  • 이광훈 (축구선수) . . . . 13회 일치
         |출생지=[[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0]]
         '''이광훈'''([[1993년]] [[11월 26일]] ~ )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현재 [[K3리그]] [[청주 시티 FC]] 소속이다. 남동생은 현재 [[포항 스틸러스]]에서 뛰고 있는 [[이광혁]]이다.
         [[2012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대한민국의 8년 만의 대회 우승을 이끌었고, 특히 이란과의 8강전에서는 결승골을 성공시켜 한국의 4:1 승리에 기여하였다.<ref>{{뉴스 인용 |제목=(AFC U-19챔피언십)한국, 이란 꺾고 4강 진출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a_match&ctg=news&mod=read&office_id=003&article_id=0004822065 |출판사=뉴시스 |date={{날짜한글화|2012-11-12}} }}</ref> [[2013년 FIFA U-20 월드컵]]에 참가하여 대한민국의 8강 진출에 기여하였으며, 이라크와의 8강전에서는 후반 5분 동점골을 성공시켰고, 승부차기에서 마지막 키커로 나왔으나 실축해 한국의 4강 진출이 실패되었다 .<ref>{{뉴스 인용 |제목=(U-20 월드컵) 빛나는 용병술, 이광훈 천금 동점골...현재 2-2 |url=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a_match&ctg=news&mod=read&office_id=139&article_id=0002001848 |출판사=스포탈코리아 |date={{날짜한글화|2013-07-08}} }}</ref>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
         ==== {{국기그림|대한민국}} [[포항 스틸러스]] ====
         * [[FA컵 (대한민국)|FA컵]]
         {{2013년 FIFA U-20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분류:199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축구 공격수]][[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포항 스틸러스의 축구 선수]][[분류:대전 시티즌의 축구 선수]][[분류:수원 FC의 축구 선수]][[분류:강릉시청 축구단의 축구 선수]][[분류:청주 시티 FC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1의 축구 선수]][[분류:내셔널리그의 축구 선수]][[분류:K3리그의 축구 선수]][[분류:포항제철중학교 동문]][[분류:포항제철고등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2013년 FIFA U-20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 이영훈 (경제학자) . . . . 13회 일치
         '''이영훈'''(李榮薰, [[1951년]] [[9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다. [[대구광역시|대구]]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조선후기 토지소유와 농업경영'이란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안병직]] 교수의 수제자로, 뉴라이트 진영에서 [[식민지 근대화론]]을 이끌며 여러 논란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한신대학교 등에 강사로 출강했었고 낙성대경제연구소 소장 및 다산학술문화재단 이사, 경제사학회 연구이사를 역임하였으며, [[성균관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 후 2017년 2월 28일 정년 퇴임했다<ref>{{뉴스 인용|url=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2/28/0200000000AKR20170228081000004.HTML?input=1195m|제목=서울대 교수정년식…'식민지근대화론' 이영훈 등 28명 퇴임|성=이재영|날짜=2017-02-28|뉴스=연합뉴스|언어=ko-KR|확인날짜=2017-03-26}}</ref>. 현재는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다.<ref>{{웹 인용|url=http://pub.chosun.com/client/news/viw.asp?cate=C01&mcate=M1002&nNewsNumb=20170324115&nidx=24116|제목=이영훈 서울대 명예교수, “자본주의 맹아론은 대한민국 부정으로 이어지는 주장”|언어=ko|확인날짜=2017-04-13}}</ref>
         그의 저서 《대한민국 이야기》와 여러 논문에서 이영훈은 무력이 아니라 법과 무역을 통해 전개된 식민지적 수탈을 논하였다. 대한민국 이야기에서 이영훈은 정신대와 종군위안부의 차이점을 명확히 밝히고, 위안부는 강제 징집된 것은 아니나 배후에 일본군과 조선총독부가 있었음을 주장하고 있다.
         [[2007년]] [[5월 25일]] 《해방전후사의 재인식》의 내용이 난해하다는 지적에 따라 이를 쉽게 풀어 쓴 《대한민국 이야기》를 출간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1651421 쉽게 풀어쓴 해방전후사의 재인식] 뉴데일리</ref>
         2013년 그가 저술한 《대한민국 역사》(도서출판 기파랑)으로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주관하는 시장경제대상 저술부문 대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 [[대한민국 이야기]](2007, [[도서출판 기파랑]])
         * [[대한민국 역사의 기로에 서다]](공저, 2007, [[도서출판 기파랑]])
         * 대한민국 역사(2013, [[도서출판 기파랑]])
         [[분류:195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경제학자]][[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강사]][[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서울대학교 상과대학 동문]][[분류:식민지근대화론]][[분류:대한민국의 뉴라이트]]
  • 이예린 (1974년) . . . . 13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국적일 경우 표시하지 않음.-->
         '''이예린'''({{본명|이진숙}}, [[1974년]] [[4월 19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 겸 뮤지컬배우 이다. 대표곡 "포플러 나무 아래"가 있다.
         * [[1996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우리는 여고동창》
         * [[1997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굿 나이트쇼》
         * [[1997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이주일의 코미디쇼》
         * [[2011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강심장]]》
         * [[2013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도전 1000곡]]》
         [[분류:1974년 태어남]][[분류:1994년 데뷔]][[분류:한국어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댄스 음악가]][[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팝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명지대학교 동문]][[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
  • 이중환(법조인) . . . . 13회 일치
         대한민국의 [[검사(법조인)|검사]] 출신 [[변호사]]이다.
         == [[박근혜 대통령 탄핵 심판]] 대표 대리인 ==
         2016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 심판]]의 대통령 대리인단에 합류하였으며 대리인단의 대변인이자 대표 대리인 역할을 맡았다. 탄핵 심판 초반에는 대리인단의 대변인으로서 언론에 박근혜쪽 입장을 대변하는 인터뷰와 브리핑을 전담했기 때문에 국민들에게 밉상으로 찍혀서 욕을 많이 먹었다. 하지만 탄핵 심판 중반부터 대리인단의 일부 [[서석구|변]][[김평우|호]][[조원룡|사]]들이 막말 변론을 해대고 탄핵에 반대하는 [[친박집회]]에 나가 헌재를 마구 비난하는 등의 추한 모습을 보이는 바람에 상대적으로 무난했던 이중환 변호사는 대중들의 관심사에서 멀어졌다.
         탄핵이 결국 인용되어 대통령이 파면된 후에 나름 이중환 변호사의 고충이 상당히 컸다는 것이 알려졌다. 일단 대리인단은 탄핵심판 내내 의뢰인 박근혜와 거의 만나지 못했으며 의뢰인의 입장도 제대로 전달받지 못했던 탓에 변론의 방향 설정에 어려움이 매우 컸다고 한다. 대리인단이 헌법 재판관들의 질문에 제대로 답변하지 못하고 증인 신문도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한 것이 단지 대리인단의 무능 때문만은 아니었던 것이다. 게다가 이런 중요한 사건을 맡았는데도 수임료를 거의 받지 못했다고 한다. 통상적으로 이 정도 사건의 경우 [[http://www.huffingtonpost.kr/2017/04/03/story_n_15772380.html|수임료가 2억 이상이 되어야 하는데]], 기사에서 보듯이 대리인단은 사실상 무료 변론을 했다.
         비록 국민 정서에 반하는 변호를 맡았던 탓에 욕을 많이 먹기는 했지만 대리인단의 일부 변호사들처럼 법조인으로서의 기본적인 품격을 잃지는 않았고 소통이 전혀 안되고 돈도 안주는 의뢰인 때문에 고생을 많이 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나름 동정표를 받고 있다.[* 대한민국은 법치국가이기 때문에 박근혜같은 중범죄자도 자기 입장을 말할 권리와 변호를 받을 권리가 있다. 왜 하필 저런 사람을 변호하느냐는 비판은 가능하지만 어차피 변호사 자격증을 가진 누군가가 이 일을 맡았어야 한다는 것은 상기하자.][* 물론 '변호사 전원 퇴진'이라는 카드를 보여주며 재판을 지연시키려 했다는 비판이 있긴 하지만 그건 그래도 '법조인'으로써 할수 있는 선에서의 카드였고 결국 이 카드를 쓰지는 않았다. 후에 박근혜 재판의 대리인을 맡은 [[유영하]] 변호사가 변호인 전원퇴진을 진짜로 강행하여 재판을 지연시켜버리며 욕을 바가지로 먹고 있는것을 보면 여러모로 대조적인 부분.]
          * 2016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 심판]] 대리인 ~~흑역사~~
         || [[대한민국 정부|정부]] 관계자 ||<#ddd> [[청와대]] || __[[안종범]]__ · [[현기환]] · [[김한수(정치인)|김한수]][br] [[김상률]] · [[조원동]] [br] [[윤전추]] · [[이영선]] · ^^故^^[[김영한(공무원)|김영한]] ||<#ddd> [[대한민국 정부|행정부]] || __[[황교안]]__ · __[[문형표]]__ · [[김종덕]] · __[[조윤선]]__[br]__[[김종]]__ · [[송성각]] · ''[[유진룡]]'' · ''[[여명숙]]'' ||
         || 국정원·국군·경찰 ||<#ddd> [[국가정보원|국정원]]·[[대한민국 국군|국군]] || [[추명호]] · [[조현천]] ||<#ddd> [[경찰]] || ^^故^^''[[최경락]]'' · ''[[박관천]]'' ||
         ||<-6> [[박근혜정부]] · [[새누리당]] · [[친박]] · [[미르재단]] · [[K스포츠재단]] · [[더블루K]] · [[비덱]] · [[한국동계스포츠영재센터]] · [[팔선녀(단체)|팔선녀]] ·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 [[삼성그룹/비판 및 문제점#s-10|삼성그룹]]([[삼성전자 승마단]]) · [[국민연금공단]] · [[이화여자대학교/사건사고|이화여자대학교]] · [[영세교]] · [[알자회]] · [[고령향우회]] · [[통일교]] · [[일베저장소]] · [[대한민국어버이연합|어버이연합]] · [[대한민국 엄마 부대|엄마부대]] · [[박사모]] · [[아프리카TV/사건사고#s-1.10|아프리카 TV]] · [[주식갤러리#s-2.5|주식갤러리]] · [[JTBC]] · [[회오리축구단]] · [[워마드]] ||
         [[분류:박근혜-최순실 게이트/관련 인물 및 단체]][[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 [[분류:1959년 출생]] [[분류:구미시 출신 인물]]
  • 장대환 . . . . 13회 일치
         '''장대환'''(張大煥, [[1952년]] [[3월 21일]] ~ )은 [[매일경제]]와 [[매경미디어그룹]] 대표이사 회장을 맡고 있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이다. 본관은 [[흥덕 장씨|흥덕]].
         [[로체스터 대학교]]에서 1973년 정치학으로 학사를 받았으며 1987년 [[뉴욕 대학교]]에서 국제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예비역 대한민국 공군 대위이다.
         1988년 매일경제신문 사장 겸 발행인이 되었다. 2002년 [[김대중]] 대통령 시절 국무총리 서리로 임명되었으나 국회 인준을 받지 못하였다.<ref>{{뉴스 인용|url=http://www.chosun.com/svc/content_view/content_view.html?contid=2002080970403|제목=<nowiki>[張大煥서리 임명]</nowiki> 50세 總理… 평균59세 長官들|확인날짜=2015-10-10|날짜=2002-08-09|출판사=[[조선일보]]|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50923224243/http://www.chosun.com/svc/content_view/content_view.html?contid=2002080970403|보존날짜=2015-09-23|깨진링크=예}}</ref><ref>{{뉴스 인용|url=http://www.hani.co.kr/section-003000000/2002/08/003000000200208281839318.html|제목= "'실정법 위반' 명쾌하게 해명못해"|확인날짜=2007-10-28|날짜=2002-08-28|출판사=[[한겨레]]}}
         * 1997년 11월 : 김영삼 대통령 비상경제대책자문위원회 위원
         * 2002년 8월 : 대한민국 국무총리 서리
         * 2009년 3월 ~ : 국립대한민국관 건립위원회 위원
         |직책 = [[대한민국의 국무총리|국무총리 서리]]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분류:195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흥덕 장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매경 미디어 그룹]][[분류:경기고등학교 동문]][[분류:로체스터 대학교 동문]][[분류:조지 워싱턴 대학교 동문]][[분류:뉴욕 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언론인]][[분류:김대중 정부]][[분류:대한민국 공군 대위]][[분류:서울대학교 교수]][[분류:연세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
  • 장우혁 . . . . 13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구미시]]
         '''장우혁'''(張祐赫,[[1978년]] [[5월 8일]] ~ )은 [[대한민국]] [[보이 그룹]] [[H.O.T.]]의 멤버이다.[[H.O.T.]]의 멤버로써 활동하다가, 해체 이후 [[jtL]]을 거쳐 솔로 활동 중이며, WH CREATIVE 대표, 댄스스쿨 뉴웨스트를 운영하고 있다. [[2005년]] 9월에 솔로 1집 《No More Drama》를 발표했으며, 대표 곡으로 '지지 않는 태양', 'Flip Reverse', '폭풍 속으로' 등이 있다.
         * [[1997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 |SBS]] 《[[기쁜 우리 토요일]]》
         * [[2011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 |SBS]] 《[[강심장]]》
         * [[2014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 |SBS]] 《설날특집 [[주먹쥐고 소림사]]》
         * [[1998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 |SBS]] 일일시트콤 《[[순풍산부인과]]》 (특별출연)
         * [[2005년]] : 대한민국 영상대전 포토제닉상
         [[분류:H.O.T.의 일원]][[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78년 태어남]][[분류:1996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힙합댄서]][[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래퍼]][[분류:구미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백제예술대학교 동문]]
  • 정무식(정치인) . . . . 13회 일치
          * [[대한민국 국군/인물]]. [[정치인/목록]]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이다.
         1924년 [[경상북도]] 영일군(현 [[포항시]])에서 태어났다. [[육군사관학교]] 8기를 졸업하고 [[대한민국 육군]] [[장교]]로 근무하며 [[육군정보학교]] [[교수]]부장 등을 역임하였다. [[박정희]] 정권이 출범하자 [[중앙정보부]]에서 대구[[대공분실]]장, 제3국장, 정보부장 특별보좌역 등을 역임하였다. 그리고 육군 [[준장]]으로 예편하였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 후보로 경상북도 영일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경상북도 포항시-영일군-[[울릉군]]-[[영천시|영천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친여 [[무소속]] [[권오태]]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78년 초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7122400329201017&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7-12-24&officeId=00032&pageNo=1&printNo=9921&publishType=00020|뇌물수수 혐의로]] 국회의원직을 사퇴한 [[지종걸]] [[유신정우회]]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의 뒤를 이어 [[대한민국 국회]] 농수산위원회 위원장 직무대리에 임명되었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친여 무소속 권오태 후보와 [[신민당(1967년)|신민당]] 조규창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9년 6월 권오태가 민주공화당에 입당하자 해당 지구당위원장직에서 사임하였다. 그리고 원양어업협회 [[회장]]이 되었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 정형돈 . . . . 13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김천시]]
         '''정형돈'''([[1978년]] [[2월 7일]]<ref>[https://entertain.v.daum.net/v/20160730070104091 정형돈, "시간을 최대한 활용해야 하는 시기"]</ref><ref>[https://www.fncent.com/JHD/b/introduce/10713 음력 1978년 2월 7일, 양력 1978년 3월 15일]</ref> ~ )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희극인]], [[사회자]]이다. 본관은 [[동래 정씨|동래]].
         * [[KBS]] 《[[대한민국 1교시]]》
         * [[MBC]] 《대통령선거 개표방송 선택 2007 - 오프닝 퀴즈쇼 (12월 19일) : 게스트》
         * [[MBC FM4U]] 《윤종신의 두시의 데이트 - 대한민국 1% - with [[손정은 (아나운서)|손정은]] 아나운서》
         [[분류:개그콘서트]][[분류:1994년 데뷔]][[분류:MBC 방송연예대상 대상 수상자]][[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희극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학력 위조 의혹 피해자]][[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김천시 출신]][[분류:197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동래 정씨]][[분류:FNC 엔터테인먼트 소속]]
  • 청송군 . . . . 13회 일치
         ||<bgcolor=#04B486> {{{#FFFFFF '''국가'''}}} || [[대한민국]] ||
         ||<bgcolor=#04B486> {{{#FFFFFF '''군수'''}}} || [[윤경희]]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초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bgcolor=#04B486> {{{#FFFFFF '''국회의원'''}}} || [[상주시·군위군·의성군·청송군]]:[br][[김재원(정치인)|김재원]]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3선 ([[2017년 4월 재보궐선거]]) ||
         유명한 관광지로 [[주왕산]]이 있기는 하지만, 보통 외지 사람들은 "[[청송]]"이라는 동네 이름이 나오면 맨 먼저 '''[[청송교도소]]'''와 '''청송감호소'''부터 떠올린다. 이 지역에는 [[교도소]]가 무려 네 군데나 있다. [[대한민국 제5공화국]] 시절에 [[흉악범]]과 [[정치범]]을 [[감금]]하기 위해 이런 외진 곳에 [[교도소]]와 [[감호소]]를 왕창 지어논 것. 사실 교도소가 있는 곳은 청송읍이 아닌 [[영양군]]과의 경계지역에 있는 진보면이다. 청송이란 고장의 이미지를 깎는다고 [[대한민국 법무부]]에 지속적으로 진정이 제기되었는데 결국 이름이 경북북부교도소로 바뀌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오히려 교도소가 들어서면 [[교정직 공무원]]들 및 면회객들도 오기 때문에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도 생겨나고 있다. 심지어 청송군민들은 '''교도소를 추가 유치하겠다'''고 나설 정도.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2725817&plink=ORI&cooper=NAVER|#]] 근데 이것을 역으로 보면 교도소 이외에는 지역경제를 유지할 수 없을 만큼 낙후가 심각하다는 거다.
         한때 [[호랑이]]가 21세기에도 사는 동네라 알려져 유명했다. 그 이유는 2001년 [[대구 MBC]]에서 취재한 보도기사였는데, 무인 카메라에 의문의 대형 [[고양이]]과 동물[* 몸길이 120cm에 꼬리가 [[호랑이]], [[표범]]과처럼 긴꼬리의 짐승이었다고 한다.]이 찍힌뒤로, 주변에서도 인근주민들의 호랑이 목격담을 취재하며, 호랑이가 맞다고 연일 보도를 해댔었다. 그 당시 MBC는 사활을 걸고 특별 취재팀까지 동원해서 이 사건을 계속 수사했고, 진짜 호랑이가 맞다 vs 아니다의 결론이 이어지는 가운데 보도 이후 6개월만에 [[대한민국 환경부|환경부]]에서 공식적으로 '''이건 호랑이가 아니다.'''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청송에서 취재된 사진이 [[호랑이]]가 아니다 뿐이지 뭔가 고양이과 야생동물이란것은 확실했고[* [[담비]]라는 설도 있으나 담비치고는 꽤 큰 덩치라 의견이 분분한 상태.], 아직까지도 이게 무슨 동물이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고양이과 야생동물중 가장 작은 [[삵]]만 하더라도 천연기념물인 한국에선 지금의 청송이 희귀 야생동물이 사는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춘 곳일듯. 참고로 이 야산 인근 주민들은 아직도 호랑이라고 생각한다고 한다.
         교통은 [[당진영덕고속도로]], [[31번 국도]], [[34번 국도]], [[35번 국도]]가 군을 관통하지만, [[철도]][[철도가 지나지 않는 도시/대한민국|는 없다.]] 고속도로 나들목은 [[청송IC]]와 [[동청송·영양IC]]가 있다. 2011년 12월 27일 35번 국도 청송과 영천 사이의 고개인 노귀재를 관통하는 터널이 준공되어 영천 방면으로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는 청송 [[사과]]가 등록되어 있는데 [[경상북도]]에서 사과 생산량 2위를 기록한다. 청송하면 '''사과'''가 유명하다고 인식 될만큼 사과가 유명하다. 버스 정류장 등의 시설물도 사과를 형상화한 모양으로 지어졌을 정도.[* [[청도군]]에서는 감을 형상화한 모양으로 지어지기도 했었다.] 수확철에 이 지역을 방문하면 상인들이 도롯가나 주왕산 국립공원 등 노상에 자리를 펴서 사과를 잔뜩 쌓아놓고 호객 행위를 하고 있는 모습을 매우 흔하게 볼 수 있다.
         || '''후보''' ||<:><bgcolor=#1870B9>{{{#FFFFFF 문재인}}}||<:><bgcolor=#C9151E>{{{#FFFFFF '''홍준표'''}}}||<:><bgcolor=#046240>{{{#FFFFFF 안철수}}}||<:><bgcolor=#00B1EB>유승민||<:><bgcolor=#FFCC00>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 '''선거''' ||<:>'''18대 대선'''||<:>'''20대 총선'''||<:>'''19대 대선'''||<:>'''증감율 (대선/대선)'''||<:>'''증감율 (총선/대선)'''||<:>'''18대 대선'''||<:>'''20대 총선'''||<:>'''19대 대선'''||<:>'''증감율 (대선/대선)'''||<:>'''증감율 (총선/대선)'''||
         ||<|2> [[황병우]]/3선[br][[민주정의당]] ||<|2> [[김찬우(1933)|김찬우]]/재선[br][[통일국민당]] ||<|2> 김찬우/3선[br][[신한국당]] ||<|2> 김찬우/4선[br][[한나라당]] ||<|2> [[김재원(정치인)|김재원]]/초선[br]한나라당 ||<|2> [[정해걸]]/초선[br]무소속 ||<|2> 김재원/재선[br][[새누리당]] || --[[김종태(1949)|김종태]]/재선--[* 17.2.9 의원직 상실(선거법 위반)][br]--새누리당-- ||
         || 김재원/3선[* 17.4.12 재보궐선거][br][[자유한국당]] ||
          * [[김옥숙]](1935~) : [[노태우]] 전 대통령 영부인
  • 김상조 . . . . 12회 일치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4012D><-5><bgcolor=#FFFFFF><:>{{{+1 [[대한민국 정부|[[파일:대한민국 정부기 (글자없음).png|width=30]]]] [[대한민국|{{{#043762 '''대한민국'''}}}]] [[공정거래위원회|{{{#043762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043762 '''위원장'''}}}]]}}}||
         ||<width=30%><:> 제18대 [br] [[정재찬]] ||<width=5%><:> → ||<width=30%><:> 제19대 [br] ''' 김상조 ''' ||<width=5%><:> → ||<width=30%><:> '' 현직 '' ||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더문캠|문재인 캠프]]에 합류하였다. 결국, [[문재인 정부]]의 첫 [[공정거래위원회|공정거래위원장]]에 내정되었다.
         6월 12일 결국 자유한국당의 반대로 보고서 채택이 무산되었지만, 청와대에서 임명을 진행하여 문재인 정부 첫 공정거래위원장이 된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브피링에서 길어진 국정 공백을 메우기 위해 더 이상 지체할 수 없으며, 각종 여론조사 등을 통해 이미 국민의 청문회를 통과했다는 발언을 하며, 공정거래의원장으로 임명했다. 이에 원래부터 찬성 입장이었던 정의당을 제외한 야 3당인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이 모두 [[http://www.joseilbo.com/news/htmls/2017/06/20170613327266.html|차가운 반응을 보였다]]. 자유한국당은 "앞으로 문재인 대통령에 맞서 투쟁해나가겠다"며 맹렬하게 비난하였으며, 바른정당은 "오만한 문 대통령의 브레이크 없는 질주"라 비판하였다. 국민의당은 당초 김상조 후보자의 임명 자체에는 반대가 없었던 터라, "국회 청문회 보고서 통과없이 임명되는 것에는 유감스럽지만, 이는 여당의 고집과 야당의 아집이 빗어낸 것이다"며 공동책임론의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한 여론의 반응은 [[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1&aid=0009334195&date=20170613&type=1&rankingSectionId=100&rankingSeq=9|대체적으로 야당에 대해 비판적이다]]. 특히 자유한국당은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3741|문 대통령의 연설 중 조는 모습]]이나 [[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18&aid=0003847763&date=20170612&type=1&rankingSectionId=100&rankingSeq=24|원내대표 회담에 불참]]하는 등 애초에 협치를 바라지 않는 듯한 행동을 지속적으로 보이면서 애초에 협치를 바란 것이 맞느냐는 지적이 많다.
         >[[문재인]] 대통령은 제2의 [[스티브 잡스]]로 진화하고 있다.
         [[분류:구미시 출신 인물]]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 [[분류:경제학자]] [[분류:교수]] [[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1962년 출생]]
  • 김우동 . . . . 12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선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현역 [[지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인 대한국민당 육홍균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2년 지방선거]]에서 경상북도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인 자유당 육홍균 후보에 설욕하였다. 당선 후 [[자유당]]에 입당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해당 선거구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했던 [[김동석]]이 재검표 소송을 제기하여 재검표 결과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5810240020910301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8-10-24&officeId=00020&pageNo=3&printNo=11159&publishType=00010|당락이 뒤바뀌면서 국회의원직을 상실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구미시 출신 인물]]
  • 김현정 (1979년) . . . . 12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김천시|김천]]
         '''김현정'''({{출처|날짜=2013-06-19|金賢靜}}, [[1979년]] [[3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화가]]이다. [[1998년]] 스톰 4기 모델로 데뷔하였다.
         :장소 : 대한민국 서울 평창동 가나컨템포러리
         :장소 : 대한민국 서울 갤러리 아트링크
         :장소 : 대한민국 서울 갤러리 1898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8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배화여자대학교 동문]][[분류: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김천시 출신]]
  • 영덕군 . . . . 12회 일치
         ||<bgcolor=#21439c> {{{#FFFFFF '''국가'''}}} ||<bgcolor=#CEECF5> [[대한민국]] ||
         ||<bgcolor=#F781F3> {{{#FFFFFF '''군수'''}}} ||<bgcolor=#F8E0F7> [[이희진(정치인)|이희진]]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재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bgcolor=#F781F3> {{{#FFFFFF '''국회의원'''}}} ||<bgcolor=#F8E0F7>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br][[강석호]]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3선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송이버섯]]도 나름 유명하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 영덕 송이가 등록되어 있을 정도.
         || '''후보''' ||<:><bgcolor=#1870B9>{{{#FFFFFF 문재인}}}||<:><bgcolor=#C9151E>{{{#FFFFFF '''홍준표'''}}}||<:><bgcolor=#046240>{{{#FFFFFF 안철수}}}||<:><bgcolor=#00B1EB>유승민||<:><bgcolor=#FFCC00>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 '''선거''' ||<:>'''18대 대선'''||<:>'''20대 총선'''||<:>'''19대 대선'''||<:>'''증감율 (대선/대선)'''||<:>'''증감율 (총선/대선)'''||<:>'''18대 대선'''||<:>'''20대 총선'''||<:>'''19대 대선'''||<:>'''증감율 (대선/대선)'''||<:>'''증감율 (총선/대선)'''||
         '''TK는 물론 대한민국에서 [[군위군]], [[의성군]]과 쌍벽을 이루는 보수성향이 강한, 자유한국당의 텃밭 중의 텃밭'''
         '''[[더불어민주당]]과 [[대한민국의 진보정당]]의 무덤'''
         보수 성향 정당의 지지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경상북도에서도 보수 정당 지지율이 유독 압도적으로 높은, '''전국에서 [[자유한국당]] (구 새누리당) 지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 2007년 대선 당시에는 [[이명박]] 후보가 여기서 '''84%'''를 득표해서 앞섰고, 또다른 보수 후보인 [[이회창]] 후보의 득표율을 합하면 표가 무려 '''90%'''에 달했다. 2012년 말의 18대 대선에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무려 '''87.11%'''를 득표해 '''대구경북권 2위이자 전국에서 2위'''[* 근소한 차이로 [[군위군]]이 1위.]를 기록했다. 이는 경상북도에서의 박근혜 후보 평균 득표율(80.82%)보다 무려 6.29%나 높고, 경북에서 가장 낮은 [[영주시]]와는 9.14%나 차이가 날 정도로 매우 압도적인 수치이다. 이윽고 열린 2014년 제 6회 지방선거에서도 [[김관용]] 새누리 경북도지사 후보의 득표율이 의성에 이은 2위를 차지했고[* 의성도 경북 평균보다 6~7% 높은, 전국에서 세 손가락 안에 꼽히는 보수 정당 강세지역이다.], 가장 최근에 열린 [[20대 총선]]에서도 '''전국에서 유일하게 새누리당 득표율이 70%를 넘겨(70.83%)''' 경북 평균(58.11%)보다 무려 12.72%나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을 뿐만 아니라, 전국 평균(33.50%)의 무려 '''2배가 넘는 수치를 기록한 유일한 지역'''이었다.
         최근 새누리 계열 정당에서 여러 악재와 논란이 터지며 지지율이 바닥을 뚫고 있는 와중에도, 대부분 사람들은 꿋꿋이 새누리당 계열을 일방적으로 지지하는 성격을 보이고 있다. 말 그대로 깃발만 꽂아도 보수 성향 후보가 당선된다는 수준, 민주계열 정당에 있어서는 완전한 무덤이나 다름없는 곳이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나라가 파탄에 이른 뒤 치뤄진 [[2017년]] [[19대 대선]]에서도 '''[[홍준표]]가 62.96%'''를 득표해 군위, 의성에 이은 전국 3위를 기록했다. 2위 [[문재인]]과는 무려 '''48.35% 차이'''가 날 만큼 압도적인 1위를 수성했다. 2012년 대선에 비해 득표율이 다소 깎였다고는 하지만, 깎인 득표율이 60% 이상으로 5자대결 + 보수정당의 국가적 재앙 사태라는 전례없는 대선이었음에도 꿋꿋한 민심을 보여주었다[* 특히 이번 대선은 5자대결 구도 속에 치뤄졌기에 말도 안 될 만큼 높은 수치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득표율 전국 1위 문재인 후보조차 41%의 득표율을 기록하고도 압도적인 격차로 1위를 할 만큼 표 분산이 많이 되었던 선거였다.]. 여러모로 보수정당이 압도적인 경상북도 지역이지만, 그 중에서도 '''군위, 의성과 묶어 보수정당 최고의 텃밭 중 텃밭'''이라 하겠다.
         다만 7회 지방선거에서는 민주당 영덕군수 후보가 41%를 받으며 선전하기도 했다.
          * [[신태용]]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전(前) 축구선수. 영해면 출신.
  • 유병수 . . . . 12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국가대표팀=[[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유병수''' (兪炳守, [[1988년]] [[3월 26일]] ~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K리그]]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친 유병수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에의 승선이 거론되었다. 국가대표팀 감독 [[허정무]]도 그에 대해 관심을 숨기지 않았으며, 마침내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3연전을 앞두고 국가대표팀에 소집되었다.<ref>{{웹 인용|url=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5211806415&code=980201 |제목=신인 유병수, 허정무호에 ‘깜짝 승선’|확인날짜=2010-08-15 |출판사=경향뉴스}}</ref> 그리고 [[2009년]] [[6월 3일]]에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열린 [[오만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친선 평가전에 후반 교체 출전하여 A매치에 데뷔하였지만<ref>{{웹 인용|url=http://www.sportalkorea.com/news/view.php?gisa_uniq=20090604122105§ion_code=10&key=%C0%AF%BA%B4%BC%F6&field=gisa_title&search_key=y |제목=A매치 데뷔 유병수, UAE전 승리 위한 '비밀병기' |확인날짜=2010-08-15 |출판사=스포탈코리아}}</ref> 오만전이 A매치로 인정을 받지 못하면서 국가대표팀 출전 기록은 삭제되었다.<ref>{{웹 인용|url=http://www.sportsseoul.com/news2/soccer/world/world/2009/0804/20090804101020201000000_7288524317.html |제목=6월 허정무호 오만전, FIFA A매치서 제외 |확인날짜=2010-08-15 |출판사=스포츠서울}}</ref> 이후 대표팀과 인연이 없다가 [[10월 4일]], [[조광래]] 감독이 [[10월 12일]] 열릴 한일전을 앞두고 유병수를 발탁하면서 다시 기회를 잡게 되었고<ref>{{웹 인용|url=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1010041004362234&ext=na |제목=한일전 명단 발표…유병수-신형민 대표팀 복귀 |확인날짜=2010-10-04 |출판사=마이데일리}}</ref> 경기가 끝나기 9분 전에 교체 투입되며 공식 데뷔전을 치렀다.
         |이전={{국기그림|대한민국}} [[이동국]]
         {{2011년 AFC 아시안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분류:198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언남고등학교 동문]][[분류:수서중학교 동문]][[분류:대구신암초등학교 동문]][[분류:K3리그의 축구 선수]][[분류:둔촌중학교 동문]][[분류:홍익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해외 진출 축구 선수]][[분류:인천 유나이티드 FC의 축구 선수]][[분류:알힐랄 (리야드)의 축구 선수]][[분류:FC 로스토프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1의 축구 선수]][[분류:러시아 프리미어리그의 축구 선수]][[분류:2011년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러시아의 외국인 축구 선수]][[분류:사우디아라비아의 외국인 축구 선수]][[분류:김포 시민축구단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1 득점상 수상자]][[분류:사우디아라비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러시아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사우디 프로리그의 축구 선수]]
  • 유지태 . . . . 12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유지태'''([[1976년]] [[4월 13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 [[영화 감독]]·[[영화 각본|각본가]], [[연극]] 감독·연출·제작자이다.
         | 제5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 제1회 대한민국 휴먼대상
         [[분류:197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강릉 유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단국대학교 동문]][[분류: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동문]][[분류:1998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
         [[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연출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각본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
  • 이신학 . . . . 12회 일치
         | 국가 = [[대한민국]]
         == 역대 선거 결과 ==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대한민국 제3회 지방 선거|제3회 지방 선거]]||[[남구 (대구광역시)|대구 남구청장]]||21대 (민선 3기)||[[한나라당]]||{{막대|한|8|1|8|0}} 80.80%||38,825표||1위||[[파일:대구당선.png|25px|남구청장 당선]]
         |[[대한민국 제4회 지방 선거|제4회 지방 선거]]||[[남구 (대구광역시)|대구 남구청장]]||22대 (민선 4기)||[[무소속]]||{{막대|무|1|8|3|0}} 18.30%||12,652표||2위||낙선
         [[분류:195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영남대학교 동문]][[분류:대구자연과학고등학교 동문]][[분류:경상중학교 동문]][[분류:대구옥포초등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공무원]][[분류: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
  • 임효준 . . . . 12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국가 = 대한민국
         '''임효준'''([[1996년]] [[5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이다.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500m에서 생애 첫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이것은 평창올림픽에서의 대한민국 첫 금메달로서 더욱더 의미가 크다. 임효준은 순발력을 바탕으로 한 폭발적인 스피드와 뛰어난 기술이 장점으로, 전성기 시절 ‘제2의 [[안현수]]’라는 호칭을 얻은 바 있다.<ref name="대구일보"/>
         [[2017년]] 4월 올림픽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1위로 통과해 대한민국 국가대표가 되었다.<ref name="대구일보"/> 장거리와 단거리 모두 능한 덕에 [[2018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500, 1000, 1500, 5000m 계주 등 전 종목에 출전하게 되었다.<ref name="대구일보"/>
         [[2018년]] [[2월 10일]]에 열린 [[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500m|쇼트트랙 남자 1500m]] 예선과 준결승에서 무난히 통과했고, 결승에서는 2분 10초 485의 [[올림픽 기록]]으로 1위를 차지하였다. 이는 [[2018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대한민국 선수단]]의 첫 메달이자 금메달이기도 했다.<ref>http://www.hani.co.kr/arti/sports/sports_general/831734.html#csidxc20cd80bba1b97989951bed5ea919c0</ref> 또한 이번 기록으로 [[2010년 동계 올림픽|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 [[이정수]]가 세웠던 2:10.949의 기록도 경신하게 되었다.<ref name="2018olympics-final">{{웹 인용|title=Short Track Speed Skating Results - Men's 1,500m Final A|url=https://www.pyeongchang2018.com/en/game-time/results/OWG2018/en/short-track-speed-skating/results-men-s-1500m-fnl-a00100-.htm|website=[[2018년 동계 올림픽|2018평창올림픽 공식사이트]]|publisher=[[국제올림픽위원회]]|accessdate=10 February 2018|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80210130015/https://www.pyeongchang2018.com/en/game-time/results/OWG2018/en/short-track-speed-skating/results-men-s-1500m-fnl-a00100-.htm|archivedate=10 February 2018|language=en|date=10 February 2018}}</ref>
         [[분류:199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동메달리스트]][[분류:올림픽 쇼트트랙 메달리스트]][[분류:2018년 동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201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계성초등학교 (대구) 동문]][[분류:오륜중학교 동문]][[분류:동북고등학교 동문]][[분류:한국체육대학교 동문]]
  • 최대원(정치인,국회의원) . . . . 12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 [[분류:1956년 출생]] [[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대한민국의 정치인.
         [[자유한국당]] [[이철우(1955)|이철우]] 의원이 경북도지사 출마로 국회의원을 사퇴하게 되자, 해당 지역구인 [[경상북도]] [[김천시]] 선거구에 도전했다. 당초 자유한국당 소속으로 도전을 시도했으나 공천을 받지 못해 무소속으로 도전하게 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이 후보를 내지 않은 관계로 자유한국당 [[송언석]] 후보와 맞붙게 되는데, 이로 인해 민주당 및 진보 지지자들의 기권 가능성이 높아졌으나, 민주당 도의원 후보의 암묵적인 지원사격을 받으면서 자유한국당 출신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친여무소속 취급을 받았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tablealign=center><rowbgcolor=#808080>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6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북 김천시장) || 무소속 || 33,496 (46.57%) || 낙선 (2위) || ||
         || 2018 || [[2018년 재보궐선거|재보궐선거]] (김천 국회의원) || 무소속 || 38,830 (49.68%) || 낙선 (2위) || [* 전임자 [[이철우(1955)|이철우]] 지방선거 출마를 위한 사퇴.] ||
  • 최은경 (쇼트트랙 선수) . . . . 12회 일치
         |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 국가 = {{국기나라|대한민국}}
         '''최은경'''(崔恩景, [[1984년]] [[12월 26일]] - )은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이다.
         {{2002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리스트}}
         {{2006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리스트}}
         [[분류: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분류:198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구용지초등학교 동문]][[분류:목일중학교 동문]][[분류:세화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한국체육대학교 동문]][[분류:200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2006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올림픽 쇼트트랙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쇼트트랙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2002년 동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2006년 동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2003년 동계 아시안 게임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2003년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은메달리스트]]
  • 트로피코 4 . . . . 12회 일치
         플레이어는 냉전 시기 [[카리브 해]]의 독재국가 "트로피코"의 대통령 각하(El Presidente)가 되어 트로피코를 통치한다.
         시민들은 대통령 각하의 노동력이요, 대통령 각하의 표밭이다. 대통령 각하가 건물을 짓거나 상품을 나를 수 없으므로 시민 없는 트로피코는 존재할 수 없다. 하지만 대통령 각하의 상대 후보에게 표를 던질 수 있는 존재도 시민이므로 시민을 잘 다스리는게 중요하다.
          * 이단 - $500 소모. 성당 필요. 성직자가 해당 시민을 이단으로 낙인찍는다. 해당 시민은 시위 참가, 진영 대표자 되기, 선거 출마가 불가능해진다. 대상과 그 가족들의 존경심이 떨어진다.
         무력으로 대통령 각하를 끌어내리려고 하는 시민들. 각하를 지지하지 않는 시민 중 일부가 반란군이 된다. 어딘가에 숨어있다가 일정 주기마다 튀어나와 건물을 공격한다. 보통은 목장, 광산, 공장 같은 산업 건물을 노리지만 대통령 영묘 같은 체제 선전 건물도 노린다.
         이들의 습격이 시작되면 병사, 장군, 대통령 각하가 반란군에 맞서 싸운다. 전투는 어느 한쪽 모두가 죽거나 도망칠 때 까지 지속된다. 정부군이 승리하면 별 탈 없이 끝나지만, 반란군이 승리할 경우 습격당한 건물이 폭파된다. 대부분의 경우 다시 지으면 되지만 대통령 관저가 폭파되면 게임오버.
          * 선전 전문가 캐릭터 특성 추가 - 언론인이 대통령 각하를 뽑도록 시민을 세뇌함, 충성파 진영의 존경심 증가
          * 이스트 포인트 생도 캐릭터 특성 추가 - 대통령 각하가 부상 없이 적을 해치움, 국수주의 진영의 존경심 증가, 종교인 진영의 존경심 하락
  • 곽승준 . . . . 11회 일치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정치인]], 방송인이다. 곽금주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교수가 그의 친누나이다.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 직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기획조정분과위 인수위원을 지내며 [[이명박]]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과 인연을 맺었다. 이후 [[이명박 정부]] 때 청와대 대통령실(현 [[대통령비서실]]) 국정기획[[수석비서관]], 대통령 직속 미래기획위원장 등을 지냈다.
         [[분류:경제학자]][[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방송인]][[분류:달성군 출신 인물]][[분류:1960년 출생]]
  • 김동석 . . . . 11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독립유공자|독립운동가]], [[정치인]]이다. 호는 매암(梅巖)이다. 허주 [[김윤환]] 전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과 [[김태환(1943)|김태환]] 전 국회의원의 아버지이다.
         석방 후에 고향인 선산군 장천면으로 돌아와 양조장을 경영하였다. 한편 장천금융조합장, 김천청년동맹, 금릉학원 등에 몸담았다. 그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자금 송금, 비밀 잡지 근우(槿友)의 간행 등과 같은 항일 운동을 전개하였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선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현역 [[지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인 [[대한국민당]] [[육홍균]]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김우동]]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다가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인 자유당 [[김우동]] 후보에 밀려 낙선한 것으로 나오자 [[재검표]] 소송을 제기하였다. 재검표 결과 당락이 뒤바뀌어 당선되었다. 같은 해 [[자유당]]에 입당하였다.
         1961년 [[3.15 부정선거]] 가담을 이유로 반민주행위자공민권제한법에 의해 공민권이 제한되었다. 이후 오상중고교 운영에 전념하였다.
  • 김세윤 (1999년) . . . . 11회 일치
         |출생지=[[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17]]<br>[[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0]]
         '''김세윤'''([[1999년]] [[4월 29일]] ~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공격수]]이다. 현재 [[대한민국]] [[K리그2]] [[대전 시티즌]]에서 활약하고 있다.
         [[무산중학교]]를 거쳐 2015년 [[대전 시티즌]]의 유스 산하 학교인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축구부|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인 김세윤은 2016년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카타르 3개국 친선대회에 출전, 카타르와 말리와의 경기에 출전했으며, 이후 이스라엘 4개국 친선대회에 대표팀에도 승선해 세르비아전에 출전했다.
         [[분류:199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축구 공격수]][[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대전 시티즌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2의 축구 선수]][[분류: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동문]][[분류:무산중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김소희 (쇼트트랙 선수) . . . . 11회 일치
         {{메달 나라|{{국기나라|대한민국}}}}
         '''김소희'''(金昭希, [[1976년]] [[9월 16일]] ~ )는 [[대한민국]]의 전 [[쇼트트랙]] 선수이자 현재는 스포츠 연구원이다.
         김소희는 [[2003년]] 말 국가대표팀 코치로 선임되어 그 해 [[중화인민공화국|중국]]에서 열린 1, 2차 월드컵에서 [[대한민국]] 대표팀이 종합 우승을 거두는 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2004년]] [[11월 3일]] [[최은경 (쇼트트랙 선수)|최은경]], [[여수연]], [[변천사]], [[허희빈]], [[강윤미 (쇼트트랙 선수)|강윤미]], [[진선유]] 등 여자대표팀 선수 6명이 사생활 간섭<ref>{{뉴스 인용|제목 = "죽도록 두들겨 맞고…" 여자 쇼트트랙 '폭력의 얼음판' | url =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sports_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020&article_id=0000269734 | 출판사 = 동아일보 | 저자 = 김성규 | 쪽 = | 날짜 = 2004-11-11 | 확인날짜 = 2014-02-16 }}</ref>, 상습적 구타<ref>{{뉴스 인용 | 제목 = 여자 쇼트트랙 구타 쇼크 "매일 무차별적으로 맞았다"- 국제대회장서도 되풀이 | url =http://legacy.www.hani.co.kr/section-006000000/2004/11/006000000200411101828268.html | 출판사 = 한겨레 | 저자 = 성연철 | 쪽 = | 날짜 = 2004-11-11 | 확인날짜 = 2014-02-16 }}</ref> 등 코치의 강압적인 지도 방식에 불만을 품고 [[태릉선수촌]]을 무단 이탈했다가 대한빙상연맹의 설득으로 하루 만에 복귀했다. 연맹 측은 [[11월 11일]] 상습구타 사건에 연루된 코치진이 제출한 사표를 수리했고, 7명의 부회장단도 총 사퇴했다.<ref>{{뉴스 인용 | 제목 = `선수 매질`파문..빙상聯 부회장단 사퇴 | url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1&aid=0000088254 | 출판사 = 문화일보 | 저자 = 이준호 | 쪽 = | 날짜 = 2004-11-11 | 확인날짜 = 2014-02-16 }}</ref> 이후 연맹은 여자대표팀을 선수촌에서 퇴촌시켰으며, 11월 말 열린 3, 4차 월드컵 대회 출전도 정지시켰다.<ref>{{뉴스 인용 | 제목 =여자 쇼트트랙 새 사령탑 선임 | url =http://sports.hankooki.com/lpage/moresports/200411/sp2004111522171658130.htm | 출판사 = 스포츠한국 | 저자 = 허재원 | 쪽 = | 날짜 = 2004-11-15 | 확인날짜 = 2014-02-17 }}</ref> 이 사건 이후 현장 지도에는 나서지 않고 연구원으로만 활동하고 있다.
         {{1994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리스트}}
         [[분류: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분류:197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정화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계명대학교 동문]][[분류:1994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올림픽 쇼트트랙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동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쇼트트랙 해설자]][[분류:아시안 게임 쇼트트랙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1994년 동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199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1990년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1996년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1990년 동계 아시안 게임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은메달리스트]][[분류:1996년 동계 아시안 게임 쇼트트랙 참가 선수]]
  • 김형철 (가수) . . . . 11회 일치
         '''김형철'''([[1961년]] [[2월 18일]] ~ [[2007년]] [[4월 2일]])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분류:1961년 태어남]][[분류:2007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김현식]][[분류:유재하]][[분류:신해철]][[분류:김성재]][[분류:이승환]][[분류:김광석]][[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싱어송라이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1985년 데뷔]][[분류:성균관대학교 동문]][[분류:영신고등학교 (대구)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캐나다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박정수(정치인) . . . . 11회 일치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3478><#FFFFFF><-5><:> {{{#003478 ''' 대한민국 ''' }}} {{{#003478 ''' 외교통상부 ''' }}} {{{#003478 ''' 장관 ''' }}} ||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김천시-금릉군-상주군 지역구에 [[무소속]]으로 출마해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의 [[백남억]] 후보를 누르는 한편 무소속 [[정휘동]] 후보와 동반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하였다. 참고로 부인 [[이범준(동명이인)|이범준]]은 1973년 [[유신정우회]] [[국회의원]]이 되어 남편 박정수보다 일찍 정계에 입문하였다. 1979년 6월 [[이후락]], [[최치환]], [[김진만(정치인)|김진만]], [[변정일]], [[김수(정치인)|김수]], [[박용기]], [[함종빈]], [[윤재명]], [[정휘동]], [[임호(정치인)|임호]], [[임영득]], [[한갑수(정치인)|한갑수]], [[홍성우(1941)|홍성우]], [[권오태]] 등과 민주공화당에 입당하였다.
         [[전두환]]의 신군부가 집권하고 나서도 정치규제를 당하지 않아서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김천시-금릉군-상주군 지역구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정휘동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그러나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으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였다가 민주정의당 [[김상구]] 후보와 [[신한민주당]] 이재옥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정의당]]의 공천을 받아 김천시-금릉군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0년부터 1992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외무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자유당]]의 공천을 받아 역시 김천시-금릉군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국제의원연맹 집행위원에 임명된 이듬해인 1996년,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월드컵]] 유치에 전념하겠다는 이유로 [[신한국당]] 전국구 의원직을 요구했다가 신한국당 수뇌부에 의해 거절당하였다. 이 상황에서 외교전문가 영입에 몰두하던 [[새정치국민회의]]에 전국구 의원을 보장받는 조건으로 입당해 제 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전국구 의원이 되고 부총재를 역임한다.[* 이 당시 새정치국민회의에서는 박정수를 포함한 보수적 인사들을 영입하려 노력하였고, 그 결과 [[오유방]], 정희경 등 민주정의당 출신 인사들이 새정치국민회의에 입당하였다.]
         1998년 3월 [[김대중]] 정부의 초대 외교통상부(현 [[외교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그 해 5월의 기자회견에서 "김대중 대통령은 일본 문화 개방 및 '''천황'''의 방한을 원하신다"라는 발언으로 물의를 빚었다. 그리고 그 해 7월에는 모스크바 주재 한국대사관원의 강제추방 사건에 맞대응해 서울 주재 러시아대사관원인 올레그 아브람킨 참사관을 강제추방한 것이 화근이 되어 5개월 만에 장관직에서 경질된다. 이후 1998년 9월 [[새정치국민회의]] 부총재에 복귀했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서영택 . . . . 11회 일치
         '''서영택'''(徐榮澤, [[1939년]] [[4월 23일]] ~ , [[대구광역시|대구]])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다.
         [[행정고시|고등고시 행정과]]에 합격하여 공직에 입문한 뒤, [[대한민국 재무부|재무부]] 세제국장과 차관보, 제7대 [[대한민국 국세청|국세청장]], 제26대 [[대한민국 건설부|건설부]] 장관 등을 역임했다. 공직 퇴임 후에는 [[김앤장 법률사무소]]의 고문[[세무사]]로 있다. 종교는 [[천주교]]이며, 세례명은 아우구스티노이다.
         |직책 =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차관보|재무부 제2차관보]]
         |직책 = [[대한민국의 국세청장|국세청장]]
         |직책 = [[대한민국 건설부|건설부 장관]]
         [[분류:193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달성 서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국세청장]][[분류:대한민국의 건설부 장관]][[분류:노태우 정부의 국무위원]][[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상과대학 동문]][[분류:서울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하버드 로스쿨 동문]][[분류:연세대학교 교수]][[분류:한양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분류:대한민국의 세무사]]
  • 심학봉 . . . . 11회 일치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19대 국회의원]]이었다.
         이후 이공계에서 활동하였다. [[특허청]] 특허심사관으로 근무하다가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실,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 등을 거쳤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경상북도 [[구미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런데 성폭행 의혹을 사면서 형사법 위반 여부를 떠나 품위에 맞지 않는 성관계 (기혼이면서 기혼여성과 성관계)로 제명위기에 몰리자 2015년 본회의 표결 당일 자진사퇴하였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tablealign=center><rowbgcolor=#808080>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경북 구미 갑) || '''[[새누리당]]''' || '''52,353 (61.23%)''' || '''당선 (1위)''' || [* 2015.8.3 탈당, 10.12 사퇴] ||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 이기광 (법조인) . . . . 11회 일치
         |국가 = 대한민국
         |직책 = 제18대 [[울산지방법원]]장
         |대통령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1955년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나 [[대구고등학교]]와 [[영남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1983년 제25회 사법시험 합격하여 [[사법연수원]] 15기를 수료했다. 1986년 [[전주지방법원]] 군산지원 판사에 임용되어 1987년 [[대구지방법원]] 김천지원 1990년 [[대구지방법원]] 1996년 [[대구고등법원]] 1999년 [[대구지방법원]]에서 판사를 하다가 2001년에 대구지방법원 부장판사에 임명되어 2008년 [[대구고등법원]]을 거쳐 2011년까지 재판장을 하였으며 2012년에는 [[대구고등법원]] 수석부장판사에 임명되어 2015년 2월까지 보임하였다. [[대구고등법원]]에서 수석부장판사에 임명된 2012년 2월에 경상북도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을 겸직하였으며 2015년에는 [[대구고등법원]] 부장판사에 임명되어 1년동안 재판장을 하였다. 2016년 2월 법원 정기인사에서 법원장으로 승진하여 2년동안 제18대 [[울산지방법원]]장에 임명되면서 제20대 울산광역시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을 겸직하였다. 울산지방법원장을 끝으로 30년이 넘는 공직자 생활을 마치면서 퇴임식에서 "아내로서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묵묵히 저를 뒷바라지하면서 삼남매를 훌륭히 키워 준 제 아내, 무등 한 번 태워 주지 못했고, 손잡고 봄길 한 번 함께 걸어 보지못했다."며 아쉬워했다.<ref>로이슈 2018년 2월 12일자</ref>
         [[분류:1955년 태어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영남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판사]][[분류:대한민국의 지방법원장]][[분류:대한민국의 고등법원장]][[분류:대한민국의 변호사]]
  • 이홍기(군인) . . . . 11회 일치
          * 상위 문서: [[대한민국 국군/인물]], [[가톨릭/인물]]
         |||||||||| [[대한민국 육군]]의 [[제3야전군사령관]] ||
         ||<#ffa500><:> {{{#ffffff '''복무'''}}} ||<#ffd700> 대한민국 육군 ||
         [[대한민국]]의 前 [[군인]]. 예비역 대장 [[제3야전군사령관]] 역임했다. [[종교]]는 [[천주교]]이며, [[세례명]]은 이냐시오이다.
         - [[대한민국 육군|육군]] [[제3야전군사령관]]: 대장
         - [[대한민국 육군|육군]] [[제6군단|제6군단장]]: 중장
         - [[대통령실]] 외교안보수석실 국방비서관: 소장
         -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정책기획관: 소장
         - [[대한민국 육군|육군]] [[제32보병사단|제32보병사단장]]: 소장
         - [[대한민국 육군|육군]] [[제3야전군사령부]] 작전처장: 준장
         [[분류:대한민국의 군인]]
  • 진선유 . . . . 11회 일치
         |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 국가 = {{국기나라|대한민국}}
         {{메달 나라|{{국기나라|대한민국}}}}
         '''진선유'''(陳善有, [[1988년]] [[12월 17일]] ~ )는 [[대한민국]]의 전 [[쇼트트랙]] 선수이다. 현재 [[단국대학교]]의 [[쇼트트랙]] 코치이다.
         [[대구광역시|대구]]에서 태어난 진선유는 경북사대 부속초등학교 1학년 때 우연히 빙상장에 갔다가 스케이트에 빠졌다. 주니어 대회에서는 한 번도 보이지 않던 선수였지만, [[2004년 4월]]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1위를 차지하며 국가대표에 선발되었다. [[경북여자고등학교]]를 다니다가 [[광문고등학교 (서울)|광문고등학교]]에 전학한 진선유는 [[2005년]] [[11월 13일]] 2005-06 [[쇼트트랙]] 월드컵 1차 대회([[이탈리아]] [[보르미오]])에서 1:30.037로 들어오며 한 달 전 중국의 [[왕멍 (쇼트트랙 선수)|왕멍]]이 세운 기록을 0.134초 앞당기며 세계 신기록을 세웠었다. 2006년 겨울, [[2006년 동계 올림픽|토리노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 최초로 올림픽 단일 대회에서 쇼트트랙 3관왕을 차지했다.(1500m,1000m,3000m 계주)<ref>{{뉴스 인용
         {{2006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리스트}}
         [[분류: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분류:198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초등학교 동문]][[분류: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동문]][[분류:광문고등학교 (서울) 동문]][[분류:단국대학교 동문]][[분류:여양 진씨]][[분류:2006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올림픽 쇼트트랙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쇼트트랙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2006년 동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200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2007년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은메달리스트]]
  • 통일주체국민회의 . . . . 11회 일치
         유신정권 시기에 만들어진 선거인단 비슷한 것. 대통령을 선출하는 역할을 했다.
         통일주체국민회의 선거는 전국을 1만명 단위의 소선거구로 나눴으며, 약 3천명 가량의 의원을 선출해서 [[장충체육관]]에서 투표를 진행했다.
         명목상으로는 돈 선거, 부패 선거를 없애겠다는 이유로 기존 정치인이나 정당인의 진입을 배제하였으며, 공식적인 선거 연설과 포스터 이외의 선거 운동도 금지하였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통일주체국민회의는 대통령 선거에서 거수기 이외의 거의 아무런 역할도 없는, 사실상 [[무직]] 명예직이다. 딱히 '''아무것도 안 하는 거나 다름없는 집단'''을 3천명이나 뽑는데 엄청난 선거비를 소모하고, 게다가 이 위원들이 세비는 없지만 소정의 활동비까지 받았다는걸 생각하면, 상당히 제정신이 아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통일주체국민회의 자체가 '''거대한 낭비'''라는게 모순.
  • 김수학 (법조인) . . . . 10회 일치
         |국가 = 대한민국
         |대통령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대구지방법원]] 김천지원 합의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1995년 9월 18일에 [[대한민국 제1회 지방선거]]에서 [[민자당]] 후보를 "돈을 주고 공천을 받았다"는 등의 허위사실을 수 차례 유포한 김천시장 박팔용에 대해 "특별한 전과가 없어 벌금형을 선고한다"며 벌금 500만원을 선고했다. <ref>동아일보 1995년 9월 19일자</ref>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54년 태어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문]][[분류:대한민국의 판사]][[분류:대한민국의 지방법원장]][[분류:대한민국의 고등법원장]][[분류:대한민국의 변호사]][[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
  • 김우중 . . . . 10회 일치
         |출생지 = 일제 강점기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부]]</br>(現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국적 = 대한민국
         '''김우중'''(金宇中, [[1936년]] [[12월 19일]] ~ )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1989년]]에 펴낸 자서전인《세계는 넓고 할 일은 많다》는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1992년]] 제14대 대한민국 대통령에 출마하려 했으나 [[김영삼]]의 압박으로 불발되었다. [[1993년]] [[대우그룹]]은 세계경영을 선포하였고 또한 김우중은 [[1987년]]부터 [[1993년]]까지 [[대한축구협회]]의 회장을 맡았다. 하지만 [[1990년]] 장남 선재를 잃고, [[1996년]] [[전두환]], [[노태우]] 전 대통령의 비자금 사건에 연루되었으나 위기를 잘 넘기며 [[대우그룹]]을 [[1998년]]에 재계 2위로 이끌며 성장시켰다.
         그러나 [[1997년]] [[IMF 구제금융사건|IMF 구제금융]]으로 한국경제가 큰 타격을 받았고, 그로 인한 여파로 부채비율이 400% 이상이었던 [[대우그룹]]은 쌍용을 인수하는등 확장정책을 이어나갔지만 [[일본]] 노무라 증권이 [[1998년]] [[10월 25일]]에 발표한 '[[대우인터내셔널|대우]]에 비상벨이 울린다'는 보고서 1장으로 사실상 [[대우그룹]]이 위기를 맞게 된다. 후에 계열사를 41개에서 4개업종 10개 회사로 구조조정 단행과 [[삼성그룹]]과의 빅딜도 추진하나 둘다 실패했다. [[1999년]] [[8월 26일]] 이미 구조조정으로 회사 41개중 16개가 매각되었고 남은 25개 회사중 12개가 워크아웃을 신청하였다. 당시 부채는 500억 달러였다. 당시 [[대우그룹]]은 금융부문을 중점으로두고 사업확장을 하여 내부적으로 부채가 많았다. 사실상의 그룹 해체였다. [[1999년]] [[11월 1일]] 김우중은 13명의 [[대우그룹]] 사장단들과 함께 경영포기 및 회장직을 사퇴하였다. [[대한민국 검찰청|검찰]]의 수사를 피하기 위해 출국한 후 도피생활을 하였으며, [[중화인민공화국|중국]]에서 호화롭게 생활을 했다는 주장과, 반대로 [[유럽]] 등지의 3류 호텔에서 [[햄버거]]로 끼니를 때우며 어렵게 생활했다는 주장이 있다. 당시 [[대우그룹]]은 당시 [[김대중 정부]]가 정치적으로 탄압했다는 설과 단순한 [[구조조정]] 실패라는 의혹이 있다.
         5년 8개월 간의 해외로 도피 생활을 지속하다가, [[2005년]] [[6월 14일]] 입국하여 [[대한민국 검찰|검찰]]의 조사를 받았으며,<ref>[http://www.ohmynews.com/articleview/article_view.asp?at_code=261640 관련기사]</ref>[[2006년]] [[11월 3일]] 열린 [[서울고등법원]] 항소심에서 분식회계 및 사기대출, 횡령 및 국외 재산도피 혐의로 징역 8년 6개월, 벌금 1000만원, 추징금 17조 9천 253억원의 형을 구형받았고, 항소를 포기하여 형이 확정되었다. [[2007년]] [[12월 31일]] [[사면|대통령 특사]]로 사면되었다. [[2014년]] 기준으로 전체 추징금의 0.5%정도인 약 887억원을 납부하였다. [[2013년]] 김우중법에 대해 논란이 일었고, 여전히 17조 8000여억에 달하는 추징금을 미납한 상태이다. [[2014년]] [[대우그룹]] 창립 기념일에 추징금 문제가 불거져 참석하지 못했다. 그해 [[8월 26일]]에 [[대우그룹]] 해체 15주기를 맞아《아직도 세계는 넓고 할일은 많다》라는 회고록을 출간하였다.
         [[분류:193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광산 김씨]][[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연세대학교 상경대학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대한축구협회 회장]][[분류:대우그룹]][[분류:레지옹 도뇌르 코망되르 훈장 수훈자]]
  • 김재박 . . . . 10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
         || '''지도자''' || [[태평양 돌핀스]] 수석코치 (1993~1995) [br] '''[[현대 유니콘스]] 감독 (1996~2006)''' [br]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 (2004, 2006) [br]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타격코치 (2006) [br] [[LG 트윈스]] 감독 (2007~2009) ||
         '''[[MBC 청룡]]-[[LG 트윈스]]의 원조 프랜차이즈 스타이자 [[김재박]] - [[이종범]] - [[박진만]] - [[강정호]]로 이어지는 대한민국 야구 간판 유격수 계보의 원조'''
         [[대한민국]]의 前 야구선수 및 前 감독이자 前 [[KBO]]의 경기감독관. 2015년부터 새로운 독립야구단 [[연천 미라클]]의 코치도 겸임하고 있다.
         두 번에 걸쳐서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았다.
          * 역대 [[LG 트윈스]]의 감독 중에서도 매우 나쁜 성적~~[[666858766|587]]~~을 거뒀지만 나름대로 [[프랜차이즈]] 스타라서 그런지 경질론과 재계약론이 비등비등했던 뭔가 희한한 감독이다. ~~사실 재임 기간 동안 승률은 이순철보다 낮다. 하지만 그것도 모두 이순철이 말아먹어서 그렇다고 이유를 대면 된다. 지금까지도.~~ 결국 2009년 9월 26일을 끝으로 3년 계약이 만료되어 감독직을 떠났다. 그런데 그 전에 했던 인터뷰 내용이 알려지면서 '''엘지 팬...아니, 대한민국 야구 팬들한테 아주 가루가 되도록 까이고 까이고 또 까이고 있다.'''
         [include(틀: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야구감독]][[분류: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중구(대구) 출신 인물]][[분류:1954년 출생]][[분류:타자]][[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
  • 김재엽 . . . . 10회 일치
         {{메달 나라|{{국기나라|대한민국}}}}
         '''김재엽'''(金載燁, [[1964년]] [[5월 17일]] - )은 전 [[대한민국]] [[유도]] 선수이자, 현재 대학 [[교수]]이다. [[종교]]는 [[불교]]다.
         서울 올림픽 직후 은퇴를 선언하고 곧바로 지도자의 길로 들어섰으며, 1992년에 열린 [[1992년 하계 올림픽|바르셀로나 하계올림픽]]에서는 대한민국 유도 대표팀 코치로 대회에 참가하였다. 현재 [[동서울대학]] 경호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분류:196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유도 선수]][[분류:1984년 하계 올림픽 유도 참가 선수]]
         [[분류:1988년 하계 올림픽 유도 참가 선수]][[분류:올림픽 유도 메달리스트]][[분류:대구중앙중학교 동문]][[분류:대구남산초등학교 동문]][[분류:계성고등학교 (대구) 동문]][[분류:계명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유도 메달리스트]]
         [[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유도 참가 선수]][[분류:1984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1988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1986년 아시안 게임 유도 참가 선수]][[분류:1986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김진향 . . . . 10회 일치
         '''김진향'''([[대구광역시]] [[달성군]], [[1969년]] [[3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전문가이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277&aid=0003684523 개성공단 4년 실무담당 김진향 교수 "우리 기업들만 죽이는 행위"]. 아시아경제. 2016년 2월 11일.</ref>
         [[대구광역시]] [[달성군]]에서 태어났다. 대학에서 정치외교학을 전공하였고, '한반도 통일에 관한 담론의 분석'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된 연구분야로는 북한 체제, 남북관계, 평화통일 등이다. 박사학위를 받은 후 대학에서 시간강사 생활을 하다가 [[세종연구소]]에 들어가 객원연구위원으로 일했다.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에서 제32대 통일부 장관 [[이종석 (정치인)|이종석]]을 만났다. [[노무현]]이 제16대 대통령에 당선되자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참여했고, 인수위원회에서 [[국가 안전 보장 회의]](NSC) 설계 작업을 했다. [[노무현 정부|참여정부]]에서 NSC 한반도 평화체계담당관으로 국정운영에 참여하여 남북 평화체계를 다루다가 통일외교안보정책실에서 더 폭넓게 남북관계를 담당했다. 이 과정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 여러 번 교섭과 협상을 했다. 학자 입장에서 북한을 더 자세히 알기 위해 [[개성공업지구]] 근무를 자원했고 [[2008년]] 2월부터 4년간 [[개성]]에서 근무했다. 이 때 개성에서 발생하는 신청·세무·회계·세금·임금협상 등 북한과의 모든 협상을 담당하면서 거의 매일 북한 사람들과 부대끼고 토론하고 협상하는 경험을 했다.<ref>원희복.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3&aid=0000032094 (원희복의 인물탐구)카이스트 김진향 교수…종북을 각오하고 ‘북한’을 말하다]. 주간경향. 2016년 1월 16일.</ref>
         * 2004년 2월 ~ [[2005년]] 5월:[[대한민국 대통령비서실|대통령비서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행정관
         * 2005년 5월 ~ [[2008년]] 2월:대통령비서실 인사수석실 인사비서관
         * 대통령비서실 통일외교안보정책실 전략기획실 국장
         [[분류:196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북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정치학자]][[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노무현 정부]][[분류:북한학자]]
  • 김현철(교수) . . . . 10회 일치
         [include(틀:대통령비서실)]
         || '''현직''' ||<(> [[대통령비서실]] 경제보좌관 ||
         [[대한민국]]의 정무직공무원. [[문재인 정부]]의 [[대통령비서실]] 경제보좌관이다.
         [[대한민국]] 경제가 당면한 저성장 시대 생존 전략을 중심으로 꾸준히 연구해 온 학자로서 [[일본]] 등 글로벌 경제 환경에 대한 이해가 풍부하다는 평가가 있다.
         [[제19대 대통령 선거]] 당시 [[문재인]]의 [[싱크탱크]]였던 '정책공간 국민성장'의 추진단장을 맡았다. 당시 경제 핵심 어젠다인 '국민성장론'의 입안자라고 알려졌다.
         이후, [[문재인 정부]]의 첫 [[대통령비서실]] 경제보좌관에 임명되었다.
         2015년 11월 26일, 국회에서 열린 국회 최고위 경제분석과정 강의에서 “수출 부진과 가계부채 증가로 한국 경제는 파국에 접어들고 있다”며 지금의 [[대한민국/경제]]가 1990년대 중반 버블이 꺼지기 시작한 일본경제와 닮았다고 평가했다. 또, "많은 사람들이 소니가 삼성 때문에 쓰러졌다고 생각하지만 소니는 삼성이 아니라 일본 정부가 무너뜨린 것"[* 소니가 안 무너졌다는 반론은 있다. 오히려 반등에 성공했다는 지표도 있다. [[http://it.chosun.com/news/article.html?no=2819018|링크참조]] 그러나 맥락상 포인트는 소니가 무너졌다 안무너졌다의 단순 팩트 체크가 아니라, 일본 정부의 법인세율 인상 정책 때문에 소니가 피해를 입었다는 맥락이다.]이라며, 법인세율 인상은 기업을 망가뜨리게 되고 나아가 한국 경제에 큰 타격을 입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 [[분류:교수]][[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1962년 출생]][[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마재윤 . . . . 10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마재윤'''([[1987년]] [[11월 23일]] ~ ) 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전 [[CJ 엔투스]] 소속의 [[저그]] 유저였다. 초창기 'ipxzerg'이라는 아이디를 쓰다가 'sAviOr'이란 아이디로 바꾸었다. 프로게이머로 활동하던 전성기 시절 별명은 '마본좌', '마신', '마에스트로'였다.
         * [[2007년]] 제2회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저그 최우수 선수상
         * [[2007년]] 제2회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최다승상
         * [[2007년]] 제2회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최고 승률상
         * [[2007년]] 제2회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베스트 3
         * [[2007년]] 제2회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올해의 선수상
         * [[2008년]] 제3회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 베스트 3
         [[분류:198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승부조작에 관여한 스포츠인]][[분류:아프리카TV BJ]][[분류: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분류:저그 선수]][[분류:CJ 엔투스의 선수]]
  • 박기혁 . . . . 10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대표국가 = 대한민국
         {{메달 나라|{{국기나라|대한민국}}}}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활약 ==
         {{2006년 아시안 게임 야구 대한민국 선수 명단}}
         {{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대한민국 선수 명단}}
         [[분류:198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KBO 리그 유격수]][[분류:KBO 리그 2루수]][[분류:롯데 자이언츠 선수]][[분류:KT 위즈 선수]][[분류:대구수창초등학교 동문]][[분류:성광중학교 동문]][[분류:대구상원고등학교 동문]][[분류:KBO 골든글러브 수상자]][[분류:2006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분류:2006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야구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동메달리스트]][[분류: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박홍 (신부) . . . . 10회 일치
         |거주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박홍'''(朴弘, [[1941년]] [[2월 27일]], [[대구광역시]])은 [[대한민국]]의 교육자이며 [[천주교]] [[예수회]] 소속 성직자이다. [[천주교]] 신부로서 정치 관여 발언을 많이 했고, 서강대 총장을 지냈으며 [[극우 반공주의|반공주의]], [[보수주의]] 성향의 언론인이기도 했다. [[1994년]] [[주사파]] 발언으로 화제가 되었다.
         강기훈은 법원으로부터 목격자 등 직접적인 증거도 없이 국과수의 필적 감정결과와 정황에 따라 자살방조 및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3년에 자격정지 1년 6월을 선고받고 [[1994년]] [[8월 17일]] 만기 출소했으나 사건 발생 16년 만인 [[2007년]] [[11월 13일]] [[대한민국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는 제58차 전원위원회 회의에서 ‘강기훈 유서대필 의혹사건’에 대한 진실규명 결정을 내리고 국가의 사과와 재심 등의 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했다.<ref name=gg>{{웹 인용|url=http://www.jinsil.go.kr/Information_Notice/article2/readnum.asp?num=84&pageno=1&stype=&sval=&data_years=2007&data_month|제목=강기훈 유서대필의혹 사건 진실규명결정|출판사=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저자=정책홍보팀|날짜=2007-11-13|확인날짜=2012-04-29}}{{깨진 링크|url=http://www.jinsil.go.kr/Information_Notice/article2/readnum.asp?num=84&pageno=1&stype=&sval=&data_years=2007&data_month }}</ref> 이에 따라 2012년 대법원의 재심이 개시되었으며, 2014년 2월 13일 재심 판결에서 서울고등법원은 당시 검찰이 제시한 필적 감정이 신빙성이 없으며, 유서 대필 및 자살 방조에 대해 무혐의·무죄로 재판결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9&aid=0003137599</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2441789</ref>
         1994년 대한민국은 [[우루과이라운드]] 비준 문제로 큰 홍역을 치렀다. 당시 농민과 대학생등은 [[우루과이라운드]]가 통과되면 농가 몰락으로 이어진다며 격렬한 반대 시위를 벌였다. 학생과 농민들의 반대시위가 증폭되며 야당까지 반대에 가세하며 [[우루과이라운드]] 통과가 불투명해 보였다.<ref>{{뉴스 인용
         [[분류:194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대학 총장]][[분류:가톨릭대학교 동문]][[분류:반공주의자]][[분류:서강대학교]][[분류:대한민국의 언론인]][[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성직자]][[분류:예수회]]
  • 백남억 . . . . 10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국회의원에 다섯번 당선되었으며, 민주공화당 의장을 지냈다. 송산 [[박준규(1925)|박준규]] 전 [[국회의장]]의 자형(姉兄)이 된다. [[종교]]는 [[불교]]이다.
         그러다가 [[4.19]] 이후 치러진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1955년)|민주당]] 후보로 [[참의원]](경상북도)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5.16 군사정변]] 이후 같은 민주당 소속이었던 박준규, [[김재순]], [[민관식]] 등과 함께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에 입당하였다. 이후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민주공화당 후보로 경상북도 김천시-금릉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내리 당선되었다. 이때 민주공화당 정책위원회 의장과 당무의원을 지냈다.
         항명파동으로 박정희의 분노를 사면서 자연스레 4인체제는 무너졌고, 백남억은 권력의 중심에서 밀려났지만 쫓겨나지는 않았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경상북도 김천시-금릉군-[[상주시|상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친여 [[무소속]] [[김윤하]]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친여 무소속 [[박정수(정치인)|박정수]] 후보와 정휘동 후보에 밀려 3위 이하 득표로 낙선하자 정계에서 은퇴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법학자]][[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브이원 . . . . 10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시]] <br/> (現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강현수'''({{본명|이상진}}, [[1978년]] [[6월 24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 [[배우]]이다.
         [[분류:197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1996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팝 록 가수]][[분류:동아방송예술대학교 동문]][[분류:단국대학교 동문]][[분류:단국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대륜고등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서정돈 . . . . 10회 일치
         |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서정돈'''(徐正燉, [[1943년]] [[12월 11일]] ~ , [[대구광역시|대구]])은 [[대한민국]]의 교수이자 의학자이다.
         * 2003년 2월 ~ 2011년 1월 : 성균관대학교 총장(제18대)
         * 2008년 : 대통령 직속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
         * 2010년 : [[대한민국 교육과학기술부|교육과학기술부]] 정책자문위원회 위원장
         * 성균관대학 이사장(제18대)
         [[분류:194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강사]][[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의학자]][[분류:대한민국의 의사]][[분류: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동문]][[분류:서울대학교 교수]][[분류:성균관대학교 교수]][[분류:성균관대학교 총장]][[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달성 서씨]]
  • 오은석 . . . . 10회 일치
         {{메달 나라|{{국기나라|대한민국}}}}
         '''오은석'''(吳恩錫, [[1983년]] [[4월 2일]] ~ )은 [[대한민국]]의 [[펜싱]] 선수이다. [[런던]]에서 열린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 [[구본길]], [[김정환 (펜싱 선수)|김정환]], [[원우영]]과 함께 단체전에 출전하여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대한민국 펜싱 역사상 처음으로 나온 단체전 금메달이었다.<ref>[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392494 '14초의 찌르기' 오은석, 金 찌른 비장의 '히든카드'], OSEN, 2012년 8월 4일.</ref> [[한국방송공사|KBS]]의 리듬체조 해설가인 [[김윤희 (체조 선수)|김윤희]]와는 부부관계이다.
         {{2012년 하계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리스트}}
         [[분류:198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펜싱 선수]][[분류:올림픽 펜싱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분류:2004년 하계 올림픽 펜싱 참가 선수]][[분류:2008년 하계 올림픽 펜싱 참가 선수]][[분류:2012년 하계 올림픽 펜싱 참가 선수]][[분류:2012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동의대학교 동문]][[분류:오성고등학교 동문]][[분류:대구중학교 동문]][[분류:대구영선초등학교 동문]][[분류:아시안 게임 펜싱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펜싱 참가 선수]][[분류:2006년 아시안 게임 펜싱 참가 선수]][[분류:2010년 아시안 게임 펜싱 참가 선수]][[분류:2014년 아시안 게임 펜싱 참가 선수]][[분류:2006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0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4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은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동메달리스트]]
  • 육홍균 . . . . 10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독립유공자|독립운동가]], [[정치인]]이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후보로 경상북도 선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국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리고 민주국민당 중앙상무위원을 역임하였다. 1953년 자유당에 입당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김우동]]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신준원]]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구미시 출신 인물]]
  • 윤민수 (가수) . . . . 10회 일치
         '''윤민수'''(尹敏洙, [[1980년]] [[2월 27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며, [[음악 그룹|그룹]] [[바이브 (음악 그룹)|바이브]]의 멤버이다.
         * [[2015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 |SBS]] 《[[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
         * [[2016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 |SBS]] 《[[정글의 법칙]]》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8년 데뷔]][[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R&B 가수]][[분류:2010년대 가수]][[분류:2000년대 가수]][[분류:나는 가수다에 출연한 가수]][[분류:파평 윤씨]][[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음악 프로듀서]][[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이덕진 (가수) . . . . 10회 일치
         | 국적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이덕진'''([[1967년]] [[10월 22일]] ~)은 [[대한민국]]의 [[가수]], [[작사가]], [[작곡가]]이다.
         * [[1992년]] :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 |SBS]] 《꾸러기카메라》
         * [[2015년]] :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 |SBS]] 《[[불타는 청춘 (텔레비전 프로그램)|불타는 청춘]]》
         [[분류:196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88년 데뷔]][[분류:하이원 서울가요대상 신인상 수상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록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총신대학교 동문]]
  • 이상휘 . . . . 10회 일치
         [[대한민국]]의 대학교수이자 전 정치인이다. 현재 [[세명대학교]] 교수다.
         [[2009년]] 3월에 [[이명박정부]]로부터 [[청와대]] 춘추관 관장 및 청와대 홍보기획비서관으로 임명되어 정계에 입문했다. 이후, [[친이|친이계]]로 분류되기 시작했다. [[2012년]]에는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포항 북 지역구로 공천을 신청했으나 [[친박계]]에 의해 공천에서 탈락했다. 이후 [[2014년]]에는 청와대 홍보기획비서관으로 임명되었다. [[2016년]]에는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을 앞두고 [[새누리당]]에서 공천을 받아 [[동작구 갑]]으로 출마했지만 국정원장이었던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병기(정치인)|김병기]]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이후 같은 해 10월에는 [[이정현(정치인)|이정현]] 대표에 의해 새누리당 원외대변인으로 임명되었지만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진 이후, 대변인직에서 사임했다. 이후 [[비박]]계 모임인 [[비상시국회의]]에 참여했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tablealign=center><rowbgcolor=#C9151E>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서울]] [[동작구 갑]]) || [[새누리당]] || 38,045(34.71%) || 낙선 (2위) || ||
         [[분류:교수]]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 [[분류:1963년 출생]] [[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 이원만(1904) . . . . 10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기업인]], [[정치인]]이다. 호는 오운(五雲)이다. 회재 [[이언적]]의 15대손이다. 본관 [[여강 이씨]].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상북도]] 선거구에 [[민주당(1955년)|민주당]]으로 출마하여 [[참의원]](경상북도)에 당선되었다. 그러나 [[5.16 군사정변]]으로 [[박정희]]가 집권하자 1963년에 [[대구광역시|대구시]] [[동구(대구)|동구]]에서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 소속으로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다가 [[신민당(1967년)|신민당]] [[김정두(1918)|김정두]] 후보에 밀려 낙선한 이후로는 기업 경영에 전념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포항시 출신 인물]][[분류:1904년 출생]][[분류:1994년 사망]]
  • 이홍우(1959) . . . . 10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 [[분류:사회운동가]] [[분류:정의당 소속]] [[분류:구미시 출신 인물]] [[분류:1959년 출생]][[분류:민주노동당 출신]]
         || '''경력''' ||[[민주노총]] 사무총장[br][[진보정의당]] 최고위원[br][[정의당]] 노동위원장[br][[현대자동차]]서비스노동조합위원장[br][[심상정]] 대통령후보 노동선대본부장[br][[정의당]] 경기도지사 후보 ||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전 노동운동가이다.
         그 후 [[민주노동당]]에 입당하여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고양시]] [[일산구]] 을 선서구에 출마했지만, [[한나라당]] [[김영선(1960)|김영선]] 후보에게 패배하였다.
         [[2017년]]에는 [[심상정]] [[정의당]] 대통령후보 캠프에서 노동선대본부장으로 선임되었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경기도지사에 출마했지만 4위로 낙선했다.
         == 선거 이력 ==
         ||<tablealign=center><rowbgcolor=#FFCC00>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고양 일산 을) || [[민주노동당]] || 7,062(6.1%) || 낙선(3위) ||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기도지사) || [[정의당]] || 151,871(2.5%) || 낙선(4위) || ||
  • 정장식 . . . . 10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공무원]], [[정치인]]이다. [[종교]]는 [[개신교]]이다.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상북도 포항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현직 시장인 [[자유민주연합]] [[박기환(정치인)|박기환]]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한나라당 후보로 포항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04년 개신교계의 포항 성시화 운동에 몰두하여 종교편향 논란이 있었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한나라당의 경상북도지사 후보 [[경선]]에 참여하였으나 [[김관용]] [[구미시]]장에 밀려 탈락하였다.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중앙공무원교육원(현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원장을 지냈다.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한나라당의 경상북도지사 후보 경선에 참여하였으나 현직 도지사인 김관용에 밀려 탈락하였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공천]]에서 [[김형태(정치인)|김형태]]에 밀려 탈락하자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포항)|남구]]-[[울릉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누리당 김형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 조긍하 . . . . 10회 일치
         '''조긍하'''(趙肯夏, [[1919년]] [[8월 16일]] ~ [[1982년]] [[1월 28일]])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영화감독]]이다. 본관은 [[풍양 조씨|풍양]](豐壤)이며 [[아명|아명(兒名)]]은 '''조중하'''(趙重夏)이다.
         [[분류:일제 강점기의 성악가]][[분류:일제 강점기의 피아노 연주자]][[분류:대한민국의 사진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각본가]]
         [[분류:대한민국의 영화 제작자]][[분류:대한민국의 영화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음악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작가]][[분류:1942년 데뷔]][[분류:투자가]][[분류:자유 연애]][[분류:대한민국의 연출가]][[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구니타치 음악대학 동문]][[분류:1919년 태어남]][[분류:1982년 죽음]][[분류:심장질환으로 죽은 사람]][[분류:풍양 조씨]]
  • 진헌식 . . . . 10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후보로 충청남도 연기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국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다가 무소속 이긍종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1년 12월부터 1952년 8월까지 관선 [[충청남도지사]]를 지냈다. 충청남도지사 임기 중이던 1952년 5월부터 1952년 8월까지 [[충남대학교]] [[총장]] [[서리]]를 [[충남대학교/역사|겸직하였다]]. 이어서 1952년 8월부터 1953년 5월까지 내무부(현 [[행정자치부]]) [[장관]]을 지냈다가 [[곡물]] 관리상의 문제로 경질되고 구속되었다가 [[대법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류지원]]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충청남도 [[참의원]]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세종특별자치시 출신 인물]]
  • 최수환 . . . . 10회 일치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아호|호]]는 우촌(友村)이다. [[종교]]는 [[개신교]]이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 [[전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제13번)으로 당선되었다. 1984년 말 [[홍사덕]], [[김현규]], [[서석재]], [[허경만]], [[박관용]], 손정혁, [[김찬우(1933)|김찬우]] 등과 민주한국당 탈당 선언을 하고 [[신한민주당]]에 입당하였다. 그러나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민주당 후보로 경상북도 포항시-영일군-[[울릉군]] [[선거구]]에 출마하였다가 [[민주정의당]] [[박경석(1937)|박경석]] 후보와 민주한국당 [[서종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경상북도 포항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이진우(1934)|이진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경상북도 포항시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1991년)|민주당]] [[박기환(정치인)|박기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 트로피코 4/칙령 . . . . 10회 일치
         === 조기선거 ===
         트로피코는 민주주의 국가이므로 대통령 각하가 원하는 때에 선거할 수 있다. 정책 시행 1년 후 선거를 시작한다. 연설을 동반한 선거를 할 것인지, 그냥 선거를 할 것인지 정할 수 있다.
         과거 베네수엘라 대통령이었던 우고 차베스가 출연했던 TV쇼 [[알로 프레지덴테|https://en.wikipedia.org/wiki/Al%C3%B3_Presidente]]가 모티브로 보인다.
         대통령 각하의 참된 사상을 책으로 펴서 가르친다. 모든 무학력자의 존경심이 3년간 유지되며 최대 10명의 시민이 충성파가 된다. 지식인 진영의 존경심은 3년간 하락한다.
         트로피코 뉴스 투데이에 따르면 1등상은 대통령 각하의 사진으로 보인다. 2등상은…….
         말 그대로 계엄령을 때려버린다. 범죄율, 자유도, 관광평가, 생산력이 감소하며 OSCC의 개입이 없는 이상 선거가 일어나지 않는다.
  • That 70's show . . . . 9회 일치
         시즌 1 에피소드 1은 1976년 5월 17일로 되어 있다. 1시즌에서 [[제럴드 포드]]가 재선을 위해서 공화당원들을 모아서 선거 운동을 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로 보아서 1시즌은 미국 대통령 선거가 있었던 1976년으로 보인다. 1시즌 후반부에는 [[스타워즈]](1977년작)가 개봉되어 보러 가는 에피소드가 있다. 그리고 최종회는 1970년대의 마지막 밤을 지나서, 1980년대가 밝아오면서 끝난다.
         [[제럴드 포드]]가 대통령 재선을 위하여 포인트 플레이스에 선거 유세를 하러 온다. 대통령이 온다는 소식에 키티는 엄청나게 흥분하고, 밥 핀시오티, 재키 아버지 등 마을 유지들의 위원회는 대통령에게 질문을 던질 '일반 시민'으로 레드를 선정한다. 한편, 에릭과 하이드, 켈소, 페즈는 항의 시위로서 알몸으로 벗고 달리는 스트리킹 시위를 하기로 결심한다.
         선거 유세장에서 도나는 아빠가 부끄러운 옷을 입히려고 하는 탓에 나가지 않고 싶어하지만, 키티의 조언을 듣고 나가기로 결심하여, 부모님과 나란히 성조기 모양 옷을 입고 서있게 된다.
         결국 선거 연설이 시작, 제럴드 포드는 유세장에 들어오면서 세 번이나 엎어진다(…). 레드는 지명을 받아 나와서 제럴드 포드에게 질문을 던지게 됐는데,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해야 할지 미리 지정된 질문을 해야 할지 고민에 빠져 말을 더듬게 된다.
  • 강원래 . . . . 9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강원래'''(姜元來, [[1970년]] [[1월 28일]] ([[1969년]] [[음력 12월 21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분류:1970년 태어남]][[분류:부산광역시 출신]][[분류:1990년 데뷔]][[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테크노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래퍼]][[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김성재]][[분류:나사렛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장애인]][[분류:지체 장애인]][[분류:장애인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고아성 . . . . 9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고아성'''(高我星<ref>{{뉴스 인용|저자=김지윤|제목=고아성 “영화 ‘여행자’ 찍으면서 다리가 굵어졌어요~” (인터뷰 ②)|url=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0910211709321003|날짜=2009-10-22|확인날짜=2016-01-09|뉴스=뉴스엔}}</ref>, [[1992년]] [[8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고아성은 6살 때인 1997년 길거리 캐스팅을 통해 외환카드 광고 아역 모델로 연예계 데뷔했다.<ref>{{뉴스 인용 |제목 ='자체발광' 고아성 "은호원으로 희로애락 다 펼쳐…시즌2 희망" |url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9268211|출판사 =연합뉴스 |저자 =이정현|날짜 = 2017-05-16|확인날짜 =2017-09-07}}</ref> 이후 그는 2004년 어린이 드라마 《[[울라불라 블루짱]]》의 타이틀롤을 맡아 배우로서 정식 데뷔했다. 2006년 [[봉준호]] 감독의 영화 《[[괴물 (2006년 영화)|괴물]]》에서 박강두([[송강호]])의 딸 역을 연기하며 이름을 알렸다. 그의 연기는 평단의 호평을 받아 대한민국영화연기대상 영스타상,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 [[디렉터스 컷 시상식]] 올해의 신인연기자상을 수상하였다.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남선녀 홍보모델 위촉
         | 제5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 제1회 대한민국 영화연기대상
         [[분류:199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어린이 배우]]
  • 구자춘 . . . . 9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2, top1=대한민국 국군/인물, top2=정치인/목록)]
         [[대한민국]]의 전 관료, 정치인이다. 호는 취산(翠山)이다.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직후인 1978년 12월 22일부터 1979년 12월 14일까지 내무부(현 [[행정자치부]]) 장관을 지냈다. [[10.26 사건]] 당시 [[육군본부]] 국무회의에 참석하였다.
         1987년 [[김종필]]이 [[신민주공화당]]을 창당하자 입당하였다. 이듬해인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달성군]]-[[고령군]] 지역구에 [[신민주공화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신민주공화당이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으로 통합되고 나서,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달성군]]-[[고령군]] 지역구에 [[민주자유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달성군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대한민국의 장관]][[분류:대한민국의 자치단체장]]
  • 김민교 (가수) . . . . 9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국적 = 대한민국
         '''김민교'''([[1967년]] [[1월 16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분류:대한민국의 팝 록 가수]][[분류:건국대학교 동문]][[분류:1967년 태어남]][[분류:1989년 데뷔]][[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박경석(1937) . . . . 9회 일치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인]]이다. 호는 화담(和潭)이다. [[종교]]는 [[불교]]이다.
         1981년 초 민주정의당 대변인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3월 치러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전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이진우(1934)|이진우]] 대신 민주정의당 후보로 경상북도 포항시-영일군-[[울릉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한국당]] [[서종렬]]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8년 [[노태우]]의 [[전두환]] 색깔 지우기로 인하여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공천]]에서 탈락하였다. 이후 [[국정교과서(기업)|국정교과서]] [[사장]]에 임명되었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통일국민당]] 후보로 경상북도 영일군-울릉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자유당 [[이상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4년부터 1997년까지 [[대한지적공사]] [[사장]]을 역임하였다. 1998년부터 [[배재대학교]] 행정학과 객원[[교수]]로 근무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기자]][[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 박소희 (만화가) . . . . 9회 일치
         '''박소희'''([[1978년]] [[3월 24일]] ~ )는 [[대한민국]]의 [[만화가]]이다.
         * [[2003년]] 대한민국 만화대상 신인상
         * [[2003년]] 대한민국 만화대상 인기상
         * [[2004년]] 대한민국 만화대상 인기상
         * [[2005년]] 대한민국 만화대상 인기상(중복 수상)
         * [[2006년]] 대한민국 만화대상 인기상(3회 중복 수상)
         * [[2009년]] 대한민국 만화대상 인기상(통산 4회 중복 수상)
         [[분류:197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만화가]][[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공주대학교 동문]]
  • 박승호 (야구인) . . . . 9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프로 입단 연도 = [[1983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1983년]]
         [[대건고등학교]]와 [[건국대학교]]를 졸업한 뒤 [[병역|군복무]]를 위해 [[대한민국 공군|공군]] 소속의 성무 야구단에 입단하여 야구 선수 생활을 했다.
         군 복무를 마친 뒤 [[1983년 한국프로야구 신인선수 지명회의|1983년 신인 드래프트]]를 통해 연고 팀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하였다. [[1990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1990 시즌]]에는 [[지명 타자]]로서 110경기에 출전하여 0.307의 [[타율]], 75 [[타점]], [[홈런]] 20개, 0.505의 [[장타율]]을 기록하였고, [[한국 프로 야구 골든 글러브 수상자 (지명 타자)|골든 글러브 지명 타자 부문]]을 수상하며 자신의 선수 경력에 있어 커리어 하이를 찍었다. 하지만 [[1990년]]을 제외한 나머지 시즌에선 대체로 2할 중후반대의 타율과 4할대의 장타율을 기록하며 아주 뛰어난 선수로 기억될 만큼의 활약은 펼치지 못했다. 그는 비록 1980년대 함께 뛰었던 팀 동료 [[이만수]], [[장효조]], [[김성래]]와 같은 커다란 업적을 남긴 수퍼 스타는 아니었지만 그래도 팀에서 꾸준히 제 역할을 한 선수로서 통산 11시즌을 보내고 현역에서 은퇴하였다.<ref>[[매일신문]] - 2009년 8월 기사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37060&yy=2009 "삼성 ‘골고루 한방’이 4강권 이끈다"]</ref>
         [[2000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2000 시즌]]부터 박승호는 [[SK 와이번스]]로 팀을 옮겨 4년간 타격코치로서의 일을 계속 이어 나갔고, [[2004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2004 시즌]]부터는 팀을 옮겨 [[KIA 타이거즈]] [[김성한 (1958년)|김성한]] 감독, [[서정환]] 수석코치의 지휘 아래 타격코치 생활을 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28&aid=0000027357 기아 김성한 감독 재계약 :: 네이버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0481897 <프로야구소식> 박관용 국회의장, KS 1차전 시구 :: 네이버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11&aid=0000009800 KIA, 서정환 2군감독 1군코치 임명 :: 네이버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09&aid=0000009720 최하위 기아 코칭스태프 개편 :: 네이버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 [[2006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2006 시즌]]이 시작되기 전에는 [[KIA 타이거즈]] 코칭 스태프 개편을 통해 [[서정환]]이 감독으로, 박승호가 수석 코치로 승격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1&aid=0001190864 <프로야구소식> KIA, 코칭스태프 보직 확정 :: 네이버 뉴스<!-- 봇이 따온 제목 -->]</ref> [[2007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2007 시즌]] 전반기에는 팀 성적이 최하위에 머물면서 6월에 대대적인 코칭 스태프 개편이 있었고, 수석 코치로 있었던 박승호는 2군 감독으로 보직이 이동되었다.<ref>[[마이 데일리]] - 2007년 6월 기사 [http://www.mydaily.co.kr/news/read.html?newsid=200706181438192229 "KIA, 조범현 전 SK 감독 영입 등 코칭 스태프 개편"]</ref><ref>[[한겨레]] - 2007년 6월 기사 [http://www.hani.co.kr/arti/sports/baseball/216991.html "기아 1·2군 코치진 맞교체… “분위기 쇄신” 효과 관심"]</ref> 2007 시즌이 끝날 때까지 끝내 최하위에서 벗어나지 못한 [[KIA 타이거즈]]는 시즌 후 [[서정환]] 감독을 경질하였고, [[2007년]] 시즌 중 배터리 코치로 영입했다가 새로 선임한 [[조범현]] 감독이 코칭 스태프를 새로 구성하면서 그는 구단과 재계약하지 못했다.<ref>[[스포츠 칸]] - 2007년 10월 기사 [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0710212230173&sec_id=510201 "조범현 감독 KIA 코치진 물갈이"]</ref> 하지만 그가 키워냈던 [[이용규]]는 국가대표 외야수로 우뚝섰다.
         [[2010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 올스타전|한국 프로 야구 2010 시즌 7월, 올스타전]]이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대구구장]]에서 치뤄지면서 "[[삼성 라이온즈]] 레전드 올스타" 행사도 열렸는데, 박승호가 레전드 [[지명타자]]로 선정되어 오랜만에 [[삼성 라이온즈]]의 고전 유니폼을 입고 모습을 드러내기도 하였다.<ref>[[스포츠 서울]] - 2010년 7월 기사 [http://news.sportsseoul.com/read/baseball/857634.htm "올스타전, 팬들에게 추억을 선사한 레전드 행사"]{{깨진 링크|url=http://news.sportsseoul.com/read/baseball/857634.htm }}</ref><ref>엑스포츠 뉴스 - 2010년 7월 기사 [http://xportsnews.hankyung.com/?ac=article_view&entry_id=123489 "이만수, 김성래… 삼성 레전드 등장에 대구 야구 팬 열광"]</ref>
  • 배기철(정치인) . . . . 9회 일치
         [[대한민국]]의 [[공무원]] 출신 [[정치인]]이다. 당적은 [[자유한국당]]이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자유한국당 [[공천]]을 받았고 본선에서 현직 [[구청장]]인 [[바른미래당]] [[강대식]]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tablealign=center><rowbgcolor=#C9151E>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대구 동구청장) || [[자유한국당]] || '''62,891 (37.38%)''' || '''당선 (1위)''' || ||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송병구 . . . . 9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메달 나라|{{국기나라|대한민국}}}}
         '''송병구'''(宋炳具, [[1988년]] [[8월 4일]] ~ )는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자 [[프로게임단]] 코치로, 전 [[삼성 갤럭시 (프로게임단)|삼성 갤럭시]] 소속의 [[프로토스]] 유저이다. 아이디는 '''Stork''' 이다.
         * [[2006년]] 2005 대한민국 e-SPORTS 대상 신인상
         * [[2008년]] 2007 대한민국 e-SPORTS 대상 최다승상
         * 2008년 2007 대한민국 e-SPORTS 대상 프로토스 최우수선수상
         [[분류:198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분류:대한민국의 e스포츠 코치]][[분류:삼성 갤럭시 (e스포츠)의 선수]][[분류: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분류:스타리그 우승자]][[분류:스타크래프트 개인리그 10-10 클럽]][[분류:포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프로토스 선수]][[분류: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 안지만 . . . . 9회 일치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출신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대표국가 = 대한민국
         {{메달 나라|{{국기나라|대한민국}}}}
         {{2010년 아시안 게임 야구 대한민국 선수 명단}}
         {{2014년 아시안 게임 야구 대한민국 선수 명단}}
         [[분류:198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선수]][[분류:KBO 리그 투수]][[분류:KBO 홀드상 수상자]][[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야구 메달리스트]][[분류:2010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4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분류:2010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분류:2014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순흥 안씨]][[분류:대구칠성초등학교 동문]][[분류:경운중학교 (대구) 동문]][[분류:대구상업고등학교 동문]]
  • 이관섭 (1961년) . . . . 9회 일치
         |국가 = {{국기|대한민국}}
         |대통령 = [[박근혜]]
         |출생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이관섭'''(李官燮, [[1961년]] [[7월 12일]] ~, [[대구광역시|대구]])은 대한민국의 공기업인이다.
         * 1996년 4월 ~ 2000년 10월 : 총괄조정관실, 교육문화수석실, 대통령비서실 행정관(서기관)
         * 2008년 3월 ~ 2009년 9월 : 대통령실 실장 선임행정관
         |직책 = [[대한민국의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
         [[분류:196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산업통상자원부 차관]][[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경영대학 동문]][[분류:하버드 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이기백(군인) . . . . 9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군인]] [[분류:세종특별자치시 출신 인물]][[분류:1931년 출생]]
          * [[대한민국 국군/인물]]
         ||<:><-5><tablealign="center"><tablewidth=500> [[대한민국 육군]]의 [[제2작전사령관]] ||
         |||||||||| [[대한민국 국군]]의 [[합동참모의장]]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0000><#FF0000><-5><:> {{{#FFFFFF ''' 대한민국 ''' }}} {{{#FFFFFF ''' 국방부 ''' }}}{{{#FFFFFF ''' 장관 ''' }}} ||
         [[1931년]] [[충청남도]] 연기군(現 [[세종특별자치시]])에서 태어났다. [[전두환]], [[노태우]]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과는 [[육군사관학교]] 11기 동기이다.
         [[1983년]] [[6월]] [[김윤호]]의 뒤를 이어 [[합동참모의장]]이 되었다. 합동참모의장으로 있던 [[1983년]] [[10월]] 전두환 대통령과 함께 버마(現 [[미얀마]])에 갔다가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로 인해 부상을 당하였으나, 다행히 그가 입고 있던 [[장교]] [[정복]]과 정복에 달린 [[훈장(상훈)|훈장]]이 [[방탄복]] 역할을 하여 살아남았다. 그리고 수행했던 [[전속부관]] [[전인범]] [[중위]]에 의해 구조되었다. 귀국 후 그 정복을 육군사관학교에 기증하여 육군사관학교 내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 이소선 . . . . 9회 일치
         '''이소선'''(李小仙, [[1929년]] [[12월 30일]] ~ [[2011년]] [[9월 3일]])은 대한민국의 [[노동운동|노동운동가]]이자 민주화 운동가이다. 1970년 11월 13일 아들인 [[전태일]]이 [[평화시장]] 노동조건 향상을 위해 활동하다 분신하자 이를 계기로 노동운동에 투신하였다. 노동운동가들을 자신의 자식처럼 대해 "노동자들의 어머니"라는 별칭을 얻었다.<ref>[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494717.html 노동자의 대모 이소선씨 별세], 한겨레, 2011년 9월 3일</ref> 민주화 운동 중에 희생된 사람들의 가족 모임인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를 만들고 초대 회장을 역임하였다.
         아들 전태일의 죽음 후 이소선은 아들의 뜻을 실현하기 위해 헌신하였다. 11월 18일 장례를 치르고 11월 27일 [[청계피복노동조합|전국연합노조 청계피복지부]]를 결성하였다. 청계피복노조는 1998년 [[서울의류노동조합]]과 합쳐져 해산할 때까지 대한민국 노동운동의 상징이었다.<ref name="민족문화대백과">[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8924 청계피복노조], 민족문화대백과사전</ref>
         청계피복노조는 1972년에는 새마을노동교실을 열었고 1975년에는 노동시간 단축투쟁을 벌였으며 1980년 [[전두환]] 정권이 강제 해산 시켰지만 법외 노조로서 버텼다. 1985년 대우어페럴 노조에서 시작된 [[구로동맹파업]]에도 적극 참여하였고, 1986년에는 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하는 민주화 운동에 앞장섰다. 청계피복노조는 1988년 다시 합법화 되었다.<ref name="민족문화대백과" />
         이소선은 또한 민주화 운동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1975년 박정희 정권이 [[인혁당 사건]]을 조작하고 관련자들을 서둘러 사형시킨 뒤 화장시키려 하자 그 앞을 막아선 사람도 이소선이었다. 이소선은 헌옷을 팔아 생계를 꾸리면서도 노동운동가나 민주화 운동가가 수배를 당하면 그를 숨겨주고 먹이고 재웠다. 수 많은 민주화 운동 활동가들이 이소선의 도움을 받았으며 그로인해 훗날 대통령이 된 [[김대중]]에서 부터 평화시장의 어린 시다까지 이소선을 어머니라 불렀다.<ref>[http://www.redian.org/archive/40703 이소선 기억하기‘어머니’의 길이 일군 여성의 역사], 레디앙, 2012년 9월 4일</ref> 전태일의 장례를 도왔던 [[장기표]]가 수배 받아 장독대에 숨겼고 [[조영래]]를 숨겨줄 때에는 주변으로부터 다 늙어 서방질을 한다는 오해까지 받았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045932 수배범 장기표 구해낸 이소선의 임기응변], 오마이뉴스 연재 - 이소선 평전 <어머니의 길> (54), 2014년 11월 4일</ref> 이소선의 판잣집을 거쳐간 사람들은 훗날 대통령이며 장관이 되기도 했지만 이소선은 늘 현재의 노동자 편에 서고자 했다.<ref name="경향46" /> 또한 1986년에는 민주화유가족협의회를 결성하고 초대 회장을 역임하였다.<ref name="연표" />
         이소선은 노동운동과 민주화 운동 과정에서 희생된 수 많은 사람들의 장례위원을 지내기도 하였다. 2003년 두산중공업의 노동자 [[배달호]]가 분신 사망하였을 때에도 장례위원을 지냈고<ref>[http://news.hankyung.com/article/2003031462508 분신 고 배달호씨 전국노동자葬 거행], 한국경제, 2003년 3월 13일</ref>,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장례에도 장례위원을 지냈다. 이소선은 [[원진레이온]] 사태 때부터 노무현과 인연을 맺었고, [[이석규 장례투쟁]]에서는 함께 장례위원을 지내기도 하였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5271756105 2009 특별기획" 이소선의 80년, 살아온 이야기 (61) - “살지, 살아서 싸우지 왜 죽어”], 경향신문, 2009년 5월 27일 </ref>
         [[분류:대한민국의 노동 운동가]][[분류:2011년 죽음]][[분류:전태일]][[분류:1929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인권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
  • 이원형(1951) . . . . 9회 일치
         [[대한민국]]의 교육자, [[정치인]]이다. 자는 치언(致彦), 호는 청고(靑顧)이다. [[종교]]는 [[불교]]이다.
         [[1991년 지방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대구직할시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1995년까지 역임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정창화(정치인)|정창화]]와의 [[공천]] 경합에서 승리하여 [[신한국당]] 후보로 [[대구광역시]] [[수성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민주연합]] [[박철언]]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한나라당 중앙당 부대변인에 임명되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전국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2001년 한나라당 복지대책분과위원회 위원장에 임명되었다. 2002년 한나라당 원내부총무에 임명되었다. 2003년부터 2004년까지 한나라당 제3정책조정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 이윤열 . . . . 9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구미시]]
         * 2003년 2003 대한민국 게임대상 우승 게이머상
         * 2006년 2006 대한민국 e-SPORTS 대상 테란 최우수선수상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리그}}
         [[분류:198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분류: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분류:KT 롤스터의 선수]][[분류:위메이드 폭스의 선수]][[분류:Old Generations의 선수]][[분류:SK 게이밍의 선수]][[분류:테란 선수]][[분류:스타리그 우승자]][[분류:골든마우스 수상자]][[분류:MSL 우승자]][[분류:MSL 금배지 수상자]][[분류:로열로더]][[분류:스타크래프트 개인리그 10-10 클럽]][[분류:구미시 출신]][[분류:인하대학교 동문]]
  • 정경식 . . . . 9회 일치
         1937년에 경상북도 고령에서 태어난 정경식은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이건개 전 대전고검장, 송종의 전 대검 차장 등과 함께 제1회 [[사법시험]]에 합격해 [[박정희 정부]]와 [[5공화국]]에서 <신국가보안법>이라는 책을 저술할 정도로 공안검사로서 최고의 평가를 받다가 서울지검 공안부에서 재직하던 1979년 10월 27일에 [[10.26 사건]]으로 서울지검 특수부와 계엄사령부 합동수사본부에 파견되어<ref>경향신문 1979년 10월 27일자</ref> [[12.12 사태]]로 연행된 [[정승화]] 육군 참모총장을 조사하는 등 [[5공화국]] 출범 때인 서울지검 특수2부장으로 있던 1980년 5월말 [[국보위]] 사회정화위원회에서 공무원을 정화하는 사회정화위원을 했다. 1983년 8월 12일에 서울지검 3차장 검사를 거쳐 부산지검장에 재직하던 1992년에는 지역감정 조장과 국가기관의 선거 개입 논란을 부른 [[초원복집 사건]]에 연루될 뿐만 아니라 대통령 선거 직후에 "송종의, 최명부 검사와 함께 [[민청학련 사건]]에서 가혹행위를 했다"며 "검찰 요직에 임명해서는 안된다"는 야당인 [[민주당 (대한민국, 1991년)]]의 주장<ref>매일경제 1993년 9월 18일자</ref>에 의해 대검찰청 공판송무부장, 법무연수원 기획부장으로 전보되는 등 인사상 불이익을 받았으나 서울지검 특수부장, 대검찰청 공안부장, 청주지검장, 대구고검장 등을 역임하다 검찰 출신으로서 [[김영삼]] 대통령에 의해 [[헌법재판관]]에 임명되었다.<ref>[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07569.html]</ref> 하지만 [[대한변호사협회]]로부터 1994년 9월 16일에 "유신체제 아래에서 공안검사로 있으면서 [[김영삼]] 신민당 총재의 1979년 7월 23일 국회 본회의 발언을 [[신민당]] 기관지 <민주전선>에 게재한 민주전선 주간인 [[문부식]]<ref>동아일보 1979년 7월 31일자경향신문 1979년 7월 31일자 8월 18일자</ref>과 <어떤 조사>를 쓴 [[한승헌]] 변호사<ref>동아일보 1975년 8월 28일자</ref>, 우도 간첩 사건<ref>동아일보 1973년 7월 3일자</ref>, 교포학생 김승효, 삼천포 간첩단 사건, 예비역 장교 등에 의한 내란음모사건<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501310020920101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5-01-31&officeId=00020&pageNo=1&printNo=16410&publishType=00020 동아일보 1975년 1월 31일자</ref>, [[통일혁명당 사건]], [[남민전 사건]] 등을 수사하면서 [[민주화운동]]과 인권회복을 위해 노력한 많은 시민과 학생을 [[긴급조치]] 위반 등으로 구속하고 [[신군부]]의 국보위 산하 사회정화위원회에서 공무원을 정화하는 등의 민권억압을 한 전력이 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102000329201009&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88-10-20&officeId=00032&pageNo=1&printNo=13253&publishType=00020 경향신문 1988년 10월 20일자]</ref>며 "자진 사퇴하라"는 비판을 받았다.<ref>한겨레 1994년 9월 17일자 경향신문 1995년 11월 28일자</ref> [[박정희 정부]]에서 시국사건으로 재판을 받는 구속자 가족들이 정경식 검사를 향해 야유를 보내면 검사석에서 벌떡 일어나 매서운 눈초리로 방청석을 노려보곤 했다.<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3061400289105001&editNo=5&printCount=1&publishDate=1993-06-14&officeId=00028&pageNo=5&printNo=1589&publishType=00010 한겨레 1993년 6월 14일자]</ref> 1999년 2월 공직자 재산 공개에서 전년 대비 "8천902만원이 늘었다"고 신고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4418788]</ref> 1980년 [[5·16민족상]] 안전보장 부문 후보자로 선정됐다.<ref>동아일보 1980년 5월 9일자</ref>
         [[분류:고령군 출신]][[분류:193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변호사]][[분류:대한민국의 지방검찰청 검사장]]‎ [[분류:대한민국의 고등검찰청 검사장]][[분류: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 재판관]]
  • 정동진 (1946년) . . . . 9회 일치
         * [[대한민국 해병대|해병대]]
         |대표국가 = 대한민국
         {{메달 나라|{{국기나라|대한민국}}}}
         '''정동진''' (鄭東鎭, [[1946년]] [[4월 23일]] - )은 [[대한민국]]의 야구 감독이다.
         {{1971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선수 명단}}
         {{1969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선수 명단}}
         [[분류:태평양 돌핀스 감독]][[분류:삼성 라이온즈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야구 해설자]][[분류:대한민국의 야구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4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상업고등학교 동문]]
  • 정정아 . . . . 9회 일치
         |출생지=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정정아'''([[1977년]] [[2월 13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희극 배우|희극인]]이다.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출생한 그녀는 [[1995년]] [[연극배우]] 첫 데뷔하였고 이듬해 [[1996년]] [[뮤지컬 배우]] 데뷔하였으며 그녀의 현재 거주지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시]]이다.
         [[분류:1977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희극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1995년 데뷔]][[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포항시 출신]][[분류:세종대학교 대학원 동문]]
  • 정해창(정무직공무원) . . . . 9회 일치
         [[대한민국]]의 법조인, [[정치인]]이다. 여담으로 두 동생 정해왕, 정해방 등과 함께 김천시의 3수재로 유명하다.
         고등고시(제10회) 사법과 및 행정과에 합격하여 1962년부터 [[검사(법조인)|검사]]로 근무하였다. 1982년부터 1985년까지 [[대한민국 법무부|법무부]] [[차관]]을, 1985년부터 1986년까지 [[사법연수원]] [[원장]] 등을 지냈다. 1987년 5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의 수습 차원에서 [[김성기(1935)|김성기]] [[대한민국 법무부|법무부]][[법무부 장관|장관]]이 경질되자 후임 [[장관]]으로 임명되어 1988년 12월까지 역임하였다.
         법무부장관 퇴임 후인 1989년 [[한국형사정책연구원]]을 설립하였다. 1990년부터 1993년 초까지 [[청와대]] [[대통령비서실]][[대통령비서실장|장]]을 역임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북도 김천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한국당]] [[임인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진종채 . . . . 9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군인]]
          * [[대한민국 국군/인물]]
         |||||||||| [[대한민국 육군]]의 [[제2작전사령관]] ||
         [[대한민국]]의 전 [[군인]]. 예비역 대장.
         [[제8보병사단|8사단장]], [[정보사령부|정보사령관]] 등을 맡다 [[1973년]] [[윤필용 사건]]으로 윤필용이 물러나자 [[수도방위사령부|수도경비사령관]]에 임명되었다. 이때 하나회를 뿌리뽑으려는 [[강창성]] [[국군기무사령부/사령관|육군보안사령관]]을 견제하기 위해 [[박정희]]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에게 육군보안사령부가 [[휘발유]]를 불법으로 판매한다고 보고했다. 이로 인해 강창성을 3관구사령관으로 좌천됐다.
         [[1975년]] [[국군기무사령부/사령관|육군보안사령관]]에 임명되었다. 이후 [[1977년]] 육군보안사령부를 국군보안사령부로 확대 개편하였다. 그런데 [[1977년]] 대대장 월북 사건을 납북이라고 거짓 보고하였다가 박정희 대통령의 분노를 샀다. 그리고 [[중앙정보부]]에 파견된 [[김기춘]] [[검사(법조인)|검사]]에 의해 국군보안사령부의 정보처가 폐지되는 등의 국군보안사령부 축소안이 실행되었다. 또한 본인이 권력지향형 인물이 아니어서 보안사 권력 확장에 그닥 관심이 없었다고 한다.
         대대장 월북 거짓 보고 사건의 여파로 [[1979년]] [[제2작전사령관|제2군사령관]]으로 보직 이동했다. 보안사령관 후임자로 전두환을 적극 추천하였고, 갓 소장에 진급한 전두환이 핵심 요직인 보안사령관에 임명되면서, 이 결정은 나비효과처럼 12.12 군사반란으로 이어지게 된다. 10.26 사태 후 규정에 의거하여 보안사령관이 대통령 시해 합동수사본부장이 됨으로써 전두환의 권력 장악 시나리오가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 현정건 . . . . 9회 일치
          | 직책 = 前 [[대한민국 임시 정부|대한 임정]] 예하 의정원 경상도 의원
          | 대통령 = [[이승만]]
         조선 [[대한제국 고종|고종(高宗)]] 24년([[1887년]])에 [[대구광역시|대구(大邱)]]에서 현경운(玄炅運)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일찍 독립운동에 투신하여 [[1910년]]에 중국으로 유학, [[상하이 시|상하이]]에서 수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의 [[임시의정원|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에서 이규홍(李奎洪) 등과 함께 1919년 9월 17일 경상도 의원으로 보선되었다. [[1920년]]에 상하이 주재 [[고려공산당|고려공산당(高麗共産黨)]]에 입당하였고 [[1922년]] 10월 20일에 열린 베르프네우딘스크(Verkhneudinsk) 회의<ref group="설명">이동휘의 상하이 고려공산당과 김철훈ㆍ안병찬의 이르쿠츠크 고려공산당의 경쟁을 완화하고 두 세력을 합치기 위해 코민테른에서 그들에게 베르프네우딘스크에서 연합대회를 갖도록 하였다. 여기에는 한인 공산주의 운동 계열의 주요 지도자들이 모두 참석하였는데, 국내에서는 정재달, [[조봉암]] 등도 여기에 참석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대회는 대표의 자격 문제가 제기되면서 파탄나고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은 철수, 코민테른 당국이 각파 지도자를 모스크바로 불러 조정하려 했으나 이마저 실패하자 결국 코민테른은 양파 모두 해산하고 단일당을 조선 안에 세울 것을 지시함으로써 상하이파도 이르쿠츠크파도 없어지게 된다. 김학준 저 「혁명가들의 항일 회상」 2005, 민음사.</ref>에 윤자영(尹滋英) 등과 함께 고려공산당 상하이파의 일원으로서 참가하였다. [[1923년]] 1월에 상하이에서 소집된 [[국민대표회의|국민대표회의(國民代表會議)]]에서는 윤해(尹海)ㆍ신숙(申肅) 등과 더불어 창조파(創造派)에 속하여 왕삼덕(王三德) 등과 참여하였고 2월 5일에 [[여운형|여운형(呂運亨)]]과 더불어 외교분과위원으로 지명되었으나, 창조파가 임시정부를 부정하며 조선공화국(朝鮮共和國) 건국을 결정하고 임시헌법과 국호 등을 제정하자 뜻을 바꾸어 "임시정부는 3ㆍ1운동의 결정인데 출석원(員)의 2/3나 되는 개조안을 무시하고 사신 5인이 퇴석 통고를 하고 불착한 대로 국호를 조선공화국로 정하여 새 국가를 만든 것을 성토한다"는 성명을 발표하였다.<ref>「創造派의 회의 종료」 『동아일보(東亞日報)』 1923년 6월 25일자.</ref> 7월에는 여운형이 조직한 한국독립촉진회에도 가담하는 등, 사회주의 계열의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계파간의 이견 조정에 힘쓰는 등 민족 우선의 독립운동을 위해 활동하였다. 8월에 조선의 관서([[평안도]]) 지방에서 일어난 대홍수로 이재민이 발생했을 때는 상하이에 거주하던 조선인들의 상하이교민단(上海僑民團)이 내지동포수재구제회(內地同胞水災求濟會)를 조직해 9월 26일에 수재의연금 110원을 동아일보사에 전달하기도 했는데 <ref>「同胞의 ㅁ愛! 해외각디동포의열렬한동정 가련한수재당한형뎨들에게」 『동아일보』1923년 10월 4일자 기사.</ref> 여기에 현정건의 이름이 실려 있다.
         [[1924년]] 6월, 현정건은 독립운동을 위해 상하이로 망명해 오는 조선인 학생들의 중국 사회 적응과 그들의 상급학교 진학을 돕기 위한 [[김규식|김규식(金奎植)]]의 제안을 받아들여, 상하이에서 [[1917년]] 여운형이 세웠던 인성학교(仁成學校) 내에 개설된 조선인 학생을 위한 예비교(豫備校, 예비강습소)에서 김규식, 여운형 등과 함께 영어 과목을 맡아 가르쳤고<ref>이는 국내에도 알려져 신문에 「上海에 豫備講習」(『동아일보』 1924년 6월 6일자), 「豫備校 設立」(『시대일보』 1924년 6월 9일자) 등의 기사가 나기도 했다.</ref>, 그 뒤 상하이 고등보통학교(上海高等普通學校)로 개편된 뒤에도 여운형, 김종상(金鍾商) 등과 함께 전임교사로서 교수생활을 하였다. 9월에는 상하이교민단에서는 실시한 의사원(議事員) 총선거에서 당선되기도 했다.<ref> 재상해일본영사관경찰부(在上海日本領事館警察部) 『조선민족운동연감(朝鮮民族運動年鑑)』 1946년, 동문사서점(東文社書店)</ref> 11월에는 상하이에서 윤자영이 조직한 청년동맹회(靑年同盟會, 상하이한인청년동맹)에 가입, 집행위원이 되었고 『횃불』, 『새길』 등의 잡지를 발간하였다.
         등의 강령 및 명칭, 위원 기타를 결정하고 조직을 끝냈는데 이때의 집행위원으로 [[이동녕]]ㆍ조소앙 등과 함께 현정건이 포함되어 있었다. 11월에 다시 상하이에서 한국독립당 관내촉성회연합회(韓國獨立黨關內促成會聯合會)를 조직할 때 집행위원에 선출되었다.<ref>대한민국 국회도서관 편찬 『한국민족운동사료』(중국편), 1976년, 618~621쪽 및 일본 외무성경찰사(外務省警察史) 지나지부(支那之部) 『조선민족운동사(朝鮮民族運動史)』≪미정고(未定稿)≫ 4, 고려서림(高麗書林), 1989, 11~22쪽.</ref>
         [[1992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 [http://www.mpva.go.kr/narasarang/gonghun_view.asp?id=8614&ipp=10000 대한민국 국가보훈훈처 공훈록]
  • 황대봉 . . . . 9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기업인]], [[정치인]]이다. [[종교]]는 [[불교]]이다. 호는 영암(嶺岩)이다.
         1930년 [[경상북도]] 영일군 창주면 대보리(현 [[포항시]] [[남구(포항)|남구]] 호미곶면 대보리)에서 태어났다. 동지상업고등학교(현 [[동지고등학교]])[* [[이상은]](다스 회장), [[이상득]](前 13~18대 국회의원), [[이명박]](前 대통령) 삼 형제의 모교로 유명하다.], 포항수산초급대학(현 [[포항대학교]])을 졸업하였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 [[전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제8번)으로 당선되었다. 그러나 당선 직후 [[김일윤]]과 민주한국당을 탈당하였고, [[무소속]]으로 당선된 [[김효영]], 김일윤 등과 같이 [[한국국민당(1981년)|한국국민당]]에 입당하였다.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한국국민당을 탈당하였으나 [[민주정의당]]에는 입당하지 않았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통일민주당에 입당하여 [[통일민주당]] 전국구 국회의원(제5번)에 당선되었다. 1990년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출범하자 이에 합류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 강세정 . . . . 8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강세정'''(Se Jung Kang, [[1982년]] [[1월 15일]] ~ )은 [[대한민국]]의 전 [[가수]]이자, [[배우]]이다. [[2000년]] [[걸 그룹]] [[파파야 (음악 그룹)|파파야]]로 데뷔하였다. '''고나은'''이라는 예명으로도 활동하였다가 [[2017년]] [[4월 13일]]<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3922762 강세정, 열음엔터와 전속계약…본명으로 활동]매일 매일경제2017.04.13 </ref>부터 본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 2012년 제20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드라마부문 우수상
         [[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아이돌 가수]][[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198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경기대학교 동문]][[분류:2000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
  • 구성윤 . . . . 8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국적''' ||<:> [[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28]] [[대한민국]] ||
         [[대한민국]]의 [[축구선수]]로 포지션은 [[골키퍼]]. [[강현무]], [[김동준(축구선수)|김동준]], [[이창근]], [[이태희(1995)|이태희]] 등과 함께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미래를 책임질 골키퍼들 중에 1명이다.
         ====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2015~2016) ====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2015~ ) ====
         [[분류:1994년 출생]] [[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분류:대한민국의 축구선수]] [[분류:세레소 오사카/은퇴, 이적]] [[분류:홋카이도 콘사도레 삿포로/현역]]
  • 구성재 . . . . 8회 일치
         [[대한민국]]의 언론인 출신 [[정치인]]이다. 선친이 [[구자춘]] 전 [[행정안전부 장관|내무부 장관]]이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무소속]]으로 대구광역시 [[달성군(선거구)|달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누리당 [[이종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누리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무소속]]으로 대구광역시 [[달성군(선거구)|달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누리당 [[추경호]]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달성군 출신 인물]][[분류:기자]][[분류:1960년 출생]]
  • 김준 (배우) . . . . 8회 일치
         '''김준'''({{본명|김형준}}, [[1984년]] [[2월 3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가수이다. 2007년 [[티맥스 (음악 그룹)|티맥스]]의 래퍼로 데뷔했으며, 2009년 드라마 《[[꽃보다 남자 (대한민국 드라마)|꽃보다 남자]]》에 출연하며 연기 활동을 시작했다.
         | [[꽃보다 남자 (대한민국 드라마)|꽃보다 남자]]
         [[분류:198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2007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래퍼]][[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한국외국어대학교 동문]][[분류:호루라기 연극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
  • 김태욱 (가수) . . . . 8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김천시]] 남면 (김천시) (연봉길)
         '''김태욱'''([[1969년]] [[9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기업인이자 가수이다.
         *[[2013년]] 대한민국 IT 이노베이션 대상 미래창조과학부장관 표창
         * [[2014년]] 가정의 달 기념 유공자 대통령 표창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69년 태어남]][[분류:1991년 데뷔]][[분류:인하공업전문대학 동문]][[분류:대한민국의 팝 록 가수]][[분류:대한민국의 기타 연주자]][[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
  • 김형렬 (1959년) . . . . 8회 일치
         * 제15대 대통령선거대책위원회 경북종합상황실 실장(1997년)
         * 제16대 대통령선거대책위원회 경북종합상황실 실장(2002년)
         [[분류:195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북대학교 동문]][[분류:대륜고등학교 동문]][[분류:대구중학교 동문]][[분류:대구영선초등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한나라당의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
  • 노재헌 . . . . 8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시]]
         |복무 = [[대한민국 육군]]
         |최종 계급 = [[대한민국 육군]] [[소위]]
         '''노재헌'''(盧載憲, [[1965년]] [[11월 3일]] ~ )은 [[노태우]] 前 대통령의 아들로 현재 [[법무법인 바른]]의 미국법자문사이다. [[조지타운 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을 졸업하였다.
         [[분류:196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 육군 소위]][[분류:대한민국의 변호사]][[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강남대학교 교수]][[분류:수원대학교 교수]][[분류:불교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감리교도]][[분류:민주자유당 당원]][[분류:경복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경영대학 동문]][[분류:조지타운 대학교 동문]][[분류:스탠퍼드 대학교 동문]][[분류:노태우 가]][[분류:교하 노씨]]
  • 레이디 제인 (가수) . . . . 8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대구직할시]]<br/>(現 [[대구광역시]])
         '''레이디 제인'''({{llang|en|Lady Jane}}, {{본명|전지혜}}, 全智慧, [[1984년]] [[7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 [[방송인]], MC, 라디오 DJ이다.
         *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한밤의 TV연예]]》
         [[분류:198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숙명여자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분류:2006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
  • 바키도/135화 . . . . 8회 일치
          * 실명으로 등장해버린 도널드 트럼프. 전임 미 대통령에게 오거 한마 유지로의 존재를 듣게 된다.
          그날은 전임 대통령이 후임 대통령에게 탑 시크릿을 직접 전달하는 중요한 날이다. 일체의 언론 보도가 차단된 기밀 중의 기밀. 그런데 그 내용을 듣고 트럼프는 귀를 의심한다.
          * 트럼프는 전임자 버락 오바마 대통령에게 몇 번이나 질문한다. "대국이 일개 개인에게 불가친 선언이라니". 사실 트럼프가 아니어도 누구라도 비상식적이라 여길 만하다. 오바마 대통령은 잘못 들은게 아니며 들은 그대로의 내용이라고 확인해준다.
          * 트럼프는 그것을 "알랑거린다"는 표현까지 써가벼 거부감을 보인다. 오바마 대통령은 "그렇다 알랑거린다"고 직설적으로 답한다. 트럼프는 혹시 그가 엄청난 부자냐고 묻는데, 어떤 의미론 맞지만 그것과는 무관한 일이라 설명한다. 다시 트럼프는 그를 체포해버리자고 하는데 오바마는 한숨을 쉰다.
          * "그 개똥 같은 관례"는 대체 언제부터 시작했냐는 트럼프. 시작은 80년대로 거슬러간다. 로널드 윌슨 레이건 대통령 시절 시작됐는데 그 말을 들은 트럼프는 "미국의 위대함이 사라진 타이밍"이라고 납득된다는 표정을 짓는다.
          * 어떤 무기보다, 어떤 병력보다 자신이 우위라는걸 그는 뒷모습만으로 입증하고 있었다. 마치 전쟁 그 자체 같은 모습. 일국의 대통령을 팬티 바람으로 맞은 유지로는 전혀 담배를 문 채로 말한다.
  • 박현진 (음악가) . . . . 8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국적 = [[대한민국]]
         '''박현진'''([[2005년]] [[5월 24일]] ~ )은 대한민국의 남자 가수이자 래퍼이다. 2016년 《[[K팝스타 6]]》에 참가하였으며, [[김종섭]]과 함께 보이프렌드라는 이름으로 듀오를 결성하여 우승하였다.
         [[분류:200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어린이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래퍼]][[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래퍼]][[분류:대한민국의 힙합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어린이 래퍼]][[분류:K팝 스타 참가자]][[분류:리얼리티 텔레비전 프로그램 우승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신수항 (배우) . . . . 8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신수항'''([[1987년]] [[8월 25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ref>[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2038086 신수항-다음인물정보]</ref>
         [[분류:198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2006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
  • 안상미 . . . . 8회 일치
         '''안상미'''([[1979년]] [[11월 12일]] ~ )는 [[대한민국]]의 전 여자 [[쇼트트랙]] 선수이다.
         {{1998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리스트}}
         [[분류: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계명대학교 동문]][[분류:1998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올림픽 쇼트트랙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쇼트트랙 해설자]][[분류:아시안 게임 쇼트트랙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1998년 동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1996년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1999년 동계 아시안 게임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1999년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은메달리스트]][[분류:1996년 동계 아시안 게임 쇼트트랙 참가 선수]]
  • 영양군 . . . . 8회 일치
         ||<bgcolor=#FA5858> {{{#FFFFFF '''국가'''}}} ||<bgcolor=#F8E0E6> [[대한민국]] ||
         ||<bgcolor=#FA5858> {{{#FFFFFF '''군수'''}}} ||<bgcolor=#F8E0E6> [[오도창]]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초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bgcolor=#FA5858> {{{#FFFFFF '''국회의원'''}}} ||<bgcolor=#F8E0E6>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br][[강석호]] ([[자유한국당|{{{#C9151E '''자유한국당'''}}}]])[br]3선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대한민국 최고 오지.'''
         대표적으로 '''고추'''가 유명하고, 군 슬로건도 '''HOT(맵다)'''을 사용하고 있다. 과장 좀 보태서 영양군민들이 고추한테 엎드려 절해야 할 정도다. 남미 원산인 고추가 우리나라에서 처음 자생한 품종인 '''수비초'''가 난 곳이 영양군이다. [[청양고추]]의 '청양'의 어원이 [[충청남도]] [[청양]]군이 아닌, [[청송]]군+영양군이라는 설이 있다. [[청양고추]] 항목 참고.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는 영양 [[고춧가루]]가 등록되어 있다. 영월, 영광, 괴산, 청양과 함께 고춧가루가 등록되어 있는데, 앞의 4군은 [[고추]]도 등록되어 있다.
         || '''후보''' ||<:><bgcolor=#1870B9>{{{#FFFFFF 문재인}}}||<:><bgcolor=#C9151E>{{{#FFFFFF '''홍준표'''}}}||<:><bgcolor=#046240>{{{#FFFFFF 안철수}}}||<:><bgcolor=#00B1EB>유승민||<:><bgcolor=#FFCC00>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 '''선거''' ||<:>'''18대 대선'''||<:>'''20대 총선'''||<:>'''19대 대선'''||<:>'''증감율 (대선/대선)'''||<:>'''증감율 (총선/대선)'''||<:>'''18대 대선'''||<:>'''20대 총선'''||<:>'''19대 대선'''||<:>'''증감율 (대선/대선)'''||<:>'''증감율 (총선/대선)'''||
          * 영양군의 5면 중 하나인 수비면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밤하늘이 어두워서 [[별자리]]를 관측하기 좋은 곳이다. 덕분에 '''아시아에서는 최초로 국제밤하늘보호공원으로 지정'''됐다. 20년 전에는 [[가로등]] 하나 없는 감천유원지[* 말이 유원지지 그냥 개울가 있고 돌 있고 소나무 있는 곳이다.]에서 '''육안으로 [[은하수]] 관측이 가능'''한(...) 굉장한 곳이었다. 아직도, 여름철에 수비면에서 빛이 없는 마을 입구, 다리 위, 밭에 누워 밤하늘을 보면 은하수가 잘 보인다.
  • 우용득 . . . . 8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대표국가 = 대한민국
         {{메달 나라|{{국기나라|대한민국}}}}
         '''우용득'''(禹龍得, [[1950년]] [[2월 13일]] ~ )은 [[대한민국]]의 전 야구 감독, 야구 해설가이다.
         {{1971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선수 명단}}
         {{1975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선수 명단}}
         [[분류:롯데 자이언츠 감독]][[분류:삼성 라이온즈 감독]][[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해설자]][[분류:대한민국의 야구 감독]][[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5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상업고등학교 동문]][[분류:단양 우씨]]
  • 이계순 (1927년) . . . . 8회 일치
         '''이계순'''(李季順, [[1927년]] [[3월 3일]] - )은 [[대한민국]]의 영문학자, 교육자, 대학교수, 정치인이다. [[1953년]] [[경남중학교]] 영어교사를 시작으로 서울대학교 교수와 명예교수, 정무제2장관을 역임했다. [[1990년]] 정무제2장관 재직 중 ‘국·공립 연수기관에 여성관련 교과목’을 개설하였다.
         |직책 = [[대한민국 정무장관(제2)실|정무제2장관]]
         |직책 = [[대한민국 정무장관(제2)실|정무제2장관]]
         [[분류:192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영문학자]][[분류:대한민국의 여성주의자]][[분류:여자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분류:노태우 정부의 국무위원]][[분류:대한민국의 정무제2장관]][[분류:교토 대학 동문]][[분류: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동문]][[분류:서울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이미연 (배우) . . . . 8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이미연'''([[1971년]] [[9월 23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2009년]] [[KBS2]] 《[[박중훈쇼 대한민국 일요일 밤]]》 - 마지막회 게스트
         * 2002년 제39회 [[저축의 날]] 대통령표창
         [[분류: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수상자]][[분류:청룡영화상 수상자]][[분류:대종상 수상자]][[분류:춘사영화상 수상자]][[분류:197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동국대학교 동문]][[분류:광주 이씨]]
  • 이상정 (1897년) . . . . 8회 일치
          | 사망지 = [[대한민국|미 군정 남조선 과도정부]]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부]]에서 뇌일혈로 사망
          | 서훈 내역 = [[1977년]] [[건국훈장|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 기타 이력 =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대한민국 임시정부 의정원]] 의원 <br/> [[한국독립당]] 최고위원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6082 두산대백과사전 - 예비역 대한독립군 중장 이상정 前 대한민국 임시정부 의정원 의원]
         * [http://www.mpva.go.kr/narasarang/gonghun_view.asp?id=5633&ipp=10000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이상정 선생 공훈록]
         [[분류:1897년 태어남]][[분류:1947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경주 이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시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장교]][[분류:한국의 장군]][[분류:반일 감정]][[분류:김구]][[분류:염상섭]][[분류:이범석 (1900년)]][[분류:박헌영]][[분류:육군 장군]][[분류:한국독립당]][[분류:일제 강점기의 화가]][[분류:자유 연애]][[분류:일제 강점기의 서예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저술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조각가]][[분류:대륜고등학교 동문]][[분류:도쿄 공업대학 동문]][[분류:도쿄 예술대학 동문]][[분류:히토쓰바시 대학 동문]][[분류:고쿠가쿠인 대학 동문]][[분류:유교 신자]][[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의 배우자]]
  • 이영희 (1936년) . . . . 8회 일치
         '''이영희'''([[1936년]] [[2월 3일]] ~ [[2018년]] [[5월 17일]])는 대한민국의 [[한복]] 예술가이다.<ref>[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C%9D%B4%EC%98%81%ED%9D%AC&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98149 네이버 인물검색 정보]</ref>
         * 대한민국 디자인대상(대통령, 1999)
         [[분류:1936년 태어남]][[분류:2018년 죽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패션 디자이너]][[분류:대한민국의 수필가]][[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경북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성신여자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이준섭(군인,정치인) . . . . 8회 일치
          * [[대한민국 국군/인물]]. [[정치인/목록]]
         이후 [[대한민국 해병대]] 장교로 복무하였다. [[5.16 군사정변]] 당시 반란군의 일원으로 [[한강대교]]에 있던 [[헌병]]들을 제압하였다. 이후 해병 [[대령]]으로 예편하였다. 그리고 [[중앙정보부]]에서 근무하였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 후보로 충청남도 연기군-대덕군-[[금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신민당(1967년)|신민당]] [[유한열]]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이후 민주공화당 원내부총무를 역임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국국민당(1981년)|한국국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천영성]] 후보와 [[민주한국당]] 유한열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석유개발공사 부사장 등을 역임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군인]]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 [[분류:세종특별자치시 출신 인물]]
  • 이판석 . . . . 8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공무원]], [[정치인]]이다.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북도지사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자유당]] [[이의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자유민주연합]]에 입당하였다.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경상북도지사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역시 [[한나라당]] 이의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구미시 출신 인물]]
  • 정명환 . . . . 8회 일치
         '''정명환'''([[1960년]] [[8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80년]] [[연극배우]] 첫 데뷔하였고 이후 1982년 6월에서 1985년 6월까지 [[국방의 의무|대한민국 육군 사병 복무]]한 그는 [[1986년]] [[문화방송|MBC 문화방송]] 공채 18기 탤런트로 정식 데뷔하였으며 [[1988년]] [[영화]] 《둥지 속의 철새》의 단역으로 [[영화 배우|영화배우]] 데뷔하였고 이듬해 [[1989년]] 영화 《모래성》에 단역 출연하였으며 이후 [[배우|텔레비전 연기자]]로서 [[문화방송|MBC 문화방송]], [[한국방송공사|KBS 한국방송공사]], [[서울방송|SBS 서울방송]], [[한국교육방송공사|EBS 한국교육방송공사]] [[텔레비전 드라마|드라마]]에서 주연과 조연과 단역을 두루 배역하였다.
         [[분류:196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1980년 데뷔]][[분류:창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
         [[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김천시 출신]][[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최순달 . . . . 8회 일치
         '''최순달'''(崔順達, [[1931년]] [[6월 20일]] [[대구광역시|대구]] ~ [[2014년]] [[10월 18일]] [[서울]] )은 대한민국의 과학자이다. [[대한민국 정보통신부|체신부]] 장관을 역임하였고,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를 설립하여 소장을 맡아 대한민국의 첫 인공위성인 [[우리별]] 위성 발사를 성공적으로 해냈다. 인공위성 및 우주기술 전문 벤처회사인 (주)[[쎄트렉아이]]를 설립해 회장을 맡았다.
         * [[1982년]] [[5월 21일]] - [[1983년]] [[10월 14일]] 제32대 [[대한민국 정보통신부|체신부]] 장관
         |직책 = [[대한민국 체신부|체신부 장관]]
         [[분류:1931년 태어남]][[분류:2014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공학자]][[분류:한국과학기술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체신부 장관]][[분류:전두환 정부의 국무위원]][[분류:대한민국의 우주 개발]][[분류:우주 개발 선구자]][[분류: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동문]][[분류:스탠퍼드 대학교 동문]][[분류: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한혜령 . . . . 8회 일치
         '''한혜령'''([[1986년]] [[1월 15일]] ~ )은 [[대한민국]]의 [[필드하키]] 선수이며 포지션은 [[공격수]]이다. [[경상북도]] 출신이며 [[KT]] 소속이다.
         {{2008년 하계 올림픽 하키 여자 대한민국 선수 명단}}
         {{2012년 하계 올림픽 하키 여자 대한민국 선수 명단}}
         {{2014년 아시안 게임 하키 여자 대한민국 선수 명단}}
         [[분류:198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하키 선수]][[분류:2008년 하계 올림픽 하키 참가 선수]][[분류:2012년 하계 올림픽 하키 참가 선수]][[분류:2014년 아시안 게임 하키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하키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하키 참가 선수]][[분류:2014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하키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한국체육대학교 동문]][[분류:성주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성주여자중학교 동문]][[분류:성주초등학교 (경북) 동문]][[분류:2016년 하계 올림픽 하키 참가 선수]]
  • 황선필(1939년) . . . . 8회 일치
         | 출생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경상북도]] [[김천시|김천]]
         |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황선필'''(黃善必,<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602150032920201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6-02-15&officeId=00032&pageNo=2&printNo=12427&publishType=00020 文化放送 사장에 黃善必씨를 선임] - 경향신문, 1986년 2월 15일</ref><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206040020920100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2-06-04&officeId=00020&pageNo=1&printNo=18666&publishType=00020 靑瓦臺 대변인에 黃善必씨를 任命] - 동아일보, 1982년 6월 4일</ref> [[1939년]] ~ , [[경상북도]] [[김천시|김천]])은 [[문화방송]] 사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공무원이다.
         * [[대한민국 문화공보부|문화공보부]] 홍보조정관·보도국장 겸 대변인
         [[분류:193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기자]][[분류:대한민국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동문]][[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 제5공화국]]
  • 고준희 . . . . 7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언터처블 (대한민국의 드라마)|언터처블]]》
         [[파일:121206 문화연예대상 고준희.jpg|섬네일|150px|2012년 제20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의 고준희]]
         * [[2012년]] : 제20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드라마부문 인기상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2001년 데뷔]][[분류:YG 엔터테인먼트 소속]][[분류:경희대학교 동문]]
  • 김병윤 . . . . 7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교육자 [[정치인]]이다. 포항 동지교육재단 설립자이다. 종교는 불교이다. 호는 일우(日字)이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 후보로 신설 [[지역구]]인 경상북도 포항시-[[울릉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각각 경상북도 포항시-영일군-[[영천시|영천군]]-울릉군 선거구로 민주공화당에 [[공천]]을 신청하였으나 그 때마다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이던 [[정무식]]에 밀려 탈락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 김보민 . . . . 7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분류:198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회]][[분류:대한민국의영화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미술평론가]][[분류:프랫대학교 동문]][[분류:비디오자기]][[분류:대한민국의미술가]][[분류:설치미술가]][[분류:대한민국의음악평론가]][[분류:순흥 김씨]][[분류:대한민국의 시사평론가]]
  • 김상기 . . . . 7회 일치
         * [[김상기 (1901년)|김상기]](金庠基, [[1901년]] ~ [[1977년]])는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역사학자이다.
         * [[김상기 (1918년)|김상기]](金相琪, [[1918년]] ~ [[2011년]])는 대한민국의 기업인, 언론인으로 [[김성수 (1891년)|김성수]]의 둘째 아들이다.
         * [[김상기 (1952년)|김상기]](金相基, [[1952년]] ~ )는 육군참모총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군인이다.
         * [[김상기 (야구 선수)|김상기]]([[1961년]] ~ )는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다.
         * [[김상기 (1980년)|김상기]]([[1980년]] ~ )는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이다.
         * [[김상기 (축구 선수)|김상기]]([[1982년]] ~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다.
         * [[김상기 (골프 선수)|김상기]]([[1984년]] ~ )는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이다.
  • 김준영 (프로게이머) . . . . 7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김준영'''(金俊永; [[1985년]] [[12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아이디는 '''GGPlay''' 또는 '''KT.MGW)Never'''이다.
         대한민국 공군 사병으로 복무한 그는 [[2010년]] [[3월 8일]] [[진주시|진주]] [[대한민국 공군교육사령부|공군교육사령부]]에 현역병으로 입대하여 2012년 3월 군복무를 마쳤다.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리그}}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분류:스타리그 우승자]][[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분류:저그 선수]][[분류:웅진 스타즈의 선수]]
  • 김찬돈 . . . . 7회 일치
         |국가 = 대한민국
         |대통령 =
         |출생지 = [[대한민국]]
         * 2010년 3월 경상북도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 2017년 2월 ~제23대 대구광역시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69년 태어남]][[분류:능인고등학교 동문]][[분류:영남대학교 법과대학 동문]][[분류:영남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판사]][[분류:대한민국의 지방법원장]]
  • 김충섭 . . . . 7회 일치
         [[분류:1954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자치단체장]]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당적은 무소속이다.
         공직을 퇴직한 이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무소속으로 김천시장에 출마하게된다. 김천시장직은 박보생 시장이 3선 연임제한에 걸려 출마할 수 없었기에 도전하는 사람이 많았는데 아무래도 TK지역 여당인 [[자유한국당]] 공천을 바라며 경선에 참여한 사람이 많았다. 하지만 공천을 정하는 과정에서 불투명한 여론조사와 당원투표 등 여러 문제로 공천 잡음 들이 생겨나게된다. 이러한 문제 들로 인해 이에 불복한 [[최대원|시장 후보 중 한명]]은 아예 탈당하고 체급을 올려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에 나가게 되었다. 공천 문제로 분열된 자유한국당은 원래 보수층의 지지를 받고 [[더불어 민주당|친여 세력]]의 지원사격까지 받으며 진보층 세력까지 흡수한 김충섭 후보에게 시장직을 내주고 [[이철우(1955)|전직 의원]]이 경북도지사 후보로 영전함에도 불구하고 후계자 격인 [[송언석]] 후보는 최대원 후보에게 1%정도 차이로 초박빙 승부를 벌이는 모습을 보이며 국회의원직도 겨우 당선되는 등 옆동네인 구미와 함께 자유한국당에게 엄청난 충격을 안겨주었다.
         == 선거이력 ==
         ||<tablealign=center><rowbgcolor=#808080>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18 || [[제7회 지방선거]] (경북 김천시장) || [[무소속]] || '''40,775 (50.7%)''' || '''당선''' || '''초선''' ||
  • 김필곤 . . . . 7회 일치
         |국가 = 대한민국
         |대통령 =
         |출생지 = [[대한민국]]
         * 2018년 3월 2일 제26대 대전시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 대구지방법원 형사12부 재판장으로 재직하던 2003년 7월 29일에 [[대구 지하철 화재]] 현장을 훼손한 혐의로 불구속 기소된 전 대구지하철공사 사장 윤진태에게 징역 3년 벌금 500만원을 선고하며 법정구속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0198906]</ref>11월 28일에 [[한총련]] 중앙위원으로 활동한 [[계명대]] 총학생회장에 대해 "11기 [[한총련]]은 10기 한총련의 기본노선을 충실히 따르고 있고, 이적단체인 [[범청학련]] 남측본부의 집행부를 장악해 [[범청학련]]의 기본 대오로 활동하고 있다”며 처음으로 11기 한총련을 이적단체로 규정하면서 "11기 한총련이 범청학련을 통해 북한의 대남 공작부서인 통일전선부의 사실상 지휘·조정을 받아 북한의 적화통일 노선을 수용하고 있고, 북한 쪽과 빈번하게 불법 접촉 및 서신교환을 하면서 하달받은 투쟁지침에 따라 11기 한총련 조국통일위원회의 사업계획을 수립·시행했다"며 [[국가보안법]] 이적단체 가입죄 등을 적용해 징역2년6월 자격정지1년 집행유예4년을 선고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0036082]</ref> 2004년 2월 6일에 보궐선거를 앞두고 부하 직원 2명으로부터 "당선되면 잘 봐달라"는 청탁과 함께 2000만원, 아들 축의금으로 1000만원을 받은 [[박진규]] 영천시장에 대해 "시장에 당선된 후에 받은 1천만원은 대가성이 인정된다"면서도 2000만원에 대해서는 "범죄 입증이 어렵다"고 하면서 수뢰액이 1천만원이상 5천만원 미만 일 때는 5년이상 징역에 처함에도 불구하고 징역2년6월 집행유예4년 추징금1000만원을 선고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0026584]</ref>
         [[분류:196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문]][[분류:고려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판사]][[분류:대한민국의 지방법원장]]
  • 김효진 (배우) . . . . 7회 일치
         '''김효진'''([[1984년]] [[2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8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00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한양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어린이 배우]]
  • 김희정 (펜싱선수) . . . . 7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대구시]]
         | 국가 = {{국기나라|대한민국}}
         {{메달 나라|{{국기나라|대한민국}}}}
         '''김희정'''(金熙正<ref>{{뉴스 인용 | 제목=<프로필> 펜싱 에폐 금메달 金熙正 | url=https://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01&aid=0004013398 | 출판사=연합뉴스 | 저자= | 쪽= | 날짜=1995-04-15 | 확인날짜=2018-09-14}}</ref>, [[1975년]] [[1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은퇴한 [[펜싱]] 선수로 주 종목은 [[에페]]이다. [[1996년 하계 올림픽|1996년]]과 [[2004년 하계 올림픽]]의 출전 경험이 있다.<ref name="sports-reference">{{웹 인용|url=http://www.sports-reference.com/olympics/athletes/ki/kim-hui-jeong-1.html |제목=Kim Hui-Jeong Olympic Results |확인날짜=2012년 2월 19일 |웹사이트=sports-reference.com}}</ref> 그녀는 [[2002년 아시안 게임]]에도 참가하여 개인전과 단체전 2관왕을 하기도 하였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20&aid=0000154716 펜싱 이승원-김희정 2관왕 찔렀다]</ref>
         [[분류:197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펜싱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펜싱 참가 선수]][[분류:1996년 하계 올림픽 펜싱 참가 선수]][[분류:2004년 하계 올림픽 펜싱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펜싱 메달리스트]][[분류:2002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02년 아시안 게임 펜싱 참가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혜여자중학교 동문]][[분류:경북예술고등학교 동문]][[분류:목원대학교 동문]]
  • 도균 . . . . 7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도균'''(본명 : '''이병직''', [[1976년]] [[10월 1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ref>[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X542797 도균-다음인물정보]</ref>
         [[분류:1976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살아있는 사람]]
  • 로버트 켈리 . . . . 7회 일치
         2015년에 “박근혜의 대통령직은 표류하고 있다(Park Geun-Hye's presidency is adrift)”는 논평을 호주의 로위국제정책연구소가 발행하는 인터프리터 지에 기고했다.[[http://www.goba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726 (참조)]]
         2017년 초, [[반기문]] 사무총장의 귀국과 대통령 후보 논란에 대하여, "그는 구식 관료이며 그 점에서 나는 한국인들이 그를 선택할 것으로 여기지 않는다", "유권자들은 반기문을 변화를 가져올 사람으로 여기지 않는다. 그는 매우 '대가 약한 사람'(milquetoast)", "올해는 수십만 명의 한국인이 거리로 나와 시위를 한 '격동의 해'(big year)"라는 언급을 월스트리트 저널에 남겼다.[[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1/12/0200000000AKR20170112199600009.HTML (참조)]]
         2017년 박근헤 대통령 탄핵 선고를 압두고, 블룸버그에서 "한국의 워터게이트 사건이다. 한국 역사에 유례없는 일이 벌어졌다", "현재로써 한국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 하지만 기각이 될 경우 대규모 시위가 우려된다"고 전망했다.[[http://msportalkorea.mt.co.kr/news/n_news_view.php?sec=2&gisa_uniq=2017031010131578173&key=&page=1&field=§ion_code=#_adtep (참조)]]
         [[도널드 트럼프]]에 대해서 반대하는 입장이며, 수업중에 흥분하여 비판 발언을 날리고 트럼프가 대통령 당선된 날에는 수업을 잠시 중단시킬 정도였다고 한다. 3월 10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인용 결정이 내려오자, "박근혜 탄핵으로 브렉시트, 트럼프 현사응로 인한 세계적인 민주주의 쇠퇴 현상이 멈춰졌다. 이제 프랑스 극우정당 국민전선의 [[마린 르펜]] 후보가 대통령이 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트위터]]에서 발언했다.[[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3/14/2017031402097.html (참조)]]
         2017년 3월 10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 선고 이후 [[BBC]]와 자택에서 [[스카이프]]로 인터뷰를 가졌는데, 인터뷰 도중에 아이들 2명이 방 안에 들어오는 [[방송사고]]가 터졌다. 처음에는 한 명이 들어와서 스카이프 캠 앞으로 다가오길래 교수가 손으로 가로막았는데, 뒤에서 보행기를 탄 동생까지 들어왔다. 곧이어서 아내가 급히 들어와서 아이들을 데리고 방에서 나갔다.[[http://www.etnews.com/20170311000021 (참조)]][[http://time.com/money/4697929/kids-interrupt-live-skype-interview-bbc-funny/ (타임지)]]
  • 박경석(1933) . . . . 7회 일치
          * [[대한민국 국군/인물]]
         [[대한민국]]의 [[군인]], [[시인(문학)|시인]], [[소설가]]이다. [[육군사관학교]] 생도2기 출신이다. [[대한민국 육군]] [[준장]]으로 예편하였다.
         이후, 전장에서 더 많은 위관장교 자원을 필요로 하자 정부는 이들을 신설된 [[육군종합학교]][* 12.12사건 당시 육본 측에 있었던 [[장태완]] 수도경비사령관, 동 사건 당시 육본 측에 있었고 갑종 전우회 대부였던 [[하소곤]]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 [[전두환]] 정부에서 국방부 장관을 지낸 [[오자복]] 예비역 대장, 노무현 정부에서 국방부 장관을 지낸 [[조영길]] 예비역 대장, [[박정희]] 정부에서 경호실장을 지낸 [[차지철]] 예비역 중령 등이 육군 종합학교 출신이다.]에 입교시켜 단기 교육 후 소위로 임관시켰다. 박경석 소위도 이 때 임관된 초임장교 중 하나였다. 이들은 생도 2기 출신 1명을 제외하고, 전부 새로 신설된 제9사단[* 사단장 [[장도영]], --5.16군사정변 당시 박정희의 얼굴마담, 핫바지 노릇했던 그 때 그 사람-- 사단 참모장은 [[박정희]] --5.16 군사정변에서 대통령에 오른 그 분--]의 소대장으로 갔다. 그 1명은 당시 권력자였던, [[원용덕]] 헌병 총사령관의 아들 원창희 소위였다. 원창희 소위는 임관과 동시 후방의 육군본부로 배속받았다.[* [[원용덕]] 장군도 최종 보직이 헌병 총사령부 사령관이었고, 아들 [[원창희]] 장군도 헌병의 꽃 헌병감 보직을 마지막으로 육군 준장에서 전역하였다.]
         1951년쯤, 전쟁이 교착 상태가 되자, 이승만 대통령은 전쟁 초기 육사 생도들의 안타까운 죽음을 기려, 미 8군의 도움으로 육사를 재건하려고 했다. 그러나 당시 중위 신분이던 [[육사 생도 2기생]]들은 육사 생도 복귀를 놓고 논쟁하다가 결국은 새로운 모집 공고에 의한 [[육군사관학교]] 재건으로 [[전두환]], [[노태우]]등이 판을 치던 그 육사 11기생들이 첫 정규 4년제 육사 생도가 되었다.
         1965년 한국 정부는 미국의 요청과 월남의 파병 요청 형식으로 [[조문환]] 장군을 단장으로 하는 [[주월 한군군]] 군사원조단 비전투부대 [[비둘기부대]]가 파병되었고, 뒤이어 미국의 대 한국 군사원조 약조인 [[브라운 각서]] 체결과 야당의 반대 등 진통 끝에 전투병력의 파병이 이루어졌다. [* 야당과 여당의 일부 소장파 국회의원들은 월남 파병에 있어 한국군의 처우에 대해 많은 불만을 나타내었다. 특히나 집권 여당 공화당의 초대 당 의장을 지낸 [[정구영]]변호사는 "이 장관 엄밀히 따지면 호지명의 월맹은 민족주의 운동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같은 아시아인으로서 도와주지는 못할망정 왜 우리가 그들과 총칼을 맞대야 하는거요. 내가 보기엔 그간 프랑스는 자신의 식민지 정책의 일로 싸웠고, 지금 미국은 제국주의 위세를 떨치려 월남에서 군사적 시위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오. 그러니 도와주어야할 이유가 없지 않소. 물론 이 장관 말대로 우리는 가난하오. 월남전 파병으로 우리 경제를 살릴 수 있을지 모르겠소. 그러나 더러운 전쟁에다가 피를 뿌리며 돈을 벌기보다는 궁핍하지만 깨끗하게 사는것이 옳다는 생각이오." [[이동원]] 전 외무부 장관의 회고록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28576|[[대통령을 그리며]]]]에서 발췌. [[http://gyuraeman.blog.me/110018127454|(대한 군사 원조의 약속인 브라운 각서)]]박정희 정부는 미국의 대한 군사원조를 포함한 경제적 원조와 월남이라는 특수 시장 개척에 한국 기업을 포함한다는 파병의 조건으로 협상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시인]][[분류:세종특별자치시 출신 인물]][[분류:1933년 출생]]
  • 박현정 (배우) . . . . 7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박현정'''([[1975년]] [[9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ref>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XX34362 박현정-다음인물정보]</ref>
         [[분류:197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박홍우 . . . . 7회 일치
         '''박홍우'''(朴洪佑, [[1952년]] [[7월 2일]] ~ )는 [[대한민국]]의 [[법조인]]이다. 2014년부터 2016년 2월까지 [[대전고등법원]] 법원장을 지냈다.
         * 선거구획정에 관한 미국 연방대법원의 판례동향, 헌법논총 제5집, 헌법재판소 (1994)
         * 국회의원선거구획정과 선거권의 평등, 재판의 한 길: 김용준 헌법재판소장 화갑기념논문집, 박영사 (1998)
         * 국회의원지역선거구간 인구편차의 헌법상 한계, 현대 공법의 이론과 판례의 동향,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편, 도서출판 관악사 (2014)
         [[분류:1952년 태어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판사]][[분류: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문]][[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고등법원장]]
  • 배성룡 . . . . 7회 일치
         [[2005년]] [[대한민국]] 정부에서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분류:1896년 태어남]][[분류:1964년 죽음]][[분류:청도군 출신 인물]][[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한국의 통일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분류:대한민국의 경제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시사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정치 평론가]][[분류:일제 강점기의 언론인]][[분류:대한민국의 언론인]]
         [[분류:대한민국의 사회민주주의자]][[분류:니혼 대학 동문]][[분류:성주 배씨]]
  • 서정제 . . . . 7회 일치
         |국가 = 대한민국
         |대통령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분류:194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문]][[분류:대한민국의 판사]][[분류:대한민국의 지방법원장]][[분류:대한민국의 고등법원장]][[분류:대한민국의 변호사]]
  • 서현진 (방송인) . . . . 7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서현진'''([[1980년]] [[12월 13일]] ~ )은 [[2001년 미스코리아]] 선(善) 출신 [[대한민국]] 前 [[아나운서]]이자 방송인이다. [[대구광역시|대구]]에서 출생한 그녀는 [[부산광역시|부산]]에서 잠시 유년기를 보낸 적이 있다.
         |2007||제8회 대한민국 영상대전 포토제닉상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프리랜서 아나운서]][[분류:대한민국의 무용가]][[분류:미스코리아 선]][[분류:미스 월드 참가자]][[분류:문화방송의 아나운서]][[분류:대한민국의 아나운서]][[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이화여자대학교 동문]][[분류:서울예술고등학교 동문]][[분류: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서호진 . . . . 7회 일치
         '''서호진'''(徐昊辰, [[1983년]] [[6월 11일]] ~ )은 [[대한민국]]의 전 [[쇼트 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이다. [[경희대학교]] 체육학부에서 스포츠지도학을 전공했다. [[서울시청]]에서 활약한 바 있다.
         서호진이 참가한 대한민국 대표팀은 [[2006년 동계 올림픽|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 남자 쇼트트랙 5000m 계주에서 [[안현수]]의 역주에 힘입어 우승하였고 이 계주에 같이 참여해 금메달을 획득하게된 서호진은 군면제 혜택을 받았다.
         {{2006년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리스트}}
         [[분류:198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분류:2006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대구교육대학교 대구부설초등학교 동문]][[분류:신목중학교 동문]][[분류:경기고등학교 동문]][[분류:경희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분류:올림픽 쇼트트랙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2006년 동계 올림픽 메달리스트]]
  • 성세현 . . . . 7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한민국/컬링)]
         [include(틀:평창올림픽 대한민국 남자 컬링 국가대표)]
         ||<:><#87CEEB>'''{{{#white 국적}}}'''||<:><#ffffff>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25]] ||
         대한민국의 [[컬링]] 선수이며,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컬링 국가대표로 발탁되었다.
         [[분류:대한민국의 컬링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인물]][[분류:구미시 출신 인물]][[분류:1990년 출생]]
  • 성현아 . . . . 7회 일치
         '''성현아'''(成賢娥, 1975년 7월 23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1994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마약범]][[분류:대한민국의 범죄인]][[분류:김천시 출신]]
  • 손전 . . . . 7회 일치
         '''손전'''(孫全, [[1910년]] [[1월 27일]] ~ [[1999년]] [[9월 8일]], 본명: '''손병철''', 孫秉喆)은 [[대한민국]]의 [[남자]] [[배우]], [[제작자]], [[영화감독|감독]]이다. 손전, 손일포, 한일호 등의 예명을 사용하였다. [[1925년]] [[대구자연과학고등학교|대구공립농업학교]]를 졸업했으며, [[1930년]] [[니혼 대학]] 경제학과를 중퇴했다. 총 1천 5백여 편의 영화에 출연하였다.
         [[분류:일제 강점기의 연극 배우]][[분류:1932년 데뷔]][[분류:대구자연과학고등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영화 제작자]][[분류:대한민국의 연출가]][[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10년 태어남]][[분류:1999년 죽음]][[분류:밀양 손씨]][[분류:청룡영화상 수상자]]
  • 송남헌 . . . . 7회 일치
         '''송남헌'''(宋南憲, [[1914년]] [[4월 11일]]~[[2001년]] [[2월 20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교육인, 통일운동가, 근현대사 연구가이다.
         [[분류:1914년 태어남]][[분류:2001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사]][[분류:한국의 군정기]][[분류:한국의 통일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언론인]][[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분류:대한민국의 역사가]][[분류:대한민국 제1공화국]][[분류:김규식]]
  • 신동일 (언어학자) . . . . 7회 일치
         |출생지= {{국기나라|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시(현 대구광역시)]]
         |거주지= {{국기나라|대한민국}}
         |국적= {{국기나라|대한민국}}
         '''신동일'''(申東一, [[1967년]] [[12월 14일]] ~ )은 [[대한민국]]의 [[응용언어학자]]이다.
         교육과 연구분야는 영어평가(시험개발과 시행), 언어(평가)정책, 언어권리, 언어생태계, 언어정체성, 말하기교육과 스토리텔링 콘텐츠 개발, 적정교육, 사회적기업, 기독세계관 등이다. 해당 분야로 80여편의 논문을 학술등재지에 게재했으며 10여권의 단행본과 번역본 중 몇 권은 문화관광부나 대한민국학술원의 우수도서로 선정되었다.
         [[분류:대한민국의 언어학자]][[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중앙대학교 동문]][[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경상중학교 동문]][[분류: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섐페인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6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
  • 안병근 . . . . 7회 일치
         {{메달 나라|{{국기나라|대한민국}}}}
         '''안병근'''(安柄根<ref>{{뉴스 인용|제목=‘유도 安柄根 金메달 |url=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8070032920100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4-08-07&officeId=00032&pageNo=1&printNo=11957&publishType=00020|출판사=경향신문|저자=|쪽=|날짜=1984-08-07|확인날짜=2016-12-15}}</ref>, [[1962년]] [[2월 23일]] ~ )은 현재 은퇴한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이다.
         [[분류:196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유도 선수]][[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분류:올림픽 유도 메달리스트]][[분류:1984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유도 참가 선수]][[분류:1984년 하계 올림픽 유도 참가 선수]][[분류:1988년 하계 올림픽 유도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유도 메달리스트]][[분류:1986년 아시안 게임 유도 참가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용인대학교 동문]][[분류:대구중앙중학교 동문]][[분류:대구옥산초등학교 동문]][[분류:계성고등학교 (대구) 동문]][[분류:1986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오석락 . . . . 7회 일치
         |국가 = 대한민국
         |대통령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분류:1934년 태어남]][[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기독교인]][[분류:김천고등학교 동문]][[분류: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동문]][[분류:2014년 죽음]]
         [[분류:대한민국의 판사]][[분류:대한민국의 지방법원장]][[분류:대한민국의 변호사]]
  • 윤진솔 . . . . 7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직할시<br/>(현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윤진솔'''({{본명|박세미}}, [[1990년]] [[10월 8일]] ~ )은 [[대한민국]]의 과거 [[가수]]이자 현재 [[배우]]이다. 2015년 '[[쥬얼리]]' 해체 후 '윤진솔'이라는 예명으로 활동중이다.
         [[분류:1990년 태어남]][[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슈퍼스타K 참가자]][[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조선대학교 동문]][[분류:동아방송예술대학교 동문]][[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
  • 이준승 . . . . 7회 일치
         '''이준승'''(1934년 ~ 2012년 1월 15일)은 전두환 대통령에 의하여 대법원 판사에 임명된 대한민국의 법조인이다. 부인 권영렬과 사이에 4남1녀의 자녀가 있다.
         대검찰청 공판부장, 1980년 서울지검 북부지청장과 1981년 법무부 법무실장을 거쳐 검사장으로 승진하여 1982년 대전지검, 1983년 마산지검에서 검사장을 지내고 광주지검 검사장 재직 중인 1986년 4월에 전두환 대통령에 의해 1986년 4월 17일에 2년 임기의 대법원 판사에 임명되었고 1988년 [[이일규]] 대법원장 취임이후 대법관 재임명 과정에서 탈락하여 대법원 판사 퇴임이후에 변호사 활동을 하였다. 1991년에 국회 추천 몫으로 여당인 [[민자당]]이 추천하여 중앙선거관리위원에 추천되어 1997년까지 임기를 마쳤다.<ref>[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20117027020]</ref> 서울지검 공안부 검사 시절에는 [[동백림 사건]]을 맡아 처리했으며 <국제분쟁에 있어서의 국가배상 문제> 등의 저서가 있고 테니스와 등산을 즐겼다.<ref>경향신문 1986년 4월 3일자</ref> 대구지검 차장검사로 재직하던 1980년 7월 3일 소속 검사와 직원들에게 "공사간 언행을 조심하고 사건처리과정에서 피의자들에게 이해와 설득으로 승복하여 신뢰받는 검찰상을 구현해달라"고 하면서 "공보관은 엄연히 검사장이므로 검사나 일반직원들이 함부로 수사기밀을 누설하지 말고 검찰청 출입자의 신분을 가릴 것 없이 수위실에서 출입증을 받아 패용하도록 하라"고 지시하였고<ref>경향신문
         [[분류:1934년 태어남]][[분류:2012년 죽음]][[분류:안동시 출신]][[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지방검찰청 검사장]][[분류:대한민국의 변호사]][[분류:대한민국의 대법관]]
  • 이현 (1983년) . . . . 7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시]]
         '''이현'''(李賢, [[1983년]] [[11월 8일]] ~ )은 [[대한민국]]의 [[남자]] [[가수]]이다.
         [[분류:빅히트 엔터테인먼트 소속]][[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한민국의 R&B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1983년 태어남]][[분류:대구대학교 동문]][[분류:2007년 데뷔]][[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2010년대 가수]][[분류:2000년대 가수]][[분류:한국어 가수]][[분류:살아있는 사람]]
  • 임기영 . . . . 7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대표국가 = 대한민국
         {{메달 나라|{{국기나라|대한민국}}}}
         {{2017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대한민국 선수 명단}}
         {{2018년 아시안 게임 야구 대한민국 선수 명단}}
         [[분류:199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한화 이글스 선수]][[분류:KIA 타이거즈 선수]][[분류:대구수창초등학교 동문]][[분류:경운중학교 (대구) 동문]][[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상무 야구단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분류:2018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임혁주 . . . . 7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시]]
         | 국적 = 대한민국
         '''임혁주'''(林赫柱, [[1955년]] [[6월 23일]] ~ )는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 겸 [[연극]][[배우]]이다.
         [[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195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동국대학교 동문]][[분류:1975년 데뷔]]
         [[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연극인]]
  • 장문규 . . . . 7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장문규'''([[1974년]] [[4월 13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ref>[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XX39775 장문규-다음인물정보]</ref>
         [[분류:1974년 태어남]][[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동국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모델]]
  • 장윤정 (미스코리아) . . . . 7회 일치
         '''장윤정'''([[1970년]] [[8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미스코리아]], 배우, 방송인이다.
         [[분류:197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87년 데뷔]][[분류:미스코리아 진]][[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프리랜서 아나운서]][[분류:대한민국의 라디오 진행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숙명여자대학교 동문]][[분류:경북예술고등학교 동문]]
  • 주다영 . . . . 7회 일치
         '''주다영''' ([[1995년]] [[6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9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어린이 배우]][[분류:김천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차재욱 . . . . 7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차재욱'''(車宰旭,[[1985년]] [[1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출신 프로게임단 코치였다. 당시에는 [[CJ 엔투스]] 소속이었다.
         '''[Oops]ClouD'''라는 아이디를 쓰며, 종족은 [[테란]]이다. 대한민국 공군 사병으로 복무한 그는데뷔 초기부터 거물 게이머들을 잡아내면서 '''자이언트 킬러'''라는 별명을 얻었다.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리그|한국 사람}}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연안 차씨]][[분류: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분류:온게임넷 스파키즈의 선수]][[분류:공군 ACE의 선수]]
  • 최항석 . . . . 7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 <br/> ({{KOR}} [[대구광역시]])
         '''최항석'''(崔恒碩, [[1961년]] [[5월 31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연기자]] 겸 [[기업가]]이다.
         [[분류:196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1981년 데뷔]][[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오산고등학교 (서울) 동문]][[분류:인하대학교 동문]]
  • 한보배 . . . . 7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경북]] [[구미시|구미]] 고아읍 (선산대로) (현,[[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선산대로))
         '''한보배''' ([[1994년]] [[3월 4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2002년]] [[KBS]] 어린이드라마 《[[매직키드 마수리]]》로 데뷔하였다.
         [[분류:199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구미시 출신]][[분류:2002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어린이 배우]][[분류:청주 한씨]][[분류:대한민국의 검정고시 통과자]]
  • 현소환 . . . . 7회 일치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학사 출신인 그는 [[대한민국 해병대]] 간부후보 30기 출신이기도 하며 예비역 대한민국 해병 중위이다.
         [[연합통신]] 사장 재직 당시 [[YTN]] 설립에 관여했지만 이후 [[김영삼]] 전 대통령의 차남 [[김현철 (1959년)|김현철]]씨가 YTN 초대 사장에 [[김우석]] 전 [[건설교통부]] 장관을 앉히기 위해 현소환 당시 연합통신 사장에게 사퇴 압력을 가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분류:1937년 태어남]][[분류:2018년 죽음]][[분류:연주 현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동문]][[분류:대한민국 해병 중위]][[분류:대한민국의 언론인]][[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김종필]][[분류:신민주공화당]][[분류:자유민주연합 당원]][[분류:정주영]][[분류:백선엽]][[분류:심대평]][[분류:대한민국의 저술가]]
  • 고수희 . . . . 6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시]]
         |국적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고수희'''(高秀喜 [[1976년]] [[7월 18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7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대진대학교 동문]]
  • 김명신 (야구선수) . . . . 6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대표국가 = 대한민국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야구 대한민국 선수 명단}}
         {{2015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선수 명단}}
         {{2017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대한민국 선수 명단}}
  • 김민수 (1983년) . . . . 6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김민수'''([[1983년]] [[9월 20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8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2008년 데뷔]][[분류:대구고등학교 (대구) 동문]][[분류:서울예술대학 연극과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분류:광산 김씨]][[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도]]
  • 김민수 (1991년) . . . . 6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대표국가 = 대한민국
         {{메달 나라|{{국기나라|대한민국}}}}
         {{2013년 동아시아 경기 대회 대한민국 선수 명단}}
         [[분류:199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포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한화 이글스 선수]]
  • 김성민 (1991년) . . . . 6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김성민'''([[1991년]] [[2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남자]] [[배우]]이다.
         [[분류:199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1994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구초등학교 동문]][[분류:대구중학교 동문]][[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수원대학교 동문]]
  • 김우식 (1886년) . . . . 6회 일치
         '''김우식'''(金禹埴, [[1886년]] ~ ?)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 제헌국회 총선|1948년 5월 10일]] : [[대한민국 제헌국회 총선 경상북도#달성군 (제4선거구)|제헌 국회의원(경북 달성)]]
         * 《대한민국 의정총람》, 국회의원총람발간위원회, 1994년
         [[분류:1886년 태어남]][[분류:몰년 미상]][[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서흥 김씨]]
  • 김정행 . . . . 6회 일치
         ||<#131230> '''{{{#white 국적}}}'''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25]] ||
         [[대한민국]]의 전 [[유도(스포츠)|유도]]선수, 체육행정가이다.
         은퇴 이후 유도 코치 겸 유도대학 [[교수]], 대한민국 [[국가대표]] 유도 [[감독]] 등을 역임하였다.
         2013년 [[대한체육회]] 회장 선출에서 [[탁구]]선수 출신으로 [[새누리당]] [[비례대표제|비례대표]]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인 [[이에리사]]를 누르고 선출되었다.
         [[분류:동명이인/ㄱ]][[분류:유도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인물]][[분류:포항시 출신 인물]][[분류:1943년 출생]]
  • 김지훈 (영화감독) . . . . 6회 일치
         | 출생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대구]]
         | 국적 = 대한민국
         '''김지훈'''([[1971년]] [[7월 3일]] ~ )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영화 각본|각본가]]이다.
         * 2007년 제1회 대한민국영화연기대상 감독상
         [[분류:김지훈 감독 영화| ]][[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각본가]][[분류:한양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7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
  • 김태희 . . . . 6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성군]] <ref>[http://entertain.naver.com/read?oid=008&aid=0003295599 '이기적인 유전자' 김태희-이완, 훈훈한 부부의 매력분석], 머니투데이, 2016년 4월 9일 확인</ref>
         '''김태희'''(金泰希<ref>{{뉴스 인용|저자1=장주영|제목=[인터뷰①] ‘그랑프리’ 김태희, “서른은 나를 당당해지게 했다”|url=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09&aid=0002315791|날짜=2010-09-03|확인날짜=2018-07-05|뉴스=매일경제}}</ref>, [[1980년]] [[3월 29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2000년 "화이트" 광고 모델로 연예계에 데뷔해서 2001년 영화 《[[선물 (영화)|선물]]》에 [[이영애]]의 아역으로 출연하면서 연기자로 입문하였고, 2002년 독립 영화 《[[신도시인]]》에 출연했다. 이후 시트콤 《[[해변으로가요]]》(2004), 《[[스크린 (드라마)|스크린]]》, 《[[천국의나무]]》(2006)와 같은 텔레비전 드라마에 출연했다. 2003년에는 《[[천국의 계단]]》에서 악역 한유리 역할로 얼굴을 알리며 인기를 얻기 시작했고, 이 드라마로 [[SBS 연기대상]]에서 뉴스타상을 수상했다. 2004년에는 드라마 《[[작은아씨들]]》과 《[[목련꽃아래서]]》에 출연했다. 하지만 이후 영화 《[[중천 (영화)|중천]]》(2006), 《[[싸움 (영화)|싸움]]》(2007)에 출연했으나, 모두 흥행에 실패했다. 2009년에는 시청률 30%대를 기록한 드라마 《[[아이리스]]》에서 최승희 역할을 연기해 [[KBS 연기대상]]에서 우수연기상을 수상하였다. 이후 드라마 《[[마이프린세스]]》(2011), 《[[나와 스타의 99일]]》(2012), 《[[장옥정 사랑에 살다]]》(2013)에서 주연으로 출연했고, 2015년 드라마 《[[용팔이 (드라마)|용팔이]]》로 [[SBS 연기대상]] 최우수연기상을 수상했다.
         김태희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자연미인으로도 꼽힌다.<ref>{{뉴스 인용 |제목=한국 최고미녀 왜 김태희인가|url=http://sports.khan.co.kr/news/sk_index.html?cat=view&art_id=201101131845363&sec_id=540101&pt=nv|저자=윤대헌|출판사=스포츠 칸 |날짜=2011-01-13 |확인날짜=2011-01-20}}</ref> [[중국]]에서 뽑은 [[한국]] [[여배우]] 순위 1위에도 뽑혔다.<ref>{{뉴스 인용 |제목=중국인, 김태희가 최고…송혜교 이다해 순|url=http://morningnews.co.kr/article.php?aid=129319437931191006|출판사=모닝뉴스 |날짜=2010-12-24 |확인날짜=2011-01-20}}</ref> 또, [[전지현]]·[[송혜교]]·[[손예진]]·[[한가인]]·[[이나영]]·[[한지민]]·[[한예슬]] 등과 200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의 [[미인]]으로 불린다.
         2012년 12월 31일 [[디스패치 (대한민국)|디스패치]]는 [[이병헌]]과 [[이민정]]의 열애설을 터뜨림과 동시에 "디스패치가 새해 첫 커플의 사랑 소식을 전해드리겠습니다"라는 말을 남겼고, 2013년 1월 1일 [[이완(1984년)ㅣ이완]]와 김태희가 데이트하는 현장 사진을 올리면서 [[열애설]]을 제기했다.<ref>{{뉴스 인용|제목=김태희-이완 열애설 보도한 ′디스패치′ 덩달아 주목|url=http://www.newspim.com/view.jsp?newsId=20130101000202|출판사=뉴스핌|날짜=2013-01-01|확인날짜=2013-09-12|보존url=https://web.archive.org/web/20131203201303/http://www.newspim.com/view.jsp?newsId=20130101000202#|보존날짜=2013-12-03|깨진링크=예}}</ref> 같은 날 오후 소속사 [[루아엔터테인먼트]]는 아직 만난지 1개월 밖에 안되었고, 알아가는 단계라며 교제설을 인정했다.<ref>{{웹 인용 |제목=김태희, "이완와 만난지 한달…알아가는 단계" 열애 공식 인정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2000년 데뷔]][[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SBS 연기대상 여자 최우수연기상 수상자]][[분류:KBS 연기대상 여자 우수연기상 수상자]]
  • 남동훈 . . . . 6회 일치
         | 출생지 = {{국기|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국적 = {{국기|대한민국}}
         '''남동훈'''(1984년 5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근대5종]] 선수이다.
         [[분류:198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근대5종 선수]][[분류:2008년 하계 올림픽 근대5종 참가 선수]]
         [[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근대5종 참가 선수]]
  • 노행하 . . . . 6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김천시]] 교동 (김천시) (한일길)
         |국적 = [[대한민국]]
         '''노행하'''([[1990년]] [[4월 10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ref>[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X465665 노행하-다음영화정보]</ref>
         [[분류:199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김천시 출신]]
  • 대한민국 FA컵 . . . . 6회 일치
         대한민국 FA컵은 [[대한축구협회]]에서 주관하는 [[컵 대회]]이다. 프로, 아마추어 구분없이 KFA에 등록되어 있고 규정을 충족한 모든 팀이 겨루는 대회이기도 하다. 기본적으로 모든 경기는 단판승부가 원칙이나 흥행을 유도한다는 이유로 대회진행방식이 끊임없이 바뀌고 있어 NTX위키에 일일이 적기가 어려울 정도.
         정식 명칭은 FA CUP이며, 이는 대한축구협회에서 정한 공식 명칭이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FA컵이라는 명칭이 곳곳에 쓰이고 있기 때문에 보통 각 국가의 이름을 앞에 붙이는 방식으로 구분하고 있거나 프랑스, 이탈리아처럼 각 국가의 이름에서 유래한 명칭을 부여하고 있기에 언론에서는 스폰서의 이름을 붙이거나 대한민국 FA컵으로 보통 부르고 있다.
         대한민국 FA컵의 전신은 1921년에 개최한 '전조선축구대회'와 해방 이후 1946년에 열린 '전국축구선수권대회'로 본다. 전국축구선수권대회는 K리그가 시작된 1983년을 기점으로 관심이 시들해지고 또 출전 자격이 KFA가 자격을 심사한 뒤에 초청하는 형식이었기 때문에 현대적인 의미의 FA컵과는 거리가 동떨어져 있었다.
         2016년 기준, ACL에 참가하는 대한민국 프로축구팀들은 AFC의 규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조편성에 들어간다.
         과거 포항이 더블을 달성했을 때는 3.5장이 아니라 4장을 부여하였기에 '''어차피 똑같은 1장'''이라는 개념이 있어서 FA컵 우승팀이 들어가야 할 F조의 자리를 당시 리그 4위였던 서울에게 바로 넘겨줬기 때문에 서울이 F조 자리로 갔었다. 그리고 0.5장이란 개념이 없던 미비했던 동아시아 조추첨의 경우는 각 국가별로 조별단계에서 겹치지 않도록 국가별 조추첨을 통해 조편성이 이루어졌기에 한때는 리그 2위였던 성남이 E조에 들어가고 우승팀인 전북이 F조 들어가는 등의 상황이 있었다. 허나 지금은 동아시아 조편성에 0.5장이라는 특수성이 과거에 비해 복잡하게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조편성이 난감해질 우려가 생겼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복잡한 구조가 되었다. 이는 대한민국 K리그 뿐만이 아니라 똑같이 3.5장을 부여받는 J리그와 중국 슈퍼리그도 비슷한 논리로 조편성을 위한 티켓부여가 복잡하게 이루어진다.
         [[대한민국 FA컵/2016시즌]]
  • 도모세 . . . . 6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국적 = [[대한민국]]
         '''도모세'''([[1992년]] [[9월 3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모델]]이다. <ref>[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B%8F%84%EB%AA%A8%EC%84%B8&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2963763 도모세-네이버인물정보]</ref>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모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92년 태어남]]
  • 류한수 . . . . 6회 일치
         | 국가 = {{국기나라|대한민국}}
         {{메달 나라|{{국기나라|대한민국}}}}
         '''류한수'''(柳漢壽, [[1988년]] [[2월 11일]] ~ )는 [[대한민국]]의 [[레슬링]] 선수이다.
         [[분류:198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레슬링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레슬링 참가 선수]][[분류:2016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참가 선수]][[분류: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레슬링 메달리스트]][[분류:2014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8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4년 아시안 게임 레슬링 참가 선수]][[분류:2018년 아시안 게임 레슬링 참가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구중학교 (대구) 동문]][[분류:경북공업고등학교 동문]][[분류:경성대학교 동문]]
  • 무라하치부 . . . . 6회 일치
         일본의 선거는 미리 선거의 이름, 투표 시간, 선거인의 주소, 성별, 성명, 명단번호, 접수 번호 등이 기록된 투표소입장권(投票所入場券)을 배부하고, 이를 투표소에 가지고 가서 직원에게 전달하고 투표용지와 교환하여 투표하며, 이는 원칙적으로 본인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이 마을에서는 이렇게 회수한 입장권으로 마을의 유력자가 여러 차례 투표를 했다. 선거 관리자는 이를 묵인하였고, 마을 주민들도 이러한 행위에 아무런 의문을 품지 않았다.
         이 당시 이 마을에 거주하던 중학생 소녀 이시카와 사츠키(石川皐月, 1935년 5월11일 생)는 1952년 부정선거의 풍조에 의문을 느껴 학내 신문인 우에노 중학교 신문에 이 사실을 고발하는 글을 개제하였다. 하지만 학교 측에서 모든 학생에게 배포된 신문을 회수하여 소각 처리했다. 1952년 5월 6일 열린 참의원 보궐 선거에서도 비슷한 수법으로 부정이 실행된 것을 알게 된 이시카와(당시 고교생으로 진학)는 아사히 신문에 이를 투고하여 고발하였다. 아사히 신문사의 기자는 5월 8일 이시카와를 방문하였고, 몇일 뒤에는 사건이 기사화 되었으며 사건 관계자 수십명이 경찰에 출두하게 되었다.
  • 문창진 . . . . 6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국적 || [[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28]] [[대한민국]] ||
         하지만 이후 [[신태용]]이 이끄는 2016 리우올림픽 대표로 뽑혔고, 올림픽 예선을 겸한 AFC u-23 대회 조별예선 1차전 우즈베키스탄전에서 ~~팀 동료가 될 뻔 했던~~[[황희찬]]과 함께 맹활약하며 2골을 집어넣으며 팀의 2:1 승리를 이끌었다. 이후 황희찬과 더불어 전체적으로 전력이 약한 대표팀을 끌다시피 하고 있으며, 8강전에서는 황희찬이 후반 초반 부상으로 실려나가자 사실상 혼자 캐리쇼(...)를 벌이며 팀을 4강으로 이끌었다.[* 1골을 넣어 1:0 승리에 일조했을 뿐만 아니라, 공수 모두가 붕괴된 후반전 사실상 박스 투 박스 미드필더가 되어 공격 수비 모두 ~~싸질러놓은 X들을 치우느라~~ 문창진 혼자서 책임지다시피 했다. ~~그렇게 [[이명주]] 3호기가 되는거야~~] 4강전에서는 2:1로 앞선 후반 추가시간에 승부의 쐐기를 박는 골을 작렬시켰는데, 골이 터지는 순간 경기는 그대로 끝나며 대한민국은 세계 최초 8연속 올림픽 축구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그리고 결승에서는 후반 중반까지 혼자서 공격진과 수비진을 연결하며 개인기를 통한 탈압박 후 연결의 좋은 모습을 보여주다 김현 투입 후 롱볼전술로 팀의 전술이 변경됨에 따라 공격진으로 올라갔으나~~센터백과의 몸싸움에서 밀리며~~ 큰 성과를 거두진 못했다.[* 이는 신태용 감독의 전술변화에 의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제공권 장악력과 포스트 플레이가 가능한 [[김현(축구선수)|김현]]~~뭐라고?~~을 투입하면서 수비진에서 한번에 공격진으로 연결하는 전술변화에 의한 면이 크다. 하지만 피지컬이 약점인 문창진마저 최전방으로 내몰면서 결국 공격과 수비의 가교 역할을 하던 문창진마저 공격을 [[강요받고 있는 거다!|강요받으면서]] 팀 밸런스가 붕괴하고 만다. 여기에 대회 내내 사실상 박스 투 박스 미드필더로 굴려진 문창진의 체력이 후반에 바닥나버린 건 덤.] ~~[[도하 참사(축구)|그리고...]]~~
         3월에 열린 알제리 올림픽 대표팀과의 2연전에서 왜 자신이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에 들어가야 하는지를 보여주었다. 1차전에서 선발로 출장, 권창훈의 패스를 이어받아 중거리에서 아웃프런트로 강하게 때려 넣어 골키퍼를 완벽히 속이는 골을 넣었고, 2차전에서는 후반 교체출장하여 김현의 패스를 이어받아 개인기 한 번과 함께 수비 세명을 그대로 벗겨내고 정확한 왼발 인프런트 킥으로 중거리 골을 작렬시켰다.
         [[분류:1993년 출생]] [[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분류:대한민국의 축구선수]] [[분류:포항 스틸러스/은퇴, 이적]] [[분류:강원 FC/현역]]
  • 박부남 (1931년) . . . . 6회 일치
         '''박부남'''(朴富南, [[1931년]] ?월 ?일 ~ [[2018년]] [[1월 11일]])은 [[대한민국]]의 [[소아과|소아]][[내과]] [[의사]], 대학 교수로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와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를 역임했다. 구한 말의 관료 [[박중양]]의 손녀이며, [[청도군|청도]], [[상주군|상주]], [[청송군|청송]][[군수]]를 지낸 [[박문웅 (1890년)|박문웅]]의 딸이다. [[대구광역시]] [[북구 (대구광역시)|북구]] [[침산동]] 출신.
         ** 이복 고모 : 박정자(朴政子<ref>"박중양씨 입건 '이 대통령'의 명예훼손 혐의", 동아일보 1957년 09월 15일자 3면, 사회면</ref>, [[1936년]] - ?)
         [[분류:1931년 태어남]][[분류:2018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의사]][[분류:대한민국의 의학자]][[분류:내과 의사]][[분류:소아청소년과 의사‎]][[분류:경북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경북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박중양]]
  • 박준홍 . . . . 6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구미시 출신 인물]][[분류:1947년 출생]]
         [[박정희]]가 대통령이 되면서 작은아버지 박정희의 지원으로 유학까지 다녀오고 공직 생활을 했다. [[대한축구협회]] 회장까지 지냈다.
         [[신민주공화당]], [[자유민주연합]]에서 정치인 생활을 했지만 선거에서는 계속 낙선했다. 특히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같은 선거구인 [[경상북도]] [[구미시]] 선거구에서 사촌 형인 [[박재홍(1941)|박재홍]] [[민주정의당]] 후보와 대결하여 낙선하였다.
  • 박태호 (야구인) . . . . 6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대구시]]
         {{2009년 아시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선수 명단}}
         [[분류:196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야구 감독]][[분류:롯데 자이언츠 선수]][[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영남대학교 동문]]
  • 박화랑 . . . . 6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2009년 [[제43회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준우승을 비롯 [[제31회 대붕기 전국고교야구대회|대붕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우승, [[제90회 전국체육대회|제90회 전국체전]] 우승을 이끌며 우수 투수상 등의 개인 상 수상 및 청소년 대표 명단에도 이름을 올렸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111&aid=0000180568 홍희정의 아웃사이더 '청대' 출신 박화랑, 와신상담 끝에 삼성 '신고선수' 출발!] 《조이뉴스》 2010년 3월 9일</ref>
         {{2009년 아시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선수 명단}}
         [[분류:199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대구상원고등학교 동문]][[분류:경운중학교 (대구) 동문]][[분류:대구수창초등학교 동문]]
  • 변현제 . . . . 6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변현제'''([[1994년]] [[1월 28일]] ~ )는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Mini'''라는 아이디를 사용하며, 종족은 [[프로토스]]이다.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리그}}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분류:199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분류:프로토스 선수]][[분류:SouL (e스포츠)의 선수]][[분류: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 송진현 . . . . 6회 일치
         |국가 = 대한민국
         |대통령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분류:1952년 태어남]][[분류:은진 송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문]][[분류:대한민국의 판사]][[분류:대한민국의 지방법원장]][[분류:대한민국의 변호사]]
  • 신동호 (아나운서) . . . . 6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거주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국적 = 대한민국
         '''신동호'''([[1965년]] [[1월 10일]] ~ )는 [[대한민국]]의 아나운서이다. [[경희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1992년]] [[문화방송]]에 입사하였다.
         {{본문|2017년 대한민국 언론 노조 파업}}
         [[분류:196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92년 데뷔]][[분류:문화방송의 아나운서]][[분류:대한민국의 아나운서]][[분류:대건고등학교 동문]][[분류:경희대학교 동문]][[분류:평산 신씨]]
  • 신은정 . . . . 6회 일치
         '''신은정'''([[1974년]] [[1월 3일]] ~ )은 [[대한민국]]의 여자 [[배우]]이다.
         [[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197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김천시 출신]][[분류:1992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신종령 . . . . 6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국가 = 대한민국
         '''신종령'''([[1982년]] [[3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코미디언]]이다. [[2010년]] [[KBS]] 25기 공채 개그맨으로, 2009년 《[[개그 스타]]》의 코너 〈늦었어〉를 통해 데뷔하였다.
         [[분류:개그콘서트]][[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희극인]][[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범죄인]][[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대구대학교 동문]][[분류:2009년 데뷔]][[분류:1982년 태어남]]
  • 왝더독 . . . . 6회 일치
         대통령 선거 2주 전, 재선에 도전하던 [[대통령]]이 [[백악관]]을 방문한 "반딧불 소녀단"의 단원 중 하나를 [[성희롱]]했다는 소문이 터진다. 이에 대통령은 정치 문제 해결사 콘래드 브린을 시켜 이 스캔들을 해결하려고 하는데.......
          스캔들 해결을 위해 대통령이 부른 정치 문제 해결사.
          일단 대통령 밑에 있는 사람 중 하나. 브린, 모스와 함께 다니지만 멘탈이 약하다.
  • 우동균 . . . . 6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대표국가 = 대한민국
         '''우동균'''(禹東均, [[1989년]] [[12월 3일]] ~ )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자, 일본 독립 야구 [[가가와 올리브 가이너즈]]의 [[외야수]]였다.(5월 1일 퇴단하였다.)
         {{2007년 아시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선수 명단}}
         {{2010년 인터콘티넨털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 우의형 . . . . 6회 일치
         |국가 = 대한민국
         |대통령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시]]
         [[분류:1948년 태어남]][[분류:단양 우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문]][[분류:대한민국의 판사]][[분류:대한민국의 지방법원장]][[분류:대한민국의 변호사]]
  • 유승진 (필드하키 선수) . . . . 6회 일치
         '''유승진'''(柳承辰, Yu Seung-Jin, [[1969년]][[1월 20일]] ~ )은 [[대한민국]]의 전 남자 [[필드하키]] 선수이자 현 지도자이며 [[대구광역시]] 출신이다.
         [[분류:196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하키 선수]][[분류:대한민국의 하키 감독]][[분류:1986년 아시안 게임 하키 참가 선수]][[분류:1994년 아시안 게임 하키 참가 선수]][[분류:1988년 하계 올림픽 하키 참가 선수]][[분류:1996년 하계 올림픽 하키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하키 참가 선수]][[분류:1986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1994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아시안 게임 하키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하키 참가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유재한 (1955년) . . . . 6회 일치
         '''유재한'''(柳在韓, [[1955년]] [[3월 15일]] ~ )은 대한민국의 행정공무원과 한국주택금융공사 사장을 지내었고, [[한나라당]] [[대구광역시|대구시]] [[달서구]] 병 지역 당협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 [[대한민국 제18대 총선|18대 국회의원 선거]] 출마([[한나라당]], 대구 달서구 병)
         [[분류:195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공무원]][[분류:한나라당의 정치인]]
  • 윤덕주 (농구인) . . . . 6회 일치
         '''윤덕주'''(尹德珠, [[1921년]] [[6월 23일]] - [[2005년]] [[7월 8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이자, 대한체육협회 부회장, 명예회장을 역임했다. 구한말의 계몽 운동가 [[윤필오]]의 손녀이자, [[남조선과도입법위원회]] 의원 [[윤홍열]]의 딸이다. 4,5대 국회의원과 재무부 차관, [[호남정유]]사장을 지낸 [[서정귀]]의 부인이다.
         **** 외6촌제부 : [[박창암]](朴蒼巖, [[1923년]] [[5월 15일]] ~ [[2003년]] [[11월 10일]], 군인, 정치가. 이상오의 사위. 아호(雅號)는 만주(滿洲), 허주(虛舟), 농부(農夫). [[군사영어학교|대한민국 군사영어학교]] 1기 출신. [[대한민국 육군|육군]] [[1성 장군|준장]] 전역.)
         * [[1999년]] [[대한민국 체육훈장]] 맹호장
         [[분류:1921년 태어남]][[분류:2005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여자 농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농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숙명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병사한 사람]][[분류:FIBA 명예의 전당 헌액자]]
  • 윤식 . . . . 6회 일치
         '''윤식'''(尹埴, 1939년 4월 9일 ~ )은 대학 교수를 지낸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이다.
         * [http://rokps.or.kr/ 대한민국 헌정회]
         [[분류:1939년 태어남]][[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파평 윤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분류:서울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하와이 대학교 동문]][[분류:베일러 대학교 동문]][[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강사]]
  • 윤천주 . . . . 6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교육자, 관료, [[정치인]]이다. [[종교]]는 [[가톨릭]]으로 [[세례명]]은 토마스 아퀴나스이다.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김종필]] 등과 [[민주공화당(1963년)|민주공화당]] 창당에 관여하였다. 1963년 초대 민주공화당 사무총장에 임명되었다. 1964년부터 1965년까지 문교부(현 [[대한민국 교육부]])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장관]]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한일기본조약]]과 관련하여 [[6.3 항쟁]]에 참여한 학생들에 대한 징계에 미온적이라는 이유로 경질되었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전국구]]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그러나 [[3선 개헌]] 때 김종필과 친하여 개헌안에 소극적이었다는 이유로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공천을 받지 못하였다.
         [[분류:구미시 출신 인물]][[분류:교수]][[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정치학자]]
  • 이갑상 . . . . 6회 일치
         | 국적 = {{국기|대한민국}}
         | 상훈 = 대통령표창(1977년)
         대구 출신으로 1944년 9월 징병1기생으로 일본군에 징집되어 중국전선에 투입되었다가 1945년 2월에 일본군을 탈출하여 중국 구강지구 중국군 제17사단에서 중앙군과의 합동작전에 참가하면서 항일운동을 벌였다. 1945년 3월 30일에 [[한국 광복군]]을 찾아가던 중 중국 무호현에서 일본 헌병에게 체포되어 같은 해 4월 28일에 일본군 제7330부대 임시군법회의에서 분적당여죄로 징역 10년형을 판결받고 [[마포형무소]]에서 [[8.15 광복]]까지 수감하였다. 1977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통령표창을 수여받았다.
         * [http://www.mpva.go.kr/narasarang/gonghun_view.asp?id=5144&ipp=10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이갑상 공훈록]
         [[분류:1924년 태어남]][[분류:2017년 죽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 이국철 . . . . 6회 일치
         |출생지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시]]<br/> (현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국적 = 대한민국
         '''이국철'''(李國哲, [[경상북도]] [[대구시]] [[1962년]] [[3월 17일]] ~ )은 [[SLS그룹]] 회장을 역임하는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2011년 9월, [[신재민]] 전 [[대한민국의 문화체육관광부 차관|문화체육관광부 차관]]에게 그동안 수십억 원을 건넸다고 폭로했다.<ref>《시사저널》(2011.09.21),[http://www.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56092 <단독> “신재민 전 문화부 차관에게 수십억 원대 금품 줬다” ]</ref> 민주당 국회의원 [[박지원]]은 회장 이국철에게서 전 차관 [[신재민]]이 대선 전후 [[미국|아메리카합중국]] 출장 시 현지 법인카드를 사용한 내역을 가지고 있고 다른 여권 실세에게 돈을 주었다는 주장을 들었다고 밝혔다.<ref>《손석희의 시선집중》(2011.09.27), [http://www.imbc.com/broad/radio/fm/look/notice/?list_id=5667955 " 이국철 게이트 터지나" 박지원 민주당 전 원내대표 터뷰]</ref>
         [[분류:196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
  • 이나경(배우) . . . . 6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이나경'''({{본명|나야}})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국내 데뷔 전 [[홍콩]]에서 모델로 활동했다.
         [[분류:대한민국의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모델]][[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생년 미상]][[분류:살아있는 사람]]
  • 이동춘 . . . . 6회 일치
         |국가 = {{국기나라|대한민국}}
         |출생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이동춘'''(李東春, Dong-Chun Lee, [[1963년]] [[3월 8일]] ~ [[1995년]] [[9월 9일]])은 [[대한민국]]의 전 [[권투]] 선수로, 한국과 일본에서 활동했다. 일본명은 '''그레이트 가나야마'''(グレート 金山)이다.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났다. [[1980년]] [[11월 18일]] [[대한민국]]에서 프로 무대에 데뷔했으며, [[1981년]] [[11월 18일]] [[OPBF]] 밴텀급 경기에서 [[오장균]]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다. [[1983년]] [[7월 26일]] 대한민국 밴텀급 챔피언에 올랐으며, [[1992년]] [[6월 6일]] [[일본]] 밴텀급 챔피언에 올랐다.
         [[분류:1963년 태어남]][[분류:1995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권투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기 중 사망한 권투 선수]]
  • 이은혜 (레이싱모델) . . . . 6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직할시]]<br />(現 [[칠곡군]])
         '''이은혜'''(본명|채종혜)는 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ref>[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txc&where=people_profile&ie=utf8&query=%EC%9D%B4%EC%9D%80%ED%98%9C&os=800060 네이버 인물 정보]</ref><ref>[http://search.nate.com/search/all.html?q=%C0%CC%C0%BA%C7%FD&hi=PR377342&ht=h_pf&csn=12&dsn=4&asn=001200294 네이트 인물 정보]</ref>이자 방송인이다.
         [[분류:1987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라운드 걸]]
  • 이장훈(배우) . . . . 6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김천시]] 교동 (부거리길)
         | 국가 = 대한민국
         '''이장훈'''({{본명|'''이성호'''}}, [[1972년]] [[2월 28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7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학원 강사]]
  • 장범준 . . . . 6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장범준'''([[1989년]] [[5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그룹 [[버스커 버스커]]의 리더이다. 그가 속한 그룹 버스커 버스커는 [[2011년]] [[엠넷]] 오디션 《[[슈퍼스타K3]]》에 참가해 결승까지 진출했지만, 준우승에 그쳤다. 그는 편안한 목소리와 감성을 자극하는 음악으로 주목받았다. [[2012년]] [[3월 29일]] 첫 번째 앨범 《[[버스커 버스커 1집]]》으로 데뷔했다. '''장범준'''은 버스커 버스커로 데뷔하기 전에 [[다큐 3일]] 청춘의 봄날 홍대거리 편에 출연한 적이 있다. [[2014년]] [[8월 19일]] 솔로 가수로 데뷔하였다.
         * 대한민국: 11,162+<ref>{{웹 인용|url=http://gaonchart.co.kr/main/section/chart/album.gaon?serviceGbn=ALBUM&termGbn=month&hitYear=2014&targetTime=08&nationGbn=T|제목=2014년 08월 Album Chart |웹사이트=가온 차트|날짜=2014-09-11}}</ref>
         * 대한민국: 10,000+<ref>{{웹 인용|url=http://gaonchart.co.kr/main/section/chart/album.gaon?serviceGbn=ALBUM&termGbn=month&hitYear=2016&targetTime=03&nationGbn=T|제목=2016년 03월 Album Chart |웹사이트=가온 차트|날짜=2016-04-07}}</ref>
         * 대한민국: 5,856+<ref>{{웹 인용|url=http://gaonchart.co.kr/main/section/chart/album.gaon?serviceGbn=ALBUM&termGbn=month&hitYear=2019&targetTime=03&nationGbn=T|제목=2019년 03월 Album Chart |웹사이트=가온 차트|날짜=2019-04-11}}</ref>
         [[분류:버스커 버스커]][[분류:1989년 태어남]][[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상명대학교 동문]][[분류:슈퍼스타K 참가자]][[분류:장씨]]
  • 정종원 . . . . 6회 일치
         |사망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특별시)|중구]] [[장충동]]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1949년 상무 승진 후 1950년에는 전무 자리에 올랐다. 1956년 10월 23일 드디어 조흥은행 5대 행장에 선임됐다. 그가 선임된 해인 1956년 3월3일 개장된 증권거래소에서 [[조흥은행]]은 종목번호 '00001'을 부여받으며 대한민국 최고령 기업이자 최초의 상장사가 됐다. 명실 공히 당시 국가를 대표하는 초우량기업이었다.<ref>경향신문 1996년 11월 5일 9면 "상장사 평균 30세 조흥은행 최고령-증권거래소 분석 "</ref>
         정종원은 공교롭게도 1961년 5.16군사혁명 발발 보름 전 4년 반 동안 이어온 행장직에서 물러났다. 퇴임후 검찰이 추진한 3.15부정선거자금에 대한 특검에서 수사 대상에 올랐지만 공소조차 진행되지 못한 채 종결됐다.<ref>경향신문 1961년 3월 5일 3면 특검천하 42일 (3)</ref> 그러나 [[군사혁명]] 발발 직후 [[이병철]]은 [[부정축재자]]로 몰려 시중 은행 주식을 모두 강제 환수당했다. 이병철은 [[조흥은행]] 70%, [[한일은행]] 60% 등을 보유하고 있었다.<ref>경향신문 1961년 10월 15일 1면 대주주소유 오개은에 환수통고</ref>
         [[분류:1896년 태어남]][[분류:1977년 죽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분류:대한민국의 금융인]][[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니혼 대학 동문]]
  • 최민호(유도선수) . . . . 6회 일치
         ||<#131230> '''{{{#white 국적}}}''' ||<#ffffff>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28]] ||
         대한민국의 전 국가대표 [[유도(스포츠)|유도]] 선수이자 현 유도 코치, 별명은 '''작은 거인'''으로 [[2008 베이징 올림픽]] 유도 60kg급 [[금메달]]리스트, [[2004 아테네 올림픽]] 유도 60kg급 [[동메달]]리스트다.
          * 유도선수치고는 다소 순박해 보이는 인상에 163cm인 [[단신|작은 체구]]의 소유자이다 보니, [[인터넷]]에서는 [[http://www.clien.net/cs2/bbs/board.php?bo_table=park&wr_id=14121592|'''3개월 복싱 배운 185cm 내 남자친구가 최민호 정도는 이긴다''']]고 말하는 한 [[여자]]의 [[짤방]]이 떠돌아 다닌 적이 있다. ~~국대를 어떻게 이기냐~~ 그러나, 어떤 무술이든 해당 무술을 좀 했다는 소리를 들으려면 진짜 최소 한도로 잡으면 1년, 적어도 3년은 수련해야 한다는 걸 감안하면 [[복싱]]을 3개월 배웠다는 거로는 사실 별 의미가 없다. 게다가 [[애초에]] [[국가대표]]와 일반 사회체육인은 체력차가 크다. 특히 유도는 [[레슬링]]과 [[올림픽]] 그래플링계를 양분하는 무술 중 하나이다. 더구나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유도 강국으로 꼽히는 나라이고, 최민호는 그런 나라의 국가대표 선수인데다가 상술했듯이 동 체급 내에서도 어마무시한 [[괴력]]의 소유자였으며, 결과적으로는 [[올림픽]]에서 [[금메달]]까지 획득한 '''세계 챔피언'''이다.
         [[분류:유도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인물]][[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1980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메달리스트]]
  • 최웅 . . . . 6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최웅'''([[1986년]] [[12월 2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2011년 《'박카스-국군장병편'》 CF로 데뷔하였다.
         | 《[[대한민국 1%]]》
         [[분류:198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2011년 데뷔]][[분류:대경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
  • 최재만 . . . . 6회 일치
         |출생지=[[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최재만(崔載晩, [[1988년]] [[5월 19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2009년]] 7월 2일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 [[어반 자카파]]의 EP 앨범 '커피를 마시고'로 데뷔하여 [[2010년]] 3월까지 [[어반 자카파]]의 멤버로 활동하였고, [[2014년]]과 [[2015년]]에 [[대한민국]]의 [[음악 그룹]] [[The Nucleus]]에서 활동하였다. [[2017년]] 4월 25일에 솔로로 데뷔하였다.
         [[분류:198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싱어송라이터]][[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동아방송예술대학교 동문]]
  • 최충연 . . . . 6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대표국가 = 대한민국
         {{메달 나라|{{국기나라|대한민국}}}}
         {{2018년 아시안 게임 야구 대한민국 선수 명단}}
         [[분류:199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대구수창초등학교 동문]][[분류:대구중학교 동문]][[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분류:2018년 아시안 게임 야구 참가 선수]]
  • 추창민 . . . . 6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추창민'''(1966년 ~ )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영화 각본가]]이다.
         [[분류:196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각본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편집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구대학교 동문]]
  • 탁민제 . . . . 6회 일치
         | 출생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탁민제'''(卓民濟, 1954년 ~ )은 [[대한민국]]의 [[항공우주공학자]]이다. 현재 [[KAIST]] 공과대학 기계항공시스템학부 항공우주공학 교수이자 [[한국항공우주학회]]장이다.<ref>{{뉴스 인용|제목 = 항공우주학회장 KAIST 탁민제 교수|URL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8&aid=0002196808|출판사 = 한국일보|날짜 = 2011-11-08}}</ref>
         [[분류:195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공학자]][[분류:대한민국의 과학자]][[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한국과학기술원 교수]][[분류: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동문]][[분류:텍사스 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광산 탁씨]][[분류:항공우주공학자]]
  • 토탈워: 쇼군 2 - 사무라이의 몰락/유닛 . . . . 6회 일치
          * 항구(Port)/군항(Military Port)/건선거(Drydock) 필요
          * 항구(Port)/군항(Military Port)/건선거(Drydock) 필요
          * 항구(Port)/군항(Military Port)/건선거(Drydock) 필요
          * 항구(Port)/군항(Military Port)/건선거(Drydock) 필요
          * 항구(Port)/군항(Military Port)/건선거(Drydock) 필요
          * 건선거(Drydock) 필요
  • 한길로 (영화감독) . . . . 6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국적 = 대한민국
         '''한길로'''(洪尙秀, [[1977년]] [[10월 27일]] ~)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분류:197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한양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각본가]][[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홍아름 . . . . 6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김천시]] 교동 (김천시) (교동택지4길) 삼락동 (김천시) (삼락택지길)
         '''홍아름'''([[1989년]] [[3월 28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8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뮤지컬 배우]]
         [[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2006년 데뷔]][[분류:김천시 출신]][[분류:황금촬영상 수상자]]
  • K리그 클래식 . . . . 5회 일치
         K리그 클래식은 2012년 기존 K리그가 [[아시아축구연맹]] AFC의 [[AFC 챔피언스 리그]]의 개편에 따라 [[한국프로축구연맹]]이 [[승강제]]를 도입함으로써 구분된 대한민국 최상위 프로축구리그다.
         이로써 2012년에 승강제 계획안이 발표되고, 2013시즌부터 대한민국 최상위 프로축구리그의 명칭은 '''K리그 클래식'''이 되었다.
         나머지 1개 티켓은 K리그의 결과에 따라 부여되는 게 아니라 [[대한민국 FA컵]]의 결과에 따라 진출 여부가 결정되므로 이는 대한민국 FA컵 문서에서 다룬다.
         [[대한민국 FA컵]]
  • 고원희 . . . . 5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김천시]] 모암동 (모암행복1길) (모암길)
         '''고원희'''([[1994년]] [[9월 12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9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2011년 데뷔]][[분류:김천시 출신]][[분류:제주 고씨]]
  • 곽희성 . . . . 5회 일치
         '''곽희성'''(郭熙聖, [[1990년]] [[4월 18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9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중앙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2012년 데뷔]][[분류:현풍 곽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모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 국가원수 . . . . 5회 일치
         [[대통령]]이 국가원수가 된다. [[대만]]은 [[총통]]이라는 용어를 쓴다.
         [[소련]]의 경우, '최고 소비에트 상임간부회 주석'이 국가원수로서 지위를 가졌다. 하지만 이는 의전상의 지위에 불과하며, 실권은 거의 없었다. 실권은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쥐고 있었으며, 1977 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가 겸임하게 된 이후로는 서기장이 겸임하는 지위로 전락했다. 1990년에 고르바초프가 대통령 직위를 만들고 대통령제를 실시하게 되었는데, '''그리고 소련은 멸망했다.'''
          * 안도라 : 프랑스 대통령과 우르헬 주교가 공동으로 국가원수가 된다.
          * 스위스 : 7인으로 구성된 스위스 연방평의회가 국가원수의 역할을 맡는다. 7명 가운데 1명이 매년 연방대통령으로 선출된다.
  • 김대호(축구선수) . . . . 5회 일치
          [[분류:1988년 출생]][[분류:동구(대구)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축구선수]][[분류:포항 스틸러스/은퇴, 이적]][[분류:경찰 축구단/전역]][[분류:수원 FC/현역]]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국적''' || [[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28]] [[대한민국]] ||
         || 2014.01.29 || A메치 친선전 || 멕시코 4 : 0 대한민국 || A메치 데뷔전 ||
  • 김상훈 (1990년) . . . . 5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드래프트 순위 = [[2010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2010년]] 4라운드([[두산 베어스]])
         [[2010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2010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두산 베어스]]의 4라운드(전체 26위) 지명을 받아 입단하였다.
         [[분류:199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두산 베어스 선수]][[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분류:대구율하초등학교 동문]][[분류:경운중학교 (대구) 동문]][[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
  • 김소희 (2000년) . . . . 5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ref> [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A%B9%80%EC%86%8C%ED%9D%AC&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3874045 김소희-네이버인물정보]</ref>
         '''김소희'''([[2000년]] [[1월 10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ref>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2001159 김소희-다음인물정보]</ref>
         [[분류:200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16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김시진 . . . . 5회 일치
         |대표국가 = 대한민국
         {{1982년 야구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2010년 아시안 게임 야구 대한민국 선수 명단}}
         [[분류:195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포항시 출신]][[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롯데 자이언츠 선수]][[분류:키움 히어로즈 감독]][[분류:현대 유니콘스 감독]][[분류:롯데 자이언츠 감독]][[분류:한국 프로 야구 100승 클럽]][[분류:KBO 골든글러브 수상자]][[분류:KBO 탈삼진상 수상자]][[분류:KBO 승리상 수상자]][[분류:KBO 승률상 수상자]][[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포항중앙초등학교 동문]][[분류:포항중학교 동문]][[분류:한양대학교 동문]]
  • 김태우(god) . . . . 5회 일치
         ||<#878787> '''{{{#EEE156 국적}}}''' ||<(> [[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30]][[대한민국]] ||
         현역 입대를 선언하고 [[2007년]] [[3월 20일]] 102보충대에 입소했다. 보통 몸 좋은 연예인들이 이상할 정도로(?) 보충역으로 빠지는 것과는 달리 현역을 지원했고, 심지어 그마저도 [[국방홍보원 홍보지원대]]가 아닌 [[제27보병사단|27사단]](이기자부대)에서 기초훈련을 받은 후 [[대한민국 육군/수색대|수색대]]에 배치, 복무했다.
         한편, 이때의 인연 때문인지 [[진짜 사나이(일밤)|진짜 사나이]]가 [[제27보병사단|이기자부대]] [[대한민국 육군/수색대|수색대]]에서 촬영할 당시 예비 군복을 입고 위문공연을 왔다. 하지만 뒤이어 등장한 '''[[씨스타]]'''에게 장병들의 관심이 완전히 넘어가면서 공연은 대실패(?). 김태우 본인도 "군대에 남자 가수 따위가 누가 온다고 한들 좋아하겠어요?"라며 씁쓸한 웃음을 지으며 인정했다. 그리고 진짜 사나이 맴버들을 비롯한 후배 수색대원들에게[* 사실상 진사 전용 생활관 멤버들.] [[PX]]에서 한턱 쐈는데 마음껏 사랬더니 말 그대로 미친 듯이 닥닥 긁어서 무려 19만원(!!!!)이 나오는 참사(?)가 발생 했다. 이걸 일반적인 편의점의 판매 가격으로 변환하면 대략 30만원 정도 나온 셈이다.[* PX는 [[부가가치세]], 주류세 등의 세금이 안 붙어서 저렴하다. 무엇을 사먹느냐에 다르지만 보통 둘이서 만원만 써도 배가 터지게 먹고도 남는다. 아니, 3봉지에 5000원하는 고향만두를 사면 3명이 먹어도 배부르다. 거기다가 이천원짜리 음료수로 나눠먹으면 7000원으로 3명이 만두와 음료수를 배불리 먹는 [[예수]]에 버금가는 [[기적]]을 보여준다. 그런 PX에서 19만원이면...] 자막으로 "PX를 샀냐..."라고 나올 정도다. PX 근무병 왈 "대단하십니다." 그리고 당시 이병이던 김형근 군에게 군대에 대한 조언도 해준다.
         [[분류:god]][[분류:한국 남가수]][[분류:대한민국의 남성 방송인]][[분류:프로듀서]][[분류: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역대 출연자]][[분류:라디오 스타의 역대 게스트]][[분류:구미시 출신 인물]][[분류:1981년 출생]][[분류:아이돌 막내]][[분류:1대 100 역대 1인]][[분류:1999년 데뷔]][[분류:히든 싱어 역대 출연자]]
  • 도광록 . . . . 5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국가 = 대한민국
         '''도광록'''([[1988년]] [[1월 11일]] ~ )는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다.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88년 태어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희극인]][[분류:백제예술대학교 동문]][[분류:2014년 데뷔]][[분류:웃음을 찾는 사람들]]
  • 마철준 . . . . 5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국적 || [[대한민국]] ||
         前 [[대한민국]]의 축구선수이자 現 [[대한민국]]의 축구코치이다.
         [[분류:1980년 출생]] [[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분류:대한민국의 축구선수]] [[분류:제주 유나이티드/은퇴, 이적]] [[분류:상무 축구단/전역]] [[분류:전북 현대 모터스/은퇴, 이적]] [[분류:광주 FC/은퇴, 이적]]
  • 문석희 . . . . 5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국가 = 대한민국
         '''문석희'''([[1980년]] [[12월 21일]])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자 [[영화 배우]]이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세종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희극인]]
  • 박남현 . . . . 5회 일치
         '''박남현'''([[1966년]]~)은 [[대한민국]]의 [[배우]] 겸 [[무예|무술감독]]이다.<ref>[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B%B0%95%EB%82%A8%ED%98%84&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105489 박남현-네이버인물정보]</ref>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무술가]][[분류:포항시 출신]]
  • 박태준 (작곡가) . . . . 5회 일치
         '''박태준'''(朴泰俊, 영어 이름은 '''Travis Jones Park'''(트래비스 존스 파크), [[1900년]] [[11월 22일]] ~ [[1986년]] [[10월 20일]])은 대한민국의 [[작곡가]]이다.
         [[분류:1900년 태어남]][[분류:1986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동요 작곡가]][[분류:연세대학교 교수]][[분류:서울여자대학교 교수]][[분류:유교 이탈자]][[분류:대한민국의 장로교도]][[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분류:계성고등학교 (대구) 동문]][[분류:숭실대학교 동문]][[분류:투스큘럼 칼리지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밀양 박씨]]
  • 배영호 . . . . 5회 일치
         '''배영호'''(裵泳鎬, 1915년 ~ 1983년)는 대한민국 제21대 법무부 장관을 지낸 [[법조인]]이다. 본관은 [[성주 배씨|성주]]이며, [[대구광역시|대구]] 출신이다.
         * 1963년 12월 28일 ~ 1970년 12월 19일 : [[대한민국의 국회사무총장|국회사무총장]]
         [[분류:1915년 태어남]][[분류:1983년 죽음]][[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교토 대학 동문]][[분류:성주 배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고등검찰청 검사장]][[분류:법원행정처장]][[분류:대한민국의 국회사무총장]][[분류:대한민국의 법무부 장관]]
  • 백기만 . . . . 5회 일치
          | 사망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대구광역시|경상북도 대구]]
         '''백기만'''(白基萬, [[1902년]] [[5월 12일]] ~ [[1966년]] [[8월 7일]])은 [[대한민국]]의 [[시 (문학)|시인]], [[문학 평론|문학평론가]]이다. 본관은 [[수원 백씨|수원(水原)]]이고 [[호 (이름)|아호(雅號)]]는 목우(牧牛), 흰곰이며 [[필명|필명(筆名)]]은 '''백웅'''(白熊)이다.
         [[분류:1902년 태어남]][[분류:1966년 죽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일제 강점기의 시인]][[분류:대한민국의 시인]][[분류:염상섭]][[분류:이범석 (1900년)]][[분류:박헌영]][[분류: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분류:대구초등학교 (대구) 동문]][[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동아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작가]][[분류:한국독립당]][[분류:일제 강점기의 문학 평론가]]
  • 백낙청 . . . . 5회 일치
         |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1962년부터 [[서울대학교]] 영문과에 부임하였고, 1966년부터 계간지 《[[창작과비평]]》의 편집인을 맡아 진보적 평론활동으로 한국의 진보적 지식인에 큰 영향을 끼쳤다. 1974년 유신에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하여 해직되었으나, 1980년 복직되었고, 2003년 교수직을 정년퇴임하고 현재는 명예교수이다. 이후에도 통일운동의 일선에서 일하며 2005년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위원장을 맡았고, 2007년 대통령 선거에는 범여권후보 단일화운동에 나서기도 하였다.
         [[분류:193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분류:연세대학교 교수]][[분류:서울대학교 교수]][[분류: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분류:경기고등학교 동문]][[분류:브라운 대학교 동문]][[분류:하버드 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신민당]][[분류:평화민주당 (1987년)]][[분류:새천년민주당 당원]][[분류:수원 백씨]]
  • 백진희 . . . . 5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백진희'''([[1990년]] [[2월 8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공익광고협의회]] [[대한민국]]-[[일본]] 공동 [[캠페인]]
         [[분류:199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2008년 데뷔]][[분류:부산광역시 출신]][[분류:수원 백씨]][[분류:백상예술대상 수상자]]
  • 서울특별시장 . . . . 5회 일치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특별시]]의 [[시장]].
          * [[서울 공화국]]이라고 불릴 정도로 대한민국에서 인구, 경제 측면에서 비중을 차지하는 서울시를 운영하면서, 자신의 정치적 비전과 역량을 보여줄 수 있다.
          * 선출직 최고위 [[대통령]]과 장관급인 서울시장 사이에는 총리, 부총리 등 많은 지위가 있으나, 이는 임명직이기 때문에 '선출직'만 따지면 서울시장은 '대통령 바로 다음'에 오게 된다.
         [[분류:대한민국]]
  • 서태식 . . . . 5회 일치
         '''서태식'''(徐泰植, [[1938년]] [[11월 22일]] ~ , [[대구광역시]])은 [[대한민국]]의 [[공인회계사]]이자,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회계법인인 [[삼일회계법인]]을 창립하고 30년간 회장직을 맡아온 기업인이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0547257 |제목= 서태식 회장, '회계업계 살아있는 역사' |출판사= [[머니투데이]] |날짜=2005-06-09 |확인날짜=2013-04-03}}</ref>
         * 2003년 3월 대통령 석탑산업 훈장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38년 태어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공인회계사]][[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상과대학 동문]]
  • 손광업 . . . . 5회 일치
         '''손광업'''([[1970년]] [[7월 3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ref>[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XX23173 손광업-다음인물정보]</ref>
         [[분류:1970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살아있는 사람]]
  • 송종호 (1956년) . . . . 5회 일치
         '''송종호'''(宋宗鎬, [[1956년]] [[12월 6일]] ~ , [[대구광역시|대구]])는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다.
         * 2008.03 ~ 2010 : 대통령실 경제수석실 중소기업비서관
         * 1998년 : 대통령 표창
         |직책 = [[대한민국의 중소기업청장|중소기업청장]]
         [[분류:195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계성고등학교 (대구) 동문]][[분류:영남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중소기업청장]][[분류:옛 새누리당의 정치인]]
  • 신현준(군인) . . . . 5회 일치
          * 관련 문서: [[대한민국 국군/인물]], [[가톨릭/인물]]
         |||||||| [[대한민국 해병대]]의 [[해병대사령관]] ||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로 [[경상북도]] [[김천시|김천]] 출신이며, 최종 계급은 [[해병]] [[중장]]이다. [[종교]]는 [[천주교]]이며, [[세례명]]은 요아킴이다.
         [[8.15 광복]] 후 잠시 [[광복군]]에 편입되었다가 귀국하여 [[1946년]] [[조선해안경비대]]에 입대한 뒤 [[해군]] [[중위]]로 [[임관]]하였다. 같은 해 인천기지사령관을 거쳐 [[1948년]]에는 진해특설기지 참모장에 임명되었으며, [[1949년]] [[4월 15일]]에 약 380명의 병력으로 [[대한민국 해병대]]가 창설될 때 초대 [[사령관]]을 맡았다.[* 당시 계급은 [[중령]]이었다.]
         [[분류:일본군/조선인]][[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한국전쟁/군인]][[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1915년 출생]][[분류:2007년 사망]]
  • 신화용 . . . . 5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990000> {{{#ffffff 국적}}} || [[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28]] [[대한민국]] ||
         대한민국 [[K리그1]] 수원의 주전 골키퍼이자 '''한때 K리그1 TOP 3 안에 드는 골키퍼였고 2015 시즌 최고의 골키퍼''' 포철동초-포철중-포철공고를 모두 거친 --포스텍에 갔다면 그랜드슬램-- '''포항의 성골 중 성골'''이었다. 거기에 포항 태생으로 '''팀 내의 단 1명 뿐인 [[로컬 보이]]'''였으나 2016 시즌 이후 수원으로 이적했다.
         [[분류:1983년 출생]] [[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분류:대한민국의 축구선수]] [[분류:포항 스틸러스/은퇴, 이적]] [[분류:수원 삼성 블루윙즈/현역]]
  • 염재욱 . . . . 5회 일치
         | 출생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시]]
         |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염재욱'''([[1976년]] [[1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2001년]] [[문화방송|MBC]] 30기 공채 탤런트로 데뷔하였다.
         [[분류:197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5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서울예술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
  • 예재형 . . . . 5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국가 = 대한민국
         '''예재형'''([[1981년]] [[5월 9일]] ~ )은 [[대한민국]]의 [[희극인]]이다.
         [[분류:198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예술대학 동문]][[분류:대한민국의 희극인]][[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2006년 데뷔]][[분류:코미디빅리그]][[분류:의흥 예씨]][[분류:웃음을 찾는 사람들]][[분류:개그공화국]][[분류:코미디에 빠지다]]
  • 오병희 . . . . 5회 일치
         |거주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오병희'''(吳秉熙, [[1953년]] [[2월 10일]] ~ )는 [[대한민국]]의 의사이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이며, [[서울대학교병원|서울대학교병원장]]을 역임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의사]][[분류:대한민국의 의학자]][[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서울대학교 교수]]
  • 유인영 . . . . 5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 (김천시) (영남대로)
         '''유인영'''([[1984년]] [[1월 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제20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2004년 데뷔]][[분류:김천시 출신]][[분류:춘사영화상 수상자]]
  • 윤다영(영화배우) . . . . 5회 일치
         '''윤다영'''([[1992년]] [[1월 14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ref>[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C%9C%A4%EB%8B%A4%EC%98%81&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3476180 윤다영-네이버인물정보]</ref>
         [[분류:1992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연극 배우]][[분류:2009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살아있는 사람]]
  • 윤진이 . . . . 5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서울직할시]]<br />(現 [[서울특별시]])<ref name="midopa1">김보라 기자[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newsid=20120717114513244 윤진이 초등학교 시절, 모태 미모 입증 '귀요미']TV리포트 2012.7.17. 작성</ref>
         '''윤진이'''({{본명|김윤진}}, [[1990년]] [[7월 27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서울특별시 출신]][[분류:2012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199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
  • 이경근 (유도선수) . . . . 5회 일치
         '''이경근'''(李璟根, [[1962년]] [[11월 7일]] ~ )은 은퇴한 [[대한민국]]의 [[유도]] 선수로 [[1988년 서울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다.
         [[분류:196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유도 선수]][[분류:올림픽 유도 메달리스트]][[분류:1988년 하계 올림픽 유도 참가 선수]]
         [[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계성고등학교 (대구) 동문]][[분류:아시안 게임 유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유도 참가 선수]][[분류:1988년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1986년 아시안 게임 유도 참가 선수]][[분류:1986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리스트]]
  • 이경희 (1880년) . . . . 5회 일치
         '''이경희'''(李慶熙, [[1880년]] [[6월 11일]] ~ [[1949년]] [[12월 4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자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구한 말 [[신민회]]의 회원이자, [[일제 강점기]] 당시 [[의열단]]과 [[신간회]]의 주요 멤버의 한 사람이다. 해방 후 초대 [[경상북도]] 부지사와 초대 [[대구광역시장|대구부윤]]을 역임했다.
         [[1946년]] [[1월]] 다시 [[대구광역시장|대구부윤]]에 유임되었다. 그러나 [[미 군정]]의 고압적이고 권위적인 정책에 환멸을 느껴 [[1946년]] [[9월 4일]] 부지사, 대구부윤, 군정청 민정관 사직서를 제출하고, 야인으로 돌아갔다. 46년 [[9월 5일]] [[독립촉성중앙회]] 경북지부의 후신인 [[대한독립촉성국민회]] [[경상북도]]지부 위원장에 피선되고, [[대종교]] 남사도본사 선범에 선임되고, [[대한민국]] 건국 직후에는 [[1949년]] [[7월 1일]] [[남선경제신문사]] 제4대 대표이사 사장을 역임하였다.
         [[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육인]][[분류:일제 강점기의 군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사회 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언론인]][[분류:대구광역시장]][[분류:의열단]][[분류:신간회의 인물]][[분류:한국의 군정기]][[분류:윤치호]][[분류:안창호]][[분류:김구]][[분류:이회영]][[분류:김원봉]][[분류:허정숙]][[분류:조병옥]][[분류:이승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인천 이씨]]
  • 이근직 . . . . 5회 일치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초명은 이수록(李秀錄)이다.
         [[8.15 광복]] 이후에도 1949년까지 강원도청 공무원으로 근무하였다. 1950년 [[서울특별시청]] 산업국장, 1952년 심계원(현 감사원) 심계 제2국장, 1952년 [[함태영]] [[대한민국 부통령|부통령]] 비서실 [[수석비서관]]을 역임했다. 1955년 2월부터 1957년 9월까지 [[경상북도지사]]를 지냈다. 경상북도지사 재임 중이던 1957년 8월 [[가짜 이강석 사건]]이 일어났다. 1957년 9월부터 내무부(현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 장관|장관]]을 지내다가 1958년 6월 [[제4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에 따른 책임을 지고 물러났다. 이후 [[자유당]] 당무위원으로 있다가 1959년 3월부터 1960년 5월까지 농림부(현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장관]]을 지냈다. 농림부 장관 재임 중 [[3.15 부정선거]]에 관여하였다. 이로 인하여 구속 기소되었다.
         [[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이설주 . . . . 5회 일치
         {{다른 뜻|리설주|대한민국의 시인|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고 지도자인 김정은의 부인}}
         |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이설주'''(李雪舟, 1908년 4월 12일 ~ 2001년 4월 20일)는 [[대한민국]]의 [[시인]]으로 본명은 '''이용수'''(李龍壽)이며 [[대구광역시]] 출신이다.
         * 1989년 대한민국 문화훈장 은관 서훈
         [[분류:1908년 태어남]][[분류:2001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시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
  • 이은수(육군) . . . . 5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구미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대한민국의 여성 고위 공무원]][[분류:한국군/여군]][[분류:1965년 출생]]
          * [[대한민국 국군/인물]]. [[법조인/목록]]
         [[대한민국 육군]]의 법무장교. 여군으로는 7번째로 장관급 장교에 올랐다.
  • 이인성 (화가) . . . . 5회 일치
         '''이인성''' (李仁星, [[1912년]] - [[1950년]])은 [[일제 강점기]]의 [[대한민국]]의 서양화가이다.
         [[1945년]]에는 이화여자고등학교 교사를, [[1946년]]에는 [[이화여자대학교]] 강사를 지냈으며 [[1949년]]에 열린 제1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심사위원을 맡았으나 [[한국 전쟁|6.25 전쟁]] 중이던 [[1950년]] 불의의 사고로 사망했다.
         [[분류:1912년 태어남]][[분류:1950년 죽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일제 강점기의 화가]][[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대한민국의 교사]][[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강사]][[분류:사고사한 사람]]
  • 이정우 (1950년) . . . . 5회 일치
         '''이정우'''(李廷雨, [[1950년]] ~ )는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다. 대표적인 진보적 경제학자로, [[참여정부]] 시절 [[청와대]]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경북대학교]] 경제통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직책 = 초대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분류:195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경제학자]][[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경북대학교 교수]][[분류:서울대학교 상과대학 동문]][[분류:하버드 대학교 동문]][[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주 이씨]]
  • 이종혁 (배우) . . . . 5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이종혁'''([[1974년]] [[7월 31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서울예술대학교 동문]] [[분류:대구농업마이스터고등학교 동문]][[분류:동도중학교 (대구) 동문]][[분류:대구초등학교 동문]][[분류:1974년 태어남]][[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8년 데뷔]]
  • 이지우 (레이싱모델) . . . . 5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국가 = 대한민국
         '''이지우'''([[1989년]] [[2월 3일]] ~ )는 [[대한민국]]의 [[레이싱모델]] 및 [[방송연예인]]이다.
         [[분류:198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
  • 이태현(씨름) . . . . 5회 일치
         ||<#FF8000> '''{{{#white 국적}}}'''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25]] ||
         [[대한민국]]의 전 [[씨름]] 선수이며 현재는 [[용인대학교]] 격기지도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어쨌든 [[대한민국]] 최고의 천하장사가 종합격투기에서 엄청난 굴욕을 겪자, 씨름팬들은 비록 이태현이 씨름을 저버리고 종합격투기로 전향해서 비난했을지언정 이태현의 고전 앞에서는 눈물을 흘릴 수밖에 없었다. 특히 씨름계의 전설인 [[이만기]]는 이 장면을 보며 오열했다고 한다.[* KBS가 2011년 추석특집 2부작 다큐멘터리로 제작했던 '천하장사 만만세'에서 이같이 술회했다. 당시 그의 표현을 빌리자면 '''"우리 씨름이 얻어터지는 기분이었다."'''] 씨름계의 흑화와 더불어 씁쓸하면서도 슬픈 장면이 오버랩되는 순간.
         [[분류:씨름 선수]][[분류:종합격투기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인물]][[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1976년 출생]]
  • 인교진 . . . . 5회 일치
         '''인교진'''([[1980년]] [[8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2000년 [[문화방송|MBC]] 농촌드라마 《[[전원일기]]》에서 재동 역을 맡아 연기생활을 시작한 인교진은 2012년 4월 22일 종영된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주말극 《[[내일이 오면 (2011년 드라마)|내일이 오면]]》을 통해 인연을 맺고 연인으로 발전, [[서우]]와 함께 공개 연애를 선언했으나, 2013년 5월 결별하였다. 이후 2014년 4월, 인교진은 12년 간 같은 기획사에서 만나 동료 연기자로 친분을 맺어 온 [[박수진 (1987년)]]과 교제를 시작했으며 동년 10월 4일 결혼식을 올렸다.<ref>[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ent&arcid=0008217748&cp=nv 인교진-박수진 결혼 공식입장 “지난달 초 결혼 프로포즈… 10월 결혼”], [[국민일보]] 2014년 4월 9일자</ref> 그리고 임신 소식이 전해져 태명을 기쁨이로 지었다. 2015년 12월 4일에는 딸이 태어나 그의 딸을 박하은으로 지어 가족으로 발전되기 시작되었다.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2000년 데뷔]][[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단국대학교 동문]][[분류:세종특별자치시 출신]][[분류:교동 인씨]][[분류:키이스트 소속]]
  • 임현주 . . . . 5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국적 = 대한민국
         '''임현주'''([[1985년]] [[4월 27일]] ~ )는 [[대한민국]]의 [[MBC]] [[아나운서]]이다.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동문]][[분류:JTBC의 아나운서]][[분류:문화방송의 아나운서]][[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기상 캐스터]][[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장남석 . . . . 5회 일치
         |출생지=[[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장남석'''([[1983년]] [[4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로서 포지션은 [[공격수]]이다.
         !colspan="2"|[[FA컵 (대한민국)|FA컵]]
         * [[2006년]] [[FA컵 (대한민국)|FA컵]] 득점왕
         [[분류:198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대구 FC의 축구 선수]][[분류:상주 상무 축구단의 축구 선수]][[분류:중앙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승부조작에 관여한 스포츠인]]
  • 전병조 . . . . 5회 일치
         '''전병조'''(田炳祚, [[1964년]] ~ , [[대구광역시]])는 [[KB투자증권]]의 대표이사 사장인 [[대한민국]]의 기업인, 금융인이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1&oid=003&aid=0006279619 KB투자증권 신임 사장에 전병조 부사장 내정] 뉴시스 2014년 12월 30일</ref>
         *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분류:196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금융인]][[분류:대한민국의 공무원]][[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
  • 전수희 . . . . 5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대구직할시]]<br /> (現 [[대구광역시]])
         | 국가 = 대한민국
         '''전수희'''([[1988년]] [[6월 6일]] ~ )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로, 현재 [[한국방송공사|KBS]] 공채 32기 개그우먼으로 활동중이다.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88년 태어남]][[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희극인]][[분류:우석대학교 동문]][[분류:2011년 데뷔]][[분류:웃음을 찾는 사람들]][[분류:개그공화국]]
  • 전지수 . . . . 5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 국가 = 대한민국
         '''전지수'''(全志秀, [[1985년]] [[12월 13일]] ~ )은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이다. 현재 [[전라북도|전북도청]] 소속이다.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분류:한국체육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한국체육대학교 동문]][[분류:정화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덕화중학교 동문]][[분류:대구파동초등학교 동문]][[분류:아시안 게임 쇼트트랙 메달리스트]][[분류:2007년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07년 동계 아시안 게임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은메달리스트]]
  • 정구양 . . . . 5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국가 = 대한민국
         '''정구양'''([[1984년]] [[1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다.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82년 태어남]][[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희극인]][[분류:서강정보대학 동문]][[분류:2010년 데뷔]][[분류:개그공화국]]
  • 정재학 (1856년) . . . . 5회 일치
         '''정재학''' (鄭在學, 1858~1940)은 [[대한민국]] [[금융업계]]에 거대한 족적을 남긴 [[민족자본은행]]의 [[개척자]]이자 일제 강점기 한국은행산업의 대부다 .<ref name="ReferenceA">고승제, <<끝없는 도전 세기의 기업-기업가 이야기>> (한국경제신문, 1991), 제7편 2. 정재학/은행업의 개척자 p.351~367</ref><ref>매일경제 1982년 12월 8일~19일 9면 "재계산맥 대구은행 1~19편"</ref> 조선 말기부터 일제 치하에서는 [[은행]] 경영진들이 [[관료]]나 [[왕실]] 지방 토호 가운데에서 배출됐지만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맨주먹으로 일군 자금으로 55세 무렵 [[은행장]]에 오른 경우는 그가 유일하다.<ref name="ReferenceB">고승제, <<끝없는 도전 세기의 기업-기업가 이야기>> (한국경제신문, 1991), 제7편 2. 정재학/은행업의 개척자 p.351~363</ref><ref>서광운, <<한국금융백년 >> (창조사, 1970) p667~670</ref>
         또한 그의 민족계 은행 경영 노하우는 그의 혈맥을 통해 전해지면서 1950년 중반 [[조흥은행]]은 초우량 기업으로 성장한다. [[대한민국]] [[증권거래소]]가 개장된 1956년 [[조흥은행]]은 국내 기업 중 최초의 [[상장사]]로 등극했다.<ref>경향신문 1998년 4월 10일 9면</ref><ref>서울경제 온라인판 2006년 3월1일 16:55 입력 조흥은 '최초 은행 1호 상장사' 숱한 기록 http://economy.hankooki.com/lpage/economy/200603/e2006033116560370100.htm</ref><ref>한겨레 1992년 2월 28일 19면 상장사 12개로 증권시장 첫발</ref>
         부친 아들 손자 등 3대에 걸쳐 은행장을 배출한 사례는 한국근대 금융사에서 유일한 사례다. 대한민국의 본격적인 근대적 은행업은 구한말인 1897년부터 시작됐다. 또한 일제강점기에도 은행업은 유지되면서 비록 일제 금융당국에 의해 통폐합되면서 조흥은행으로 통합됐지만 민족자본은행들의 한국인 지분은 [[조흥은행]]의 지분구성에서 절반을 웃돌았다. 해방 이후 조흥은행을 제외한 주요 시중은행들은 대부분 일본인 지본이 절대 우위였으며 이 지분들은 미군정청에 귀속된 뒤 이승만 정권 당시 재계에 불하됐다. 조흥은행 100년사에 따르면 [[조흥은행]]만이 당시 시중은행 가운데 유일한게 한국인 지분이 50% 이상이었다. 해방 직후 조흥은행의 총 주식수는 18만5000주로 이 가운데 [[경상합동은행]]은 4만5000주, [[한성은행]]( 경상합동은행 합병전 기준) 6만주, [[동일은행]] 8만주 등으로 구성됐다. 해방이후 민족자본은행의 대표격으로 부상한 조흥은행의 지분 가운데 [[정재학]] 가문이 설립한 경상합동은행의 지분율은 24%에 달했다.
         [[2002년]]과 [[2008년]] 각각 공개된 [[친일파 708인 명단]]과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모두 포함되었다. [[2007년]]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에도 들어 있다.
         [[분류:1856년 태어남]][[분류:1940년 죽음]][[분류:대한제국의 관료]][[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분류:일제 강점기의 기업인]][[분류:조선총독부 중추원 간부]][[분류: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정재호 (1930년) . . . . 5회 일치
         '''정재호'''(鄭在虎, [[1930년]] [[12월 18일]] [[대구광역시|대구]] ~ )는 [[대한민국]]의 언론인 겸 정치인이다. [[종교]]는 [[불교]]다. [[경향신문]] 정치부장 출신으로 [[대한민국 제4공화국|제4공화국]]에서 제9,10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대한민국헌정회]] 부회장, 고문
         [[분류:193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언론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동래 정씨]][[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조무근 . . . . 5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대표국가 = 대한민국
         {{메달 나라|{{국기나라|대한민국}}}}
         {{2015년 프리미어 12 대한민국 선수 명단}}
  • 지은성 (1991년) . . . . 5회 일치
         |출생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지은성''' (池殷成, [[1991년]] [[8월 3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ref> [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C%A7%80%EC%9D%80%EC%84%B1&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585940 지은성-네이버인물정보]</ref><ref> [http://movie.daum.net/movieperson/Biography.do?personId=354263&anchor=filmography 지은성-다음인물정보]</ref><ref>[https://www.instagram.com/p/BGv1I31sB2q/ Instagram의 열일하는 sidusHQ님] </ref>
         [[분류:199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2013년 데뷔]][[분류:싸이더스HQ 소속]]
  • 차장섭 . . . . 5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차장섭'''(1959년 3월 2일 ~ )은 [[대한민국]]의 사진가, 역사가, 대학교수이다.<ref>{{뉴스 인용|제목=한옥 속에 숨은 추상화|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015&aid=0003628083|출판사=한국경제|날짜=|확인날짜 =2017년 3월 13일}}</ref><ref>{{뉴스 인용|제목=“삶이 스민 線… 한옥은 따뜻한 추상화더라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1&aid=0002282129|출판사=문화일보|날짜=|확인날짜 =2017년 3월 13일}}</ref><ref>{{뉴스 인용|제목=차장섭 교수 "한옥 벽, 몬드리안 추상화보다 멋져"|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9&aid=0003769733|출판사=매일경제|날짜=|확인날짜 =2017년 3월 13일}}</ref><ref>{{뉴스 인용|제목=나를 비우는 공간, 한옥의 壁|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0&aid=0002996261|출판사=동아일보|날짜=|확인날짜 =2017년 3월 13일}}</ref><ref>{{뉴스 인용|제목=삼백년 지킨 ‘고택’ 사람 향 가득|url=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507994|출판사=|날짜=|확인날짜 =2017년 3월 13일}}</ref>
         [[분류:195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경북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역사가]][[분류:대한민국의 사진가]][[분류:대한민국의 문학자]]
  • 최두호 . . . . 5회 일치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출생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최두호'''([[1991년]] [[4월 10일]] ~ )는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서구]] 출생의 [[종합격투기]] 선수다. 현재 [[UFC]] 페더급에서 활약하고 있다. 총 전적 15승 3패
         | {{국기나라|대한민국}} [[서울]]
         [[분류:199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종합격투기 선수]][[분류:라이트급 종합격투기 선수]][[분류:페더급 종합격투기 선수]]
  • 최상열 . . . . 5회 일치
         '''최상열'''(崔相烈, 1958년 ~ )은 대한민국의 제36대 [[광주고등법원]]장을 맡고 있는 [[법관]]이다.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나 경북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제23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사법연수원 14기를 수료했다. 1988년 서울지방법원 동부지원 판사에 임용되어 1994년 부산고등법원 판사, 1997년 대법원 재판연구관을 하다가 서울민사지방법원, 서울고등법원 판사를 거쳐 2005년에 부장판사가 되어 서울중앙지방법원, 부산고등법원, 서울고등법원을 거쳤다. 2014년 2월에는 제17대 울산지방법원장과 제19대 울산광역시 선거관리위원장에 임명되어 2년간 역임한 이후 2016년에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로 재판장을 맡았으나 2018년 2월에 제36대 광주고등법원장에 임명되었다.
         [[분류:1958년 태어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문]][[분류:대한민국의 판사]][[분류:대한민국의 지방법원장]][[분류:대한민국의 고등법원장]]
  • 최윤동 . . . . 5회 일치
         '''최윤동'''(崔允東, [[1897년]] [[7월 3일]] [[대구광역시|대구]] - [[1968년]] [[5월]])은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이다.
         * [[대한민국 제헌국회 총선|1948년 5월 10일]] : [[대한민국 제헌국회 총선 경상북도#대구부 갑구 (제1선거구)|제헌 국회의원(경북 대구갑)]]
         * 《대한민국 의정총람》, 국회의원총람발간위원회, 1994년
  • 칼렉시트 . . . . 5회 일치
         캘리포니아는 미국 내에서 특별한 지역이다. GDP는 세계 6위 수준으로, [[대한민국]]이나 [[프랑스]]보다 높다. 미국 50개주 가운데서 가장 많은 인구(3900만명)와 가장 많은 선거인단(55명)을 보유하고 있다.
         이전에도 소수의 움직임이 있었으나, 2016년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 후보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움직임이 폭발했다. 캘리포니아에서 민주당의 힐러리 클링턴은 61.5%의 지지를 얻었으나 대통령 선거에서는 패배하고 말았다. 도널드 트럼프는 [[인종차별]]이나, 여성에 대한 모욕 발언 으로 구설수가 많은 후보였기 때문에 캘리포니아 주민들에게 불만이 터져나오게 된 것이다. [[트위터]]에서 ‘칼렉시트’(#Calexit), ‘칼리브포니아’(#Caleavefornia) 등의 [[해시태그]]를 사용하며 급격히 퍼져나가게 되었다.
  • 탈북자 망명정부 . . . . 5회 일치
         주로 [[미국]], [[유럽]] 등지의 대한민국 국외에 거주하는 탈북자들이 중심이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대한민국 ===
         [[대한민국]] 정부의 입장은 부정적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망명정부는 한반도 통일을 추진하는 주체로서 대한민국을 인정하지 않는 결과를 만들기 때문에 인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고 한다.[[http://news.donga.com/MainTop/3/all/20161006/80664378/1#csidx6390859011994e7a8d6c822b9a35888 (참조)]]
          * 대한민국의 영토조항, 자유통일을 갈망하는 국민정서로 볼 때, 북한망명정부는 한국 정부와 국민의 지지를 얻기 어렵다.
  • 트로피코 4/진영 . . . . 5회 일치
          * 공정한 선거
          * 대통령 박물관 건설
          * 선거를 인정하지 말 것
          * 새로운 대통령 박물관 건설
          * 황금 대통령상 건설
  • 한받 . . . . 5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시]] [[동구 (대구광역시)|동구]] [[파동 (대구)|파동]]<br/>(現 [[대구광역시]] [[수성구]] [[파동 (대구)|파동]])
         '''한받'''(1974년~)은 [[대한민국]]의 [[홍대 (지명)|홍대 앞]]에서 주로 활동하는 [[독립음악]] [[싱어송라이터]]이다. 본인 스스로는 '민중 엔터테이너'라 칭하고 있다.
         [[분류:197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경북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분류:대한민국의 인디 밴드]][[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
  • 허진(법조인) . . . . 5회 일치
         '''허진'''(許瑨, [[1894년]] ~ [[1968년]] [[5월 31일]])은 [[대한민국의 대법관]]을 역임한 법조인이다. 본관은 [[김해 허씨|김해]](金海). 호는 우촌(友村)이다.
         [[분류:1894년 태어남]][[분류:김해 허씨]][[분류:1968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법조인]][[분류:대한민국의 판사]][[분류:대한민국의 대법관]][[분류:대한민국의 변호사]][[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황연석 . . . . 5회 일치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U-23]]
         '''황연석'''([[1973년]] [[8월 17일]] ~ )은 [[대한민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며 현재는 지도자 생활을 하고있다. 현재 [[대전 시티즌]] 2군 코치이다. 선수 시절 장신의 키를 이용한 고공 플레이에 능하였으며 후반전에 투입되어 경기의 흐름을 바꾸는 '특급 조커'로 이름을 날렸다.
         [[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축구 감독]][[분류:197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성남 FC의 축구 선수]][[분류:인천 유나이티드 FC의 축구 선수]][[분류:대구 FC의 축구 선수]][[분류:고양 KB국민은행 축구단의 축구 선수]][[분류:서울 유나이티드 FC의 축구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축구 공격수]][[분류:청구중학교 동문]][[분류:청구고등학교 동문]][[분류:대구대학교 동문]][[분류:대전 시티즌의 코칭스태프]]
  • 황정오 . . . . 5회 일치
         {{메달 나라|{{국기나라|대한민국}}}}
         '''황정오'''(黄正五, [[1958년]] [[4월 1일]] - )는 전 [[대한민국]] [[유도]] 선수다,
         [[분류:195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유도 선수]][[분류:올림픽 유도 메달리스트]][[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분류:1984년 하계 올림픽 유도 참가 선수]][[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황치열 . . . . 5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구미시]]
         '''황치열''' (黃致列, [[1982년]] [[12월 3일]] ~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분류:198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06년 데뷔]][[분류:구미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한국어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발라드 음악가]][[분류:KBS 뮤직뱅크 1위 수상자]][[분류:너의 목소리가 보여 참가자]]
  • AFC 회원 랭킹 . . . . 4회 일치
          * 대한민국 축구협회가 지난 4년간 얻은 총 클럽 점수가 190점으로 아시아 팀들 중에 최고 득점을 받으면 한국의 클럽 점수는 70점이 된다.
         가령 2016년 4월을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국대 점수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1. [[대한민국]]은 577점이므로, 577 / 672 * 30 = 25.758점
         여기에 대해 동아시아쪽이 서아시아보다 불만이 많을 수 밖에 없는게, 2016년 시점에서 바라보면 명백히 서아시아는 동아시아보다 ACL 우승횟수가 떨어진다.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ACC)이 ACL로 개편된 이후의 역사를 통틀어 살펴보면 서아시아는 2015년까지 4번 우승, 동아시아는 9번 우승이다. 누가봐도 명백히 클럽 성과가 동아시아쪽이 더 치열하고 강한데다가 2013시즌부터는 자꾸 서아시아가 우승을 못해 흥행이 저하될 우려가 보이는지 토너먼트전에서 동서의 대결이 이루어지는 기존 방식을 결승전에서만 동서끼리 교류가 가능한 구조로 바꿔버린다. 이러다보니 2015시즌 AFC 회원 순위를 보면 1위가 대한민국인 건 그간의 성적을 미뤄 봤을 때 논란이 적을 수 있으나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중국이 사우디, 이란, 아랍에미레이트보다 점수가 낮게 나오는 상황은 도무지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이야기가 나올 수 밖에 없는 것.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디시전 . . . . 4회 일치
          일부 민주주의 국가 전용. 30일 후 선거를 시행한다. 좌파와 우파 둘 중 하나를 선택해 지원하게 되는데, 플레이어의 불만도가 10% 보다 낮다면 플레이어가 지원한 세력이 승리한다. 좌파 세력이 승리하면 정치 슬라이더가 좌익으로 한 칸, 중앙계획으로 한 칸 이동하며 우파 세력이 승리하면 정치 슬라이더가 우익으로 한 칸, 강경파로 한 칸 이동한다. 이후 600일이 지나면 또다시 총선을 시행할 수 있게 된다.
          * Hold Major Campaign Rally(대규모 선거 유세)
          Call General Election 디시전에서 지원하기로 한 정당의 선거운동을 벌이는 디시전. 이후 몇몇 이벤트가 랜덤하게 벌어진다. 섹스 스캔들이라던가, 부패 스캔들이라던가. 해당 이벤트들은 랜덤하게 불만도를 높이거나 낮춘다.
          하딩 대통령 시절 제정되었던 금주법을 폐지해 다시 술을 팔 수 있게 한다. 불만도가 1% 감소하며 공업 효율이 1% 상승한다.
  • The Men Who Built America . . . . 4회 일치
         2016년, [[대한민국]]에서는 OBS가 '''부(富)의 탄생'''이라는 제목으로 틀어주는 중. 뭘 한건지는 모르겠지만 총 4화짜리 물건의 분량을 8화 쯤 되게 뻥튀기 해놨다. 한 화를 여러 화로 쪼개놓은 듯. [[방송대학 TV]]에서는 '''거상(巨商)'''이라는 이름으로 방영 중. 2013년 경에는 [[TV조선]]에서 '''미국을 일으킨 거인들'''이라는 이름으로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3/11/29/2013112903497.html|한 것 같기도 하다.]]
          [[공화당]] 정치인. 윌리엄 제닝스 브라이언을 막고 백악관에 사람을 만들기 위해 록펠러-카네기-모건이 후원한 정치인. 친 기업적인 성향의 인물이었다. 결국 대선에서 브라이언을 이기고 [[대통령]]이 된다.
          공화당 정치인. 전쟁 영웅. 뉴욕 주지사 시절 기업을 엿먹이는 법안을 내놓는 반 독점론자였다. 이에 기업가들은 잉여로운 자리인 부통령에 앉혀 무력화시켰으나 대통령이었던 매킨리가 무정부주의자에게 총맞고 죽으며 대통령으로 승격. 반 트러스트 법안으로 기업가들을 엿먹인다.
  • Victoria II/정당 . . . . 4회 일치
         선거권과 문화 동화율에 영향을 미친다.
          주류 민족에게가 선거권이 돌아가길 바란다.
          수용된 민족에게도 선거권이 돌아가길 바란다. 타 문화의 동화율이 10% 증가한다.
          모든 민족에게 선거권이 돌아가길 바란다. 타 문화의 동화율이 25% 증가한다.
  • 강중인 . . . . 4회 일치
         '''강중인'''(姜仲仁, <small>일본식 이름: </small>德田仲仁, [[1908년]] ~ ?)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건국 초기의 법조인이다.
         [[분류:1908년 태어남]][[분류:몰년 미상]][[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일제 강점기의 검사]][[분류:대한민국의 변호사]][[분류:대한민국의 사회주의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경성제국대학 동문]][[분류:남조선로동당]][[분류:월북자]]
  • 길은혜 . . . . 4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김천시]] 신음동
         '''길은혜'''([[1988년]] [[10월 5일]]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8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11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김천시 출신]][[분류:해평 길씨]][[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
  • 김민아 (아나운서) . . . . 4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직할시]]
         '''김민아'''(金敏娥, {{출생일|1983|3|31}} ~ )는 [[대한민국]]의 [[아나운서]]이다.
         [[분류:198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정화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연세대학교 문과대학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아나운서]][[분류:문화방송의 아나운서]][[분류:SBS의 아나운서]][[분류:프리랜서 아나운서]][[분류:대한민국의 스포츠 아나운서]]
  • 김민제 (프로게이머) . . . . 4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김민제'''([[1986년]] [[11월 26일]] ~ )는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이다. 종족은 [[프로토스]]이며 아이디는 '''BestGod'''이다. 2005년 하반기 드래프트에서 Plus(현 [[화승 OZ]])의 1차 지명으로 입단하였다.
         [[분류:1986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분류:저그 선수]][[분류:화승 OZ의 선수]][[분류:SouL (e스포츠)의 선수]]
  • 김민호 (희극인) . . . . 4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국가 = 대한민국
         '''김민호'''([[1990년]] [[12월 27일]] ~ )는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다.
         [[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희극인]][[분류:2017년 데뷔]]
  • 김병준 (희극인) . . . . 4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국가 = 대한민국
         '''김병준'''([[1983년]] [[2월 26일]] ~ )은 대한민국의 개그맨이다.
         [[분류:198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희극인]][[분류:2012년 데뷔]][[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영남대학교 동문]]
  • 김병준(육상) . . . . 4회 일치
         ||<#131230> '''{{{#white 국적}}}'''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25]] ||
         [[대한민국]]의 남자 [[육상]] 선수이다.
         [[분류:육상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인물]][[분류:1991년 출생]][[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 김상희 (1951년) . . . . 4회 일치
         '''김상희'''(金相喜, [[1951년]] [[1월 25일]] ~ , [[경상북도|경북]] [[대구광역시|대구]])는 대한민국의 법조인이다.
         |직책 = [[대한민국의 법무부 차관|법무부 차관]]
         [[분류:195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검사]][[분류:대한민국의 법무부 차관]][[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김성현 (1989년) . . . . 4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대표국가 = 대한민국
         {{2010년 인터콘티넨털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 김영한 (1900년) . . . . 4회 일치
         '''김영한'''(金永漢, [[1900년]] ~ [[1980년]]<ref>《한국일보》 (1987.12.18) [http://www.kinds.or.kr/imgdata8/1987/12/18/19871218HKM07.pdf 알뜰살림 속에 숨은 內助... "보통 부인"]</ref>)은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노태우]]의 장인이다.
         * 《여성신문》 (2007.3.9) [http://www.womennews.co.kr/news/view.asp?num=32835 이야기 여성사 - 제13대 노태우 대통령 부인 김옥숙 여사]
         * 《월간중앙》 (2001년 9월호) 〈친인척 관리 스타일 전혀 다른 3인의 군 출신 대통령
  • 김용준 (1904년) . . . . 4회 일치
         [[분류:1904년 태어남]][[분류:1967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화가]][[분류:일제 강점기의 미술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미술 평론가]][[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육인]][[분류:대한민국의 화가]][[분류:대한민국의 수필가]][[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화가]][[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미술 평론가]][[분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학 교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김윤동 (야구선수) . . . . 4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대표국가 = 대한민국
         {{2017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대한민국 선수 명단}}
  • 김재홍 (1958년) . . . . 4회 일치
         '''김재홍'''(金宰弘, [[1958년]] [[5월 23일]] ~ , [[대구광역시|대구]])은 [[대한민국]]의 전직 공무원이다. 2015년 1월 부터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사장 직을 수행하고 있다.
         |직책 = 초대 [[대한민국의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
         [[분류:195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공공기관장]][[분류:대한민국의 산업통상자원부 차관]][[분류:중앙고등학교 동문]][[분류:한양대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동문]][[분류:위스콘신 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김종호(1933) . . . . 4회 일치
          * [[대한민국 국군/인물]]
         |||||||||| [[대한민국 해군]]의 [[해군참모총장|참모총장]] ||
         대한민국 해군의 [[군인]]이다.
         [[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구미시 출신 인물]]
  • 남일해 . . . . 4회 일치
         '''남일해'''({{본명|'''정태호'''}}, [[1938년]] [[11월]]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2012||제19회 대한민국연예예술상 대상
         |2015||제6회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보관문화훈장
         [[분류:1938년 태어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중앙초등학교 동문]][[분류:대건중학교 동문]][[분류:대건고등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
  • 대전광역시 . . . . 4회 일치
         대한민국 특허법원
         대한민국 통계청 통계센터(오른쪽), 대전지방보훈청(왼쪽)
         [[분류:대전광역시 출신|대전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도시]][[분류:대한민국의 옛 임시 수도]][[분류:1995년 설치]][[분류:충청남도]]
  • 도예종 . . . . 4회 일치
         '''도예종'''(都禮鍾, [[1924년]] [[12월 25일]] [[대구광역시|대구]] ~ [[1975년]] [[4월 9일]])은 [[대한민국]]의 교육자, 정치인, 기업인이다. 상주고교 교사, 대구대학 경제학과 강사 등으로 활동했다.
         박정희 정권 당시 중앙정보부가 조작한 [[인민혁명당 사건]]으로 사형이 집행된 여덟 명 중 한 명이다. [[1960년]] 당시 지방자치제도가 부활하여 [[영주군]][[교육감]] 선거에 당선되었지만 [[민주당 (1955년)|민주당]] 정권은 발령을 거부하여 교육감(후에 교육장으로 개정)에 부임하지 못했다.
         [[분류:1924년 태어남]][[분류:1975년 죽음]][[분류:인혁당 사건]][[분류:교수형된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교사]][[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강사]][[분류:영남대학교 동문]][[분류:사형 집행 후 무죄가 밝혀진 사람]]
  • 라늬 . . . . 4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라늬'''({{본명|허선아}}, [[1985년]] [[3월 8일]]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계명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
  • 류원정 . . . . 4회 일치
         | 출생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류원정'''([[1994년]] [[7월 31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분류:199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2016년 데뷔]][[분류:비디오 자키]][[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
  • 류종원 . . . . 4회 일치
         '''류종원''' ([[1990년]] [[2월 21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9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어린이 배우]][[분류:리라컴퓨터고등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류지혜 (레이싱모델) . . . . 4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국가 = 대한민국
         '''류지혜'''([[1989년]] [[10월 28일]] ~ )는 [[대한민국]]의 [[레이싱모델]]이다.
         [[분류:198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매카시즘은 이제 매카시워즘이다 . . . . 4회 일치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이 [[농담]]으로 했다고 알려진 발언.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이 자신의 친구 해리 불리스에게 1953년 5월 26일에 했던 발언으로 알려져 있다.
         [[공화당]]의 조지프 매카시 상원의원이 미국 사회 각계 각층의 수많은 인사들을 공산주의의 주구로 모함하고 다니며 개판을 치다 급기야는 미국 군부까지 공산주의 세력으로 모는 병크를 터뜨렸고, 전쟁영웅인 아이젠하워 대통령에게까지 불똥이 튈 것을 염려한 [[공화당]] 주류 인사들이 이제까지와는 달리 매카시 의원을 버리고 탄핵소추를 추진하는 등 매카시를 정치적으로 거세[* 탄핵소추안 자체는 통과되지 않았으나, 명예를 존중하는 상원에서는 탄핵소추에 올랐다는 사실 자체로 의원으로서 자격이 없다고 인증 당한 것과 같다.]해 버렸다. 위의 발언은 이러한 '매카시즘의 종식'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발언.
          * 말장난으로 생각하자면 솔직히 별로 웃기지는 않다. "대통령 각하의 유우머에 무릎을 탁 칩니다~~~" 라고 코멘트를 달아야 할 듯(…).
  • 문호월 . . . . 4회 일치
         [[분류:1905년 태어남]][[분류:1949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기타 연주자]][[분류:휘문중학교 동문]][[분류:휘문고등학교 동문]][[분류:1927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바이올린 연주자]][[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일제 강점기의 바이올린 연주자]][[분류:병사한 사람]][[분류:의문사한 사람]][[분류:김천시 출신 인물]]
  • 박성우 (정치인) . . . . 4회 일치
         '''박성우'''(朴性宇, [[1914년]] ~ [[1954년]] [[2월 4일]])는 대한민국의 국회의원이었다. [[한국전쟁]] 때 납북되었다.
         *[[대한민국 제헌국회 총선|1948년 5월 10일]] : [[대한민국 제헌국회 총선 경상북도#상주군 갑 (제27선거구)|제헌 국회의원(경북 상주갑) 낙선]]
  • 박수일 (축구선수) . . . . 4회 일치
         |출생지=[[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박수일'''([[1996년]] [[2월 22일]] ~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미드필더#공격형 미드필더|공격형 미드필더]]이다. 현재 [[대한민국]] [[K리그2]] [[대전 시티즌]]에서 활약하고 있다.
         [[분류:199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대전 시티즌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2의 축구 선수]][[분류:내셔널리그의 축구 선수]][[분류:광주대학교 동문]][[분류:김해시청 축구단의 축구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박연우 . . . . 4회 일치
         '''박연우'''([[1959년]] [[12월 2일]] ~ )는 CJ프레시웨이 대표이사, 가야 대표이사를 역임한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이다.<ref>{{뉴스 인용|제목=네이버 인물검색|url=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B%B0%95%EC%97%B0%EC%9A%B0&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179725|출판사=|날짜=|확인날짜 =2016년 2월 16일}}</ref><ref>{{뉴스 인용|제목=조선일보 인물DB|url=http://cdb.chosun.com/search/db-people/i_service/manDisAllXml.jsp?uci=G010+1-02142007022300395115|출판사=|날짜=|확인날짜 =2016년 2월 16일}}</ref>
         *2014.5 ~ : 제6회 동시지방선거 후보등록자 (새누리당, 경기도의회 의원)
         [[분류:195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한양대학교 동문]][[분류:중앙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
  • 박은혜 . . . . 4회 일치
         * [[박은혜 (1904년)|박은혜]](朴恩惠, 1904년 ~ 1963년)은 대한민국의 교육자이다.
         * [[박은혜 (1977년)|박은혜]](1977년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박은혜(1982년 ~ )는 대한민국의 가수 [[아이비 (가수)|아이비]]의 본명이다.
         * [[박은혜 (모델)|박은혜]](1988년 ~ )는 대한민국의 모델이다.
  • 박정근 (법조인) . . . . 4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판사]]
         [[분류:대한민국의 지방법원장]]
         [[분류:대한민국의 고등법원장]]
         [[분류:대한민국의 변호사]]
  • 박진석 (프로게이머) . . . . 4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박진석'''([[1995년]] [[3월 4일]] ~ )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Trend'''라는 아이디를 사용하며, 종족은 [[프로토스]]이다.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분류:199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분류: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분류:프로토스 선수]][[분류:삼성 갤럭시 (e스포츠)의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박진성(시인) . . . . 4회 일치
         [[대한민국]]의 [[시인(문학)|시인]]. [[1978년]] [[3월 7일]] [[충청남도]] 연기군 [* 現 [[세종특별자치시]].] 출생.[* 자신이 [[웃긴대학]]에 [[http://web.humoruniv.com/board/humor/read.html?table=pdswait&number=5251606|올린]] [[http://web.humoruniv.com/board/humor/read.html?table=pdswait&number=5208768|올린 글들]]에 따르면 현재 거주지는 [[대전광역시]]로 추정된다.]
          * 故 [[성재기]]를 비상식적이라고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실제로 성재기는 [[성재기/평가|'박근혜 지지=남성연대지지'라며 박근혜 지지철회자들에게 "병신"이라며 "조금만 좋으면 학학대고 조금만 싫으면 획 바뀌는 인스턴트인생들,너희들이 하찮다.굿이나보고 떡이나 처먹어"]]라고 말했다. 그런데 박근혜가 대통령으로 당선될 당시 많은 페미니스트들이 박근혜를 밀어줬고 박근혜 측도 "준비된 여성대통령" 슬로건을 사용했는데도 그는 계속 '박근혜 지지=남성연대 지지'라고 주장해서 제대로 된 남성인권단체가 맞는지 의구심이 들게 했다. 아래는 박진성 시인의 평가다.
         [[분류:시인]] [[분류:대한민국의 시인]] [[분류:1978년 출생]] [[분류:세종특별자치시 출신 인물]]
  • 박진영 (야구선수) . . . . 4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대구직할시]]
         |대표국가 = 대한민국
         {{2003년 아시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선수 명단}}
  • 백상원 . . . . 4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대표국가 = 대한민국
         {{2011년 야구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 베이식 (가수) . . . . 4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국적 = [[대한민국]]
         [[분류:198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광주 이씨]][[분류:중앙대학교 동문]][[분류:힙합 가수]][[분류:2007년 데뷔]][[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래퍼]][[분류:대한민국의 힙합 음악가]][[분류:지기 펠라즈 음악가]][[분류:2000년대 가수]][[분류:2010년대 가수]][[분류:한국어 가수]]
  • 서귀포시 . . . . 4회 일치
         {{다른 뜻|[[서귀포시 (선거구)|선거구]]}}
         {{대한민국 시군구
         [[분류:서귀포시 출신|서귀포시 출신 인물]][[분류:제주특별자치도의 도시]][[분류:1981년 설치]][[분류:2006년 폐지]][[분류:2006년 설치]][[분류:대한민국의 항구 도시]]
  • 서정윤 . . . . 4회 일치
         '''서정윤'''(徐正潤, [[1957년]] ~ 본관은 달성)은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분류:대한민국의 시인]][[분류:195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영남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성범죄자]][[분류:대한민국의 교사]]
  • 서지훈 (1997년) . . . . 4회 일치
         | 출생지 =[[대한민국]] [[대구광역시]]<ref>{{뉴스 인용|제목= 서지훈 “대구가 고향…사투리 고치기 어려웠다” |url=http://sports.donga.com/3/all/20170420/83954891/1 |출판사=동아닷컴 |날짜=2017-04-20}}</ref>
         '''서지훈''' (徐志焄<ref>[http://wx3.sinaimg.cn/mw690/005SSLzgly1fiozd3xyswj30ts0jtjtf.jpg Management Koo回答粉絲有關正名的問題]</ref>, [[1997년]] [[4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ref>[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1904688 서지훈-다음인물정보]</ref>
         [[분류:1997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16년 데뷔]]
  • 세종특별자치시 . . . . 4회 일치
         {{다른 뜻|[[세종특별자치시 (선거구)|선거구]]}}
         [[분류:세종특별자치시 출신|세종특별자치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도시]][[분류:2012년 설치]][[분류:노무현 정부]][[분류:이명박 정부]][[분류:대한민국의 계획 도시]]
  • 손병조 . . . . 4회 일치
         '''손병조'''([[1956년]] ~ , [[대구광역시|대구]])는 [[대한민국]]의 세무공무원이다.
         * 1994년 : 대통령비서실 사회간접자본투자기획단 파견근무
         |직책 = [[대한민국의 관세청 차장|관세청 차장]]
         [[분류:195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공무원]][[분류:영남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손지민 . . . . 4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손지민'''은 [[대한민국]]의 [[KBS 포항방송국]] 소속의 아나운서이다.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연세대학교 문과대학 동문]][[분류:한국방송공사의 아나운서]][[분류:대한민국의 아나운서]][[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손철주 (1954년) . . . . 4회 일치
         '''손철주'''(孫哲柱<ref name="김달진">{{웹 인용|제목=인명사전 - 손철주|url=http://www.daljin.com/author/4783|웹사이트=김달진 미술연구소|확인날짜=2017-12-15}}</ref>, 1954년<ref name="다음">[https://search.daum.net/search?w=tot&DA=YZR&t__nil_searchbox=btn&sug=&sugo=&q=%EC%86%90%EC%B2%A0%EC%A3%BC 다음 인물백과-손철주]</ref>~ )는 [[대한민국]]의 미술평론가이다.<ref name="네이버">{{네이버 인물|248289|손철주}}</ref><ref name="중부뉴스">{{뉴스 인용|저자=김석희|제목=‘옛 그림에 나타난 사람의 속마음’ 손철주 평론가를 만나다|url=http://www.jungb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9271|날짜=2017-11-07|확인날짜=2017-12-15|뉴스=중부뉴스통신}}</ref> 대구 출신이며,<ref name="김달진"/> 2017년 현재 출판사 학고재의 주간이다.<ref name="네이버"/><ref name="중부뉴스"/>
         [[분류:대한민국의 미술 평론가]][[분류:대한민국의 신문 기자]][[분류:대한민국의 출판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송지효 . . . . 4회 일치
         [[분류:198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비디오 자키]][[분류:2001년 데뷔]][[분류:영양 천씨]]
  • 신지훈(배우) . . . . 4회 일치
         ||국적||[[대한민국]]||
         [[대한민국]]의 [[배우]], [[모델]].
         ||2015년||대한민국 영화 어떤이의 꿈(지훈)||
         ||2017년||대한민국 영화 우리들의 일기(현수)||
  • 아스팔트 우파 . . . . 4회 일치
         정치(?) 용어. 2010년대 대한민국 재야 정치단체(?)에서 나타난 용어이다.
         과거에도 대한민국에 우파 정치단체가 존재하기는 했으나, 현존하는 아스팔트 우파와는 크게 관련성이 없다. 제1공화국 시기 [[자유당]]과 연계된 [[이정재]]의 [[화랑동지회]] 등 [[정치깡패]] 부류의 조직이 존재했으나, [[조직폭력배]]로서 처단, 와해되어 현재의 아스팔트 우파들은 이러한 조직들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는 않는다. 군사정권 시기에 정부에서는 우익성향을 가진 관변단체를 만들었으나, 민주화 이후로 이들은 대부분 몰락하여 중요한 역할을 하지는 못했고 현재의 조직들은 이러한 단체들과의 연관성이 모호하다.
         [[대한민국]]에서 '아스팔트 우파'를 자칭하는 단체는 [[이명박]], [[박근혜]] 정권 시기에 주로 조직되고 나타나게 되었다. 주로 사안에 따라서 정부나, 특정 정치인을 옹호하는 시위 활동을 벌였다. 이들은 표면적으로는 정부와 독립적인 단체로 위장하고 있었으나, 실제로는 정계의 압박에 따라서 [[전경련]] 등에서 지원을 받는 등, 이면에서는 우파 정치인들의 지원과 지시를 받고 있었다.[[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80656.html (참조)]]
          * [[대한민국어버이연합]] 등이 있다.
  • 아이유 . . . . 4회 일치
         | style="text-align:center;"|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 style="text-align:center;"|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 style="text-align:center;"|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 style="text-align:center;" rowspan="2"|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 야설록 . . . . 4회 일치
         | 국적 = {{국기|대한민국}}
         '''야설록'''(1960년 2월 25일 ~ )은 [[대한민국]]의 [[무협 소설]] [[작가]]다. 야설록은 [[필명]]으로 본명은 최재봉이다. [[대구광역시|대구]]에서 출생했고 [[대구고등학교 (대구)|우신고등학교]] - [[연세대학교]] 응용통계학과를 중퇴했다.
         [[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대한민국의 만화 스토리 작가]][[분류:무협 작가]][[분류:대구고등학교 (대구) 동문]][[분류:연세대학교 상경대학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6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
  • 양희승 (작가) . . . . 4회 일치
         | 출생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양희승(1970년 4월 14일~ )은 [[대한민국]]의 [[드라마 작가]]이다.
         [[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각본가]][[분류:197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연분홍 . . . . 4회 일치
         | 출생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연분홍'''({{본명|곽지은}}, [[1992년]] [[8월 11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2015년 5월에 녹화되어 7월5일에 방송된 전국노래자랑 용인시편에서 장윤정의 애가 타를 불러 최우수상을 수상하였고 당일 심사위원이자 초대가수였던 정의송의 눈에 띄어 3개월만인 8월4일 가수로 데뷔하게 되었다.
         [[분류:199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북대학교 동문]][[분류:경북예술고등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
  • 연초아 . . . . 4회 일치
         | 국가 = 대한민국
         '''연초아'''([[1993년]] [[8월 19일]] ~ )는 [[대한민국]]의 DJ , 가수 , [[레이싱모델]]이다.
         [[분류:1993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모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수원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레이싱 모델]]
  • 오경태 . . . . 4회 일치
         '''오경태'''(吳京泰, [[1959년]] ~ )는 [[대한민국]]의 공무원, 경제학자, 공기업인이다.
         * [[대통령비서실]] 농수산식품담당 비서관
         [[분류:195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공무원]][[분류:대한민국의 경제학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심인고등학교 동문]][[분류:영남대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동문]][[분류:일리노이 대학교 동문]]
  • 윤흔 . . . . 4회 일치
         묘비는 [[1640년]](인조 18)에 세워졌으며 학곡(鶴谷) [[홍서봉]](洪瑞鳳)이 비문을 짓고, 전서(篆書)의 대가였던 [[신익성]](申翊聖)이 글씨를 썼다. 그의 7대손이 [[윤웅렬]], [[윤영렬]] 형제였고, 8대손은 독립운동가 겸 사상가 좌옹 [[윤치호]]였다. 9대손은 [[대한민국]]의 [[대한민국대통령|제4대 대통령]]을 지낸 [[윤보선]]과 [[서울대학교]]의 부총장과 [[서울대학교의 총장|총장]]을 지낸 [[윤일선]]이었다.
  • 이강돈 . . . . 4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
         2013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북일고를 이끌고 결승까지 올라가 지역 라이벌인 [[공주고등학교 야구부|공주고]]와 맞붙었는데, 0:4로 끌려가던 중 상대 [[선발 투수|선발]]인 [[김훈호]]의 볼질로 한점차까지 따라간 상황에서 뜬금없는 스퀴즈를 지시했다. 결과는... 결국 준우승에 머물렀다.[* 공주고는 [[김경문]]이 활약하며 [[MVP]]로 선정됐던 1977년 이후 36년만의 대통령배 우승이었다. 이 날 경기는 월요일에 목동야구장에서 진행되었으며 공주고 동문인 손혁, 박정배, 조동화가 와서 관전했다. 박찬호는 아예 덕아웃 옆에 있었고...]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분류:1961년 출생]] [[분류:타자]] [[분류:외야수]] [[분류:좌투좌타]]
  • 이규환 (영화감독) . . . . 4회 일치
         | 국적 = {{국기|대한민국}}
         '''이규환'''(李圭煥, <small>일본식 이름: </small>岩本圭煥, [[1904년]] [[2월 18일]] ~ [[1982년]])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영화감독]]이다.
         [[1944년]]부터 강제징용으로 노역을 하던 중 [[태평양 전쟁]] 종전을 맞았다. 라디오 드라마 《똘똘이의 모험》을 영화화하는 등 다시 활동을 시작하였다. [[한국 전쟁]] 후 연출한 《춘향전》(1955)은 전후 대한민국 영화 부흥의 기폭제로 평가받았다. 일제 강점기 한국 영화계를 대표하는 인물 중 한 명이며, 영화의 경향은 민족주의, 서정적 리얼리즘, 향토색으로 주로 설명된다.
         [[분류:1904년 태어남]][[분류:1982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영화 감독]][[분류:일제 강점기의 영화 각본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감독]][[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계성고등학교 (대구) 동문]]
  • 이미라 . . . . 4회 일치
         |출생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이미라'''([[1962년]] [[10월 5일]]<ref>{{서적 인용 |저자= 이미라|제목= 인어공주를 위하여 제1권|쪽= 4|날짜= 1993-04-20|출판사= 북토피아|위치= |id= }}</ref> ~ )는 [[대한민국]]의 [[만화가]]이다. [[1986년]] 《바람의 방향》으로 데뷔했다.
         [[분류:196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만화가]][[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이상훈 (1987년) . . . . 4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대표국가 = 대한민국
         {{2009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선수 명단}}
  • 이선민 (1988년) . . . . 4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구미시]]
         | 국가 = 대한민국
         '''이선민'''([[1988년]] [[3월 19일]] ~ )은 [[대한민국]]의 [[희극인]]이다. 2016년 SBS 16기 공채 개그맨에 데뷔하였다.
         [[분류:1988년 태어남]][[분류:구미시 출신]][[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희극인]][[분류:2016년 데뷔]][[분류:숭실대학교 동문]]
  • 이선아 . . . . 4회 일치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이선아''' ([[1985년]] [[7월 22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텔레비전 배우]][[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2009년 데뷔]][[분류:한양대학교 동문]][[분류:전의 이씨]]
  • 이시영 (1882년) . . . . 4회 일치
         '''이시영'''(李始榮, [[1882년]] [[1월 10일]] ~ [[1919년]] [[7월 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다. [[대구광역시|대구]] 출생. 본관은 [[경주시|경주]](慶州). 본명은 이중현(李仲賢), 호는 우재(又齋). 친족 관계에 있는 동명이인인 [[이시영 (1868년)|이시영]](李始榮, 성재 이시영)과의 구별을 위해 '우재 이시영'으로도 부른다. [[성리학]]자 이관준의 차남으로 [[대한민국]]의 제1대 [[대한민국의 법무부 장관|법무부 장관]] [[이인]](李仁)의 숙부이다.
         그러나 [[1919년]] [[7월 9일]] 피로와 식중독으로 병을 얻어 사망하고 말았다. 그가 타계했다는 소식을 들은 [[안창호]]는'문무 겸전한 우재가 갔으니 또하나 큰 별을 잃었구나'땅을 치며 통곡했고 성재 [[이시영 (1868년)|이시영]](省薺 李始榮)도 "나라의 큰 별이었는데…"라며 말을 잇지 못했다 한다.<ref name=autogenerated1 /> [[1963년]]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분류:1882년 태어남]][[분류:1919년 죽음]][[분류:옥사한 사람]][[분류:병사한 사람]][[분류:조선 사람]][[분류:일제 강점기의 교육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경주 이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이영세 (1947년) . . . . 4회 일치
         '''이영세'''([[1947년]] [[6월 15일]] [[경상북도]] ~ )는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대구사이버대학교]] 총장을 지낸 교육자이다.
         [[분류:194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경제학자]][[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대한민국의 공무원]][[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서울대학교 상과대학 동문]][[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동문]]
  • 이원석(1981년) . . . . 4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이원석'''([[1982년]] [[2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ref>[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3XXX1244166 이원석-다음인물정보]</ref>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82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동구(인천) 출신 인물]]
  • 이장영 . . . . 4회 일치
         '''이장영'''(李長榮, [[1955년]] [[1월 15일]] ~ , [[대구]])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금융감독원]] 부원장 등을 역임한 경제부처 공직자이다.
         *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분류:195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공무원]][[분류:대한민국의 경제학자]][[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분류:한양대학교 교수]][[분류:뉴욕 대학교 동문]][[분류:새천년민주당 당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이정명 . . . . 4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시]]<!-- -->
         '''이정명'''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경북대학교]]에서 국문학을 전공하고 잡지사와 신문사 기자로 여러 해 일하다 1997년 첫 소설 '천년 후에'를 완성, 1999년 발표했다. 이후 [[뿌리깊은 나무 (2011년 드라마)|뿌리깊은 나무]], [[바람의 화원 (드라마)|바람의 화원]] 등이 드라마화되며 인기를 끌었다.<ref>[http://ch.yes24.com/Article/View/14419 역사소설은 위대하고 재미있는 오답이다 - '바람의 화원'의 이정명] YES24, 2008년 10월 10일</ref><ref>[http://webzine.knu.ac.kr/wz3/mobile/pages/02.htm?VOL=159&mode=view 소설가 이정명 동문] 경북대웹진, 159호</ref>
         [[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대한민국의 신문 기자]][[분류:영신고등학교 (대구) 동문]][[분류:경북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이정호 (독립운동가) . . . . 4회 일치
         '''이정호'''([[1913년]] [[3월 1일]] ~ [[1990년]] [[7월 10일]])는 [[조선민족혁명당]] 조직부장과 화남지부장으로 활동한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다.<ref>[http://www.encyber.com/search_w/ctdetail.php?gs=ws&gd=&cd=&d=&k=&inqr=&indme=&p=1&q=%C0%CC%C1%A4%C8%A3&masterno=783623&contentno=783623 이정호] 엔사이버 두산백과사전</ref>
         1942년 10월 중경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임시정부]] 임시의정원에 경상도의원으로 선출되었다. 1943년 임시정부 외무부 총무과장, 1944년 정보과장에 임명되었으며, 1943년 4월에는 선전부에서 선전위원으로 일하였다.
         [[분류:1913년 태어남]][[분류:1990년 죽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대한민국의 군인]]
  • 이정훈 (1963년) . . . . 4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2012년 세계 청소년 야구선수권대회 대한민국의 선수명단}}
         [[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6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KBO 리그 외야수]][[분류:KBO 리그 중견수]][[분류:빙그레 이글스 선수]][[분류:한화 이글스 선수]][[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OB 베어스 선수]][[분류:KBO 신인상 수상자]][[분류:KBO 타율상 수상자]][[분류:KBO 안타상 수상자]][[분류:KBO 골든글러브 수상자]][[분류:대구삼덕초등학교 동문]][[분류:경상중학교 동문]][[분류:대구상업고등학교 동문]][[분류:동아대학교 동문]]
  • 이제석 . . . . 4회 일치
         '''이제석'''([[1982년]] [[10월 1일]]~)은 [[대한민국]]의 광고 제작자로 [[이제석 광고연구소]]의 대표이다. [[대구광역시|대구]]에서 출생했다. 자칭 '광고천재'라는 수식어를 사용한다.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82년 태어남]][[분류:광고인]][[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미술가]][[분류:계명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협성중학교 동문]]
  • 이호준 (프로게이머) . . . . 4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이호준'''([[1991년]] [[7월 23일]] ~ )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Puma'''라는 아이디를 사용하며, 종족은 [[테란]]이다.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분류:199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e스포츠 선수]][[분류: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분류:테란 선수]][[분류:이스트로의 선수]][[분류:온게임넷 스파키즈의 선수]][[분류:CJ 엔투스의 선수]][[분류:Team SCV Life의 선수]][[분류:이블 지니어스의 선수]][[분류: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 임은정(법조인) . . . . 4회 일치
         [[대한민국]]의 [[검사(법조인)|검사]].
         >"이 땅을 뜨겁게 사랑해 권력의 채찍에 맞아 가며 시대의 어둠을 헤치고 걸어간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몸을 불살라 그 칠흑 같은 어둠을 밝히고 묵묵히 가시밭길을 걸어 새벽을 연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그 분들의 숭고한 희생과 헌신으로 민주주의의 아침이 밝아, 그 시절 법의 이름으로 가슴에 날인했던 주홍글씨를 뒤늦게나마 다시 법의 이름으로 지울 수 있게 됐습니다. 그리하여, 지금 우리는 모진 비바람 속에서 온 몸으로 민주주의 싹을 지켜낸 우리 시대의 거인에게서 그 어두웠던 시대의 상흔을 씻어내며 역사의 한 장을 함께 넘기고 있습니다. 피고인이 위반한 대통령긴급조치 제1호와 제4호는 헌법에 위반되어 무효인 법령이므로 무죄이고, 내란선동죄는 관련 사건들에서 이미 밝혀진 바와 같이 관련 증거는 믿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피고인이 정권교체를 넘어 국헌문란의 목적으로 한 폭동을 선동하였다고 볼 수 없으므로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09 [[대한민국 법무부|법무부]] 법무심의관실 검사
         [[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 임현준 . . . . 4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대표국가 = 대한민국
         {{2011년 야구 월드컵 대한민국 선수 명단}}
  • 장우석 . . . . 4회 일치
         | 출생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장우석'''(張祐碩, [[1977년]] [[1월 9일]] ~ )<ref>[http://gs343.blog.me/106555039 "차별 · 편견 없는 세상 35mm 앵글에 담아요"], 《대구신문》스크랩 내용, 2008.9.9.</ref>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미디어공작소°노림(www.facebook.com/norim)에서 공작원(film maker)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0년]] 4월 23일 '[[세계 책의 날]]' 문을 연, 대구 최초의 '복합문화공간 헌책방' 물레책방(www.mulae.net)<ref>[http://www.atjob.co.kr/servlet/bbs.CBbsSe?hid_seq=3481&template=t_bbs_atjob_09 "헌책방, 돌고 도는 사람 세상"], 《앳잡》, 2014.4.21.</ref>의 대표이기도 하다.
         [[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감독]][[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7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영남대학교 동문]][[분류:영진고등학교 동문]][[분류:청구중학교 동문]][[분류:대구효신초등학교 동문]]
  • 장철 (1967년) . . . . 4회 일치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출생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분류:196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중앙대학교 동문]]
  • 정성현 (배구선수) . . . . 4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국적 = 대한민국
         '''정성현'''([[1991년]] [[5월 18일]] ~ )은 [[대한민국]]의 남자 배구 선수이며, [[안산 OK저축은행 러시앤캐시]]의 선수이다. 2013-2014 신인 드래프트에서 전체 6순위로 [[안산 OK저축은행 러시앤캐시]]에 입단하였다.
         [[분류:199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구 선수]][[분류:대구서부초등학교 동문]][[분류:성지중학교 (부산) 동문]][[분류:성지고등학교 (부산) 동문]][[분류:홍익대학교 동문]]
  • 정영삼 . . . . 4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직할시]]
         | 소속팀1 = {{국기그림|대한민국}} 국군체육부대
         '''정영삼'''([[1984년]] [[4월 21일]] ~ )은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로, 현재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소속이다.
         [[분류:198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분류:계성중학교 동문]][[분류:대구대성초등학교 동문]][[분류:계성고등학교 (대구) 동문]][[분류:건국대학교 동문]]
  • 정재안 . . . . 4회 일치
         |출생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직업 = [[대한민국 |시회기관단체인]]
         '''정재안'''(鄭宰安, [[1967년]] [[01월 15일]] ~ )는 [[대한민국]]의
  • 정채진 . . . . 4회 일치
         * 2001.03 : 박정희대통령기념사업회 상근위원
         |직책 = [[대한민국의 산림청장|산림청장]]
         [[분류:1932년 태어남]][[분류:2008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산림청장]][[분류:경북대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검정고시 통과자]]
  • 정충원 . . . . 4회 일치
         '''정충원'''(鄭忠源, <small>일본식 이름:</small> 烏川忠源, [[1896년]] [[5월 22일]] ~ [[1977년]] [[3월 12일]]<ref>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간한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에는 정충원의 출생일이 [[1893년]] [[5월 22일]]로 표기되어 있으며 사망일은 미상으로 표기되어 있다.</ref>)은 [[일제 강점기]]의 [[경찰]] 겸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금융인으로 본관은 연일이며 다른 이름으로 '''정종원'''(鄭宗源, 1949년 10월 개명한 이후부터 사용한 이름)이 있다.
         [[1940년]] [[4월 29일]] 중일 전쟁에 적극 협력한 공로를 인정받아 일본 정부로부터 공로 을(功勞 乙)과 훈6등 서보장을 받았다. 1941년 3월 31일 평안남도 성천군수, [[1943년]] [[3월 29일]] 평안남도 순천군수로 각각 임명되었고 [[1942년]] [[4월 8일]] 일본 정부로부터 훈6등 서보장을 받았다. 광복 이후인 [[1947년]] [[조흥은행]] 취체역을 역임했으며 [[1956년]] 10월부터 [[1961년]] 4월까지 조흥은행 은행장, [[1958년]] [[금융통화위원회]] 정위원을 역임했다. [[친일파 708인 명단]]의 경시‎ 부문,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의 경찰 부문과 관료 부문,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분류:1896년 태어남]][[분류:1977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경찰]][[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분류:대한민국의 금융인]][[분류: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니혼 대학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연일 정씨]]
  • 조소혜 . . . . 4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국적 = [[대한민국]]
         '''조소혜'''([[1956년]] [[12월 28일]] ~ [[2006년]] [[5월 24일]])는 [[대한민국]]의 [[드라마]] [[작가]]이다.
         [[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드라마 각본가]][[분류:1956년 태어남]][[분류:2006년 죽음]][[분류:간암으로 죽은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 조환길 . . . . 4회 일치
         | 출생지 = {{국기나라|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조환길'''(曺煥吉, [[1954년]] [[11월 7일]] ~ )은 [[대한민국]] [[로마 가톨릭교회|가톨릭]] [[성직자]]이다. 세례명은 '''타대오'''이다. 2010년 11월 4일 제10대 [[천주교 대구대교구|천주교 대구대교구장]]에 임명되었다. 또한, 2007년 10월부터 현재까지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매스컴위원회 위원장 및 사회주교위원회 위원, 2009년 8월부터 현재까지 성직주교위원회 위원과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 위원 등을 맡아오고 있다.
         [[분류:195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천주교 대구대교구장]][[분류: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대주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광주가톨릭대학교 동문]][[분류:창녕 조씨]]
  • 조훈 . . . . 4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국가 = 대한민국
         '''조훈'''([[1993년]] [[2월 4일]] ~ )는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다. [[SBS]] 16기 공채 개그맨으로 데뷔했다.
         [[분류:199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희극인]][[분류:2016년 데뷔]][[분류:한신대학교 동문]]
  • 차일목 . . . . 4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분류:198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포수]][[분류:KIA 타이거즈 선수]][[분류:한화 이글스 선수]][[분류:대구본리초등학교 동문]][[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21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경운중학교 (대구) 동문]][[분류:대구상원고등학교 동문]][[분류:홍익대학교 동문]][[분류:연안 차씨]]
  • 채현국 . . . . 4회 일치
         |국적 = {{국기|대한민국}}
         '''채현국'''([[1935년]] ~ )은 [[대한민국]]의 전 [[기업인]] 이자 [[문화운동가]]이다. [[서울대학교]] 철학 학사를 마쳤으며, 과거 [[흥국기업]]의 총수이자 현재 [[대한북레터협회]]와 [[효암학원]]의 [[이사장]]이다.
         [[분류:193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학교법인인]][[분류:대한민국의 문화운동가]][[분류:대산문학상 수상자]]
  • 채호기 . . . . 4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ref>~ )는 [[대한민국]]의 시인, 대학교수이다.
         [[분류:195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시인]][[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김수영 문학상 수상자]][[분류:현대시작품상 수상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서울예술대학교 동문]][[분류:대전대학교 동문]][[분류:인천 채씨]][[분류:20세기 시인]][[분류:21세기 시인]]
  • 최운정 . . . . 4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 국가 = [[대한민국]]
         '''최운정'''({{llang|en|Chella Choi}}, 첼라 최, [[1990년]] [[8월 25일]] ~ )<ref>[http://www.seoulsisters.com/players/misc/chella.htm Seoul Sisters profile]</ref>은 [[대한민국]]의 프로 [[골프 선수]]이다. 소속사는 볼빅이다.
         [[분류:199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LPGA 투어 골프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골프 선수]][[분류:세화여자중학교 동문]][[분류:세화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최채흥 . . . . 4회 일치
         한양대학교 진학 후, [[김한근]] 한양대 감독에게 투수가 아니면 야구를 그만두겠다고 선언했고, 이에 김한근 감독은 너를 투수로만 생각하고 있다고 화답했다. 그러면서 투수로 전업하여 1학년 때 [[회장기 전국대학야구 춘계리그]]에서 팀의 마무리를 맡은 것을 시작으로 67.2이닝 동안 피홈런 없이 54삼진 6사구 16볼넷 평균자책점 0.93을 기록했다. 1학년이던 2014년부터 팀의 에이스로 자리를 잡아 [[대통령기 전국대학야구대회]]에서는 팀을 17년만의 대통령기 우승으로 이끌며 우수투수상을 수상했고 바로 U-21 세계야구선수권 대회에 국가대표로 승선했다. 투수 전업 첫 해에는 평균구속이 130km/h 중반대에 불과했지만, 빠른 성장세로 평균구속을 10km/h 가까이 끌어올리면서 탈삼진 능력도 늘어나 꾸준히 좋은 성적을 기록하고 2015년에는 27회 아시아야구선수권대회 국가대표로 뽑히면서 활약했다. 2016년에는 학점 관리한다고 8월 이후에는 경기에 나오지 않았음에도 [[대한민국 U-23 야구 국가대표팀]]에서 [[임지섭]]과 원투펀치로 많은 이닝을 소화하면서 혹사 논란까지 일었을 정도.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분류:1995년 출생]] [[분류:투수]] [[분류:좌완 투수]] [[분류:경주시 출신 인물]]
  • 하지영 . . . . 4회 일치
         '''하지영'''([[1982년]] [[10월 19일]] ~ )은 [[대한민국]]의 [[방송인]]이다. [[2003년]] [[KBS]] 18기 공채 [[개그우먼]]으로 데뷔했다. [[2012년]] 예명을 지영에서 하지영으로 개명하였다.
         *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SBS]] 《[[한밤의 TV연예]]》 - 리포터
         [[분류:198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희극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서일대학교 동문]][[분류:대구혜화여자고등학교 동문]]
  • 한상덕 . . . . 4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한상덕'''([[1944년]] [[1월 10일]] ~ )은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1965년]] 연극배우로 활동하다가 [[1970년]] [[KBS]] 12기 공채 [[성우]]로 [[데뷔]]하였다.
         * "옛날 어린이들은 호환, 마마, 전쟁 등이 가장 무서운 재앙이었으나 현대 어린이들은 무분별한 불량·불법 비디오를 시청함으로써 비행 청소년이 되는 무서운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 한편의 비디오, 사람의 미래를 바꾸어 놓을 수도 있습니다." (1980년대와 1990년대 대한민국의 어린이용 [[VHS]] [[비디오테이프|비디오]]의 첫머리에 나오던 대사)
         [[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성우]][[분류:194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65년 데뷔]][[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허만하 . . . . 4회 일치
         '''허만하'''(1932년 3월 29일~ )는 [[대한민국]]의 [[시 (문학)|시인]]이자 [[의사]]이다.
         [[분류:193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시인]][[분류:대한민국의 의사]][[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경북대학교 동문]][[분류:1957년 데뷔]][[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박용래 문학상 수상자]]
  • 허준 (음악가) . . . . 4회 일치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허준'''([[1974년]] [[9월 17일]] ~ )은 [[대한민국]]의 음악가이다. [[YB (밴드)|YB]]의 [[기타]] 연주자로 많이 알려져있다.
         [[분류:대한민국의 하드 록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기타 연주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7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영락고등학교 동문]]
  • 헤이즈 (가수) . . . . 4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헤이즈'''({{llang|en|Heize}}, {{본명|장다혜}}, [[1991년]] [[8월 9일]] ~ )는 [[대한민국]]의 힙합 가수이다.<ref>[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ab_ppn&query=%ED%97%A4%EC%9D%B4%EC%A6%88&os=2916098&ie=utf8&key=PeopleService 네이버 인물]</ref> 헤이즈라는 이름은 본인이 외국 여성 래퍼 엔젤 헤이즈(Angel Haze)를 좋아해서 영어 철자만 바꾸고 지은 이름이다.<ref>{{뉴스 인용|url=http://entertain.naver.com/read?oid=312&aid=0000208830|제목='V앱' 헤이즈, 이름 뜻 설명 "독일어로 달아오르게 하다"|언어=ko|확인날짜=2017-06-26}}</ref>
         [[분류:199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14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래퍼]][[분류:대한민국의 여자 가수]][[분류:언프리티 랩스타 참가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CJ ENM 음악가]][[분류:Mnet 아시안 뮤직 어워드 수상 음악가]][[분류:무학초등학교 (경남) 동문]][[분류:마산제일여자중학교 동문]]
  • 현진건 . . . . 4회 일치
         | 출생지 = {{국기|대한제국}}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군]]<br />(現 {{국기|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중구 (대구광역시)|중구]])
         현진건의 할아버지 학표(學杓)는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내장원경(內藏院卿)직을 지냈고, 다시 경운(炅運)·철운(轍運)·영운(映運)·양운(暘運)·붕운(鵬運)의 다섯 아들을 두었다. 그 중 경운이 바로 현진건의 아버지이며, 봉호가 정3품 [[통정대부]](通政大夫)까지 올라 [[의정부]] [[외부]]의 [[통신원]] 국장과 [[전화국|전보사장]]을 지냈다. 그의 집안은 계몽사상가이자 독립운동가였으나 후에 [[친일파]]로 변절하게 되는 [[윤치호]],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으로 내무장관, [[서울특별시장|서울시장]]을 지낸 [[윤치영]], 4대 대통령 [[윤보선]] 집안과 이중으로 혼반관계를 형성하였다.
         [[1917년]] 다시 귀국하였는데, 이때 대구에서 [[백기만]](白基萬) · [[이상화 (시인)|이상화]](李相和) 등과 습작 동인지 『거화(炬火)』를 발간하였다. 이것이 그가 처음으로 시작한 '문학'이었다(다만 본격적인 동인지는 아니고 작문지 정도의 수준이었다고<ref>양진오, 「조선혼의 발견과 민족의 상상 - 현진건의 학술적 평전과 문학 연구」(도서출판 역락, 2008), p.44.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총서24.</ref>). 4월에 현진건은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의 5년제 세이조 중학교(成城中學校)에 3학년으로 편입하였다. [[1918년]] 3월에 다시 귀국하였는데<ref>일본 학자 시라카와 유타카에 의해 세이조 중학교 3학년 성적대장 일람표에서 현진건의 이름이 확인되어, 그가 1917년 4월부터 1918년 3월까지 실제 이 학교에 재적했음을 고증할 수 있었다. 양진오, 「조선혼의 발견과 민족의 상상 - 현진건의 학술적 평전과 문학 연구」(도서출판 역락, 2008), p.43. 대구대학교 인문과학연구총서24.</ref>, 얼마간 대구에 머물다가 집안 몰래 형 정건이 있던 [[중화민국|중국]] [[상하이]](上海)로 건너 가서 [[후장 대학]](扈江大學) 독일어 전문부에 입학한다. 조선에서 일어난 [[3.1 운동]]의 여파가 상하이에까지 커져 상하이에서도 만세운동이 벌어지고,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가 수립되던 해인 [[1919년]] 다시 귀국하여, 당시 육군 공병 영관을 지낸 당숙 현보운(玄普運)의 양자로 들어가게 되면서 서울로 상경, 지금의 종로구 관훈동 52번지에서 살았는데, 현보운은 1919년 음력 9월 10일에 사망하고 그가 호주가 되었다. 12월에 첫딸 경숙(慶淑)이 태어났으나 이듬해에 죽고 만다.
         [[분류:1900년 태어남]][[분류:1943년 죽음]][[분류:병사한 사람]][[분류:대한제국의 사회 운동가]][[분류:이범석 (1900년)]][[분류:박헌영]][[분류:일제 강점기의 소설가]][[분류:대륜고등학교 동문]][[분류:일제 강점기의 언론인]][[분류:일제 강점기의 작가]][[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연주 현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호민관 . . . . 4회 일치
         현대로 치면 호민관은 거의 [[대통령]]에 준하는 지위라고 볼 수 있다. 다만 국가원수로서의 지위나, 군사적 권한 등은 모두 집정관이나 법무관 등에 있기 때문에, [[대통령제]]의 강력한 권한을 지닌 대통령이라기보다는 [[의원내각제]] 하의 제한적인 권한을 지닌 대통령에 가깝다.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 . . . . 3회 일치
          1933년 3월 4일 시작하는 시나리오. 3월 4일에 독일에서 선거가 치뤄진다. 실제 역사에서는 이 때 히틀러가 당선되어 권력을 잡는다. 기본적으로 1936년에서 시작하는 HOI2와 차별점을 두기 위해선지 이 시나리오 전용 이벤트/디시전이 꽤 많다. 이 시나리오로 할 경우 인공지능 독일이 실제 역사보다 더욱 강해지는 경우가 종종 목격된다.
         동원령 5단계. 2년간을 복무하는 징병제다. 현실의 예시로는 현대의 대한민국을 들 수 있다.
         프랑스가 독일에게 발리고 강화조약을 맺으면 인도차이나 연방의 소유권을 넘겨 받을 수 있는 디시전이 발동한다. 이러면 미국의 "대일본 최후통첩" 디시전이 해금되는데, 미국은 중일전쟁과 그에 딸린 각종 이벤트 때문에 일본을 싫어할게 뻔하므로 이 디시전을 발동한다. 최후통첩을 받아들이면 미국의 애완견[* 민주화, 중국 지역을 중화민국에게 반환, 모든 괴뢰국 해방, 한반도가 대한민국으로 독립, 영미와 군사 통행권&불가침 조약 체결, 불만도 +20%, 미국의 괴뢰국화.]으로 전락한다. 인공지능이 잡을 경우 100% 미국과 네덜란드령 동인도에게 엠바고 처먹기를 선택하고, 이후 "진주만 공습" 디시전을 갈긴다.
  • Victoria II . . . . 3회 일치
          * 부패한 선거구(Rotten Boroughs): 투표자의 수 +100%
          * Democracy(민주정) : 현재 [[대한민국]]과 같은 체제. 총선으로만 여당이 바뀐다.
          * Presidential Dictatorship(대통령 독재) : 반동주의 반란으로 뒤집어진 국가들은 이 정부 체제가 된다. 여당은 무정부 자유주의 정당으로 고정되며 반란이나 전쟁으로만 정부 체제를 바꿀 수 있다.
  • 강동우 . . . . 3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야구]] 선수이자 '''비운의 선수'''로 꼽히는 대표적인 사례 중 한 명. 2018년 현재는 [[두산 베어스]]의 1군 타격코치.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북구(대구) 출신 인물]][[분류:1974년 출생]][[분류:타자]][[분류:외야수]][[분류:좌투좌타]][[분류:삼성 라이온즈 은퇴/이적]][[분류:두산 베어스 은퇴/이적]][[KIA 타이거즈 은퇴/이적]][[분류:한화 이글스 은퇴/이적]]
  • 강승현(모델) . . . . 3회 일치
          * 이 문서는 예명인 [[효니 강]](Hyoni Kang)으로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세계적으로는 Hyoni Kang으로 많이 알려져 있으나 대한민국에서는 본명인 '강승현'으로 많이 통용되고 있으므로 문서명을 '강승현(모델)'로 하고 '효니강'은 리다이렉트로 처리.]
         '''2000년대 후반부터 떠오르고 있는, [[장윤주]]의 뒤를 잇는 [[대한민국]] [[슈퍼모델]]계의 [[끝판왕]]'''
         [[대한민국]]의 [[모델]] 겸 [[디자이너]], 사업가 그리고 영화배우
  • 경산시 . . . . 3회 일치
         {{다른 뜻|[[경산시 (선거구)|선거구]]}}
         {{대한민국 시군구 정보
  • 권혁 . . . . 3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중구(대구) 출신 인물]][[분류:1983년 출생]][[분류:투수]][[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메달리스트]]
  • 김동호 (야구선수) . . . . 3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분류:198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대구수창초등학교 동문]][[분류:성광중학교 동문]][[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영남대학교 동문]][[분류:한화 이글스 선수]][[분류:고양 원더스 선수]]
  • 김상엽 (야구인) . . . . 3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시]]
         [[분류:197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LG 트윈스 선수]][[분류:KBO 탈삼진상 수상자]][[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경복중학교 동문]][[분류:대구수창초등학교 동문]]
  • 김새해 . . . . 3회 일치
         |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김새해''' ([[1986년]] [[12월 11일]] ~ )는 [[대한민국]]의 여자 [[성우]]이다. [[2009년]] [[투니버스]] 7기 공채 성우로 데뷔하였다.
         [[분류:1986년 태어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성우]][[분류:2009년 데뷔]]
  • 김성민 (1994년) . . . . 3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분류:199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분류:대구옥산초등학교 동문]][[분류:경복중학교 동문]][[분류:대구상원고등학교 동문]][[분류:SK 와이번스 선수]]
  • 김숭실 . . . . 3회 일치
         '''김숭실'''(金崇實, [[1981년]] [[4월 21일]] - )은 [[대한민국]]의 [[한국마사회]] 소속의 대한민국 여자 [[탁구]] 선수이다.
         [[분류:198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탁구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일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용인대학교 동문]]
  • 김쌍수 . . . . 3회 일치
         [[대한민국]]의 [[기업인]]. [[LG그룹]] 부회장[* LG에 평사원으로 입사하여 부회장까지 올랐다. 이 때문에 윤종용, [[이학수]] 등과 더불어 대한민국의 공부잘하는 [[엄친아]], [[엄친딸]]들이 자신의 우상이자 롤모델로 삼는 인물들 중 하나이기도 하다. 대기업 부회장 자리는 게임으로 따지면 파이널 스테이지까지 클리어한 것이다.], 前 [[한국전력공사]] 사장, 現 [[수원 KEPCO45]] 프로배구단 구단주. 졸업 고교는 [[성의고등학교]]. [[경상북도]] [[김천시]] 출신이다.
         [[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
  • 김유현 . . . . 3회 일치
         '''김유현'''([[1987년]] [[11월 17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배우 김유현은 2015년 6월 7일 대구에서 9살연상 일반인 사업가(건설회사 부사장)와 결혼식을 올렸으며, 당분간은 신혼생활에 충실할 예정이다.<ref>[[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507050100050700003393&servicedate=20150704 김유현 결혼, 9살 연상 건설회사 부사장과…'전우치' 등서 청순연기]]</ref>
         * [[2008년]] [[SBS (대한민국의 방송사) |SBS]] 일일드라마 《[[애자 언니 민자]]》 ... 수민 역
         [[분류:198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여자 배우]][[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일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이화여자대학교 동문]][[분류:2007년 데뷔]]
  • 김일엽 (야구선수) . . . . 3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귀국 이후 수술을 반복하여 재활하였고 방위산업체에서 산업기능요원으로 일하며 군 복무를 마쳤다. 복무하던 중에 [[KBO 리그]] 복귀 유예 기간 규정이 지나 [[대한민국]]에서 활동이 가능해졌고 방위산업체 근무를 마친 후 [[2007년]] [[1월 4일]]에 [[롯데 자이언츠]]에 [[신고선수]]로 입단<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7&oid=003&aid=0000278662 롯데, 마이너 리그 출신 김일엽과 계약] - 뉴시스</ref> 하였으며, 주로 중간계투로 등판했다. 1군에는 [[2008년]]부터 올라오기 시작하여 [[2008년]]에는 2승 1패 1세이브 5홀드, 평균자책 3.21을 기록했다. 그러나 [[2009년]] 시즌에 들어서는 선발 투수들의 잇단 부상으로 [[2009년]] [[5월]]부터 한시적으로 선발 보직도 겸하였다. 그러나 성적은 매우 좋지 않아 [[2009년]]에는 승리 없이 5패, 평균자책 7.36을 기록하였으며, 특히 [[2009년]] [[6월 21일]]에 있었던 [[KIA 타이거즈|KIA]]와의 경기에서는 선발로 출장했음에도 단 1이닝도 버티지 못하고 5실점하여 강판되었다.<ref>[http://www.donga.com/fbin/output?n=200906210116 ‘데뷔 첫 그랜드 슬램’ 김현수 “만루포 처음이야!”], 《동아일보》 [[2009년]] [[6월 21일]]</ref> [[2012년]]에는 1군 1경기에 그쳤고 그마저도 대량 실점하여 평균자책 40.50을 기록한 후 방출되었다.
         경기가 잘 풀리지 않으면 땀을 비오듯 흘리는 경향이 있어 '대한민국 땀은 지가 다 흘린다' 라는 속설이 있다.
  • 김정호 (1949년) . . . . 3회 일치
         '''김정호'''(金正鎬, [[1949년]] [[2월 15일]] ~ , [[대구광역시|대구]])는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다.
         |직책 = [[대한민국 농림부|농림부 차관]]
         [[분류:194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농림부 차관]][[분류:서울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공과대학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김종덕 (야구선수) . . . . 3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분류:199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포수]][[분류:넥센 히어로즈 선수]]
  • 김태훈 (1987년) . . . . 3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드래프트 순위 = [[2010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2010년]] 3차 6라운드([[KIA 타이거즈]])
  • 김현민 (야구선수) . . . . 3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분류:199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외야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두산 베어스 선수]][[분류:제주고등학교 동문]][[분류:경상중학교 동문]][[분류:대구남도초등학교 동문]]
  • 노현정 . . . . 3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분류:197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한국방송공사의 아나운서]][[분류:경희대학교 동문]][[분류:대구초등학교 동문]][[분류:대구중학교 동문]][[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프리랜서 아나운서]][[분류: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진행자]][[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도]][[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담철곤 . . . . 3회 일치
         '''담철곤'''(譚哲坤, [[1955년]] [[6월 6일]] ~ )은 [[오리온그룹]] 회장을 맡고 있는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ref>[http://www.business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174 담철곤 오리온그룹 회장]. 비즈니스포스트</ref>
         담철곤은 1991년 [[경상북도]] [[청도군]] [[각북면]] 일대에 모친의 [[묘|분묘]]를 조성했고, 추가로 1999년 부친의 [[묘]]를 만들어 2기의 합장묘를 설치했다. 하지만 이곳은 [[등기부등본]]상 농지인 '전(田)'으로 규정되어 있어 묘지가 들어설 수 없는 곳이며, 묘소 부지는 담철곤 회장이 아닌 [[오리온그룹]] 직원이 등기권자로 돼 있어 토지 차명 보유 의혹을 받았다. 묘소의 총 면적은 [[국립서울현충원]]에 조성된 [[김영삼]] 전 대통령의 묘(264m²)의 8배에 달하는 2147m²(649평)으로 장사법에서 규정한 규모를 넘는다.<ref>[http://news.tf.co.kr/read/economy/1668728.htm 담철곤 오리온 회장, 직원 명의로 '호화 분묘' 불법 조성 의혹] 더팩트. 2016년 12월 16일</ref>
         [[분류:195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한국켄트외국인학교 동문]][[분류:조지 워싱턴 대학교 동문]][[분류:오리온그룹]][[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중국계 한국인]]
  • 대구광역시 . . . . 3회 일치
         대구 2017 대한민국ICT융합엑스포
         [[분류:대구광역시 출신|대구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도시]][[분류:대한민국의 옛 임시 수도]][[분류:1995년 설치]]
  • 대한민국 망명정부 서사모아 설치계획 . . . . 3회 일치
         [[6.25 전쟁]] 때, [[대한민국]] [[망명정부]]를 남태평양의 섬나라 [[사모아|서사모아]]에 설치한다는 계획. 당시 사모아는 [[뉴질랜드]]의 신탁통치 하에 있었다.
         대한민국 정부에서 제안했던 [[대한민국 망명정부 야마구치 현 설치계획]]과는 달리, 미 국방부와 합참본부가 계획한 것이다.
  • 민룡 . . . . 3회 일치
         '''민룡'''([[1982년]] [[7월 14일]] ~ )은 [[대한민국]]의 전 남자 [[쇼트트랙]] 선수이다.
         [[분류:198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분류:경신고등학교 (대구) 동문]][[분류:계명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분류:2002년 동계 올림픽 쇼트트랙 참가 선수]]
  • 박강현 . . . . 3회 일치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박강현'''([[1990년]] [[2월 27일]] ~ )<ref>{{웹 인용 |제목= 171208 김주택 인스타라이브(미라클라스 단체 등장)|인용문=주민등록상 생일, 실제 태어난 날은 1989년 12월 27일이다}}</ref>은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이다. [[2015년]]에 뮤지컬 '라이어타임'으로 데뷔하였다. 크로스오버 남성 사중창 그룹을 뽑는 오디션 프로그램인 [[팬텀싱어]] 시즌2에 출연하여 '''[[미라클라스]]'''의 멤버로 결승에 진출,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분류:198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뮤지컬 배우]][[분류:성균관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박근영 (야구인) . . . . 3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분류:197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KBO 리그 포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심판]] [[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남대학교 동문]][[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심판]]
  • 박두을 . . . . 3회 일치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삼성서울병원]]
         |국적 = 대한민국
         [[분류:1907년 태어남]][[분류:2000년 죽음]][[분류:이병철]][[분류:삼성가]][[분류:순천 박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
  • 박인태 . . . . 3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소속팀1 = {{국기그림|대한민국}} [[창원 LG 세이커스]]
         [[분류:199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분류:대구해서초등학교 동문]][[분류:계성중학교 동문]][[분류:계성고등학교 (대구) 동문]][[분류:연세대학교 교육과학대학 동문]]
  • 박재현 (야구인) . . . . 3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분류:197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대구옥산초등학교 동문]][[분류:경복중학교 동문]][[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계명대학교 동문]]
  • 박종윤 (1993년) . . . . 3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2011년 아시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선수 명단}}
  • 박진옥 . . . . 3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
         前 [[대한민국]]의 축구선수.
         [[분류:1982년 출생]] [[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분류:대한민국의 축구선수]] [[분류:제주 유나이티드/은퇴, 이적]] [[분류:상무 축구단/전역]] [[분류:대전 시티즌/은퇴, 이적]] [[분류:광주 FC/은퇴, 이적]] [[분류:용인시청 축구단/은퇴, 이적]]
  • 박철우(배구) . . . . 3회 일치
         국가대표 선배인 [[김세진]]에 비하면 세세한 테크닉이 부족하고 건강문제로 기대만큼 성장하지 못한점이 조금 아쉽지만, 여전히 대한민국 최고의 토종 공격수중 1명이다. 특히 국내 공격수중 최고수준의 사이드블로킹 높이덕에 중요한 순간 블로킹으로 분위기를 반전시키는 점은 보너스.
         [[1985년]]생으로 [[김요한]]과 나이상 동기지만, 프로 데뷔가 엄청나게 빨랐던 것은 그가 고졸 자격으로 현대캐피탈에 입단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남자 배구판에서는 20년 전 경북사대부고에서 럭키금성(現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KB손해보험]])으로 직행한 김찬호 현 [[경희대학교|경희대]] 배구부 감독에 이어 2번째인 고졸 현역 데뷔 선수. 가난한 집안 사정과 [[이경수]] 드래프트 파동으로 인해 대학-실업 간 선수 수급에 대한 합의 등이 없던 상황을 이용해 당시 현대캐피탈 감독이자 ~~주로 부정적인 쪽으로~~[[스카우트]]의 귀재인 [[송만덕]]의 아이디어로 프로행을 선언, 초고교급 대어였던 박철우를 잡기 위해 삼성화재와 현대캐피탈이 모두 계약을 시도했고, 경쟁의 승리자는 현대캐피탈이 되었다. 학교 지원금(공식적으로 명지대에 일반 학생으로 입학한 케이스)을 포함해 총 '''계약금 8억 원'''을 받고 현대캐피탈에 입단했다. 이것이 대학연맹과 실업연맹 간 갈등 악화를 부채질했고, 결국 [[이경수]] 드래프트 파동이 정상화되었을 때 대학배구연맹은 '''고졸 선수의 프로 직행을 금지하는 조항'''을 프로 연맹에 요청해 공식적으로 명문화되었다.[* 이후 2013년 드래프트부터 이 조항이 삭제되어 고교졸업 예정 선수들도 드래프트에 응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개정에 따라 지명된 선수가 송림고등학교 졸업 후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대한항공]]의 지명을 받아 입단한 [[정지석]]이다.] 아이러니한 것은 이런 중대한 결정을 주도한 당시 현대캐피탈 [[송만덕]] 감독은 그 해가 가기도 전에 [[방신봉]]의 항명 파동으로 인해 현대캐피탈 감독직에서 사실상 해임되었다는 것.[* 사실 박철우의 고졸 프로 진출보다 더 파격적인 사례가 있었다. 그 주인공은 1990년대 초반 중학교 졸업 후 [[구미 KB손해보험 스타즈|럭키화재]]에 입단했던 이상욱. 그러나 이상욱은 이렇다 할 활약을 보이지 못한 채 1994-1995 슈퍼리그 직전 슬그머니 방출되었다.]
         데뷔 시절 [[후인정]]의 백업으로 시작하였으나 생각보다 빨리 팀의 주 공격수로 자리잡았다. 그런데 2007년에 [[기흉]]을 3번이나 앓으면서 폼을 잃었다.[* 여담으로 훗날 부인이 되는 [[신혜인]]은 '''[[부정맥]]''' 판정을 받아 심장 수술을 받으며 현역에서 은퇴하고 말았다. 즉, 운동선수 부부끼리 하나씩 부실한 파트가 있다는 것.....] 국가대표 발탁 기회도 은근 운이 따르지 않아서 [[2006 도하 아시안 게임]] 때 당시 대학생이었던 [[김요한]], [[문성민]]이 [[대한민국]] 배구계의 미래를 이끌 재목으로 등장하며 금메달 획득으로 일찌감치 군 문제를 해결했으나, 박철우는 그 기회를 놓쳤다.
  • 박칠용 . . . . 3회 일치
         '''박칠용'''([[1950년]] [[10월 28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분류:195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연극 배우]][[분류:1969년 데뷔]][[분류:세종특별자치시 출신]][[분류:창극 배우]][[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영화 배우]][[분류:동아방송예술대학교 교수]][[분류:조치원고등학교 동문]][[분류:연성대학교 동문]][[분류: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동문]][[분류:명지대학교 대학원 동문]]
  • 박현철 . . . . 3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가람'''({{본명|박현철}}, [[1991년]] [[6월 28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분류:199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2010년 데뷔]][[분류:아이돌 가수]][[분류:대한민국의 댄스 음악가]][[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박희광 . . . . 3회 일치
         일제 강점기 시절 만주에서 활동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독립운동가]]이다. 무장독립운동단체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 통의부)와 임시정부와 연계를 맺고 조직되어 압록강 연안지역을 관할하던 참의부(參議府)에 가담하여 만철연선 친일파 제거등에 참가하였으며, 이후 김광추(金光秋), 김병현과 함께 3인조 암살단을 조직, 활동하였다.
         박희광의 업적은 증명할 방법이 없어 귀향생활을 하던중, 1924년9월1일자 동아일보 등에 사건과 선고공판 등의 행적이 증명되면서 1968년3월1일자로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 받았다.
         고 박정희 대통령은 선생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애국지사 박희광선생지상(愛國志士朴喜光先生之像)"이라는 친필휘호를 내렸으며, 1983년 구미문화원, 구미시, 각계 인사들의 힘으로 경북 구미시 금오산 도립공원에 동상이 세워졌으며, 대구광역시 두류공원 내 조각 공원에 흉상이 세워졌다.
  • 배상면 . . . . 3회 일치
         '''배상면'''(裵商冕, [[1924년]] [[9월 22일]] ~ [[2013년]] [[6월 7일]])은 [[대한민국]]의 기업가이다. 호는 우곡(又麯, 또 누룩을 생각한다는 의미).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사라진 대한민국 전통주 시장을 개척했다.<ref>[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6/07/2013060703105.html 전통주 외길 '배상면' 국순당 창업자 별세] 조선비즈, 2013년 6월 7일</ref> 본관은 [[달성 배씨|달성]].
         [[분류:1924년 태어남]][[분류:2013년 죽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경북대학교 동문]][[분류:달성 배씨]]
  • 배재준 . . . . 3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분류:199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LG 트윈스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대구본리초등학교 동문]][[분류:경상중학교 동문]][[분류:대구상원고등학교 동문]][[분류:배씨]]
  • 백대현 . . . . 3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백대현'''(白大鉉, [[1978년]] [[5월 15일]] ~ )은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다.
         [[분류:대한민국의 바둑 기사]][[분류:충암고등학교 동문]][[분류:명지대학교 동문]][[분류:197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백승민 (야구선수) . . . . 3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분류:199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외야수]][[분류:KBO 리그 중견수]][[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KBO 리그 1루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대구남도초등학교 동문]][[분류:경상중학교 동문]][[분류:대구상원고등학교 동문]][[분류:영남대학교 동문]][[분류:수원 백씨]]
  • 부산광역시 . . . . 3회 일치
         [[분류:부산광역시 출신|부산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도시]][[분류:1949년 설치]][[분류:대한민국의 항구 도시]][[분류:대한민국의 옛 임시 수도]][[분류:아시안 게임 개최 도시]]
  • 서동민 . . . . 3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분류:199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SK 와이번스 선수]][[분류:대구율하초등학교 동문]][[분류:경복중학교 동문]][[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달성 서씨]]
  • 서영무 . . . . 3회 일치
         '''서영무'''(徐永武, [[1934년]] [[5월 18일]] ~ [[1987년]] [[5월 26일]])은 전 [[대한민국]]의 야구 감독이자, [[삼성 라이온즈]]의 초대 감독이다.
         [[분류:삼성 라이온즈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야구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경북대학교 동문]][[분류:대구상업고등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34년 태어남]][[분류:1987년 죽음]][[분류:뇌졸중으로 죽은 사람]]
  • 서울특별시 . . . . 3회 일치
         대한민국 국회의사당
         대한민국 국회의사당
         [[분류:서울특별시 출신|서울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도시]][[분류:1949년 설치]][[분류:아시아에 위치한 수도]][[분류:하계 올림픽 개최 도시]][[분류:아시안 게임 개최 도시]]
  • 서정환 . . . . 3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분류:KIA 타이거즈 감독]][[분류:삼성 라이온즈 감독]][[분류:해태 타이거즈 선수]][[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KBO 도루상 수상자]][[분류:KBO 리그 2루수]][[분류:KBO 리그 유격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해설자]][[분류:대한민국의 야구 감독]][[분류:건국대학교 동문]][[분류:대구신암초등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195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달성 서씨]]
  • 소냐(가수) . . . . 3회 일치
         || '''국적''' ||<(> [[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30]] [[대한민국]] ||
         [[대한민국]]의 여성 [[가수]]이자 뮤지컬 배우. [[주한미군]] [[아프리카계 미국인]]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이다.
  • 소진은 . . . . 3회 일치
         [[2002년]] 발표된 [[친일파 708인 명단]] 중 경시 부문,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발표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관료와 경찰 부문에 수록되었으며 [[2009년]]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5남 3녀의 자녀 중 3남이 대한민국 외무공무원이며 [[대한적십자사]] 부총재를 지낸 [[소상영 (1922년)|소상영]]이다.
         [[분류:1892년 태어남]][[분류:몰년 미상]][[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분류:일제 강점기의 경찰]][[분류: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진주 소씨]]
  • 송주훈 . . . . 3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
         [[대한민국]]의 [[축구선수]]. [[J2리그]] [[알비렉스 니가타]] 소속이다.
         [[분류:1994년 출생]] [[분류:구미시 출신 인물]] [[분류:대한민국의 축구선수]] [[분류:미토 홀리호크/은퇴, 이적]]
  • 신영식(만화가) . . . . 3회 일치
         [[대한민국]]의 [[만화가]], 환경운동가.
         1987 대통령 선거 당시 [[노태우]] 홍보 만화를 그렸는데 지금 보면 꽤나 엉터리다....노태우가 연대장이던 시절, 야간 보초서던 징집병에게 수고한다면서 뭐라도 사먹으라고 돈주려고 했더니만 지갑을 안가져오자 손목시계를 그 보초병에게 줘서 이거라도 [[전당포]]에 팔아 먹을 거 사먹으라는 게(...) 나온다. 지금 봐도 어이가 없지만 이 만화를 본 당시 어른들도 이건 너무 엉터리라고 어이없어했다.... 문제는 같은 시기에 나온 다른 노태우 홍보만화에서 신영식 만화에서만 이게 나왔다는 것.
  • 신웅 . . . . 3회 일치
         '''신경식'''(1953년 11월 30일 ~ )은 예명 '''신웅'''으로 잘 알려진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이다. 아들은 가수 [[신유 (1982년)|신유]]이다. 현재는 아들인 신유의 프로듀서 겸 매니저로 일하고 있다.<ref name="신웅">{{웹 인용|url=http://www.hani.co.kr/arti/specialsection/esc_section/495486.html|제목=뽕짝뽕짝~우리의 노래는 멈추지 않는다|웹사이트=[[한겨레]]|날짜=2011년 9월 8일}}</ref> 비공식 집계로 3,000만장의 음반을 판매하였다.<ref name="신웅"/>
         [[분류:195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분류:칠곡군 출신]][[분류:1985년 데뷔]]
  • 신형철 . . . . 3회 일치
         |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신형철'''([[1976년]] ~ )은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이다.<ref>[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C%8B%A0%ED%98%95%EC%B2%A0&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190347 네이버 인물] </ref>
         [[분류:197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분류:조선대학교 교수]][[분류: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아돌프 히틀러 . . . . 3회 일치
         [[독일]]을 지배하여 독재정치를 펼치고 전쟁을 벌인 끝에 최종적으로 멸망으로 몰아넣은 '''[[오스트리아]]인'''[* 본래 오스트리아 출신, 오스트리아 국적이었으며, 선거 출마 얼마 전에야 독일 국적을 획득했다.].
         감옥에서 나온 히틀러는 또다시 나치당 활동을 시작했고, 1933년에는 총리가 되었다. 1934년 [[파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이 사망하며 대통령과 총리의 혼종인 총통이 되었다.
  • 여정남 . . . . 3회 일치
         '''여정남'''(呂正男, [[1944년]] [[5월 7일]] ~ [[1975년]] [[4월 9일]])은 대한민국의 민주화운동가이다. 유신정권 시기 중앙정보부가 조작한 [[민청학련 사건]], [[인민혁명당 사건|인혁당 사건]]으로 사형당한 희생자이다.
         * [[1975년]] [[4월 8일]] [[대법원]]에서 사형확정.(대통령 [[긴급조치]] 위반, [[국가보안법]] 위반, [[내란죄|내란예비음모]], [[반공법]] 위반)
         [[분류:1945년 태어남]][[분류:1975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사형된 사람]][[분류:사형 집행 후 무죄가 밝혀진 사람]][[분류:교수형된 사람]][[분류:인혁당 사건]][[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북대학교 동문]][[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
  • 오국영 . . . . 3회 일치
         '''오국영'''(吳國泳, <small>일본식 이름: </small>大原國泳, [[1889년]] [[10월 26일]] ~ ?)은 [[일제 강점기]]의 관료 출신 기업인으로, [[대한민국]]에서도 기업인으로 활동했다.
         [[분류:1889년 태어남]][[분류:몰년 미상]][[분류:20세기 대한민국 사람]][[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분류:일제 강점기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
  • 오지은 . . . . 3회 일치
         * [[오지은 (방송인)|오지은]](1980년 ~ )은 대한민국의 방송인이다.
         * [[오지은 (가수)|오지은]](1981년 9월 20일 ~ )은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이다.
         * [[오지은 (배우)|오지은]](1981년 12월 30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우현(배우) . . . . 3회 일치
         [[연세대]] [[국문과]] 81학번으로 총학생회장을 역임한 [[우상호]] 의원과도 막역한 사이라고 한다. 학번상으론 후배고, 우 의원이 회장일 때 사회부장이었으니, 보통 유대감이 아니다. 이 문단의 맨 윗 사진에서 [[이한열]] 열사의 영정을 들고 우현과 같이 선두에 선 학생이 바로 우상호. 이 인연으로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안내상]]과 함께 서울 서대문 갑에 출마한 [[우상호]]의 지원유세에 동참하였다. [[https://youtu.be/J1fYjwd4dqw|유세 영상]]
         그러다가 2003년 [[대한민국 헌법 제1조]]의 단역으로 영화에 데뷔하였고, 같은 해 [[황산벌(영화)|황산벌]]에도 출연한다. 2004년 [[시실리 2km]]의 해주로 강한 인상을 남기며, 일반인뿐만 아니라 영화계의 관심도 받게 된다. [[http://www.youtube.com/watch?v=ChRUT0rck9A|니가 94야 그럼?]] 흥행한 영화가 아니었음에도 '제일 늙은 막내 조폭'이라는 역할 설정의 매력으로 영화 하이라이트 프로그램에도 그 장면이 나오는 등, 출연자 중 우현만큼은 대중에게 얼굴을 꽤 알린다.
          * [[대한민국 헌법 제1조]](2003) - 선관위 직원 역
  • 월드 인 컨플릭트/줄거리 . . . . 3회 일치
         워싱턴 D.C.에서 잠을 자던 [[미국 대통령]][* 배경 시기를 따지자면 아버지부시.]은 모건 장군의 전화에 의해 일어난다. 소련군이 시애틀에 상륙했다는 보고를 받은 대통령은 얼굴을 감싸쥐며 할 수 있는것을 묻지만 별다른 방책은 없었다. 소여 대령이 지휘하는 몇개 부대를 시애틀로 보냈다는 보고를 들은 대통령은 내각 회의를 준비한다.
  • 유승민(배우) . . . . 3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
         |국적 = [[대한민국]]
         '''유승민'''([[1974년]] [[7월 7일]] ~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유재호 (야구선수) . . . . 3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분류:199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외야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LG 트윈스 선수]][[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대구중학교 동문]][[분류:대구남도초등학교 동문]][[분류:강릉 유씨]]
  • 이경석 (배구인) . . . . 3회 일치
         '''이경석'''(李京錫, [[1961년]] [[3월 8일]] ~ )은 [[대한민국]]의 전 배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고려증권 배구단|고려증권]]의 세터 출신이다. [[1994년]]부터 [[2011년]]까지 모교 [[경기대학교]]에서 감독을 했으며, 2011-12시즌 [[김상우 (배구인)|김상우]] 감독이 경질된 후 [[구미 LIG손해보험 그레이터스|LIG]]의 감독에 부임했다. [[2012년]]에는 KOVO컵에서 우승을 차지하여 LIG의 KOVO 주관 대회 첫 우승을 안겼다. 그러나 2012-13시즌 성적이 부진하여 시즌 도중 경질당했다. <ref>{{뉴스 인용
         [[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배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배구 감독]][[분류:196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기대학교 동문]][[분류:아시안 게임 배구 메달리스트]][[분류:1990년 아시안 게임 배구 참가 선수]]
  • 이광호 . . . . 3회 일치
         |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이광호'''([[1963년]] ~ )는 [[대한민국]]의 문학평론가, 교수이다. [[1963년]]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분류:대한민국의 문학 평론가]][[분류:서울예술대학교 교수]][[분류:196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현대문학상 수상자]][[분류:팔봉비평문학상 수상자]][[분류:대산문학상 수상자]]
  • 이민헌 . . . . 3회 일치
         '''이민헌'''(李民憲, [[1944년]] [[3월 3일]] ~ [[2012년]] [[12월 30일]])은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대한민국 제6공화국|제6공화국]]에서 제14대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분류:1944년 태어남]][[분류:2012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제14대 국회의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영남대학교 동문‎]]
  • 이병규 (1983년) . . . . 3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대표국가 = 대한민국
  • 이병후 . . . . 3회 일치
         경상북도 영천 출신으로 1957년 [[영남대학교]]를 졸업하고 제8회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해 1958년 12월 17일 대구지방법원 판사에 임명되어 자유당 후보를 당선시키려고 야간에만 개표를 했던 대구병구 올빼미 개표사건, 팔공산에서 생포한 대남 간첩사건 등에서 배석판사로 심리하는 등<ref>동아일보 1959년 4월 4일자</ref><ref>동아일보 1958년 12월 17일자</ref>1961년 8월 27일 대구지방법원<ref>동아일보 1961년 8월 27일자 1964년 5월 19일자</ref> 1966년 11월 15일 대구고등법원 1967년 대법원 재판연구관 1969년 3월 31일 서울고등법원 1969년 10월 7일 부산지방법원 마산지원장 1971년 4월 1일 부산민사지방법원 1973년 3월 27일 서울민사지방법원 서울형사지방법원, 성동지원장, 1974년 성북지원장을 거쳐 1976년 12월 29일 서울고등법원<ref>동아일보 1976년 12월 30일자</ref> 1977년 11월 5일 서울고등법원<ref>매일경제 1977년 11월5일자</ref> 1980년 영등포지원장 1981년 4월 20일 수원지방법원장<ref>매일경제 1981년 4월 21일자</ref> 1982년 3월 12일 대전지방법원장<ref>경향신문 1982년 3월12일자</ref> 1983년 8월 12일 인천지방법원장<ref>경향신문 1983년 8월 12일자</ref><ref>동아일보 1986년 4월 3일자 매일경제 1966년 11월 16일자 경향신문 1969년 3월 31일자 동아일보 1969년10월7일자 매일경제 1971년 3월 26일자 경향신문 1973년 3월 27일자</ref>을 거쳐 1986년 4월 16일에 [[전두환]] 대통령에 의해 대법원 판사에 임명되었다. 1987년 대법원이 상고허가 신청사건의 처리를 전담하는 상고허가신청부를 신설하면서 [[정기승]] [[황선당]]과 함께 전담 판사로 구성되었으며<ref>매일경제 1987년 1월 5일자</ref> 1987년 5월 18일에 대법원장 추천으로 [[헌법위원회]] 위원에 임명되었다.<ref>동아일보 1987년 5월 16일자 매일경제1986년4월3일자</ref>
         [[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영남대학교 동문]][[분류:대한민국의 판사]][[분류:대한민국의 대법관]]
  • 이사강 . . . . 3회 일치
         '''이사강'''([[1980년]] [[10월 7일]] ~ )은 [[대한민국]]의 [[뮤직비디오]] 감독이자, CF 감독이다. 생산 회사 [[쟈니브로스|ZANYBROS (쟈니브로스)]] 소속이다. 2002년 단편 영화 《스푸트니크》 촬영으로 참여.
         [[분류:198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영화 감독]][[분류:대한민국의 뮤직 비디오 감독]][[분류:경일여자고등학교 동문]][[분류:중앙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이상화 (시인) . . . . 3회 일치
         [[1948년]] [[3월 14일]] [[김소운]]이 발의하고 이윤수, [[구상 (시인)|구상]] 등이 참여하고 죽순시인구락부가 협찬하여 시인을 기리는, 대한민국 최초의 시비를 [[달성공원]]에 털었다
         *** 조카사위: [[박창암]](朴蒼巖, [[1923년]] [[5월 15일]] ~ [[2003년]] [[11월 10일]], 군인, 정치가. '''이상오'''(李相旿)의 사위. 아호(雅號)는 만주(滿洲), 허주(虛舟), 농부(農夫). [[군사영어학교|대한민국 군사영어학교]] 1기 출신. [[대한민국 육군]] [[1성 장군|준장]] 전역.)
  • 이성민 (야구선수) . . . . 3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대구중학교, [[경북고등학교]]를 거쳐서 [[영남대학교]]에 진학하였다. [[영남대학교]]에 입학한 이후에 직구 스피드가 147 km/h에 이르고 변화구 제구도 수준급이어서 스카우트 사이에서 [[2013년 한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2013년 신인드래프트]] 이전 부터 대졸 최대어라는 평가를 받았다.[[2012년]] [[8월 20일]]에 열린 [[2013년 한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2013년 신인드래프트]]에서 [[윤형배 (1994년)|윤형배]]와 함께 특별 우선지명을 받아 [[NC 다이노스]]에 입단하였다.<ref>[http://news.hankooki.com/lpage/sports/201208/h20120820204711111960.htm "4할 승률 위하여" 발톱 드러낸 NC] - 한국일보</ref> [[2012년]] [[12월 5일]]에 열린 2012 [[야구인의 밤]]에서 우수 선수상을 수상하였다.<ref>[http://star.fnnews.com/news/index.html?no=149144 '야구인의 밤' 영남대 이성민, 우수 선수상 수상 ] - 스타N뉴스</ref> [[대한민국의 대학 야구 대회|대학리그]] 4년 동안 17승 15패, 252 1/3이닝, 222탈삼진, 89볼넷, [[평균자책점]] 2.00을 기록하였다.
  • 이전환 . . . . 3회 일치
         '''이전환'''(李典煥, [[1961년]] ~ , [[대구광역시|대구]])은 대한민국의 세무공무원이다.
         |직책 = [[대한민국의 국세청 차장|국세청 차장]]
         [[분류:196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국세청 차장]][[분류:청구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분류:워싱턴 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이정호 (1982년) . . . . 3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2000년 세계 청소년 야구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선수 명단}}
  • 이지우 (야구선수) . . . . 3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분류:199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NC 다이노스 선수]][[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경복중학교 동문]][[분류:대구율하초등학교 동문]]
  • 이홍열 (바둑기사) . . . . 3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이홍열'''(李洪烈, [[1954년]] [[9월 27일]] ~ )은 [[대한민국]]의 [[바둑 기사]]이다.
         [[분류:1954년 태어남]][[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경신중학교 (서울) 동문]][[분류:대한민국의 바둑 기사]]
  • 이희성 (1988년) . . . . 3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2010년 세계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선수 명단}}
  • 장태영(야구선수) . . . . 3회 일치
         ||[[박현식]](좌)과 [[장태영]](우).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유니폼을 입고.[* 정확히 말하면 당시 서울클럽이라는 야구팀 유니폼이다. 당시 제1회 아시아야구선수권대회에 출전하는데 나라에 돈이 없다보니(...) 유니폼을 따로 제작할수가 없어서 당시 국가대표팀 선수단 유니폼을 서울클럽에서 빌려서 출전했다.] ||
         경남중 재학시절 "운동선수도 공부를 잘할수 있다."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코피가 날정도로 공부도 상당히 열심히 했던 그는 [[서울대학교]] 상과대에 진학했다. 대학교 졸업후 그는 [[육군]]에 입대해 [[상무 야구단|육군 경리단]]에 입단하게 되었고 고교시절 라이벌 이었던 김양중, [[박현식]]등과 함께 [[한국실업야구]] 무대를 누볐다.육군 시절에는 외야수로 출전하게 되었고 1954년 제1회 아시아야구선수권 대회에서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초대 멤버로 참가, 야구대표팀의 첫 국제대회 안타를 기록해 내기도 했다.[[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general&ctg=news&mod=read&office_id=295&article_id=0000001259|기사]]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분류:구미시 출신 인물]] [[분류:1929년 출생]] [[분류:타자]] [[분류:외야수]] [[분류:좌투좌타]]
  • 전상렬 . . . . 3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전상렬''' (全商烈, [[1972년]] [[6월 12일]] ~ )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로, 현재 [[KBO 리그]] [[한화 이글스]]의 2군 작전·주루코치다.
  • 전호영 . . . . 3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분류:199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LG 트윈스 선수]][[분류:대구율하초등학교 동문]][[분류:경상중학교 동문]][[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분류:정선 전씨]]
  • 정광용 . . . . 3회 일치
          * 상위 문서: [[친박]], [[박사모]], [[박근혜 탄핵 반대 집회]], [[대통령 탄핵무효 국민저항총궐기 운동본부]], [[정치깡패]], [[범죄자/목록/한국]]
         2017년 5월 25일 박근혜 대통령이 파면되던 3월 10일 폭력 집회를 주최한 혐의로 구속되었다. [[http://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01&aid=0009289767&date=20170524&type=1&rankingSeq=3&rankingSectionId=102|#]] 당시 그 폭력집회로 인해 총 4명이 사망하고 수십 명이 부상을 당했다.
         [[분류:박근혜-최순실 게이트/관련 인물 및 단체]][[분류:대한민국의 범죄자]][[분류:1958년 출생]][[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 정상교 . . . . 3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드래프트 순위 = [[2011년 대한민국 프로 야구 신인선수 지명 회의|2011년]] 5라운드([[KIA 타이거즈]])
  • 정의동 . . . . 3회 일치
         '''정의동'''(鄭義東, [[1948년]] [[4월 25일]] [[대구광역시]] ~ )은 [[대한민국]]의 경제관료이자 [[금융인]], [[기업인]]이다.
         [[분류:194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공무원]][[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
  • 정찬성 . . . . 3회 일치
         ||<#000002> '''{{{#white 국적}}}'''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28]] ||
         버뮤데즈의 레슬링을 의식했는지 가드를 꽤 아래로 내리는 스타일로 경기를 시작했고 초반 버뮤데즈의 테이크다운 시도를 성공적으로 방어하며 경기를 괜찮게 풀어갔다. 하지만 펀치가 대부분 빗나가면서 확실히 경기감각을 채 끌어올리지 못했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었고 버뮤데즈의 큰 라이트 펀치를 맞으면서 위태위태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버뮤데즈의 왼손 셋업을 피하고 날린 어퍼가 그대로 턱에 꽂히면서 1R 2분 30초 만에 경기를 끝냈다.[* 언제나 그렇듯 너무 빨리 말렸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으나, 저 상태에서 안말릴 경우 맞던 사람은 후유장애를 가질 확률이 매우 높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정찬성을 언더독으로 평가했지만 코리안 좀비의 부활을 전세계에 알렸다. 경기 후 인터뷰에서 경기 내용을 말하면서 연습했던 대로 잘 안됐다고 밝히거나 질문 내용을 못알아들으면서 웃음을 주기도 했다. 그리고 울먹거리며 주변 사람들에게 감사를 표하며 현재 대한민국의 상황을 걱정하는 발언을 남기면서 팬들에게 감동을 주었다. [[http://sports.news.naver.com/general/vod/index.nhn?category=fight&listType=total&date=&gameId=&teamCode=&playerId=&keyword=&id=272392&page=1|영상링크]]
  • 정치공학 . . . . 3회 일치
         이에 대해서는 한가지 일화가 있는데, 미국 남 일리노이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고, 연세대에서 강의를 하던 주관중(朱冠中) 교수가 1960년대 후반 '정치공학'이라는 책을 저술하여 냈는데, 이 책이 청와대에서 모두 회수하고 박정희 정권은 주관중 교수를 대통령 정무비서관으로 임명했다. 그리하여 박정희 대통령은 '정치공학적 수완'을 발휘하게 되었다는 것이다.[[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507031758521&code=990326#csidxb914cb4e3f87ea0a4d75944b31219dc (참조)]]
         과거 권위주의 정권 시기의 정략에 대해서 정치공학이라는 비판이 있었으며, 이는 민주화 이후에도 지속되었다. 노무현 대통령의 발언에서도 보듯이, 이는 국민의 의사나 복리를 무시한다는 [[국민정서]]가 강하다.
  • 주장환 . . . . 3회 일치
         '''주장환'''(1957년 1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신문기자, [[소설가]]이다. 서울신문(스포츠서울) 세계일보 기자를 거쳐 파이낸셜뉴스 논설위원을 역임했다. 중소기업사랑 청소년글짓기 공모전 심사위원장, 대한민국장애인예술대상 문학부문 심사위원, 충효예실천운동 본부 상임위원,부총재 [[731부대]] 한국인 희생자 진상규명위원회 대변인을 거쳐 [[극동대학교]] 겸임교수를 지냈다. 하버드대학 Literati China 과정 수료. 월간조선 객원기자
         [[분류:대한민국의 언론인]][[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57년 태어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채윤아 . . . . 3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채윤아'''(蔡允兒, [[1983년]] [[6월 1일]])는 [[대한민국]]의 아나운서이다.
         [[분류:198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한국방송공사의 아나운서]][[분류:대한민국의 아나운서]][[분류:경희대학교 동문]]
  • 최병일 . . . . 3회 일치
         '''최병일'''(崔炳鎰, [[1958년]] [[10월 25일]] ~ , [[대구광역시]])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다.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58년 태어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경제학자]][[분류:대한민국의 대학 교수]][[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분류:예일 대학교 동문]]
  • 최승욱 . . . . 3회 일치
         | 소속팀1 = {{국기그림|대한민국}} [[전주 KCC 이지스]]
         '''최승욱'''(1994년 4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농구선수이며 포지션은 포워드이다.
         [[분류:1994년 태어남]][[분류:대한민국의 남자 농구 선수]][[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계성고등학교 (대구) 동문]][[분류:경희대학교 동문]][[분류:계성중학교 동문]][[분류:대구해서초등학교 동문]]
  • 최윤수(정무직공무원) . . . . 3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김천시 출신 인물]][[분류:1967년 출생]]
         [[대한민국]]의 [[법조인]]이며 전직 [[국가정보원]] 제2차장이다. [[우병우]]의 서울법대 84학번 동기이자, 우병우의 최측근으로서 [[문화계 블랙리스트]] 작성·실행에 관여한 혐의를 받고 있다.
         그 후 검찰은 홍만표 변호사의 통화추적 등을 통해 홍 변호사가 최윤수 차장을 두 차례 찾아갔고, 최윤수와 무려 20여 차례나 통화한 사실까지 확인했다. 하지만 검찰은 결국 최윤수 국정원 제2차장을 소환하지 않고 서면으로 조사하는 데 그쳤다. 이로 인해 당시 검찰은 ‘제 식구 감싸기’라는 비판을 받았다.[* 이 사건 당시에도 최윤수와 우병우 간의 관계가 입길에 올랐다. 우병우는 2013년 검사장 승진에서 탈락한 뒤 이듬해 5월 청와대 민정비서관으로 기용될 때까지 1년 동안 변호사로 활동했고, 이 기간에 홍만표 변호사와 함께 사실상 ‘2인 1조’로 움직이면서 정식 선임계도 내지 않고 정운호 대표 등의 ‘몰래 변론’을 맡았다는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홍만표와 우병우는 2009년 노무현 전 대통령 수사 당시 수사기획관과 1과장으로 대검 중수부에서 함께 일한 인연이 있다. 우병우가 변호사 활동을 할 때 사무실을 연 곳이 서울 서초동 오퓨런스 빌딩 1111호로, 홍만표의 사무실(1010호)과 같은 건물 아래 위층이었다. 이 때문에 당시 홍만표와 최윤수 차장 간의 연결 고리가 우병우 아니었냐는 지적이 제기됐다.[[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21421.html#csidxde4c88fecae9760b9b6c86f97f5e042|#]]]
  • 최윤정 (패션 디자이너) . . . . 3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
         '''최윤정'''(1974년~)은 [[미누파탈]]의 설립자이자 수석 [[디자이너]]이다. [[1974년]] [[대한민국]] [[대구]]에서 출생하였다. [[1997년]] [[MBC]] 26기 공채 [[탤런트]]로 입사하여 [[드라마]] [[그대 그리고 나]], 사랑과 성공, 진실, 마지막 전쟁, 가을에 만난 남자, 베스트 극장, 인어아가씨, 앞집여자 등에 출연하였다. 또한 [[영화]] [[선생 김봉두]]에도 출연하였고, LG텔레콤, [[P&G]], PCCW, 여성가족부 등의 [[CF]] 모델로도 활동하였다. [[2013년]] [[최정아]]와 함께 20~30대 여성을 타겟으로 하는 디자이너 브랜드 [[미누파탈]]을 설립하였다.
         [[분류:197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패션 디자이너]]
  • 최재혁 (음악가) . . . . 3회 일치
         '''최재혁'''([[1975년]] [[4월 1일]] ~ )은 대한민국의 록 밴드 [[옐로우 몬스터즈]]의 드러머이다. 1998년 [[델리스파이스]] 정규 2집 《[[Welcome To The Delihouse|델리의 집으로 오세요]]》로 데뷔했으며, 2006년 [[델리 스파이스]] 정규 6집 《[[Bombom|BomBom]]》이 발매될때까지 [[델리스파이스]]의 드러머로 활동하였다. 2005년에는 [[윤준호 (음악가)|윤준호]], [[고경천]]과 함께 [[오메가 3 (음악 그룹)|오메가 3]]를 결성해 활동했다. [[2010년]] 록 밴드 [[옐로우 몬스터즈]]에서 드럼을 연주하고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록 음악가]][[분류:인디 록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드럼 연주자]][[분류:197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한국외국어대학교 동문]][[분류:대일외국어고등학교 동문]]
  • 토탈워: 쇼군 2/유닛 . . . . 3회 일치
          * 필요 건물: 건선거(Drydock)
          * 필요 건물: 건선거(Drydock)
          * 필요 건물: 건선거(Drydock)
  • 한동근 . . . . 3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구미시]]
         '''한동근'''([[1993년]] [[5월 9일]] ~ )은 [[대한민국]]의 가수로, [[위대한 탄생 시즌3]]의 우승자이다.
         [[분류:1993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가수]][[분류:스타 오디션 위대한 탄생 참가자]][[분류:구미시 출신]][[분류:2012년 데뷔]]
  • 한용덕 . . . . 3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201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대한민국 선수 명단}}
  • 허건엽 . . . . 3회 일치
         || '''국적''' || [[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28]] [[대한민국]] ||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구미시 출신 인물]][[분류:1993년 출생]][[분류:투수]][[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상무 피닉스 야구단/전역]]
  • 허지애 . . . . 3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국적 = [[대한민국]]
         '''허지애'''([[1987년]] [[3월 19일]] ~ )는 [[대한민국]]의 [[2011년 미스코리아]] 대구 미(美)이다.
  • 홍승규 . . . . 3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분류:196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외야수]][[분류:KBO 리그 우익수]][[분류:삼성 라이온즈 선수]][[분류:대구상업고등학교 동문]][[분류:성균관대학교 동문]][[분류:남양 홍씨 (당홍)]][[분류:대한민국의 야구 해설자]]
  • 홍양호 (1955년) . . . . 3회 일치
         '''홍양호'''(洪良浩. [[1955년]] [[5월 25일]] ~ , [[대구광역시|대구]])는 대한민국의 공무원이다.
         |직책 = [[대한민국의 통일부 차관|통일부 차관]]
         [[분류:195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통일부 차관]][[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경북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홍해성 . . . . 3회 일치
         | 국적 = {{국기그림|대한민국}}
         '''홍해성'''(洪海星, [[1894년]] [[10월 13일]]([[음력 9월 15일]]) ~ [[1957년]] [[12월 6일]])는 [[일제 강점기]]부터 활동한 [[대한민국]]의 연극인이다. 본명은 홍주식(洪柱植)이다.
         [[분류:1894년 태어남]][[분류:1957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연극인]][[분류:대한민국의 연극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계성고등학교 (대구) 동문]]
  • 황경태 . . . . 3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분류:199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내야수]][[분류:KBO 리그 3루수]][[분류:KBO 리그 유격수]][[분류:KBO 리그 1루수]][[분류:KBO 리그 지명 타자]][[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두산 베어스 선수]][[분류:대구옥산초등학교 동문]][[분류:경운중학교 (대구) 동문]][[분류:대구상원고등학교 동문]]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장관 . . . . 2회 일치
         국왕, 총독, 총통, 대통령 등등. 정치 슬라이더나 이벤트로만 바꿀 수 있다.
          >자애로운 신사는 매력적이며, 선거에서 이기는데 도가 텄지만, 국가를 성공적으로 이끄기에는 조금 부족한 인물이다. 상황이 안 좋아지면 미소를 지으며 상황이 바뀌기를 기다릴 뿐이다.
  • K리그 챌린지 . . . . 2회 일치
         K리그 챌린지는 대한민국 차상위 프로축구 리그의 명칭이다.
         [[대한민국 FA컵]]
  • K리그 클래식/2016시즌 . . . . 2회 일치
         대한민국 축구리그 중 최상위 리그로써 34번째 대회로 정식 명칭은 '''현대오일뱅크 K리그 클래식 2016'''이다. 후원사는 현대오일뱅크.
          1. 만23세이하 선수의 출전의무규정이 강화되었다. 2015시즌은 대한민국 국적의 선수 중 U23선수가 교체명단을 포함하여 2명 이상이 포함되어야 교체카드를 3장 활용할 수 있었던 반면에 2016시즌부터는 여기에 더하여 1명 이상은 선발출전이 의무화되었다. 단, 해당 선수가 연령별 국가대표팀이나 성인국가대표팀에 호출되어 공백이 발생한 경우에는 호출된 인원만큼 규정을 완화하여 적용한다.[* 수원 삼성을 예로 들면, 2016년 기준 23세 이하 선수인 권창훈이 국가대표팀에 호출될 경우엔 교체선수 명단에 23세이하 선수를 하나만 둬도 교체카드를 모두 활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 추가로 1명이 더 차출되면 출전명단을 연령제한 없이 꾸릴 수 있다.]
  • M25 최루탄 . . . . 2회 일치
         || [[대한민국]] 생산형인 KM25-III ||
         시위 진압용 [[최루탄]]의 일종. [[대한민국]]에서는 "사과탄"이라고 불렸다. 무게는 200g 쯤 되었으며 반경 5m 가량을 최루가스로 뒤덮을 수 있었다.
  • 개표방송 . . . . 2회 일치
         [[선거]]를 마치고 [[개표]] 과정을 TV, 라디오 등으로 중개하여 보여주는 방송.
         이 때, 선거를 마친 후보들도 개표과정을 TV로 보게 되며, 한표한표가 올라갈 때마다 희비가 엇갈리게 된다.
  • 경주시 . . . . 2회 일치
         {{대한민국 시군구
         [[분류:경주시 출신|경주 출신 인물]][[분류:경상북도의 도시]][[분류:1955년 설치]][[분류:1995년 폐지]][[분류:1995년 설치]][[분류:한국의 옛 수도|서라벌]][[분류:대한민국의 항구 도시]]
  • 고유민 . . . . 2회 일치
         ||<:> '''국적''' || [[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30]] [[대한민국]] ||
  • 금조(나인뮤지스) . . . . 2회 일치
         ||<#732788> {{{#FFFFFF '''국적'''}}}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30]] ||
  • 김경준(축구선수) . . . . 2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
         [[분류:1996년 출생]] [[분류:동구(대구) 출신 인물]] [[분류:대한민국의 축구선수]][[분류:대구 FC/은퇴, 이적]][[분류:FC 안양/현역]]
  • 김문순 (언론인) . . . . 2회 일치
         }}</ref>~)은 대한민국의 언론인이다. [[대구광역시]] 출신.
         [[분류:194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언론인]][[분류:계성고등학교 (대구) 동문]][[분류: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
  • 김문집 . . . . 2회 일치
         |url=http://www.artnstudy.com/zineasf/Nowart/penitence/lecture/03.htm}}</ref>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분류:1907년 태어남]][[분류:몰년 미상]][[분류:20세기 일본 사람]][[분류:일제 강점기의 문학 평론가]][[분류: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한국계 일본인]]
  • 김성윤 (1991년) . . . . 2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김성주(축구선수) . . . . 2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
         [[분류:1990년 출생]] [[분류:대한민국의 축구선수]] [[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분류:알비렉스 니가타/은퇴, 이적]] [[분류:서울 이랜드 FC/은퇴, 이적]] [[분류:상무 축구단/전역]] [[분류:울산 현대/은퇴, 이적]] [[분류:제주 유나이티드/현역]]
  • 김수자 . . . . 2회 일치
         '''김수자''' ([[1957년]] ~ )는 [[뉴욕]], [[파리]], [[서울]]을 기반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개념 미술|개념 미술가]]이다. 24회 상파울루 비엔날레와 55회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 특별관에서 대한민국을 대표하여 출품하였다.<ref name="biography">Kimsooja Biography: http://www.kimsooja.com/biography.html</ref>그의 작업은 퍼포먼스, 비디오, 설치를 넘나들며 가장 첨예한 회화적 질문으로부터 예술과 삶의 조건들을 연계하여 다루어 왔고 이 시대를 치열하게 직면해 왔다. 구겐하임 빌바오(2015),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2013), 밴쿠버 아트 갤러리(2013), 국제 갤러리(2012), 뉴욕PS1/현대미술관(2001) 등 세계 주요 미술관에서 개인전을 개최했고 30여 회의 주요 국제 비엔날레와 트리엔날레에 참여했다.<ref>{{웹 인용|url=http://www.vmspace.com/2008_re/kor/sub_emagazine_view.asp?category=artndesign&idx=11956&pageNum=3|제목=SPACE Magazine|웹사이트=www.vmspace.com|확인날짜=2016-11-18}}</ref>
  • 김승관 . . . . 2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북구(대구) 출신 인물]][[분류:1976년 출생]][[분류:타자]][[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
  • 김정수 (1991년) . . . . 2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김준희 (1960년) . . . . 2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김중혁 . . . . 2회 일치
         == [[대한민국]]의 [[작가]] ==
         [[대한민국]]의 [[작가]]. 1971년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태어났다. --슈퍼집 아들이었다고 한다.-- [[계명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소설가]] [[김연수]]--역전 앞 뉴욕제과 아들--, [[시인(문학)|시인]] [[문태준]]과는 고향 친구이자 중학교 동창이다.
  • 김지훈(배우) . . . . 2회 일치
         대한민국의 배우.
         || 제22회 대한민국문화연예대상 || 드라마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 ||
  • 김초향 . . . . 2회 일치
         '''김초향'''(金楚香, [[1900년]] ~ [[1983년]])은 [[대한민국]]의 [[판소리]] 명창이다. [[대구광역시|대구]]에서 태어났다. 광무대 극장에 들어가 가무를 배웠고 [[김창환 (국악인)|김창환]], [[송만갑]]의 가르침을 받아 대성하였으며, [[이화중선]]과 더불어 당대 여성 명창의 쌍벽을 이루었다. 그 중에서 [[흥보가]]를 잘 불렀다.
         [[분류:대한민국의 국악인]][[분류:1900년 태어남]][[분류:1983년 죽음]][[분류:판소리 명창]][[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김태한 . . . . 2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김호근 . . . . 2회 일치
         [[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교육인]][[분류:대한민국의 공무원]][[분류:195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영남대학교 동문]]
  • 깨끗한 독일국방군 신화 . . . . 2회 일치
         국방군은 결국 나치와 동조하게 되었으며, 나치는 베르사유 조약 파기, 군비 확장, 국방군으로의 체제 개편으로 국방군을 회유하였다. 마침내 1934년 8월 2일, 당시 독일 대통령 [[파울 폰 힌덴부르크]](Paul von Hindenburg)가 87세를 일기로 서거하였다. [[아돌프 히틀러]]는 대통령 권한을 받게 되며, 독일국방군(의 모든 장교들)은 '''아돌프 히틀러 개인'''에 대하여 '''충성 맹세'''를 하였다.
  • 남상태 . . . . 2회 일치
         '''남상태'''([[1950년]]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 ~ )는 [[대한민국]]의 [[기업인]]이다.
         [[분류:195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동문]]
  • 네이버 . . . . 2회 일치
         [[대한민국]]의 검색 엔진. 상징색은 [[녹색]].
         폭넓은 기능을 지원하고 있는 포털 사이트로, 대한민국의 포털 사이트 중 최대의 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 단기선교 . . . . 2회 일치
         [[대한민국]] 교회의 단기해외선교 활동은 1989년 이후 해외여행이 자유화 되면서 나타나기 시작한다. 다만 1990년대 중반까지 단기선교는 일반 참가자가 아닌 해외 선교사 육성을 위하여 선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일환으로서 하는 경우가 많았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로, 대형교회를 중심으로 하여 체험여행에 가까운 형식으로 일반인을 모집하여 단기선교를 하는 프로그램이 많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이는 일종의 이벤트 사업으로서 대형교회의 재정적 이유가 배경이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유명한 것으로는 2007년, 아프가니스탄에서 단기선교에 나섰던 분당샘물교회 신도와 인솔자들이 [[탈레반]]에 납치당한 사건이 있다. 해당 일행은 대한민국 정부와 탈레반의 협상으로 풀려났지만 협상이 이루어지기 전 두명이 탈레반에 의해 처형되었다.
  • 대한민국 FA컵/2016시즌 . . . . 2회 일치
          * 상위항목: [[대한민국 FA컵]]
         21번째 [[대한민국 FA컵]] 대회로 정식 명칭은 '''2016 KEB 하나은행 FA CUP'''이다. 후원사는 명칭을 보면 알겠지만 KEB 하나은행.
  • 대한민국 망명정부 야마구치 현 설치계획 . . . . 2회 일치
         [[6.25 전쟁]] 초기에 [[이승만]] 정부 측에서 [[일본]] 정부에, 대한민국의 망명정부를 일본에 설치할 수 있도록 준비해달라고 제안하고 일본 정부가 [[야마구치 현]][* 혼슈의 서쪽 끝, 큐슈와 마주보고 있는 지역이다]에 설치하도록 추진했던 계획. 이 제안에 관한 기초적인 기록은 전 야마구치 현 지사, 전 통산성 장관인 다나카 다쓰오가 쓴 회고록과 미국 국무부가 발행한 <미국 외교관계>에서 찾을 수 있다.
          * 비슷한 것으로 [[대한민국 망명정부 서사모아 설치계획]] 이 있다.
  • 로힝야 . . . . 2회 일치
         2012년 테인 세인 미얀마 대통령은 로힝야 문제에 대하여 해법을 제시하였는데, “유엔난민기구(UNHCR)가 운영하는 난민캠프에 정착시키는 것이다. 만약에 이들을 받아주는 나라가 있다면 그 나라로 보내 버릴 수도 있다”는 것으로 사실상 '추방' 선언이었다. 미얀마 정부는 여성이 한 번 출산하면 아이를 3년 동안 갖지 못하며, 무슬림과 불교도의 결혼을 제한하는 법률을 발표했다. 이 법률은 로힝야를 겨냥한 것이라는 논란이 있다.
         미얀마 정부는 민간인 학살과 인종청소를 부인하였으며, 저 타이 미얀마 대통령실 대변인은 유엔의 주장을 부정하고, 확실한 증거에 기반하여 발언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미얀마 군부와 정부는 민가 방화는 국제사회의 관심을 끌려는 로힝야 무장세력의 소행이라고 주장했다.
  • 롤러 슈즈 . . . . 2회 일치
         바닥에 롤러가 붙어 있어, 언제 어디에서나 롤러 스케이팅 처럼 미끄러질 수 있는 [[신발]]. [[대한민국]]에서는 힐리스라는 명칭으로 불렸다.
         2016년대 7월경 대한민국 내에서 다시 유행하고 있다는 [[http://m.mt.co.kr/renew/view.html?no=2016071412591029620&type=outlink#imadnews|기사가 나왔다.]]
  • 마이클 페이 . . . . 2회 일치
         1994년 당시 18세였던 마이클 페이는 싱가포르에서 길가에 주차된 [[자동차]]에 [[페인트]]로 낙서를 하고 [[계란]]을 던지는 기행을 벌이다가 체포되었다. 싱가포르 법원은 마이클 페이에게 태형 6대와, 3500 싱가포르 달러의 [[벌금]]을 선고했다. 미국에서는 이에 대한 반발 여론이 있었으며, 미 국무부는 "외교문제가 될 수 있다."고 주장. [[빌 클링턴]] 대통령 까지 나서서 "태형을 면하게 해달라"고 호소했다.
         그러나 싱가포르는 '자국민 보호'를 명분으로 6대에서 4대로 [[감형]] 했을 뿐이었다. 당시 싱가포르의 고척동(吳作東) 총리는 "누구든지 싱가포르 땅에서 법을 어기면 싱가포르 법에 따라야 한다"면서 "미국 대통령이 직접 친서까지 보낸 점을 감안해 태형을 6대에서 4대로 줄여준다"고 말했다.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422944 (참조)]]
  • 문옥주 . . . . 2회 일치
         '''문옥주'''([[1924년]] ~ [[1996년]] [[10월 26일]])는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이자 [[대한민국]]의 인권운동가이다.
         [[분류:1924년 태어남]][[분류:1996년 죽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인권 운동가]][[분류:일본군 위안부]]
  • 바키도/137화 . . . . 2회 일치
          * 헬기가 호텔 옥상에 착륙한다. 힐너리는 선거에서 패했지만 그 자신은 패배를 인정하지 않았다. 그녀는 "트럼프에게서 미국을 구한다"는 일념으로 이곳에 왔다. 그녀는 유지로를 "무력 그 자체인 존재"로 규정하고 있는데 그의 방으로 향하는 손엔 성경이 들려있다. 역대 대통령들이 "불가침조약"을 "선서"할 때 쓰던 것이다.
  • 박성원 (소설가) . . . . 2회 일치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추계예술대학교 교수]][[분류:동국대학교 교수]][[분류:계명대학교 교수]][[분류:동국대학교 동문]][[분류:영남대학교 동문]]
  • 박성환 (야구선수) . . . . 2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분류:1998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대구월배초등학교 동문]] [[분류:경운중학교 (대구) 동문]][[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
  • 박승욱 . . . . 2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박승효 . . . . 2회 일치
         박승효(朴勝孝, [[1933년]] ~ )는 [[대한민국]]의 기업인, 전문 경영인이다. [[1969년]] [[선경합섬]]의 창립 초기에 평사원으로 입사하여 상무, 이사, 전무이사와 [[선경그룹]] 계열사인 [[요트]][[제조]]부문 [[선경머린]] 대표이사 등을 역임했다. 그밖에 신풍제지 대표이사, [[동국무역]] 전자사업부문([[동국전자|동국종합전자]]) 대표이사, [[엔씨에스시스템]] 공동대표 등 전문 경영인으로 활동했다.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최고 경영자]][[분류:SK그룹]][[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고려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박지훈 (야구선수) . . . . 2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방우정 (방송인) . . . . 2회 일치
         '''방우정'''([[1961년]] [[5월 9일]] ~ )은 [[대한민국]]의 방송인이다. 현재 MC 리더스의 대표를 역임하고 있다.
         [[분류:대한민국의 방송인]][[분류:196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계명대학교 동문]]
  • 배장원 . . . . 2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분류:199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외야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KIA 타이거즈 선수]][[분류:대구남도초등학교 동문]][[분류:경상중학교 동문]][[분류:대구상원고등학교 동문]][[분류:홍익대학교 동문]]
  • 배지환 (야구선수) . . . . 2회 일치
         '''배지환'''([[1999년]] [[7월 26일]] ~ )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자,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메이저 리그]] [[피츠버그 파이리츠]]의 [[내야수]]이다. 여자친구가 폭행혐의로 고소하여 비판을 얻는 등 논란이 되고 있다.
         [[분류:199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피츠버그 파이리츠 선수]][[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대구중학교 동문]]
  • 벤 존슨 . . . . 2회 일치
         도널드트럼프 45대 대통령취임식때 멜라니아트럼프여사손잡았다!!고전해진다! 벤존슨군은 멜라니아여사에게최면을걸었다고한다! 도널드트럼프취임식이끝이났다!
         두번째로뒤이어서취임식이또개최가된다!! 벤존슨이 제1대 대통령으로취임식을개최가된다 이때 멜라니아여사가참석을한다 멜라니아여사는벤존슨의영부인이된다!!
  • 블루 마블 . . . . 2회 일치
         강력한 능력을 지녔으나 60년대쯤 히어로로 활동하던 중 케네디 대통령에게 불려나가 히어로 활동을 그만두기를 종용 당했다[* 흑인 차별이 심했던 당시 사회 여론을 의식한 대통령의 결정이었다.]. 이후 잠정적으로 히어로 활동을 중단하다 [[피어 잇셀프]]에서 잠시 등장. '[[인피니티(마블 코믹스)|인피니티]]'에서는 뉴욕 한복판에 소환된 [[슈마고라스]]의 일부를 무찌르는데 일조했으며 [[루크 케이지]]의 마이티 [[어벤저스]]에 합류한다고 한다. 물체를 원자 단위로 볼 수 있는 능력도 있는데, 이걸 활용해서 반물질을 조작해 체내의 양성자가 반양성자로 인해서 분해되는 상태의 [[스펙트럼(마블 코믹스)|스펙트럼]]이라는 여성 히어로를 구하기도 했다.
  • 서병조 . . . . 2회 일치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이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의 중추원 부문과 기타 부문,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의 중추원 부문과 친일단체 부문에 선정되었다. [[2009년]]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수록되었다.
         [[분류:1882년 태어남]][[분류:1952년 죽음]][[분류:대한제국의 관료]][[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분류:일제 강점기의 기업인]][[분류:조선총독부 중추원 간부]][[분류:친일파 708인 명단 수록자]][[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구 서씨]]
  • 성역 도시 . . . . 2회 일치
         2016년 11월, 불법 체류자 추방을 공약으로 내세운 [[도널드 트럼프]]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자, 미국의 여러 대도시들이 성역 도시 선언을 시작했다. 14일 [[로스앤젤레스]](Los Angeles), [[뉴욕]](New York), [[시애틀]](Seattle),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가 성역 도시임을 발표했으며, 14일에는 [[시카고]](Chicago)가 참가했다.
         2017년 1월 25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성역 도시들에 대해서 재정지원을 중단하겠다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전국의 39개 도시와 364개 카운티 정부가 이에 대항하여 성역도시를 유지할 것을 선언했다.
  • 소벌도리 . . . . 2회 일치
         진주 소씨 족보의 기록에 따르면 25세손 [[최치원]]은 경주 최씨의 시조가 되었고<ref name="연합1" /><ref name="syge1">[http://www.segye.com/Articles/NEWS/CULTURE/Article.asp?aid=20071228001731&subctg1=&subctg2= [대한민국통맥풍수] <57·끝>경주 최부잣집과 자기 풍수 - 세계를 밝히는 신문 - 세계일보<!-- 봇이 붙인 제목 -->]</ref>, 24대손 [[소경 (사람)|소경]]은 진주 소씨의 선조가 되었다.<ref name="hom1">[http://www.hometer.com/search/personalcontent.asp?m_bon=%B5%BF%C1%D6%28%F5%CB%29&m_sung=%C3%D6%28%F5%CB%29 족보나라 - 대한민국 대표 족보 사이트 종친회<!-- 봇이 붙인 제목 -->]</ref> 그 외에 신라 말, 고려시대 초에 살았던 [[최준옹]](崔俊邕) 도 소벌도리의 25세손이다.<ref name="hom1"/>
  • 손형준 (야구선수) . . . . 2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대구직할시]]
  • 송상진 . . . . 2회 일치
         * [[1975년]] [[4월 8일]] 대법원에서 사형확정.(대통령 [[긴급조치]] 위반, [[국가보안법]] 위반, [[내란죄|내란예비음모]], [[반공법]] 위반)
         [[분류:1930년 태어남]][[분류:1975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사형된 사람]][[분류:사형 집행 후 무죄가 밝혀진 사람]][[분류:교수형된 사람]][[분류:인혁당 사건]][[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영남대학교 동문]]
  • 송종익 . . . . 2회 일치
         [[1936년]] 북미 대한인국민회 총회관 건축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1941년]] [[하와이 주|하와이]]에서 열린 해외한족대회 때 북미 대한인국민회 대표로 참석하여 재미한족연합위원회를 설립했고 집행부 위원 겸 재무를 맡았다. 1941년 12월에 열린 대한인국민회 총회에서 [[로스앤젤레스]] 대표로 참가하여 대한인국민회 부의장으로 선출되었고 [[1944년]]에는 주미외무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된다. [[1945년]] 11월 재미한족연합위원회 대표단의 일원으로 귀국했지만 몇 달 뒤에 다시 미국으로 건너간다. [[1956년]] [[1월 7일]] 사망했으며 [[1995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분류:1887년 태어남]][[분류:1956년 죽음]][[분류: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분류:야로 송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송창현 . . . . 2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분류:1989년 출생]] [[분류:투수]] [[분류:좌완 투수]] [[분류:좌투좌타]]
  • 스페인 제2공화국 망명정부 . . . . 2회 일치
         1939년 공화국이 패배하자, 당시 대통령 마누엘 아사냐, 총리 후안 네그린 등은 [[피레네 산맥]]을 넘어서 [[프랑스]]로 피신했고, 많은 공화파 망명자도 프랑스, 멕시코 등 같은 스페인 계열 중남미 국가로 피신하였다.
         망명정부는 곧바로 [[멕시코]]에서 재건되었다. 이 당시 멕시코는 좌파 정당인 제도혁명당의 라사로 카르데나스 대통령이 집권하던 시기였다. 스페인과 같이 스페인어가 주로 쓰이는 멕시코에는 다수의 공화파 망명자가 있었고 스페인 공화국 망명정부를 여전히 합법적인 정권으로 인정하고 있었다. 또 전쟁 중에 총리 후안 네그린은 [[영국]]의 [[런던]]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당시 런던에는 나치 독일의 유럽 점령 때문에 이 같은 망명정부가 많이 생겨나서 정말 망명정부 천지였다.
  • 신민아 . . . . 2회 일치
         [[대한민국]]의 [[모델]], [[배우]].
         || 2008년 || 대한민국 대학영화제 || 여우조연상 ||<|3> [[고고70]] ||
  • 실업팀 . . . . 2회 일치
         [[스포츠]] 팀의 구성 구조. 영어로는 Works team 혹은 factory team이라 불리는 형태. 일본어로는 실업단(実業団)이라고 부른다. [[아마추어]] 스포츠의 한 형태[* 대한민국의 경우, [[세미프로]]까지는 아마추어의 성격을 분명히 가지고 있으므로 넓은 의미에서 아마추어로 간주하기도 한다.] 이다. 아마추어이기 때문에 종목을 불문하고 각 지역을 대표하여 [[전국체육대회]](이하 전국체전)에 참가할 수 있는 자격을 갖는다.
         실업팀의 운영 실태는 모 회사나 운영단체의 성향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일반 종업원과 똑같이 업무를 하고, 잔업 시간이나 여가 시간에만 연습과 시합을 하며 어디까지나 부가 활동으로서 하는 경우도 있으나, 사실상 실업팀 활동이 주가 되며 활동이 거의 프로 스포츠 [[클럽팀]]과 같은 수준으로, 형식만 실업팀일 뿐이지 종업원으로서의 활동은 거의 하지 않고 스포츠 활동에만 노력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해당 종목을 관할하는 협회의 기준에 따라 준프로 내지는 세미프로로 규정되기도 하며, 그에 걸맞는 대우를 받는다.[* 축구의 경우, KFA에서는 세미프로로 규정된 실업팀들은 대학팀 같은 완전한 아마추어 팀들보다 더 높은 수준의 팀으로 규정된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FA컵]]에서 1라운드 예선을 면제받고 2라운드부터 참가할 수 있는 등의 혜택을 받는다.]
  • 안영준 . . . . 2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
         [[대한민국]]의 [[농구]][[선수]].
  • 안효민 . . . . 2회 일치
         '''안효민'''([[1986년]] [[10월 16일]] ~ )은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대원방송 성우극회]] 소속. [[2012년]] [[대원방송 성우극회]] 공채 3기로 입사하였다. 현재 프리랜서로 활동중이다.
         [[분류:198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남자 성우]][[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영남대학교 동문]]
  • 양윤재 . . . . 2회 일치
         '''양윤재'''([[1949년]] [[2월 21일]] ~ )는 [[대한민국]]의 대학교수, 정치인이다.<ref>{{뉴스 인용|제목=조선일보 인물DB|url=http://cdb.chosun.com/search/db-people/i_service/manDisAllXml.jsp?uci=G010+1-02141999110100161095|출판사=조선일보|날짜=|확인날짜 =2016년 4월 29일}}</ref>
         * 2008.12 ~ : 대통령직속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
  • 양일환 . . . . 2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울산광역시 . . . . 2회 일치
         [[분류:울산광역시 출신|울산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도시]][[분류:1997년 설치]][[분류:대한민국의 항구 도시]]
  • 유승옥 . . . . 2회 일치
         ||<:><#ffdae0>'''{{{#white 국적}}}'''||<#ffffff>[[대한민국]] ||
         [[분류:미스코리아 출신 방송인]][[분류:대한민국의 여성 방송인]][[분류:세종특별자치시 출신 인물]][[분류:1990년 출생]]
  • 윤문영 . . . . 2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분류:1990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포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NC 다이노스 선수]][[분류:계명대학교 동문]][[분류:대구상원고등학교 동문]][[분류:경상중학교 동문]][[분류:대구율하초등학교 동문]]
  • 윤찬수 . . . . 2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분류:1986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LG 트윈스 선수]][[분류:한양대학교 동문]][[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이덕건 . . . . 2회 일치
         '''이덕건'''은 [[대한민국]]의 [[한국방송공사|KBS]] [[드라마]] 제작국 [[프로듀서]]이다.
         [[분류:대한민국의 연출가]][[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구수창초등학교 동문]][[분류:경일중학교 (대구) 동문]][[분류:청구고등학교 동문]][[분류:경북대학교 동문]]
  • 이동수 (축구선수) . . . . 2회 일치
         '''이동수'''(李東洙, [[1994년]] [[6월 3일]] ~ )는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포지션은 [[수비형 미드필더]] 겸 [[풀백]]이다. 현재 [[K리그1]] [[제주 유나이티드]]에서 활약하고 있다.
         [[분류:199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분류:대전 시티즌의 축구 선수]][[분류: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2의 축구 선수]][[분류:K리그1의 축구 선수]][[분류: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동문]][[분류:대륜중학교 동문]][[분류:가톨릭관동대학교 동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이동찬(기업인) . . . . 2회 일치
         [[대한민국]]의 [[기업인]]. 호는 우정(牛汀)이다. 본관 [[여강 이씨]].
         [[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 [[분류:1922년 출생]] [[분류:2014년 사망]] [[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 이동훈 (1996년) . . . . 2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이민호(1987) . . . . 2회 일치
         [[꽃보다 남자(KBS)|꽃보다 남자 한국판 드라마]]에서 [[F4]] 중 구준표를 맡아 일대 신드롬을 불러일으킨 [[대한민국]]의 [[배우]]. 2009년부터 현재까지 가장 주목받는 남자배우다. "자고 일어나니" 스타가 된 케이스로 신세대 한류 스타들 중 가장 주목받는 배우들 중 하나다.
         || 2014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 국무총리상 || ||
  • 이산하(시인) . . . . 2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시인]] [[분류:1960년 출생]] [[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대한민국]]의 [[시인]]. 본명은 이상백. [[운동권]]에서 활동한 대표적인 시인이다.
  • 이상목 (야구선수) . . . . 2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이상민 (야구선수) . . . . 2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이상호 (1989년) . . . . 2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이상훈 (1971년생 우완 투수) . . . . 2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이상훈'''(李相勳, [[1971년]] [[3월 21일]] ~ )은 [[KBO 리그]]에서 뛰었던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다.
  • 이선미 (소설가) . . . . 2회 일치
         '''이선미'''([[1971년]] [[6월 4일]] ~ )는 [[대한민국]] [[대구]] 출신의 로맨스 소설 작가이다. [[2007년]] 자신의 소설을 드라마화한 《[[커피프린스 1호점]]》 각본 작업에 '''이정아'''라는 필명으로 참여해 드라마 작가로도 데뷔했다.
         [[분류:197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이수민(야구선수) . . . . 2회 일치
          * [[야구 관련 인물(KBO)]]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분류:구미시 출신 인물]] [[분류:1995년 출생]] [[분류:투수]] [[분류:좌완 투수]] [[분류:좌투좌타]] / [[삼성 라이온즈/선수단]]
         이 영향 때문이었을까, 2013년에 창단한 KT 위즈의 신인 우선 지명 대상자로도 잠시 거론되었으나, [[kt wiz]]가 [[개성고등학교 야구부|개성고]] [[심재민]]과 [[천안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 류희운을 지명함으로서 [[삼성 라이온즈]] 및 삼성 팬들은 한숨을 놓을 수가 있었으며--그리고 [[한화 이글스]]와 한화 팬들은 울었다--, 경북고 박세웅과 함께 누가 삼성의 1차지명 대상자가 될 것인가에 대한 선택만이 남게 되었다. 그리고 2013년 7월 1일 [[삼성 라이온즈]]의 1차 지명 대상자로 최종 선택되었다.[[http://sports.news.naver.com/sports/index.nhn?category=kbo&ctg=news&mod=read&office_id=109&article_id=0002566963|#]]. 지명 이후 [[대한민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2013|2013 IBAF U-18 대회]] 대표팀에 발탁되어 활약하기도 했다.
  • 이승현(농구선수) . . . . 2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
         대한민국의 농구선수. 고려대를 거쳐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의 포워드로 뛰고 있다.
  • 이영수 (야구인) . . . . 2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이영욱 (1980년) . . . . 2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이원재(축구선수) . . . . 2회 일치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축구선수/목록/대한민국)]
         || 국적 || [[대한민국]] ||
  • 이장우 (1871년) . . . . 2회 일치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의 관료, 중추원 부문,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분류:1871년 태어남]][[분류:1944년 죽음]][[분류:대한제국의 군인]][[분류:일제 강점기의 관료]][[분류:일제 강점기의 기업인]][[분류:조선총독부 중추원 간부]][[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
  • 이재율 (1993년) . . . . 2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이종혁 (야구선수) . . . . 2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이종희 (1942년) . . . . 2회 일치
         '''이종희'''(李鍾熙, [[1942년]] [[4월 15일]] ~ )는 [[경상북도]] 대구 출신의 [[대한민국]] 기업가이다.
         [[분류:194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자유민주연합 당원]][[분류:홍익대학교 교수]][[분류:대구상원고등학교 동문]][[분류:단국대학교 동문]][[분류: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동문]][[분류:서경대학교 대학원 동문]][[분류:경주 이씨]]
  • 인천광역시 . . . . 2회 일치
         [[분류:인천광역시 출신|인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도시]][[분류:1995년 설치]][[분류:대한민국의 항구 도시]][[분류:아시안 게임 개최 도시]]
  • 임진숙 . . . . 2회 일치
         |국적= 대한민국
         '''임진숙'''(林眞淑, [[1964년]] ~ )은 [[대한민국]]의 [[KBS대구방송총국]]의 [[아나운서]]이다.
  • 장갑차 . . . . 2회 일치
         대표적인 APC로는 소련의 BTR 계열 차량들이나 미국의 M113, 대한민국의 K200이 있다.
         대표적인 IFV로는 소련의 BMP 계열 차량들이나 미국의 M2 브래들리, 대한민국의 K21이 있다.
  • 장혁주 . . . . 2회 일치
         [[임진왜란]] 때 [[조선]]을 침공한 일본인 장수 [[가토 기요마사]]를 다룬 〈가등청정〉(1939)을 시작으로 전시 체제에 협력하는 친일 작품을 집필했다. [[2002년]] 발표된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에 수록되었고,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정리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중 문학 부문에 선정되었다.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분류:1905년 태어남]][[분류:1998년 죽음]][[분류:일제 강점기의 소설가]][[분류:일제 강점기의 문학 평론가]][[분류:친일인명사전 수록자]][[분류:대한민국 정부 발표 친일반민족행위자]][[분류:한국계 일본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재일 한국인]]
  • 전종화 . . . . 2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정운용 . . . . 2회 일치
         |국적 = {{국기나라|대한민국}}
         [[분류:1904년 태어남]][[분류:1963년 죽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일제 강점기의 금융인]][[분류:대한민국의 금융인]]
  • 정진호(1956) . . . . 2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야구감독]][[분류:포항시 출신 인물]][[분류:1956년 출생]][[분류:타자]][[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대한민국의 범죄자]][[분류:삼성 라이온즈]]
  • 조아영(배우) . . . . 2회 일치
         ||<#FF6699> {{{#FFFFFF '''국적'''}}}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png|width=30]] ||
  • 조재윤 (체조선수) . . . . 2회 일치
         '''조재윤'''([[1991년]] [[11월 7일]] ~)은 대한민국의 [[기계체조]] [[선수]]이다.
         [[분류:대한민국의 체조 선수]][[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91년 태어남]][[분류:대구광역시 출신]][[분류:대구체육고등학교 동문]][[분류:한양대학교 동문]]
  • 조청희 . . . . 2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분류:1961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대구초등학교 (대구) 동문]][[분류:경운중학교 (대구) 동문]][[분류:충암고등학교 동문]][[분류:건국대학교 동문]][[분류:조씨]]
  • 조현근 . . . . 2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출신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중화인민공화국의 국제연합 가입 . . . . 2회 일치
         [[대한민국]]에도 커다란 충격을 안겨준 사건이다. [[6.25 전쟁]]에서 [[적]]으로 여겼던 [[중공]]이 아군으로 여겼던 [[UN군]]에 들어가서 단번에 유엔 상임이사국의 자리까지 차지해버렸기 때문. 대한민국은 애초에 유엔가입국이 아니었기 때문에 이 사건에서 반대표를 던지지도 못했다.
  • 진유현 . . . . 2회 일치
         | 국적 = 대한민국
         '''진유현'''([[1983년]] [[10월 29일]] ~ )은 [[대한민국]]의 [[KBS 대구방송총국]] 소속의 아나운서이다.
  • 최란(배우) . . . . 2회 일치
         == 대한민국의 배우 ==
         ||<#878787> '''{{{#EEE156 소속}}}''' ||<(> 대한민국 서울문화예술협회 이사장 ||
  • 최수진 (성우) . . . . 2회 일치
         '''최수진''' ([[1월 17일]] ~ ,[[대구광역시|대구]]) 은 [[대한민국]]의 [[성우]]이다. [[문화방송 성우극회]] 소속. [[1997년]] [[MBC]] 공채 14기로 입사했다.
         [[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여자 성우]][[분류:살아있는 사람]]
  • 최여진(탤런트) . . . . 2회 일치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모델#s-1|모델]].
         >[[연좌제|모든 국민은 자기의 행위가 아닌 친족의 행위로 인하여 불이익한 처우를 받지 아니한다]].'''- [[대한민국 헌법]] 제13조 3항'''
  • 최진순 . . . . 2회 일치
         '''최진순'''(崔軫淳, [[1969년]] [[3월 8일]] ~ )은 [[대한민국]]의 [[기자 (직업)|기자]]이다.<ref>김달아·최승영.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4&oid=127&aid=0000024679 중앙, 기어 바꾼 디지털 혁신…구성원 힘 모아 속도 낼까]. 기자협회보. 2017년 4월 5일.</ref>
         [[분류:대한민국의 신문 기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69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륜고등학교 동문]]
  • 치킨 . . . . 2회 일치
         [[대한민국]]산 [[닭]]이나 [[브라질]]산 [[닭]]에 밀가루를 입히고 튀겨낸 요리. 만원대에서 2만원대라는 가격대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치느님"이라고 불리며 신격화된다.
  • 캡틴큐 . . . . 2회 일치
         대한민국에서 판매되었던 "짝퉁" [[럼]]. [[롯데주류]]에서 생산했다.
         70년대 말 롯데주조에서 양주 시장을 노리고 개발, 1980년 1월에 시장에 내놓았다. 대한민국 첫 양주였다고. 위스키, 와인이 흔하지 않았던 1980년대 당시 양주의 대명사라고 알려져 있었다.
  • 크리스토퍼 라킨 . . . . 2회 일치
         |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대구직할시]] (現 대구광역시)
         크리스토퍼 라킨은 1987년 10월 2일 대한민국 대구직할시 (現 대구광역시)에서 '''윤하정'''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4개월이 되었을때, 미국의 일레인과 피터 라킨 부부에 의해 입양되어 [[코네티컷주]] [[히브런 (코네티컷주)|히브런]]에서 성장하였다.
  • 태종무열왕 . . . . 2회 일치
         《삼국사기》는 태종 무열왕의 무덤이 영경사(永敬寺) 북쪽에 있다고 기록하였으며, 지금의 경주시 서악동 842번지의 선도산 동쪽 구릉에 소재한 서악리 고분군의 다섯 고분 가운데 가장 아래에 위치한 원형봉토분이 태종 무열왕의 능으로 비정되고 있다. 봉분의 면적은 14,169m<sup>2</sup>로, 신라의 왕릉 가운데 피장자를 확실하게 알 수 있는 몇 안 되는 무덤으로서 가치가 있으며 [[1963년]] 1월 21일에 대한민국 사적 제20호로 지정되었고, [[1972년]]부터 [[1973년]]에 걸쳐 주변 정비가 이루어졌다. 굴식 돌방무덤(횡혈식 석실분)으로 추정되는 이 무덤은 다른 왕릉에 비해 봉분 장식이 소박한 편으로 무덤 주위에 자연석으로 둘레돌을 돌렸다.
         * 젊은 시절 제18대 [[풍월주]]를 역임하였다고 한다.
  • 프로 스포츠 . . . . 2회 일치
         자유주의 진영에서도 이런 공산권의 모습과 별반 다르지 않기도 했다. 대한민국도 한국축구사에 전설을 남긴 [[양지 축구단]]은 박정희와 중앙정보부의 강력한 푸쉬를 받아 등장한 케이스였고, 이는 북한의 1966년 월드컵 8강진출에 자극받아 탄생했다는 걸 생각하면 이런 국가의 개입에 따른 아마추어리즘이 훼손된 사례는 확실한 트렌드가 있었음이 분명하다. 이런 모습은 냉전시대가 낳은 대표적인 산물임이 확실하다.
         프로 스포츠 종사자들은 상업적 이득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대회를 유치하려 한다. 그리고 이 대회에 참가 가능한 인원들을 "거르는 작업"이 필연적이다. 이렇게 거르는 행위를 통과한 인원들만 모아 대회를 열 준비를 하며, 이 대회에 참가하는 팀에 소속될 자격이 있는 "최상급 선수"의 자격을 갖춘 자들을 프로라 보는게 바람직이다. 축구를 제외한 대한민국 4대구기종목은 드래프트(=최상급 선수라는 판단을 협회와 구단이 동시에 판단)를 통해 이루어지고, 바둑같은 경우는 단위제(=최상급 선수라는 판단을 전적으로 협회를 통해 판단)를 통해, 축구의 경우는 구단이 영입과 이적이라는 행위를 통해(=최상급 선수라는 판단을 법과 협회의 규정 안에서 구단이 자체적으로 판단) 프로냐 아니냐가 결정된다.
  • 허위 . . . . 2회 일치
         [include(틀: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참고로 이 분의 손자 분들이 구 소련 및 중앙 아시아에서 [[고려인]] 신분으로 힘들게 사시다가 2006년 [[귀화]]하셨다 [[https://www.youtube.com/watch?v=x2lb-2qPOlw&t=1025s|#]]. 3대가 지나온 국권 침탈 - 연해주 - 중앙 아시아의 기나긴 여정과 또 종착점으로서 그들을 맞이하는 대한민국의 현실이 참으로 안타깝고 눈물겹다.
  • 홍영철 . . . . 2회 일치
         '''홍영철'''([[1955년]] [[9월 12일]] ~ )은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나 [[계명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했으며, [[1978년]] 매일신문 신춘문예와 [[문학사상]] 신인 발굴에 각각 시가가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분류:1955년 태어남]][[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계명대학교 동문]][[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시인]]
  • 황병일(1960) . . . . 2회 일치
         은퇴하자마자 빙그레의 타격코치로 부임해 한화 이글스로 바뀐 후에도 2002년까지 12년 간 [[한화 이글스]]에서 타격코치로 재임했으며, [[1999년 한국시리즈]] 우승도 경험했다. 이 때 [[장종훈]], [[송지만]], [[이영우]], [[김태균(1982)|김태균]], [[이범호]] 등을 발굴하거나 성장시켜 2000년대 초중반까지 삼성의 [[박흥식(야구)|박흥식]] 코치, 현대의 [[김용달]] 코치, 두산의 [[송재박]] 코치와 함께 [[대한민국]] 최고의 타격코치 중 하나로 손꼽혔다. 이후 LG, SK 타격코치를 거쳤는데 SK 시절에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분류:야구감독]] [[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분류:1960년 출생]] [[분류:타자]] [[분류:외야수]] [[분류:우투우타]]
  • Darkest Hour: A Hearts of Iron Game/연구진 . . . . 1회 일치
          1933년 시나리오부터 시작하면 사용 가능. 1914년 시나리오 때에 세트로 나왔던 힌덴부르크는 대통령이 되었기에 루덴도르프만 나온다.
  • E-4B 나이트워치 . . . . 1회 일치
         [[미국]]에서 운용하는 항공기. 별명은 심판의 날 비행기(Doomsday Plane). 보잉 747-200B 모델을 모체로 하여, [[핵전쟁]]이 발발 했을 때, 대통령이나 국방장관, 합참의장이 탑승하는 '공중지휘본부'로 쓸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 Europa Universalis 4/공략/유럽 . . . . 1회 일치
         본격 동유럽 깡패국가. 시기상 폴란드가 리투아니아랑 동군연합 맺고 신나게 깡패질 할때라 매우 강력하다. 거기다가 국가이념중에 기병전투력 33퍼센트 추가가 달려있어서 [* 그다음으로 강력한 헝가리기병 전투력증가가 20퍼다...다만 이쪽은 국가전통이라 처음부터 달려있다는게 차이점.] 올기병 플레이[* 보병은 버리고(사람에 따라선 포병까지) 기병만으로 플레이하는것]에 가장 추천되는 국가기도 하다. 선거군주정 특징을 잘이용해 오스트리아를 뛰어넘는 동군연합의 제왕이 될수도 있고, 이후에 대홍수이벤트까지 끝내면 다른 나라보다 몇 십년 빨리[* 다만 프랑스보단 느리다. ~~주인공 보정~~] 절대군주정이 될수 있다.
  • GHQ . . . . 1회 일치
         GHQ 통치 시기는 직접적인 군정이 아니라, GHQ의 지시를 일본 정부가 책임을 지고 시행하는 간접군정 방식이었다. GHQ의 영향력은 경제, 문화, 정치 측면에서 광범위하게 미쳤는데, 정치적 측면에서는 [[헌법]]을 비롯한 각종 법률이 개정되었으며, 지방자치와 선거제도가 개혁되었다. 교육, 문화 정책으로 [[민주주의]]를 확산시켰으며, 경제 개혁으로 [[재벌]]이 해체되었고, [[농지개혁]]으로 농촌의 [[지주]] 계급이 해체되었다.
  • LORAN . . . . 1회 일치
         현재는 상용 목적으로는 쓰이지 않는데, 대한항공 007기가 [[소련]]에서 격추된 사건을 계기로 레이건 대통령이 [[GPS]]를 민간에 개방할 것을 지시했기 때문이다.
  • USS 뷰캐넌 . . . . 1회 일치
         채리엇 작전의 목표는 프랑스의 도시 생나제르에 위치한 대형 건선거, "노르망디 독"을 파괴하는 것이었다. 이 작전에서 캠벨타운의 역할은 폭뢰를 싣고 수문에 돌격, 수문을 폭파시키는 임무였다. 캠벨타운은 이 작전을 위해 개조되었다. 4문의 4인치 함포는 12파운드 함포와 20mm 기관포로 교체되었고, 독일 어뢰정처럼 보이기 위해 연돌 두개를 제거하였다.
  • Victoria II/POP . . . . 1회 일치
         원자재를 생산한다. 농부/노동자보다 효율적이다. 시민이 아니기에 무슨 일이 있어도 선거권이 없다.
  • 강영식 . . . . 1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북구(대구) 출신 인물]][[분류:1981년 출생]][[분류:투수]][[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분류:롯데 자이언츠]]
  • 강원 FC . . . . 1회 일치
         ||<|2> 시즌 ||<:-3>리그 ||<|2> [[대한민국 FA컵]] ||<|2> [[AFC 챔피언스 리그]] ||<|2> 비고 ||
  • 경기도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도 정보
  • 경상남도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도 정보
  • 경상북도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도 정보
  • 계림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경주시]]에 있는 숲. [[사적]] 19호로 지정되어 있다.
  • 고령군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시군구
  • 광주 FC . . . . 1회 일치
         ||<|2> 시즌 ||<:-3>리그 ||<|2> [[대한민국 FA컵]] ||<|2> [[AFC 챔피언스 리그]] ||<|2> 비고 ||
  • 구미시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시군구
  • 군위군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시군구
  • 권희동 . . . . 1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분류:경주시 출신 인물]] [[분류:1990년 출생]] [[분류:개신교 신자]] [[분류:타자]] [[분류:포수]] [[분류:외야수]] [[분류:우투우타]] [[분류:상무 피닉스 야구단/전역]]
  • 금춘수 . . . . 1회 일치
         [[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1953년 태어남]][[분류:안동시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안동대학교 상과대학 동문]]
  • 김강민 . . . . 1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달서구 출신 인물]][[분류:1982년 출생]][[분류:타자]][[분류:외야수]][[분류:우투우타]]
  • 김대륙 . . . . 1회 일치
         [각주][[분류:1992년 출생]][[분류:포항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타자]][[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
  • 김동한(가수)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6인조 보이 그룹 [[JBJ]]의 멤버.'''
  • 김연수(작가)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작가]]. 1970년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태어났다. [[성균관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졸업]].
  • 김인철 . . . . 1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포항시 출신 인물]][[분류:1971년 출생]][[분류:투수]][[분류:우완 투수]][[분류:타자]][[분류:외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삼성 라이온즈]][[분류:KIA 타이거즈]][[분류:한화 이글스]]
  • 김재권 (철학자) . . . . 1회 일치
         [[분류:193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미국의 철학자]][[분류:대한민국의 철학자]][[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한국계 미국인]][[분류:미국의 저술가]][[분류:서울창경초등학교 동문]][[분류:서울경복중학교 동문]][[분류:경복고등학교 동문]][[분류: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문]][[분류:다트머스 대학교 동문]][[분류:프린스턴 대학교 동문]][[분류:20세기 철학자]][[분류:21세기 철학자]][[분류:심리철학자]][[분류:경암학술상 수상자]][[분류:스와스모어 칼리지 교수]][[분류:노터데임 대학교 교수]][[분류:미시간 대학교 교수]][[분류:브라운 대학교 교수]][[분류:존스 홉킨스 대학교 교수]][[분류:코넬 대학교 교수]]
  • 김정혁 . . . . 1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포항시 출신 인물]][[분류:1985년 출생]][[분류:타자]][[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
  • 김지훈(1993) . . . . 1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분류:1993년 출생]] [[분류:투수]] [[분류:우완 투수]] [[분류:우투우타]]
  • 김천시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시군구
  • 까마귀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에서 기억력이 딸리는 사람을보고 "까마귀 고기를 먹었다,"고 한다. 그런데 [[리투아니아]] 등지에서는 까마귀 고기를 먹는다.
  • 남봉진 . . . . 1회 일치
         '''남봉진'''(南鳳振, [[1921년]] ~ 2008년<ref>{{뉴스 인용|제목=[부음] 남봉진씨(전 경기도지사) 별세|url=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08&no=173109|날짜=2008-03-27|뉴스=매일경제}}</ref>)은 [[대한민국]]의 제12대 [[경기도지사]]이다. 본관은 [[영양 남씨|영양]].
  • 노예 . . . . 1회 일치
         현재 국제사회의 원칙에 따라서 노예는 전 세계적으로 폐지되었다. 하지만 지금도 사실상 노예 상태에 있거나, 관습적으로 여겨지는 노예는 세계 어딘가 존재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암암리에 [[섬노예]]라는게 있다.
  • 대한민국 . . . . 1회 일치
         2016년 10월, 대통령과 [[최순실|모 무속인]] 간의 커넥션이 발견되었다.
  • 독이 든 성배 . . . . 1회 일치
          * 대한민국 축구감독(…) 등 성공하면 엄청난 찬사를 받지만 실패하면 엄청난 욕설을 얻어먹는 자리에 주로 사용된다. 막장을 달리는 [[프로 스포츠]] 팀의 감독 자리에 오르는 것에도 이런 표현이 사용된다.
  • 동군연합 . . . . 1회 일치
         당시 보헤미아지방을 차지하던 룩셈부르크가가 단절되면서 생긴 연합. 다만, 보헤미아는 선거왕정이었기에 중간중간 오스트리아가 왕위를 놓치는 경우가 상당히 많았다.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이 생기면서 합병되었으며, 이후 제 1차 세계대전에서 제국이 패배하면서 상실된다.
  • 딴따라 . . . . 1회 일치
         실제로 [[대한민국]]에서는 20세기 후반 까지도 연예인에게 [[저작권]], [[초상권]] 등의 권리가 제대로 존중되지 않았고 연예계는 [[조폭]]이 주름잡고 있었기 때문에, 연예인이라고 해도 돈도 제대로 못 벌고 [[가혹행위]]에 시달리는 등 [[3D]] 업중에 가까웠다. 결국 연예인으로서의 삶은 고달플 수 박에 없었고, 그래서 이런 인식이 부모님 세대에게 뿌리깊이 남아 있었다고 보면 된다.
  • 랄프 알거 배그놀드 . . . . 1회 일치
         전부 대한민국에서 출판된 적은 없는 것 같다.
  • 렉스 루터 . . . . 1회 일치
         엄청난 [[부자]]이며 [[브루스 웨인]]과 더불어 DC의 자본가 캐릭터 중 한명. 여기에 뛰어난 두뇌를 지녀서 높은 지략을 구사하거나 고급 기술력을 발휘한다. 두뇌파 캐릭터이나 뒤에서 머리만 굴리는 것이 아니라 기계 슈트를 착용해 슈퍼맨과 정면 대결을 벌이기도 한다. 또한 다 무너진 고담시를 재건하고, 미국 대통령도 되본 적이 있다. 이만한 인물이다보니 빌런 세력이 만들어지면 매번 높은 자리에 있다.
  • 류명선(야구선수) . . . . 1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포항시 출신 인물]][[분류:1965년 출생]][[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
  • 류영수 . . . . 1회 일치
         [[분류:1945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투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대구상업고등학교 동문]][[분류:경상중학교 동문]][[분류:대구칠성초등학교 동문]][[분류:고흥 류씨]]
  • 류원기 . . . . 1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경상북도 출신 인물]][[분류:경북고등학교 동문]][[분류:1947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
  • 리그컵(K리그) . . . . 1회 일치
         아디다스컵이 처음 열렸던 시점만 하더라도 K리그와 사실상 동등한 수준의 대우를 받았던 이유 중 하나는 많은 상금이 걸려 있었기 때문이었다. 지금와서 과거 한국프로축구와 관련된 기사를 살펴봐도 리그컵이 처음 열렸을 당시에는 정규리그보다는 아디다스컵 관련기사를 찾기가 더 쉬울 정도다. 10만달러 규모의 상금은 당시 국가대표 대회로 간주할 수 있었던 대통령배 대회를 빼면 축구계 최고액이었으니 당연히 화제를 몰고 올 수 밖에 없었고 일반인들도 관심을 갖지 않을 수가 없었던 상황. 물론 이건 총 상금규모고 실제로 우승팀은 3000만원, 준우승팀은 1500만원을 받았지만 이것만으로도 이런 사실은 명백히 K리그와 차별할 수 있는 위상을 심어줄 수 있었다. 하지만 곧바로 K리그도 상금제도를 대폭 개선하면서 이 위상이 바뀌게 되었다.
  • 리모콘 . . . . 1회 일치
         리모콘이란 말은 Remote Control을 줄인 말이다. [[대한민국]] 외에서는 잘 안 쓰이는 표현으로 보인다.
  • 마약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에서는 불법이니까 하지말자. 했다가 걸려서 경찰서에서 부모님 앉혀놓고 "호기심에 한번 해본거에요ㅜㅜ"같은 소리 지껄이지 말고. 승자는 마약 안한다.
  • 메탈슬러그 시리즈 . . . . 1회 일치
          풀네임은 타미클 로빙 3세. 일본 홋카이도 출신으로 정부군 대위이다. 아버지는 우수한 군인이었으며, 타마 또한 중학교 졸업 즉시 군대에 들어갔다. 20대에 대통령을 구했으며, 군대에서 사귄 친구인 마르코와 함께 수많은 전장에서 살아남았다. 메탈슬러그 이후 은퇴해 바이크샵을 차리려고 했지만 그를 떠나보내고 싶지 않았던 상부의 요청으로 연기되었다.
  • 문경시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시군구 정보
  • 문맹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은 문맹률이 낮은 편으로 알려져 있으나, 단순히 읽고 쓰는 게 아닌 어떠한 문장 내용을 읽고 뜻을 파악하는 '실질문맹률'이 OECD 최하위권이라는 사실이 밝혀져 충격을 준 바 있다.[* OECD와 캐나다 통계청에서 만든 IALS(국제성인문해능력조사)를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번역하여 2001년에 조사한 결과. (다른 OECD 국가는 1994년 ~ 1998년 사이에 조사.)]
  • 문성주 . . . . 1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분류:1997년 출생]] [[분류:좌투좌타]] [[분류:외야수]] [[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 박세웅(1996) . . . . 1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포항시 출신 인물]][[분류:1996년 출생]][[분류:투수]][[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
  • 박소연 (배우) . . . . 1회 일치
         '''박소연'''(SoYeon Park)은 [[대한민국]]의 뮤지컬배우이다.<ref>[http://peopl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EB%B0%95%EC%86%8C%EC%97%B0&sm=tab_etc&ie=utf8&key=PeopleService&os=161276 네이버 프로필]</ref>, [[대구광역시]] 출신이다.
  • 박옥수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종교인]]. [[개신교]] 계통 [[신흥종교]]인 [[기쁜소식선교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산하 단체로 국제청소년연합(IYF)을 설립하여 활동하고 있다. [[음력]] [[1944년]] [[6월 2일]] 출생이며, 출생지는 [[경상북도]] [[구미시]].
  • 박진석 (가수)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왕중왕 트롯 베스트
  • 보통국가 . . . . 1회 일치
         우익들이 말하는 '보통국가'는 사실 [[제1차 세계대전]] 이전(…)의 기준이다. 현재 [[국제연합]] 체계의 '보통국가'는 일본의 평화헌법과 마찬가지로, 침략전쟁을 부정하고 방어전쟁만을 인정하고 있다. [[대한민국 헌법]] 역시 평화헌법이라고 불리지는 않지만 침략전쟁을 부정하고 방어전쟁 만을 인정한다는 점에서 사실 내용상으로는 별 차이 없다. 따라서 현재 체계에서 딱히 일본이 다른 나라들보다 국제적 권리에 있어서 더 강한 제약을 받는 것은 '''전혀 없다.'''
  • 봉화군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시군구 정보
  • 북한의 역사왜곡 . . . . 1회 일치
         >- 광주 인민봉기가 일어나 미 국무장관 머스키, 국방장관 브라운, 대통령안보담당보좌관 브레진스키, 미 중앙정보국장 터너 등은 긴급모의를 벌려놓고 광주 인민봉기를 진압할 흉계를 꾸미었다.
  • 불쑥 표주박 섬 . . . . 1회 일치
         [[NHK]]의 [[인형극]] 프로그램. 육지와 다리로 연결된 등대가 있는 작은 섬이었던 표주박 섬(ひょうたん島)이, 어느날 화산 폭발로 바다를 정처없이 방황하는 처지가 되어, 선데이 선생님과 그 제자들, 국제경찰이 비행기로 호송중이던 암살자 댄디, 뗏목으로 표류해온 해적 토라히게, 자칭 표주박 섬의 대통령 돈 가바쵸 등의 사람들이 모이게 된다.
  • 브라우닝 시토리 . . . . 1회 일치
         2012년 공개된 [[버락 오바마]] 당시 [[미국]] [[대통령]]의 [[http://news.zum.com/articles/5453662|클레이 사격 사진]]에서 사용된 총기. 이 사진은 [[http://knowyourmeme.com/memes/obama-skeet-shooting-photo|합성요소로 활용되었다.]]
  • 사혈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에서는 [[부항]], 사혈침과 함께 21세기에도 [[대체의학]]의 일종으로 맹위를 떨치고 있다. 2011년에 '심천사혈요법'의 창시자가 [[유죄]] 판결을 받았다.[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547883 참조]
  • 상주시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시군구
  • 서든어택 2/무기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FPS]] 게임 [[서든어택 2]]의 무기를 소개하는 페이지. 2016년 7월 10일 이후 별다른 갱신이 없을걸로 보인다.
  • 서든어택 2/캐릭터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FPS]] 게임 [[서든어택 2]]의 캐릭터를 소개하는 페이지.
  • 서영종 . . . . 1회 일치
         [[분류:1952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한민국의 기업인]][[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건국대학교 동문]]
  • 서용주 . . . . 1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포항시 출신 인물]][[분류:1990년 출생]][[분류:타자]][[분류:외야수]][[분류:우투우타]]
  • 선풍기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에서는 밀폐된 공간에서 선풍기를 키고 자면 [[저체온증]]이나 호흡곤란으로 죽는다는 [[미신]]이 있다. [[http://www.busanilbo.com/news2000/html/2007/0315/030020070315.1007112050.html|이를 이용한 자살 시도 사례도 있다.]]
  • 성냥 . . . . 1회 일치
         [[http://boomup.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2/22/2016022201251.html|대한민국의 마지막 성냥 공장인 성광성냥은 2014년 경 생산을 중단했다.]]
  • 손민수(희극인)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희극인]]으로, 경상북도 포항시 출신이자, 그는 tvN 코미디빅리그로 데뷔하였다.
  • 슈퍼걸(드라마)/1시즌 9화 . . . . 1회 일치
         알렉스는 행크가 없어진 상황이라 DEO의 임시 리더로서 움직인다. 카라는 감옥에 갇혀있던 아스트라와 대화를 나누지만 성과가 없다. 넌은 DEO에 통신을 보내서 아스트라와 행크를 교환하자고 제안한다. 그런데 이 때 군인들과 난입한 레인 장군이 대통령으로부터 DEO의 권한을 받아서 지휘를 하기 시작한다.
  • 스틸오션/미국 . . . . 1회 일치
         >"평갑판" 구축함이라고도 알려진 칼드웰급 구축함은 1917년 취역하였다. 대서양, 주로 동해안에서 수송함대 호위를 맡았다. 제1차 세계대전 후, 칼드웰급 구축함 한척이 윌슨 대통령 호위를 맡기도 했다.
  • 신동주(야구) . . . . 1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분류:1972년 출생]] [[분류:타자]] [[분류:외야수]] [[분류:우투우타]]
  • 신혜진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걸그룹]] [[오마이걸]]의 前 멤버. 예명은 본명인 신혜'''진'''의 마지막 자에서 따왔다.
  • 아메리카 퍼니스트 홈 비디오 . . . . 1회 일치
         옛날에는 대한민국 공중파에서도 틀어줬다. 독립된 방송은 아니고 어떤 쇼 프로의 한 코너로. 지금은 FOX 채널에서 볼 수 있다.
  • 애니프사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국회 속기록에 기록된 바 있다.
  • 야자와 니코 . . . . 1회 일치
         한때 대한민국 인터넷에서 이 캐릭터의 대사인 "니코니코니~"가 유행한 적이 있다.
  • 어쌔신 크리드 III/등장인물 . . . . 1회 일치
          미국 독립 전쟁 당시 대륙군 지휘관이자 초대 미국 대통령. 주인공의 조력을 받아 영국에 대항하는 입장이지만, DLC '워싱턴 왕의 폭정'에서는 에덴의 조각의 힘으로 원래 역사와는 달리 '왕'으로 등극해 폭정을 저지른다. 해당 DLC의 최종 보스.
  • 에이스 컴뱃 5 : 언성 워 . . . . 1회 일치
          오시아의 대통령.
  • 오방낭 . . . . 1회 일치
         2013년 박근혜 대통령의 취임식에서 등장한 바 있다. 이 때 오방색의 방위가 잘못되었다는 지적이 있다. 방위가 상생이 아니라 상극을 상징하게 되어 오히려 화를 불러올 수 있다는 주장이다.[[http://news.joins.com/article/20784391 (중앙일보)]][[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102709342496489 (아시아경제)]]
  • 왕당파 . . . . 1회 일치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프랑스 제국]]을 건설하였다가 실각한 이후, [[보나파르트 왕조]]를 추종하는 왕당파도 나타나는데 이들은 보나파르트 주의라고 한다. 부르봉 왕조는 나폴레옹의 몰락 이후 다시 프랑스 왕위에 얻어 복고왕정을 시작했으나, 재차 혁명으로 타도되면서 왕당파는 몰락하게 되고 유의미한 활동을 하지 못하게 됐다. 보나파르트 주의는 루이 나폴레옹이 [[대통령]]을 거쳐서 [[나폴레옹 3세]]로 즉위하면서 실현되었으나, 역시 나폴레옹 3세가 몰락하면서 보나파르트 주의도 침몰하게 된다.
  • 워터보딩 . . . . 1회 일치
         [[도널드 트럼프]]는 이 기술이 효과적이라고 주장했다. 다행히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이 된 후 이 고문이 부활하지는 않았다.
  • 유태웅(탤런트)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배우]], [[탤런트]].
  • 음모론 . . . . 1회 일치
          * 천안함은 이스라엘 모사드 잠수함과의 충돌로 침몰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이 사실을 숨기고 있다.
  • 이민호(1969) . . . . 1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분류:내야수]] [[분류:우투우타]] [[분류:1969년 출생]] [[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 이보림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배우 겸 모델. 스노우볼 엔터테인먼트 소속.
  • 이상화(1980) . . . . 1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분류:1980년 출생]] [[분류:투수]] [[분류:우완 투수]] [[분류:우투우타]]
  • 이석훈 . . . . 1회 일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한민국의 영화감독, rd1=이석훈(영화 감독))]
  • 이수진(치어리더) . . . . 1회 일치
          * ~~풋풋한 3년차 치어리더이지만,~~ 현재 대한민국의 치어리더의 아이콘인 '''[[롯데 자이언츠|롯데]]의 [[박기량(치어리더)|박기량]] 치어리더보다 우승 경험이 많다.'''[* 박기량은 [[롯데 자이언츠|롯데]]에서만 7년을 보냈는데도 우승은커녕 한국시리즈에도 진출하지 못했다. 게다가 지금 롯데가 장기적 암흑기가 확정이라서 박기량이 치어리더를 그만둘 때까지도 [[우린 안될꺼야 아마|우승하긴 영...]]]
  • 이영은(1982)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배우.
  • 이유리(배우)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배우]].
  • 이재영 (뮤지컬배우)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대중가수, 뮤지컬 배우, CCM 가수.
  • 이지찬 . . . . 1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 전라남도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도 정보
  • 전라북도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도 정보
  • 절대가련 칠드런/463화 . . . . 1회 일치
          * 그랬던 것이 지금까지의 입장인데, 어쩐지 오늘 수뇌부는 매우 협조적이다. 장관은 위화감을 느끼면서도 어쨌든 협조를 받았으니 된 일이라고 생각한다. 에스퍼의 편의를 아무리 봐줘봐야 선거에 득될 것도 없고, 사회의 관리하에서 에스퍼를 이용하기 위해선 이 법안이 꼭 필요하다고 여기고 있는 것이다.
  • 절대가련 칠드런/470화 . . . . 1회 일치
          * 코메리카 합중국은 반에스퍼 정책을 펼치는 대통령이 취임했다. 그는 "노멀 우선 주의"를 제창하며 초능력자에 대한 규제 관리를 강화하고 에스퍼 시대 이전의 질서로 되돌리려 한다.
  • 정성룡(야구선수) . . . . 1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분류:1964년 출생]] [[분류:타자]] [[분류:외야수]] [[분류:좌투좌타]] [[분류:해태 타이거즈]]
  • 정칠성 . . . . 1회 일치
         [[1955년]] 조선평화옹호전국민족위원회 부위원장, [[1956년]] [[조선민주여성동맹|민주여성동맹]] 부위원장에 피선되고, [[4월]]에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후보위원에 선출되었다. [[1957년]] 다시 조선민주여성동맹 부위원장에 재선되고, [[평안북도]] [[인민위원회]] 대의원에 선출되었다. [[1957년]] [[8월]] [[최고인민회의 제2기 대의원 선거]]에 [[평안북도]] 지역구로 입후보, 당선되어 제2대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지냈다.
  • 정혜선(배우)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배우. [[본명]]은 정영자이며, [[1942년]] [[2월 21일]] [[경상북도]] [[김천시]] 다수동 출생([age(1942-02-21)]세)이다. [[종교]]는 [[천주교]]이며, [[세례명]]은 카타리나이다. [[1961년]]에 [[KBS]] 공채 1기 [[배우]]로 데뷔하였다. [[성우]] 출신이고, 공채 출신이라 초기에는 주로 KBS에서 활동하였으나 나중에는 타방송국에도 많이 김천서현교회 출연하였는데 대표작들은 주로 MBC쪽이 많다. 드라마 [[아들과 딸]]의 어머니가 대표적이다. [[최불암]], [[김수미]] 처럼 젊을 때부터 노역을 많이 맡은 편이다. 나이가 든 후에는 완고한 시어머니 역을 많이 맡는 편이다.
  • 정홍준 . . . . 1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 제주시 . . . . 1회 일치
         [[분류:제주시 출신|제주시 출신 인물]][[분류:제주특별자치도의 도시]][[분류:1955년 설치]][[분류:2006년 폐지]][[분류:2006년 설치]][[분류:대한민국의 항구 도시]]
  • 제주특별자치도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도 정보
  • 진동한 . . . . 1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분류:포항시 출신 인물]] [[분류:1961년 출생]] [[분류:투수]] [[분류:우완 투수]] [[분류:우투우타]]
  • 진창현(음악인) . . . . 1회 일치
          * 대한민국 국민훈장 무궁화장 (2008)
  • 창작:무동군 . . . . 1회 일치
         설정상 대한민국 강원도 산기슭(해안면과 서화면 사이로 추정됨)에 있다.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몇몇 기업이 계획적으로 대규모 투자를 했기 때문에 다른 곳에 비해 신속하게 발전하고 있다. 그래서 자동차는 물론 버스도 손쉽게 드나들 수 있으며, 한때 터널과 지하철까지 공사된 적이 있었으나 여러가지 착오[* 휴전선 바로 아래쪽이라 북한군이 땅굴을 파면 연결될지도 모른다는 이유로 반대가 심했다.]로 인해 중단되었다. 현재는 도로와 터널을 통해 무동군으로 올라올 수 있다.
  • 창작:좀비탈출/0 . . . . 1회 일치
         아마도 마지막이 될, 내가 있는 곳의 위치를 남긴다. 여기는 우리집이다. 우리집은 대한민국 서울에 위치한 단독주택이다. '''그 사태'''가 일어났을 때, 나는 마침 방학이라 집에 있었다. 아버지는 지방 출장을 떠난 상태였으며, '''그대로 연락이 끊겼다'''. 그게 어떤 부분을 자극한 건지, 어머니는 결연한 태도로 혼자 사는 외할머니를 데려오겠다고 말하며 집을 떠났다.
  • 천안함 침몰사건 . . . . 1회 일치
         2010년 북한의 [[잠수함]] 공격으로 대한민국 해군의 [[천안함]]이 폭침한 사건이다. 46명이 희생되었다.
  • 최승자 . . . . 1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시인]][[분류:1952년 출생]][[분류:세종특별자치시 출신 인물]][[분류:1979년 데뷔]]
  • 최준석 . . . . 1회 일치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북구(대구) 출신 인물]][[분류:1983년 출생]][[분류:타자]][[분류:포수]][[분류:내야수]][[분류:지명타자]][[분류:우투우타]]
  • 카치구미 . . . . 1회 일치
         >일본군함 30척, [[하와이]]에 입항. 미국 대통령은 일본이 지명.
  • 커맨드 앤 컨커 : 레드 얼럿 2 . . . . 1회 일치
          미국 대통령.
  • 콩조림 . . . . 1회 일치
         콩조림은 소스와 함께 콩을 삶아낸 요리다. 베이크드 빈즈(Baked beans)라고도 부르는데, 'Baked'에서 연상되는 '굽는다'라는 이미지와 달리 조림에 가깝다. 콩이 재배되는 거의 대부분의 지방에서 존재하는 요리 방식으로 대한민국에선 콩자반이라고도 부르는 콩조림 요리가 있다.
  • 태영호 . . . . 1회 일치
         외교부에 따르면 태영호의 탈북 요인은 "김정은 체제에 대한 염증, 그리고 대한민국 자유민주주의 체제에 대한 동경, 그리고 자녀와 장래 문제 등이라고 밝히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태 공사의 자녀 중 북한이나 영국 현지에 남은 사람은 없다"고 한다.
  • 토탈워: 쇼군 2/건물 . . . . 1회 일치
         ===== 건선거(Drydock) =====
  • 토탈워: 쇼군 2/세력 기술 . . . . 1회 일치
          * 군항(Military Port)을 건선거(Drydock)로 업그레이드 할 수 있게 됨
  • 톰 최 . . . . 1회 일치
         |출생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 판타스틱 포 . . . . 1회 일치
         '''Marvel's First Family'''[* 마블에서 밀어주는 공식 별명으로 마블에서 가장 대우받는 가족(퍼스트 패밀리는 주로 대통령의 가족등, 사회적으로 가장 높은 지위에 있는 가족들에게 붙여주는 별칭이다)이자 마블 최초로 가족같은 모습을 보여주었다는 이중의 의미가 있다]
  • 패드립 . . . . 1회 일치
         대한민국 애니메이션 [[검정 고무신]]에서의 패드립성 대사가 인터넷에서 유행을 탄적이 있다. [[https://youtu.be/FoWK588dEDQ|보러가기.]]
  • 페이데이 갱 . . . . 1회 일치
          영화 [[포인트 브레이크]]와의 콜라보로 등장한 인물. 전직 대통령(Ex-President) 범죄조직의 창설자로 범죄계의 전설 중 하나.
  • 페이퍼 컴퍼니 . . . . 1회 일치
         [[영어]]와 일본식 영어에서 의미가 상당히 다른 단어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일본식 영어의 의미가 널리 쓰이고 있다.
  • 포항시 . . . . 1회 일치
         [[분류:포항시 출신|포항 출신 인물]][[분류:경상북도의 도시]][[분류:1949년 설치]][[분류:1995년 폐지]][[분류:1995년 설치]][[분류:대한민국의 항구 도시]]
  • 핑커톤 . . . . 1회 일치
         1861년에는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에이브러햄 링컨]]을 암살하려는 음모를 밝혀내기도 하였다. [[남북전쟁]] 이후 [[서부개척시대]]에는 [[제시 영거 갱]]이나 [[와일드 번치]]같은 갱단을 추적하거나 열차강도를 잡는 일을 했다. 이 과정에서 조사를 위해 [[신문]] 기사를 오려내 보관하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범죄자 데이터베이스의 시초가 되었다. 이 외에도 [[시카고 대화재]] 직후 약탈을 방지하기 위해 고용되기도 했다.
  • 한지우(배우) . . . . 1회 일치
         대한민국의 배우.
  • 허규옥 . . . . 1회 일치
         |국적 = 대한민국
  • 현실문화사 . . . . 1회 일치
         1980년대 말 [[대한민국]]에 존재했던 잡지 회사. [[보안사령부]]에 의해 운영되었다.
  • 홍준표(야구선수) . . . . 1회 일치
         [[분류:1991년 출생]][[분류:내야수]][[분류:우투좌타]][[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구미시 출신 인물]]
  • 황성관 . . . . 1회 일치
         [[분류:1974년 태어남]][[분류:살아있는 사람]][[분류:대구광역시 출신 인물]][[분류:KBO 리그 외야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대구고등학교 동문]]
12238의 페이지중에 809개가 발견되었습니다 (3870개의 페이지가 검색됨)

여기을 눌러 제목 찾기를 할 수 있습니다.